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944B1 -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944B1
KR101036944B1 KR1020100117730A KR20100117730A KR101036944B1 KR 101036944 B1 KR101036944 B1 KR 101036944B1 KR 1020100117730 A KR1020100117730 A KR 1020100117730A KR 20100117730 A KR20100117730 A KR 20100117730A KR 101036944 B1 KR101036944 B1 KR 10103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ed water
reservoir
space
inlet pip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덕산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산지에스 filed Critical (주)덕산지에스
Priority to KR102010011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이송되는 유입관의 단부가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저수조와,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 및 저수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하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유입관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저수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와류부분과, 제1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저수공간에 수용된 오염수가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이 마련된 분할판과, 유입관을 통해 저수조 내로 유입된 오염수가 배출부분을 통해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사이의 분할판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과, 와류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배출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류부분 및 배출부분 사이의 분할판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수집된 오염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오염수 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질오염이란 일반적으로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별되며, 이 중 공장, 하수처리장, 건축물·축사 등과 같이 일정한 지점으로 오염물을 배출하는 점오염물질 이외에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도시, 도로, 농지, 산지 등의 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질과 토사 등의 오염물질 등이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 또는 호소 등으로 방류되는 부유 또는 용존된 오염물질들이 지표면에 노출되어 우수에 쓸려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염원으로 강우 초기에 발생량이 집중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원이 공공 수역으로 유입될 경우 하천 및 호소의 오염을 유발시키며, 또한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자원의 오염을 유발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처리 제거과정을 거쳐 배출수역으로 배출되어야 하며, 이에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종래의 초기 비점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는 주로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식과 여과에 의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중 원심력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은 수집된 오염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와류에 의해 오염수 내의 오염물질을 분리되어 저수조의 바닥으로 침전된다. 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염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은 발생된 와류에 의해 침전물의 분리는 용이하나 부유물질의 제거에 어려움이 있어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집된 오염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오염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이송되는 유입관의 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 및 저수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하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와류부분과, 상기 제1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이 마련된 분할판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저수조 내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과, 상기 와류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류부분 및 상기 배출부분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는 내벽면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내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 단부의 연장방향이 상기 내벽면의 곡면중심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획격벽은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대향되는 일측면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을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와류부분은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환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분은 상기 저수공간 내의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구를 덮도록 상기 분할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는 상기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걸름망부재;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분할판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수집하여 상기 저수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환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배출호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구획격벽은 상기 저수공간을 제1 및 제2저수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저수부분에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되는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수부분에 대응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오염수가 상기 설치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를 통과하는 상기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충진되는 다수의 제1여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2저수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면에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부는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며, 내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오염수가 상기 충진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면에 각각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통과하는 상기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다수의 제2여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는 수비된 오염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격벽을 통해 오염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하여 오염수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유입공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점오연원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21)이 마련된 저수조(20)와, 상기 내부공간(21)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38) 및 저수공간(39)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21) 내에 설치되되,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부분(31)과, 저수공간(39)에 수용된 오염수가 유입공간(38)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32)이 마련된 분할판(30)과, 와류부분(31) 및 배출부분(32) 사이의 분할판(30) 상면에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40)과, 와류부분(31) 및 배출부분(32) 사이의 분할판(30) 하면에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50)을 구비한다.
저수조(20)는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내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환형이 내벽면이 마련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20)의 상측 외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수집된 오염수가 저수조(20) 내부의 내부공간(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22)의 단부가 내부공간(21)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입관(22)은 저수조(2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저수조(20)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단부의 연장방향이 저수조(20)의 내벽면의 곡면중심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된다.
유입관(22)의 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저수조(20)에는 후술되는 분할판(30)의 배출부분(32)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저수조(2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23)가 마련되어 있다. 제1배출구(23)에는 오염수가 용이하게 외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배출관(24)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1배출구(23)는 용이하게 제1배출구(23)를 통해 오염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수조(20)에 설치된 유입관(22)의 단부보다 하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판(30)은 내부공간(21)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38) 및 저수공간(39)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에 대응되는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분할판(30)은 저수조(20)에 연결된 유입관(22)의 단부 및 제1배출구(23)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할판(30)은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가 용이하게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22)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와류부분(31)이 형성되며, 제1배출구(23)에 인접된 위치에 배출부분(32)이 형성된다. 와류부분(31)과 배출부분(32)의 경계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분할판(30) 상면에는 후술되는 제1구획격벽(40)이 형성되어 있다.
와류부분(31)은 유입관(22)을 통해 저수조(20)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가 분할판(30) 하부의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유입구(33)가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유입구(33)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환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유입구(33)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와류부분(31)의 내측면을 따라 유입구(33)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33)는 중심이 유입관(22)의 연장선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관(22)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가 용이하게 나선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와류부분(31)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오염수의 배출방향에 대해 유입구(33)의 후방에 넓은 면적이 환형의 내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유입구(33)는 유입구(33)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관(22)을 통해 배출된 오염수는 저수조(2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하고, 와류부분(31)의 내측면을 따라 유입구(33)로 유입되면서 나선형의 회전을 유지하며 저수공간(39)으로 공급된다.
배출부분(32)는 제1배출구(23)에 인접된 위치의 분할판(30) 상면에 마련되며, 분할판(30)의 하부, 저수공간(39)에 수용된 오염수가 유입공간(38)으로 유입되어 제1배출구(23)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배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2배출구(34)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2배출구(34)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2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된 오염수가 용이하게 배출관(24)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부분(32)는 와류부분(31)보다 하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 처리장치(10)는 제1배출구(23)를 덮도록 분할판(30)에 설치된 걸름망부재(37)를 더 구비한다. 걸름망부재(37)는 제2배출구(34)를 통해 유입공간(38)으로 배출되는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마련된 메쉬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걸름망부재(37)가 메시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걸름망부재(37)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환봉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름봉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배출구(34)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배출부분(32)에는 저수공간(39)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청소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유입관(22)을 폐쇄하여 오염수의 유입을 중단한 다음, 흡입펌프와 같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의 흡입호스를 상기 청소공(35)으로 삽입하여 저수공간(39)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청소공을 통해 오염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청소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덮개부재(36)를 더 구비한다. 덮개부재(36)는 청소공을 덮을 수 있도록 청소공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획격벽(40)은 유입관(22)의 단부 및 제1배출구(23) 사이의 분할판(30)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유입관(22)을 통해 저수조(20) 내로 유입된 오염수가 배출부분(32)의 제2배출구(34) 또는 청소공(35)을 통해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구획격벽(40)은 용이하게 유입관(22)으로 배출된 오염수가 배출부분(3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단이 유입관(22)의 단부 및 제1배출구(23)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며, 유입공간(38)의 단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구획격벽(40)은 유입관(22)의 단부에 대향되는 일측면이 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의 흐름을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구획격벽(50)은 유입구(33)를 통해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된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제2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입구(33) 및 제2배출구(34) 사이의 분할판(30)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제2구획격벽(50)은 용이하게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해 저수공간(39)을 제1 및 제2저수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저수공간(39)의 단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저수조(20)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구획격벽(50)의 하방에는 제1저수부분에 유입된 오염수가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출구(71)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에는 유출구(71)를 통과하는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1필터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제1필터부(70)는 유출구(71)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72)와, 제1케이스(72) 내부에 충진된 다수의 제1여재(73)를 구비한다.
제1케이스(72)는 유출구(71)에 설치되며, 다수의 제1여재(73)가 내부에 충진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제1 및 제2저수부분에 대응되는 양측면에는 오염수가 설치공간을 통과하여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1케이스(72)는 유출구(71)를 통과하는 오염수가 모두 제1필터부(7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출구(71)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여재(73)는 바이오스톤, 자갈, 모래, 미생물 담체, 활성탄 수지 등 통상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유입구(33)에 대응되는 분할판(30) 하면에 설치된 배출호퍼(60)를 더 구비한다.
배출호퍼(60)는 유입구(33)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를 수집하여 저수공간(39)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되,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된 오염수가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환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와류부분(31)을 통해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입구(33)로 배출되는 오염수는 배출호퍼(60)를 통과하는 동안 나선형의 회전을 유지하며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유입관(22)을 통해 저수조(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저수조(20)에 연결된 유입관(22)은 연장선이 저수조(20) 내벽면의 곡면중심에 대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유입관(22)을 통해 배출된 오염수는 저수조(20)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한다.
또한, 유입관(22)의 단부에 대향되는 제1구획격벽(40)의 일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염수는 제1구획격벽(40)의 일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도록 유도된다.
제1구획격벽(40)에 의해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하는 오염수는 분할판(30)의 유입구(33)로 유입된다. 유입구(33)를 통과한 오염수는 배출호퍼(60)를 통과하며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된다.
이때, 와류부분(31) 및 배출호퍼(60)의 내측면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되는 동안 오염수는 나선형의 회전을 유지하며 저수공간(39)으로 유입된다.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하는 오염수 내부에 오염물질은 오염수 내부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오염수로부터 분리되어 하방으로 침전된다.
저수공간(39) 내에 오염수가 가득차면 분할판(30)의 제2배출구(34)를 통해 분할판(30)의 상측으로 오염수가 배출되고, 제2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된 오염수는 제1배출구(23)를 통해 저수조(2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저수공간(39) 내의 오염수가 제2배출구(34)로 유동하는 동안 제2구획격벽(50)에 의해 오염수 내의 부유물은 걸러지고, 오염수 내의 이물질은 제1필터부(70)를 통과하면서 제1필터부(70)에 의해 필터링되어 제2배출구(34)로 배출된다.
또한, 제2배출구(34)을 덮도록 설치된 걸름망부재(37)에 의해 오염수 내의 오염물질은 재차 걸러진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수비된 오염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침전물을 분리하고, 격벽을 통해 오염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하여 오염수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수조(12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저수조(120)는 제2저수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면에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된 오염수의 일부가 저수조(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121)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오염수를 필터링 할 수 있도록 제2필터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제2필터부(122)는 배수구(121)에 설치되는 제2케이스(123)와, 제2케이스(123) 내부에 충진된 다수의 제2여재(124)를 구비한다.
제2케이스(123)는 배수구(121)에 설치되며, 다수의 제2여재(124)가 내부에 충진될 수 있도록 내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제2저수부분의 오염수가 충진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면에 각각 다수의 관통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케이스(123)의 상측 외주면에는 제2케이스(123)가 배수구(1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수조(120)의 바닥면에 간섭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재(12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2여재(124)는 바이오스톤, 자갈, 모래, 미생물 담체, 활성탄 수지 등 통상적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저수조(12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양이 적어 제2저수부분의 오염수가 제2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될 만큼 수위가 높지 않을 경우에도 제2저수부분에 수용된 오염수의 일부가 배수구(121)를 통해 배출되므로 오염수가 제2저수부분에 고여 썩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수구(121)를 통해 제1 및 제2필터부(70,122)에 의해 필터링된 일정양의 오염수는 외부로 배출되어 지중에 흡수되므로 저수조(120) 설치위치의 인접된 지하수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50: 제2구획격벽
20: 저수조 60: 배출호퍼
30: 분할판
40: 제1구획격벽

Claims (8)

  1.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이송되는 유입관의 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 및 저수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하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와류부분과, 상기 제1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이 마련된 분할판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저수조 내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과;
    상기 와류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류부분 및 상기 배출부분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와류부분은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환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내벽면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내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 단부의 연장방향이 상기 내벽면의 곡면중심에 대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격벽은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대향되는 일측면이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을 나선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4. 삭제
  5.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이송되는 유입관의 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 및 저수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하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와류부분과, 상기 제1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이 마련된 분할판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저수조 내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과;
    상기 와류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류부분 및 상기 배출부분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분은
    상기 저수공간 내의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출구를 덮도록 상기 분할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는 상기 오염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걸름망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6.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이송되는 유입관의 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 및 저수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하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와류부분과, 상기 제1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이 마련된 분할판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저수조 내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과;
    상기 와류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류부분 및 상기 배출부분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와류부분은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분할판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수집하여 상기 저수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환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배출호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7. 내부에 오염수가 수용될 수 있게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오염수가 수집되어 이송되는 유입관의 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배출구가 마련된 저수조와;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을 따라 유입공간 및 저수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하측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유입관의 단부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흐름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저수공간으로 주입시키는 와류부분과, 상기 제1배출구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공간에 수용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유입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분이 마련된 분할판과;
    상기 유입관을 통해 저수조 내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유입관의 단부 및 제1배출구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제1구획격벽과;
    상기 와류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 내의 부유물이 상기 배출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류부분 및 상기 배출부분 사이의 상기 분할판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제2구획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구획격벽은
    상기 저수공간을 제1 및 제2저수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저수부분에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되는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필터부는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수부분에 대응되는 양측면에는 상기 오염수가 상기 설치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를 통과하는 상기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충진되는 다수의 제1여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2저수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면에 상기 제2저수부분으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부는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며, 내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오염수가 상기 충진공간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면에 각각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통과하는 상기 오염수 내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다수의 제2여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20100117730A 2010-11-24 2010-11-24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03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30A KR101036944B1 (ko) 2010-11-24 2010-11-24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730A KR101036944B1 (ko) 2010-11-24 2010-11-24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944B1 true KR101036944B1 (ko) 2011-05-25

Family

ID=4436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730A KR101036944B1 (ko) 2010-11-24 2010-11-24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9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92B1 (ko) * 2013-06-26 2013-11-28 하보경 초기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WO2016094299A1 (en) * 2014-12-08 2016-06-16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US10150063B2 (en) 2016-12-29 2018-12-11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KR102346854B1 (ko) * 2021-08-06 2022-01-04 주식회사한국수안 자연형 비점오염 전처리 시설
DE102023105975A1 (de) * 2023-03-10 2024-09-12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Wassereinlaufeinrichtung für eine Filtereinheit, Filtereinheit und Filter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765A (en) 1999-03-26 2000-05-30 Stormceptor Corporation Separator tank
KR100673536B1 (ko) * 2004-05-27 2007-01-25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우수처리장치
KR100927631B1 (ko) 2008-10-31 2009-11-20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20100075824A (ko) * 2007-07-20 2010-07-05 몬테코 엘티디. 분리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8765A (en) 1999-03-26 2000-05-30 Stormceptor Corporation Separator tank
KR100673536B1 (ko) * 2004-05-27 2007-01-25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우수처리장치
KR20100075824A (ko) * 2007-07-20 2010-07-05 몬테코 엘티디. 분리 탱크
KR100927631B1 (ko) 2008-10-31 2009-11-20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192B1 (ko) * 2013-06-26 2013-11-28 하보경 초기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WO2016094299A1 (en) * 2014-12-08 2016-06-16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US9827510B2 (en) 2014-12-08 2017-11-28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US10150063B2 (en) 2016-12-29 2018-12-11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Hydrodynamic separator
KR102346854B1 (ko) * 2021-08-06 2022-01-04 주식회사한국수안 자연형 비점오염 전처리 시설
DE102023105975A1 (de) * 2023-03-10 2024-09-12 3P Technik Filtersysteme Gmbh Wassereinlaufeinrichtung für eine Filtereinheit, Filtereinheit und Filter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252736B1 (ko) 와류여과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37580B1 (ko) 유수 분리 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101020864B1 (ko)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0673536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2653647B1 (ko) 여과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