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675B1 -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 Google Patents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675B1
KR101875675B1 KR1020170133581A KR20170133581A KR101875675B1 KR 101875675 B1 KR101875675 B1 KR 101875675B1 KR 1020170133581 A KR1020170133581 A KR 1020170133581A KR 20170133581 A KR20170133581 A KR 20170133581A KR 101875675 B1 KR101875675 B1 KR 10187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ainwater
main body
phosphorus removal
oil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엽
김기중
Original Assignee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에 관한 것으로, 맨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우수 유출량을 저감시켜 도심지의 홍수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고,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한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자원의 고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중금속이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Rainwater infiltration tank with oil separation and phosphorus removal function to reduce non-point pollutant of road}
본 발명은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우수 유출량을 저감시켜 도심지의 홍수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고,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한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자원의 고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중금속이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된다.
여기서, 상기한 점오염원은 가정하수와 산업폐수 등은 배출관을 통해 방류되므로 오염원의 발생 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오염원을 의미하며, 이러한 점오염원은 오염농도가 매우 높다 하더라도 발생지점이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정화를 통하여 용이한 수질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비점오염원은, 강우 시 지표면에 노출된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발생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처리가 상당히 어려운 오염원이다.
특히, 이와 같은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 수역으로 유입될 경우 하천 및 호수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일정한 제거 과정을 거쳐 배출 수역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비점오염원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는 대략 인공습지 등의 저류형, 여과조 등의 여과형, 스월(Swirl) 처리장치 등의 장치형 등 다양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등이 있다.
상기에서 저류형은 설비 면적이 크게 요구되는 점에서 도심지역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심지역에는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Swirl 처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들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처리효율은 각 처리장치마다 일정한 효율을 가지나, 유량 및 농도변화가 큰 강우에 의한 비점오염원에 대해 탄력적인 처리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상기와 같은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Swirl 처리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을 개별적으로 구비해야 한다는 경제적인 부담도 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종래의 기술 중 여과재를 이용하는 방식은 유입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높은 처리 효율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나, 강우 유출수 중 일부만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여과재의 교환 주기가 짧으며, 우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우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이며, 부유성 물질이 배출되거나 부유성 물질에 의하여 여과하는 구성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여과재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비하여 처리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충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타공이 형성된 스크린의 전방으로 방지막을 설치하고, 스크린과 방지막 사이에서는 방지막 하단으로만 우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방지막 하단을 통하여 타공판으로 우수가 흐르게 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집중 호우 등과 같은 경우 충분히 많은 양의 우수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집중 호우 등에 대비하여야 하는 경우 구조물이 대형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08-0122701호에 맨홀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일측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으로 정화된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설치된 중공의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원통부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유입관과 배출관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안내홈이 이격되어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판상의 타공체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은 원통부의 접선과 예각을 가지도록 연결되며, 상기 원통부의 길이 방향에 따른 타공체의 단면 형태는 배출관이 연결된 방향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상부 부분과 배출관을 향하여 오목지게 만곡된 하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맨홀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와, 뚜껑, 지지체 그리고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부유성 물질은 물론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 호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많은 양의 우수를 충분히 처리할 수는 있으나,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 즉, 유류나 인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08-0122701호, 출원일: 2008년12월04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우수 유출량을 저감시켜 도심지의 홍수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고,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한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자원의 고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중금속이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은, 다각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된 중공의 기둥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면에 안착되어 빗물을 유입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레이팅부재와, 상기 그레이팅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재에서 걸림되지 않은 이물질을 걸림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거름망과, 상기 거름망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 바닥측에 설치되어 필터링되어 유입된 빗물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류분해 및 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체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그레이팅부재가 안착됨에 따른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보호하도록 바닥면은 홀이 천공되고,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보호편을 갖추어 본체 타설시 고정되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 하부에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을 통하여 유류가 분해되고 인이 제거된 빗물을 일시 저장하여 지하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육면이 서로 연통된 블럭을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자갈 또는 쇄석이 25%~45%의 공극률을 갖도록 구성된 저류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에 따르면, 맨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우수 유출량을 저감시켜 도심지의 홍수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고,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한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자원의 고갈을 예방할 수 있으며 중금속이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의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의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을 대각선 방향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100)은, 다각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된 중공의 기둥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상면에 안착되어 빗물을 유입시키고 낙엽과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레이팅부재(120)와,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에서 걸림되지 않은 이물질을 걸림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거름망(130)과, 상기 거름망(130)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110) 내부 바닥측에 설치되어 필터링되어 유입된 빗물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류분해 및 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본체(110)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그레이팅부재(120)가 안착됨에 따른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을 보호하도록 바닥면은 홀이 천공되고, 선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보호편을 갖추어 본체(110) 타설시 고정되는 보호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본체(110) 하부에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을 통하여 유류가 분해되고 인이 제거된 빗물을 일시 저장하여 지하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육면이 서로 연통된 블럭을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자갈 또는 쇄석이 25%~45%의 공극률을 갖도록 구성된 저류조(16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의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게 콘크리트로 원형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을 통하여 유류가 분해되고 인이 제거된 빗물을 인접한 다른 본체 또는 하천으로 배출되도록 배수관과 연결되는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본체(110) 내주면 상부에는 그레이팅부재(12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단턱면(111)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그레이팅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재로 성형되어, 본체(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빗물은 유입되고 낙엽 또는 비닐과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다각 형상의 틀 내부에 수평 및 수직방향의 걸림용지지대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거름망(130)은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걸이부재(170)를 매개로 걸림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재(120)를 통과한 담배꽁초나 작은 자갈은 필터링시키면서 빗물은 배수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170)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사후관리가 용이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거름망(130)은 그레이팅부재(120)와 본체(110)의 단턱면(111) 사이에 일단이 안착 걸림되고 타단은 본체(110) 내부로 절곡 연장된 걸이부재(170)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선단부는 하향 절곡 연장된 걸림편(131a)이 형성된 덮개부(131)와, 상기 덮개부(131)에 상부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빗물을 배출되고 담배꽁초나 작은 자갈은 걸림되도록 외주면과 바닥면에는 슬릿형상의 배수홀(132a)이 다수 형성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거름체(1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거름망(130)의 거름체(132) 바닥면 중앙부는 배수면적을 넓게 하여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에는 슬릿형상의 홀이 다수 형성된 돌출부(132b)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130)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110) 내부 바닥측에 설치되어 거름망(130)을 통하여 필터링되어 유입된 빗물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류분해 및 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유출홀(141a)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와,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홀(141a)을 일단이 수용하면서 세워지는 제1유공관(142a)과, 상기 제1유공관(142a)을 내측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수용하면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바닥면에 일단이 세워지는 제2유공관(142b)과,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모서리부에 일단이 지지되면서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제3유공관(142c)으로 구성된 유공관(142)과, 상기 유공관(142)이 내설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에 충진되어 빗물이 유입되면서 유출하는 중에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류를 분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류분해 미생물 고착 세라믹담체(143)와, 상기 유공관(142)의 제1,2유공관(142a,142b) 사이에 충진되어 빗물이 유입되면서 유출하는 중에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흡착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흡착 세라믹담체(144)와,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유공관(142)의 제1,2,3유공관(142a,142b,142c) 타단을 지지하면서, 유입된 빗물을 하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 모서리부에는 구멍(145a)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덮개(145)와,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덮개(145)에 형성된 구멍(145a)에 일단이 삽입 관통되는 것에 의해 유공관(142)의 제3유공관(142c)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플랜지부(146a)에 의해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표면에는 미세입자를 필터링가능하도록 필터용구멍(도면부호 생략)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필터부재(14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바닥면 중앙부와 모서리부에는 유공관(142)의 제1,2,3유공관(142a,142b,142c) 각 일단이 바닥면에 세워질 때,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1,2,3하부지지돌기(141b,141c,141d)가 형성되고,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덮개(145)의 바닥면 저면 중앙부와 모서리부에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유공관(142)의 제1,2,3유공관(142a,142b,142c) 각 타단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1,2,3상부지지돌기(145b,145c,145d)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유류분해 미생물 고착 세라믹담체(143)는 황토와 점토를 6:4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60~70%와 제지슬러지 5~18%와 당밀 5~18%와 제오라이트 15~20%와 점결제 2~3%의 비율로 혼합한 후 배합원료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200∼750℃ 범위에서 20~50분간 건조하고 건조된 제품을 750~1250℃ 범위에서 5~20분간 소성하고 소성된 제품에 미생물을 침적한 후 카라기난검으로 코팅하여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특허출원번호 10-2014-0024183호)되어 등록(등록번호 10-1484478)된 다공성 세라믹 담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인흡착용 세라믹 담체(144)는 이물질이 제거된 황토와 점토를 6:4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60~70중량부와, 제기슬러지5~18%중량부와, 당밀5~18중량부와, 제올라이트15~20중량부와 점결제2~3중량부를 혼련하여 소성기를 통하여 다공성으로 소성되어 제조되는 바, 이러한 인흡착용 세라믹 담체는 상기 구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을 설치하여 비가 오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은 본체(110) 상부에 설치된 그레이팅부재(120)를 통하여 걸이부재(170)에 의해 걸림된 거름망(130)측으로 유입되고 낙엽, 종이, 비닐과 같은 입자가 큰 이물질은 그레이팅부재(120)에 걸림된다.
상기 빗물이 거름망(130)측으로 유입되면, 낙엽 보다 작은 입자의 이물질은 걸림되고 빗물은 본체(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1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일정 이상으로 수위가 오르면, 빗물은 상기 본체(110) 내부 하측에 설치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에 포함된 다수의 필터부재(146)를 통하여 각각 유입된다.
상기 필터부재(146)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은 미세입자가 필터링되면서 유공관(142)의 다수의 제3유공관(142c)을 통하여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측으로 각각 유출된다.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측으로 유출된 빗물이 제2유공관(142b) 내측으로 유입되는 중에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에 충진된 유류분해 미생물 고착 세라믹담체(143)에 의해 유류가 분해되면서 상기 제2유공관(142b)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유공관(142b)으로 유류가 분해된 빗물이 유입되면 제1유공관(142a) 사이에 충진된 인흡착 세라믹담체(144)를 지나는 중에 인이 흡착되면서 깨끗한 빗물만이 제1유공관(142a)을 통하여 본체(110) 하부에 설치된 저류조(160)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을 맨홀로 구성함으로써, 중금속이 포함된 비점오염원을 제거하면서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한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자원의 고갈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110 ; 본체 120 ; 그레이팅부재
130 ; 거름망 140 ;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
150 ; 보호부재 160 ; 저류조

Claims (6)

  1.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은,
    다각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타설된 중공의 기둥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상면에 안착되어 빗물을 유입시키고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그레이팅부재(120)와;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레이팅부재(120)에서 걸림되지 않은 이물질을 걸림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거름망(130)과;
    상기 거름망(130)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110) 내부 바닥측에 설치되어 필터링되어 유입된 빗물을 유입 및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유류분해 및 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을 포함하되,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에는 유출홀(141a)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와,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홀(141a)을 일단이 수용하면서 세워지는 제1유공관(142a)과, 상기 제1유공관(142a)을 내측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게 수용하면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바닥면에 일단이 세워지는 제2유공관(142b)과,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모서리부에 일단이 지지되면서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제3유공관(142c)으로 구성된 유공관(142)과, 상기 유공관(142)이 내설된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에 충진되어 빗물이 유입되면서 유출하는 중에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류를 분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류분해 미생물 고착 세라믹담체(143)와, 상기 유공관(142)의 제1,2유공관(142a,142b) 사이에 충진되어 빗물이 유입되면서 유출하는 중에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흡착 제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흡착 세라믹담체(144)와,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유공관(142)의 제1,2,3유공관(142a,142b,142c) 타단을 지지하면서, 유입된 빗물을 하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 모서리부에는 구멍(145a)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덮개(145)와,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덮개(145)에 형성된 구멍(145a)에 일단이 삽입 관통되는 것에 의해 유공관(142)의 제3유공관(142c) 내측으로 삽입되고, 타단은 플랜지부(146a)에 의해 걸림되도록 형성되고 아울러, 표면에는 미세입자를 필터링가능하도록 필터용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구비되는 필터부재(1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부 내주면에는, 상기 그레이팅부재(120)가 안착됨에 따른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바닥면은 홀이 천공되고, 선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보호편을 갖추어 본체(110) 타설시 고정되는 보호부재(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 하부에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수단(140)을 통하여 유류가 분해되고 인이 제거된 빗물을 일시 저장하여 지하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육면이 서로 연통된 블럭을 적층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자갈 또는 쇄석이 25%~45%의 공극률을 갖도록 구성된 저류조(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130)은, 그레이팅부재(120)와 본체(110)의 단턱면(111) 사이에 일단이 안착 걸림되고 타단은 본체(110) 내부로 절곡 연장된 걸이부재(170)의 타단에 걸림되도록 선단부는 하향 절곡 연장된 걸림편(131a)이 형성된 덮개부(131)와, 상기 덮개부(131)에 상부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빗물을 배출되고 담배꽁초나 작은 자갈은 걸림되도록 외주면과 바닥면에는 슬릿형상의 배수홀(132a)이 다수 형성된 거름체(132)로 구성되되, 상기 거름체(132) 바닥면 중앙부는 배수면적을 넓게 하여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에는 슬릿형상의 홀이 다수 형성된 돌출부(132b)가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바닥면 중앙부와 모서리부에는 유공관(142)의 제1,2,3유공관(142a,142b,142c) 각 일단이 바닥면에 세워질 때,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1,2,3하부지지돌기(141b,141c,141d)가 형성되고, 상기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덮개(145)의 바닥면 저면 중앙부와 모서리부에는 유류분해 및 인 제거용 박스(141)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유공관(142)의 제1,2,3유공관(142a,142b,142c) 각 타단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제1,2,3상부지지돌기(145b,145c,145d)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KR1020170133581A 2017-10-13 2017-10-13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KR101875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1A KR101875675B1 (ko) 2017-10-13 2017-10-13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1A KR101875675B1 (ko) 2017-10-13 2017-10-13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675B1 true KR101875675B1 (ko) 2018-07-06

Family

ID=6292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581A KR101875675B1 (ko) 2017-10-13 2017-10-13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6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48Y1 (ko) * 2005-12-08 2006-02-24 서일공영 주식회사 집수정용 철 구조물
KR200440804Y1 (ko) * 2007-04-19 2008-07-03 권혁중 개량 우수받이
KR100930723B1 (ko) * 2009-02-02 2009-12-09 배석동 유입수를 지하수화 하는 맨홀 구조
KR101152978B1 (ko) * 2011-11-01 2012-06-11 (주)비포엔지니어링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20150024802A (ko) * 2013-08-27 2015-03-09 (주)우진테크 우수받이
KR20170050903A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비앤디오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448Y1 (ko) * 2005-12-08 2006-02-24 서일공영 주식회사 집수정용 철 구조물
KR200440804Y1 (ko) * 2007-04-19 2008-07-03 권혁중 개량 우수받이
KR100930723B1 (ko) * 2009-02-02 2009-12-09 배석동 유입수를 지하수화 하는 맨홀 구조
KR101152978B1 (ko) * 2011-11-01 2012-06-11 (주)비포엔지니어링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20150024802A (ko) * 2013-08-27 2015-03-09 (주)우진테크 우수받이
KR20170050903A (ko) * 2015-11-02 2017-05-11 주식회사 비앤디오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0862740B1 (ko) 2단 와류와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1020864B1 (ko)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20006734A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713591B1 (ko)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940779B1 (ko) 다기능 스크린모듈이 적용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875675B1 (ko)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KR101851938B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34311B1 (ko) 로드 트랩 장치
KR101271740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를 통한 우수 재이용시스템 및 방법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