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903A -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 Google Patents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903A
KR20170050903A KR1020150153013A KR20150153013A KR20170050903A KR 20170050903 A KR20170050903 A KR 20170050903A KR 1020150153013 A KR1020150153013 A KR 1020150153013A KR 20150153013 A KR20150153013 A KR 20150153013A KR 20170050903 A KR20170050903 A KR 20170050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guide plate
cover
l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270B1 (ko
Inventor
이승엽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디오
Priority to KR1020150153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에 관한 것으로,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에 설치되어 오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유도판과, 상기 배수유도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랩본체와, 상기 배수유도판의 상부에 복개되는 배수구 덮개와, 상기 트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구 덮개는 상기 배수유도판의 테두리부의 안쪽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상부덮개와, 상기 배수유도판의 경사유도판부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와 상부덮개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미세이물질 거름망을 포함하여 머리카락, 실밥, 흙이나 모래 등 미세 이물질을 확실하게 거를 수 있음과 아울러 못 신는 스타킹이나 걸레나 행주로 사용하던 극세사 부직포 등의 폐품을 재활용하여 자원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을 간편,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오수 및 악취역류방지수단은 상기 트랩본체의 제2 관부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안내면보다 높고 상기 경사유도판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월류관부와, 상기 월류관부에 씌워지며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안착되고 주벽에 통수공이 형성된 차단캡을 포함하여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여 오수의 역류와 악취의 역류에 따른 생활의 불편을 배제할 수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drainage equipment with drain cover}
본 발명은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머리카락, 실밥, 흙이나 모래 등 미세 이물질을 확실하게 거를 수 있음과 아울러 못 신는 스타킹이나 걸레나 행주로 사용하던 극세사 부직포 등의 폐품을 재활용하여 자원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을 간편,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바닥에는 배수구가 설치되며, 배수구에는 배수트랩과 배수구 덮개가 설치된다.
종래의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는 욕실 바닥에 천공되는 배수구와, 욕실 바닥에 매설되며 하단에 배수관이 연결되는 트랩본체와, 상기 트랩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이 욕실 바닥면에 일치하는 배수유도판과, 상기 배수유도판에 복개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이 천공된 배수구 덮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랩본체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배수관이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의 상단에 확장 형성된 결합플랜지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유도판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결합플랜지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경사판부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유도판은 욕실 바닥에 형성된 트랩자리에 삽입되며 테두리부와 트랩자리 사이의 틈새와, 상기 트랩본체의 결합플랜지와 배수유도판의 결합공 사이의 틈새는 실리콘 실링재로 메움으로써 오수가 전적으로 트랩본체의 연결관부를 통해 배수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구 덮개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배수유도판의 테두리부의 안쪽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복수개의 오수유입공이 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배수트랩과 배수구 덮개가 설치된 배수 설비에서는 욕실 바닥에 버려진 오수는 욕실 바닥의 구배에 따라 흘러서 배수구 덮개에 형성된 오수유입공을 통해 배수유도판 위로 유입되고 배수유도판에 의하여 유도되어 트랩본체를 통해 배수관으로 배수된다.
이 과정에서 오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 중에서 배수구 덮개에 형성된 오수유입공의 크기보다 큰 이물질은 배수구 덮개에 걸리게 되지만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과 같은 미세 이물질은 오수유입공을 통해 그대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수 설비에서는 유입된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의 미세 이물질이 트랩본체와 배수관에 축적되면서 관로가 좁아지고 폐색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0818호(2000.08.11. 등록) "바닥 배수용 배수구"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073호(2011.11.29. 등록) "배수트랩"이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 역시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의 미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낸다.
따라서 유입된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의 미세 이물질이 트랩본체와 배수관에 축적되면서 관로가 좁아지고 폐색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0818호(2000.08.11. 등록) "바닥 배수용 배수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073호(2011.11.29. 등록) "배수트랩"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카락, 실밥, 흙이나 모래 등 미세 이물질을 확실하게 거를 수 있음과 아울러 못 신는 스타킹이나 걸레나 행주로 사용하던 극세사 부직포 등의 폐품을 재활용하여 자원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을 간편,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에 설치되어 오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유도판과; 상기 배수유도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랩본체와; 상기 배수유도판의 상부에 복개되는 배수구 덮개와; 상기 트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유도판은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의 설치홈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설치홈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유도판부와, 상기 경사유도판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트랩본체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본체는 상단이 상기 트랩본체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1 관부와, 상기 제1 관부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배수관이 연결되는 제2 관부와, 상기 제1 관부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제2 관부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경사안내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 덮개는 상기 배수유도판의 테두리부의 안쪽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상부덮개와, 상기 배수유도판의 경사유도판부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와 상부덮개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미세이물질 거름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가장자리가 상기 배수유도판의 테두리부의 안쪽 면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판의 테두리부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하향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상부덮개의 상부덮개판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과, 상기 하부덮개판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덮개의 하향절곡부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상향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 및 악취역류방지수단은 상기 트랩본체의 제2 관부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안내면보다 높고 상기 경사유도판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월류관부와, 상기 월류관부에 씌워지며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안착되고 주벽에 통수공이 형성된 차단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에 의하면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에 설치되어 오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유도판과, 상기 배수유도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랩본체와, 상기 배수유도판의 상부에 복개되는 배수구 덮개와, 상기 트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구 덮개는 상기 배수유도판의 테두리부의 안쪽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상부덮개와, 상기 배수유도판의 경사유도판부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덮개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와 상부덮개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미세이물질 거름망을 포함하여 머리카락, 실밥, 흙이나 모래 등 미세 이물질을 확실하게 거를 수 있음과 아울러 못 신는 스타킹이나 걸레나 행주로 사용하던 극세사 부직포 등의 폐품을 재활용하여 자원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을 간편,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오수 및 악취역류방지수단은 상기 트랩본체의 제2 관부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안내면보다 높고 상기 경사유도판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월류관부와, 상기 월류관부에 씌워지며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에 안착되고 주벽에 통수공이 형성된 차단캡을 포함하여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여 오수의 역류와 악취의 역류에 따른 생활의 불편을 배제할 수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분해 사시도,
도 2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부 확대도,
도 5는 역류방지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F)에 설치되어 오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유도판(100)과;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랩본체(200)와;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상부에 복개되는 배수구 덮개(300)와; 상기 트랩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F)에는 배수유도판(10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G)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도판(100)은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F)의 설치홈(G)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설치홈(G)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테두리부(110)와, 상기 테두리부(110)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유도판부(120)와, 상기 경사유도판부(120)의 중앙에 형성되는 트랩본체 결합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유도판(100)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하거나 스테인리스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트랩본체(200)는 상단이 상기 트랩본체 결합공(130)에 결합되는 제1 관부(210)와, 상기 제1 관부(210)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부(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관부(220)와, 상기 제1 관부(210)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제2 관부(22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경사안내면(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랩본체(200)는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부(220)에는 배수관(P)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구 덮개(300)는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상부덮개(310)와,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경사유도판부(120)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덮개(310)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덮개(320) 및, 상기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덮개(310)는 가장자리가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면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312)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311)과, 상기 상부덮개판(31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하향절곡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덮개(320)는 상기 상부덮개(310)의 상부덮개판(311)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322)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321)과, 상기 하부덮개판(3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덮개(310)의 하향절곡부(313)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상향절곡부(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은 상기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과 같은 미세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망목을 가지는 망체 또는 망포 또는 얇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 폐기하는 여성들의 스타킹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폐기하는 스타킹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절약과 비용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배수유도판(100)과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및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의 두께를 두껍게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각 구성요소 간의 명확한 구분과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배수유도판(100)과 상부덮개(310) 및 하부덮개(320)는 0.5mm 두께의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구성된 것이고,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은 0.1mm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매우 얇은 소재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오수 및 악취역류방지수단(400)은 상기 트랩본체(200)의 제2 관부(220)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안내면(230)보다 높고 상기 경사유도판부(120)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월류관부(410)와, 상기 월류관부(410)에 씌워지며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230)에 안착되고 주벽에 통수공(421)이 형성된 차단캡(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배수유도판(100)과 트랩본체(200)는 건물을 시공할 때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트랩본체(200)의 제1 관부(210) 내에 차단캡(420)을 삽입하고, 배수유도판(100)의 상부를 배수구 덮개(300)로 복개한다.
배수구 덮개(300)는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의 사이에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를 결합한다. 이때, 하부덮개(320)의 상향절곡부(323)는 상부덮개(310)의 하향절곡부(313)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향절곡부(313)의 내면과 상향절곡부(323)의 외면 사이에는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이 삽입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사이에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덮개(310)의 하향절곡부(313) 내에 하부덮개(320)의 상향절곡부(323)를 삽입하면, 상향절곡부(323)가 하향절곡부(313)에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사이에 두고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므로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및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은 하나의 배수구 덮개(300)로서 조립되며, 약간의 힘을 가하면 분리가 가능하지만 임의로 분리되지는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은 전문 업체에서 제작하여 시판하는 망체 또는 망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정에서 여성들이 흔히 착용하고 쉽게 폐기하는 스타킹이나 행주나 걸레 등으로 사용하는 얇은 극세사 부직포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의 가장자리는 도시예와 같이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상면의 절반 정도를 덮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가장자리에 정확하게 맞춰서 설치거나, 테두리부(110)의 상면을 완전히 덮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트랩본체 결합공(130)에는 트랩본체(200)의 제1 관부(210)의 상단부를 삽입한 다음 트랩본체 결합공(130)과 제1 관부(210)의 상단부 사이에 실리콘 실링재로 충전하여 수밀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에 의한 배수과정을 설명한다.
바닥(F)에 오수가 버려지면, 오수가 바닥(F)의 구배에 따라 배수구 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상부덮개(310)의 오수유입공(312)과 하부덮개(320)의 오수유입공(322)을 통하여 배수유도판(100) 위로 유입되고, 다시 트랩본체(200)의 제1 관부(210)와 제2 관부(220) 및 배수관(P)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오수 중의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의 오수유입공(312, 322)에 걸릴 정도의 큰 이물질은 상부덮개(310)의 오수유입공(31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의 미세이물질은 오수유입공(312)을 통과하게 되지만,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사이에는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머리카락, 실밥, 흙과 모래 등의 미세이물질이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에 걸러진다.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에 걸러진 미세이물질은 배수구 덮개(300)를 배수유도판(100)에서 탈거한 다음,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를 분리하여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걸러진 미세이물질과 함께 폐기하고, 새로운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사이에 삽입하고,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를 결합한 다음, 배수유도판(100)에 결합함으로써 배수 설비를 재정비할 수 있다.
한편, 트랩본체(200)의 제1 관부(210)로 많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면, 제1 관부(210) 내의 수위가 상승하며, 이러한 수위 상승에 따라 차단캡(420)이 부력을 받아 상승하게 되고, 오수는 월류관(410)을 월류하여 제2 관부(220)를 통해 배수관(P)으로 배출된다.
트랩본체(200)에 대한 오수의 유입이 중지되면, 제1 관부(210) 내의 수위가 낮아지고, 차단캡(420)의 자중이 부력보다 커지는 시점에서 하강하여 트랩본체(200)의 경사안내면(230)에 안착되며, 제1 관부(210) 내의 오수는 통수공(421)의 상단보다 높고 월류관(410)의 높이에 일치하는 정도로 유지되며, 월류관(410)에는 차단캡(420)이 씌워져 있으므로 오수와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오수의 역류와 악취의 역류에 따른 생활의 불편을 배제할 수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 : 바닥 G : 설치홈
100 : 배수유도판 110 : 테두리부
120 : 경사유도판부 130 : 트랩본체 결합공
200 : 트랩본체 210 : 제1 관부
220 : 제2 관부 230 : 경사안내면(230)
300 : 배수구 덮개 310 : 상부덮개
311 : 상부덮개판 312 : 오수유입공
313 : 하향절곡부 320 : 하부덮개
321 : 하부덮개판 322 : 오수유입공
323 : 상향절곡부 400 : 오수 및 악취역류방지수단
410 : 월류관부 420 : 차단캡
421 : 통수공

Claims (1)

  1.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F)에 설치되어 오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유도판(100)과;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랩본체(200)와;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상부에 복개되는 배수구 덮개(300)와; 상기 트랩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유도판(100)은 욕실 또는 발코니 바닥(F)의 설치홈(G)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설치홈(G)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테두리부(110)와, 상기 테두리부(110)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경사유도판부(120)와, 상기 경사유도판부(120)의 중앙에 형성되는 트랩본체 결합공(130)을 포함하고,
    상기 트랩본체(200)는 상단이 상기 트랩본체 결합공(130)에 결합되는 제1 관부(210)와, 상기 제1 관부(210)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관부(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배수관(P)이 연결되는 제2 관부(220)와, 상기 제1 관부(210)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제2 관부(22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경사안내면(23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 덮개(300)는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상부덮개(310)와,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경사유도판부(120)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덮개(310)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덮개(320) 및, 상기 상부덮개(310)와 하부덮개(320)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미세이물질 거름망(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310)는 가장자리가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면에 밀착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312)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판(311)과, 상기 상부덮개판(311)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수유도판(100)의 테두리부(110)의 안쪽 면에 밀착되는 하향절곡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덮개(320)는 상기 상부덮개(310)의 상부덮개판(311)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오수유입공(322)이 형성되는 하부덮개판(321)과, 상기 하부덮개판(321)의 가장자리에서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상부덮개(310)의 하향절곡부(313)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상향절곡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 및 악취역류방지수단(400)은 상기 트랩본체(200)의 제2 관부(220)의 상단에서 상기 경사안내면(230)보다 높고 상기 경사유도판부(120)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월류관부(410)와, 상기 월류관부(410)에 씌워지며 하단이 상기 경사안내면(230)에 안착되고 주벽에 통수공(421)이 형성된 차단캡(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KR1020150153013A 2015-11-02 2015-11-02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KR101891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13A KR101891270B1 (ko) 2015-11-02 2015-11-02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13A KR101891270B1 (ko) 2015-11-02 2015-11-02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03A true KR20170050903A (ko) 2017-05-11
KR101891270B1 KR101891270B1 (ko) 2018-08-24

Family

ID=5874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13A KR101891270B1 (ko) 2015-11-02 2015-11-02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75B1 (ko) * 2017-10-13 2018-07-06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CN108842893A (zh) * 2018-06-28 2018-11-20 余燕 一种防毛发堵塞地漏
CN109827448A (zh) * 2019-03-04 2019-05-31 李智英 一种生活废水热量回收装置
KR20200095847A (ko) * 2019-02-01 2020-08-11 전영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KR102577214B1 (ko) * 2023-04-05 2023-09-11 이은송 오수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57Y1 (ko) * 2001-07-20 2001-12-24 김태환 배수트랩
KR100918146B1 (ko) * 2009-05-01 2009-09-17 박희범 배수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75B1 (ko) * 2017-10-13 2018-07-06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CN108842893A (zh) * 2018-06-28 2018-11-20 余燕 一种防毛发堵塞地漏
CN108842893B (zh) * 2018-06-28 2020-07-24 安徽枫雅轩科技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防毛发堵塞地漏
KR20200095847A (ko) * 2019-02-01 2020-08-11 전영세 욕실 슬래브 배수장치
CN109827448A (zh) * 2019-03-04 2019-05-31 李智英 一种生活废水热量回收装置
KR102577214B1 (ko) * 2023-04-05 2023-09-11 이은송 오수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270B1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270B1 (ko)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KR20110006299A (ko) 교량 집수구의 오물 수거 장치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90309Y1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102099543B1 (ko) 배수트랩
KR101690457B1 (ko) 배수 트랩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49667Y1 (ko) 배수장치
KR200473815Y1 (ko) 악취 및 역류차단 기능을 갖춘 배수장치
KR200218248Y1 (ko) 집수정
JPH0248550Y2 (ko)
KR20180122109A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101130189B1 (ko) 서랍형 배수트랩을 갖는 배수관 장치
JP6988038B2 (ja) 排水口部材
KR200491172Y1 (ko)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180003Y1 (ko)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