KR20130070074A -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 Google Patents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074A
KR20130070074A KR1020110137215A KR20110137215A KR20130070074A KR 20130070074 A KR20130070074 A KR 20130070074A KR 1020110137215 A KR1020110137215 A KR 1020110137215A KR 20110137215 A KR20110137215 A KR 20110137215A KR 20130070074 A KR20130070074 A KR 20130070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collecting
tree
planting bo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776B1 (ko
Inventor
조혜진
임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7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7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3Transplanting devices for grasping, undercutting or transporting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집수조와 가로수목 식재박스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배관이 필요가 없어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배관고장으로 물순환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체형 시공에 의해 시공경제를 도모하고, 도로의 수목 공간을 활용하여 물순환 환경을 구축함과 아울러 비점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A Monolithic street tree box with side gutter}
본 발명은 측구집수조와 가로수목 식재박스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배관이 필요가 없어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배관고장으로 물순환라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체형 시공에 의해 시공경제를 도모하고, 도로의 수목 공간을 활용하여 물순환 환경을 구축함과 아울러 비점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가로수가 식재된다. 가로수는 보행자나 운전자, 그리고 기타 사람들에게 쾌적한 느낌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태양열을 흡수하고, 눈, 비 및 안개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며 바람의 영향을 완화시켜 미세기후(微細氣候) 조절효과를 제공하고, 수관의 가지와 잎이 먼지와 분진 등을 흡착하고 유해 가스를 흡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가로수는 조형물체로서 아름다운 선형미(線形美)를 가지고, 수벽(樹壁)과 배경용으로 사용하여 장식효과를 가지며 도시 건축물의 육중한 느낌을 부드럽게 하고 건축효과로서 생활공간을 주위의 다른 지역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생활을 보호하며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학적 효과로서 토양안정화에 따른 침식을 방지하고, 소음을 차단하여 방음효과를 주며, 방화대(防火帶)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종래의 가로 수목 조성 기술에서는 단순히 상술한 기능과 효과를 기대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근래 생활 오,폐수나 산업 오,폐수 등의 점오염물질 외에 강우유출수 등의 비점오염물질의 처리 시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부분의 비점오염물질의 처리 시설은 자연형과 장치형으로 구분되며 자연형에는 침투여과형, 생태포장필터형, 식생바이오필터형, 연석필터형 및 레인가든형이 있고, 장치형에는 필터형과 와류형, 수력학적 필터형 및 트리박스필터형 시설이 있다.
이중 상기 트리박스필터형 비점오염물질 처리 시설과 같은 경우 가로수가 식재되거나 화단이 조성되는 식생공간을 가지면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트리박스필터형 비점오염물질 처리 시설은 가로수나 화단을 조성함과 아울러 일측 상단에 강우유출수 등의 유입구가 구비된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내부 하단에 충전되는 여재층과, 상기 여재층의 상부에 충전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박스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여재층에 의해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지중이나 우수관로 또는 집수조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스체 일측 상단에 구비된 유입구는 트리박스필터형 비점오염물질 처리 시설을 도로 변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도로를 따라 흐르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도로를 향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리박스형 비점오염물질 처리 시설은 도로측으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박스체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식생토양층과 여재층을 하향 통과하면서 하향 여과되고, 박스체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관을 통하여 지중이나 우수관로 또는 집수조로 배수되는 것으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강우 초기의 강우유출수는 물론 초기 강우 이후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되어 있는 강우유출수까지도 식생토양과 여재층을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된 후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의 유입수량에 따른 효율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된 초기 강우유출수는 물론 초기 강우 이후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된 강우유출수까지도 여재층을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여재층의 여과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리박스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은 처리된 강우유출수를 별도로 시공된 집수조를 통해 외부로 유출토록 하는 바, 이를 위해 트리박스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과 측구의 집수조를 별도로 시공하여야 하고, 트리박스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과 측구의 집수조 간에는 별도의 배관을 하여야 하므로 시공상 번거로움이 있으며 지반의 처짐에 의해 배관에 고장이 생기는 경우 처리된 강우유출수가 바로 도로 등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로의 수목 공간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물순환 환경을 구축하고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체형으로 가로수목 식재박스와 측구집수정을 일체로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식재 및 여과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그레이팅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유입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과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의 상부와 상기 집수공간을 연통하는 월류통로 및 집수공간의 유입수를 배수하는 우수관로가 구비되는 측구집수정;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에 구성되는 수목식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구집수정은 상기 본체 보다 낮은 위치에서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에 있어 본체측벽 상단은 보도와 연하도록 하며, 상기 측구집수정에 있어 측구집수정측벽의 상단은 측구와 연하도록 구성되어 가로수목식재 박스와 측구집수정을 일체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측구집수정은 내부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바, 상기 내부구획벽은 경계석과 연하도록 구성되어 보도 및 도로 상에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를 시공함으로써 기존에 별도로 가로수목 식재박스, 측구집수정 및 경계석을 시공하던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목식생층은,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되는 상층 및 하층 여재층과, 상기 상층 및 하층 여재층 사이에 적층되는 토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층 여재층은 우드칩으로 구성됨이 타당하다.
또한, 상기 월류통로에는 역지변이 구성되어 측구집수정에 저장되는 우수 등이 역으로 본체의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구획벽에는, 상기 측구집수정의 집수공간과 상기 본체의 식재 및 여과공간을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투수통로를 더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투수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량은 상기 월류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량에 비해 작아야 하므로 투수통로의 직경 및 갯수는 이를 감안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월류통로에는 여과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타당하며, 상기 본체에는 그 하부에 지중과 연통하는 지중투수통로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가 일정유격을 형성하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형 도로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물순환이 용이하며, 비점오염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는 도로의 수목공간을 활용하여 물순환 환경 구축, 비점오염물질을 처리 및 시공용이성 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의 식재 및 여과공간으로 유입된 강우유출수가 하향식 여과처리 과정과 상향식 여과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초기 강우유출수는 여과 처리되어 지중침투 되도록 하며, 초기 강우 후 일정시간 경과하여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되어 있는 강우유출수는 여과 처리되지 않고 측구집수정으로 유입되어 우수관로를 통해 배수되므로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등 최적의 물순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로수목식재박스와 측구집수정을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 배관 등이 필요 없이 일거에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가로수목식재박스와 측구집수정 간에 배관고장 등으로 물순환라인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체시공에 의해 시공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가 설치된 도로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에 있어 A부분을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도 4에 있어 B-B선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본체(10)로부터의 강우유출수 및 도로 등으로부터의 강우유출수를 포함한 유입수를 집수 및 배수하기 위한 측구집수정(20), 상기 본체(10) 내부에 적층되어 가로수목을 포함한 초목(P)을 식재하기 위한 수목식생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수목식생층(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식재 및 여과공간(S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강우유출수를 포함한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써, 상기 본체(10)는 도 1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상기 본체(10)는 바닥판체(11)와 본체측벽(13)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본체측벽(13)이 3개의 벽체로 구성된 예가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측벽(14)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상단이 보도(R1) 상면과 연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보도(R1)를 따라 유동하는 강우유출수가 본체(10)의 상단 즉, 본체측벽(13)의 상단을 월류하여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본체(10)는 그 위치에 의해 자연적으로 강우유출수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별도의 유입관을 그 상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그 형상에 있어, 도 1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측구집수정(20)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측구집수정(20)은 내부구획벽(12)에 의해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구획벽(12)의 상단은 경계석(1)의 상단과 연하도록 함이 타당한바, 이는 본 발명을 설치함으로써 일거에 수목식재박스, 측구집수정 및 경계석이 시공되도록 하여 시공경제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여기서 본체(10)와 측구집수정(20)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어떠한 체결없이 본체(10)와 측구집수정(20)이 일체화 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체(10)와 측구집수정(20)을 조립에 의해 일체화 된 상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측구집수정(20)은 그 내부에 강우유출수를 포함한 유입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S2)이 마련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시 예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경우, 바닥판체(21)와 측구집수정측벽(22)로 구성되며, 측구집수정측벽(22)은 3개의 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구집수정측벽(22)의 상단은 측구(2)와 연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 바, 이 는 보도(R1) 및 도로(R2)를 타고 유동하던 강우유출수가 상기 측구집수정측벽(22)을 월류하여 상기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측구에 구성되는 집수정과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등에서는 상기 본체(10)의 본체측벽(13)과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측구집수정측벽(22)이 측면에서 연하도록 구성된 예가 제시되는 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상부 역시 개방되어 강우유출수를 포함한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하는데, 그 개방부는 그레이팅(grating)(23)으로 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레이팅(23)은 강우유출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부유물질을 걸러서 상기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구집수정(20)은 월류통로(60)와 우수관로(70)가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월류통로(60)는 상기 내부구획벽(12)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측구집수정(20) 간을 상부에서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월류통로(60)는 천공한 월류공으로 구성하거나 월류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월류통로(60)의 입구측에는 상기 수목식생층(30)에 포집되어 있던 부유물질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상기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과재(61)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재(61)는 그 재질에 있어 한정되지 않으며 물 입자는 통과시키면서 부유물질 등을 포함한 비점오염물질은 여과될 수 있는 어떠한 여과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그물망을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영구적인 재활용이 가능하며 물에 의한 부식성에 대항하도록 스테인리스강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여기서, 상기 월류통로(60)에는 물의 흐름을 일방향 즉 본체(10)에서 측구집수정(20)으로만 유입시키도록 하는 역지변(62)이 구성된다. 이는 상기 월류통로(60)에 의해 본체(10) 및 측구집수정(20)이 연통하므로 강우량이 많은 장마철 등에 측구집수정(20)으로부터 상기 본체(10)로 우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 물질들이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우수관로(70)는 상기 측구집수정(2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집수공간(S2)에 저장되는 우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측구집수정(20)을 본체(10)에 일체로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상단보다 낮고 측구집수정(20)의 하단보다 높은 월류통로(60)를 구비한 것이므로 비점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초기 강우유출수(W1)는 본체(10)에서 하향, 상향 유동을 통해 여과 처리되어 측구집수정(20)으로 유동하도록 하며, 초기 강우 후 일정시간 경과하여 비점오염물질이 미량 포함되어 있는 강우유출수(W2)는 초기 강우에 의해 본체(10)가 포화되므로 자연스럽게 본체(10) 내에서 하향, 상향 유동없이 바로 측구집수정(20)으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등 최적의 물순환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목식생층(30)은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에 적층되는 것으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여재층(41)과 하층 여재층(42) 및 토양층(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층 여재층(42)은 하향 여과 및 상향 여과 작용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층 여재층(41)은 모래와/또는 자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토양층(50)은 지역토나 식생에 유리한 혼합토 또는 영양토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층 여재층(41)은 자갈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을 가지므로 미세토사나 중금속 흡착 및 여과에 있어서 입자성과 용존성 오염물질의 제거효율 증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드칩(wood chip)이 사용됨이 타당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도(R1)의 식생대와 차도(R2)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0)는 보도(R1)에 위치하도록 하며, 측구집수정(20)은 차도(R2)에 있어 측구(2)에 위치하도록 하고, 내부구획벽(12)은 경계석(1)에 연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일거에 식재박스, 측구집수정 및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터파기를 한 다음 그 바닥에 잡석다짐층(14)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상기 본체(10) 및 측구집수정(20)을 안착시킨 후 되메우기하는 것에 의하여 지중에 매설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강우시 보도(R1) 위를 흐르는 강우유출수가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측구집수정(20)은 강우시 보도(R1)는 물론 차도(R2)의 측구(2)를 유동하는 강우유출수가 집수공간(S2)내로 유입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본체(10)에 식재되는 초목(P)은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에 하층 여재층(42)과 토양층(50)을 적층한 후, 상기 상층 여재층(41)을 적층하기 전에 토양층(50)에 식재하고, 이후 상기 토양층(40) 위에 상기 상층 여재층(41)을 적층한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강우 시 발생한 강우유출수는 상기 본체(10)의 본체측벽(13)의 상단을 월류하여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으로 유입된다.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으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상층 여재층(41)을 하향 통과하면서 하향식으로 여과 처리되고, 상기 상층 여과층(41)을 통과한 강우유출수는 상기 토양층(50)을 하향 통과하면서 하향식으로 여과처리되며, 다시 상기 하층 여재층(42)을 하향 통과하면서 하향식으로 여과처리된다.
상기 하층 여재층(42)을 하향 통과하여 하향식으로 여과처리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차오르게 된다.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차오르는 강우유출수는 다시 하층 여재층(42)과 토양층(50) 및 상층 여재층(41)을 상향 통과하면서 상향식으로 다시 여과 처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으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상층 여재층(41)과 토양층(50) 및 하층 여재층(42)을 하향 통과하면서 하향 여과처리 된 다음,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차오르면서 상향식으로 여과 처리되어 강우유출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이 충분히 제거된다. 즉 비점오염물질 함량이 높은 초기 우수의 경우는 상기 본체(10)에서 자연스러운 흐름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의 하단으로부터 차오르는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상기 상층 여재층(41)과 월류통로(60)에 이르게 되면, 강우유출수는 상기 월류통로(60)를 통해 월류하여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 내로 유입되어 집수된다. 이렇게 집수되는 강우유출수는 본체(10)에서 하향 및 상향 유동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이 어느 정도 걸러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월류통로(60)의 입구측에는 여과재(6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비점오염물질이 어느 정도 걸러진 상태의 강우유출수에서 마지막으로 여과를 하게 되며, 상기 상층 여재층(41)에 포집되어 있던 부유물질 등의 비점오염물질이 상기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여과재(61)에 의하여 한 번 더 여과 처리된 후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에 집수되는 강우유출수 중에는 비점오염물질이 충분히 제거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경과하게 되면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어 우수에는 초기우수와 달리 비점오염원이 덜 포함되게 되며, 이러한 우수는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이 포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바로 월류통로(60)를 통해 월류하여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초기우수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비점오염원이 덜 포함된 우수는 자연스럽게 월류통로(60)의 여과재(61)만을 통과하여 측구집수정(20)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외부로 토출토록 하는 바, 별도의 장치없이 자연스런 우수의 유동을 통해 비점오염원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강우가 지속되거나 호우 등에 의하여 강우유출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에 유입된 강우유출수의 수위가 상기 본체측벽(13)의 상단보다 높아지면,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에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측구집수정측벽(22)을 월류하여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강우유출수가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본체(10) 및 측구집수정(20)에서 우수를 저장, 방류할 수 있으므로 홍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강우유출수가 상술한 바와 같은 하향식 여과처리 과정과 상향식 여과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된다.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우수관로(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구획벽(12)에는 상기 측구집수정(20)과 상기 본체(10)가 연통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투수통로(80)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수통로(80)에 의해 식재 및 여과공간(S1)에서 토양층(50)과 상기 집수공간(S2)이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투수통로(80)는 상기 내부구획벽(12)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투수공으로 구성하거나, 복수 개의 투수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구집수정(20)의 집수공간(S2)으로 유입된 강우유출수는 대부분 우수관로(7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지만 그 일부는 상기 투수통로(80)를 통하여 다시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에 적층되어 있는 토양층(50)으로 투수되어 이에 식재되어 있는 초목(P)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으로서 제공되어 식재된 초목(P)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초목(P)이 활발히 생장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투수통로(80)는 앞서 설명한 월류통로(60)와 마찬가지로 여과재가 충진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이에 의해 집수공간(S2)에 집수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한 번 더 여과하여 상기 여과공간(S1)으로 투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그 하부 즉, 몸체(10)의 바닥판체(11)에 지중과 연통하는 지중투수통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중투수통로(90)는 상기 본체(10)의 식재 및 여과공간(S1) 내에 체류하는 강우유출수가 지중으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S1)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강우유출수가 장기간 체류할 경우 과도한 수분으로 인해 식재된 수목(P)의 생장에 지장을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중투수통로(90)는 상기 바닥판체(11)에 천공되는 복수 개의 지중투수공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바닥판체(11)에 관통되는 지중투수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해 수목 공간을 활용하여 물순환 환경 구축, 비점오염물질을 처리를 동시 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보도 및 도로에 시공을 하되, 일거에 수목식재박스, 경계석 및 측구집수정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한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본체 20 : 측구집수정
30 : 수목식생층 41 : 상층 여재층
42 : 하층 여재층 50 : 토양층
60 : 월류통로 70 : 우수관로
80 : 투수통로 90 : 지중투수통로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식재 및 여과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그레이팅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유입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공간과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의 상부와 상기 집수공간을 연통하는 월류통로 및 집수공간의 유입수를 배수하는 우수관로가 구비되는 측구집수정;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 구성되는 수목식생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구집수정은 상기 본체 보다 낮은 위치에서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에 있어 본체측벽 상단은 보도와 연하도록 하며, 상기 측구집수정에 있어 측구집수정측벽의 상단은 측구와 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측구집수정은 내부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바, 상기 내부구획벽은 경계석과 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식생층은,
    상기 식재 및 여과공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되는 상층 및 하층 여재층과, 상기 상층 및 하층 여재층 사이에 적층되는 토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여재층은 우드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통로에는 역지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구획벽에는,
    상기 측구집수정의 집수공간과 상기 본체의 식재 및 여과공간을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투수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통로에는,
    여과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그 하부에 지중과 연통하는 지중투수통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측구집수정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가 일정유격을 형성하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순환형 도로구조.
KR1020110137215A 2011-12-19 2011-12-19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Active KR10138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215A KR101380776B1 (ko) 2011-12-19 2011-12-19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215A KR101380776B1 (ko) 2011-12-19 2011-12-19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74A true KR20130070074A (ko) 2013-06-27
KR101380776B1 KR101380776B1 (ko) 2014-04-03

Family

ID=4886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215A Active KR101380776B1 (ko) 2011-12-19 2011-12-19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7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6986A (zh) * 2018-04-23 2018-09-04 宁夏大学 海绵城市行道树供养系统
CN112746544A (zh) * 2020-12-24 2021-05-04 广东承洋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用的街道两侧绿化系统
CN114482242A (zh) * 2022-02-28 2022-05-13 河南省海绵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防堵塞控污染雨水快速分流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633B1 (ko) * 2018-08-17 2021-03-31 이성훈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323B1 (ko) * 2005-10-11 2006-05-08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배수측구겸용 우수처리시설물
KR100883959B1 (ko) * 2008-05-26 2009-02-19 이문기 초기 빗물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934447B1 (ko) * 2009-05-07 2009-12-30 (주)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회 친환경 가로수 성장보호 촉진장치
KR101158286B1 (ko) * 2010-03-11 2012-06-19 노순옥 자연 순환식 조경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6986A (zh) * 2018-04-23 2018-09-04 宁夏大学 海绵城市行道树供养系统
CN112746544A (zh) * 2020-12-24 2021-05-04 广东承洋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海绵城市用的街道两侧绿化系统
CN114482242A (zh) * 2022-02-28 2022-05-13 河南省海绵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防堵塞控污染雨水快速分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776B1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54B1 (ko)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365672B1 (ko) 자연순환형 나무화분 여과시스템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100889757B1 (ko) 공원, 택지, 도로 및 하천 공사용 여과 집수형 식생 트렌치
KR20090124660A (ko) 개방형 우수처리 시스템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70128921A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CN104032793B (zh) 用于居民小区道路的花园式抗雨水冲击系统
KR102638595B1 (ko) 수목보호가 가능한 트리박스 필터시스템
KR20090052749A (ko) 도시녹화 배수시스템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62391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바이오 필터가 적용된 주차장
KR101380776B1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090120986A (ko)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101362253B1 (ko)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1922669B1 (ko) 미생물을 활용하는 카트리지형 수목여과상자
KR20220001610A (ko) 도시지역 불투수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도시기반시설을 활용하여 저감하는 자연순환형 나무화분여과시스템
CN203977495U (zh) 用于居民小区道路的花园式抗雨水冲击系统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101296348B1 (ko) 자유체결 및 지반변형 수용이 가능한 가로수목 식재박스
KR101471181B1 (ko) 유분 흡착 스크린이 분리 가능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