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72Y1 - 욕실용 배수 조립체 - Google Patents

욕실용 배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72Y1
KR200491172Y1 KR2020170004547U KR20170004547U KR200491172Y1 KR 200491172 Y1 KR200491172 Y1 KR 200491172Y1 KR 2020170004547 U KR2020170004547 U KR 2020170004547U KR 20170004547 U KR20170004547 U KR 20170004547U KR 200491172 Y1 KR200491172 Y1 KR 200491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
hole
panel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591U (ko
Inventor
배정중
Original Assignee
배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중 filed Critical 배정중
Priority to KR2020170004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7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용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되고 중앙으로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패널과, ABS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사용수가 상기 배수구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패널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 상기 배출홀의 상부에 안착되며, 외주면으로 상기 사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수단이 구성되는 걸음망; 및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용수를 상기 걸음망측으로 배수하는 배수홀이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용 배수 조립체{Bathroom drainage assembly}
본 고안은 욕실용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바닥에 시공된 배수구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측 꼭지점이 양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어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거품 등이 고이지 않고 완전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머리카락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욕실용 배수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바닥에는 사용 후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욕실의 바닥면은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배수구 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배수구 덮개(또는, 배수구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구 덮개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물은 하방으로 배출시키지만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배수과정에서 이러한 배수구 덮개의 상면 자체에도 물이 고이게 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배수구 덮개의 배수홀이 너무 작게 형성될 경우 배수율이 떨어지고, 배수홀이 너무 크게 형성되면 이물질을 충분히 거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6807호에는, 벽체가 마련된 배수구 커버본체와, 세정제가 내장된 세정 카트리지로 이루어져 배수기능과 세정기능을 가지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커버본체의 벽체 내주연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세정 카트리지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커버가 게재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286호에는,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배수구 덮개에 있어서, 중심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덮개몸체와, 상기 덮개몸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몸체는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면서 요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의 가장자리 중에서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가장자리를 향한 일측에는 경사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배수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된 높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덮개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은 오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 더욱 구체적으로는 머리카락이나 비누침전물의 누적이 발생하면서 배수홀이 차단되어 배수의 기능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누적된 머리카락이나 비누침전물이 부폐하면서 악취 등이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누적된 머리카락이나 비누침전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구 커버 등을 배수트랩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배수트랩과 배수구 커버 간의 결합에 의해 적은 힘으로 분리가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680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28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욕실 바닥에 시공된 배수구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측 꼭지점이 양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어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거품 등이 고이지 않고 완전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욕실용 배수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카락 및 이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욕실용 배수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되고 중앙으로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패널과, ABS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사용수가 상기 배수구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패널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 상기 배출홀의 상부에 안착되며, 외주면으로 상기 사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수단이 구성되는 걸음망; 및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용수를 상기 걸음망측으로 배수하는 배수홀이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패널에는 상기 바닥 프레임을 상기 배수구에 결합하는 프레임 고정부와, 상기 사용수를 걸음망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수 안내부와, 상기 걸음망을 고정시키며, 상기 배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망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외면으로 실링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망 고정부에는 상부면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걸음망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망 고정슬릿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상부패널의 내면에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고정 플랜지의 상단부에서 상기 상부덮개의 중심부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배출 유도패널과, 상기 상부덮개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중심부에서 끝단부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구성된 제2배출 유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홀은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욕실 바닥에 시공된 배수구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측 꼭지점이 양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어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거품 등이 고이지 않고 완전 배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카락 및 이물질이 포함된 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물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배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배수 조립체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배수 조립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프레임(110), 걸음망(120) 및 상부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 프레임(110)은 외면이 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가 배수구(12)에 결합되어 욕실에서 사용된 물(이하, 사용수라고 함.)을 배수구(12)측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바닥 프레임(110)은 개방된 상부를 가지며, 상부덮개(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널(210)과, 이 상부패널(210)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배수구(12)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사용수가 배수구(12)의 주변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패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패널(210)은 그 중앙부에 하측으로 관통되며, 후술할 상부덮개(130)의 배수홀(135)을 통해 유입된 사용수를 배수구(12)로 배출시키는 배출홀(119)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홀(119)은 걸음망(120)을 통해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의 사용수만이 배출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패널(210)은 외측 둘레면을 따라 배수구(12)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프레임 고정부(112)가 형성되고, 배출홀(119)의 상측으로 걸음망(120)을 결합하는 망 고정부(118)와, 배수홀(135)을 통해 배수되는 사용수를 걸음망(120)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배수 안내부(116)로 구성된다.
프레임 고정부(112)는 외면이 배구수(12)의 상부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호 접합되는 면으로 물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에 의해 마감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면을 따라 고무 재질의 실링부재가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수 안내부(116)는 프레임 고정부(112)의 내측 끝단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망 고정부(118)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에, 배수홀(135)을 통해 배수되는 사용수가 상부패널(210)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사용수를 걸음망(120)측으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안내부(116)에는 상부덮개(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덮개(130)의 고정 플랜지(132)가 삽입 및 결합되는 덮개 고정홈(116a)이 더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망 고정부(118)는 배수 안내부(116)의 타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 형성되며, 상부패널(210)의 중앙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걸음망(120)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망 고정부(118)에는 걸음망(120)에 의해 여과 처리된 사용수가 배수구(12)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출홀(119)이 형성된다.
한편, 망 고정부(118)에는 내주면을 따라 걸음망(120)의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수의 유속에 의해 흔들리면서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망 고정슬릿(118a)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 고정슬릿(118a)은 망 고정부(118)의 상부면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걸음망(1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구성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수의 유입시 걸음망(120)이 흔들리면서 망 고정부(118)와 걸음망(12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상기 틈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바닥 프레임(110)을 이루는 하부패널(220)은 배수구(1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2)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 고정부(112)의 하측 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하부패널(220)에는 그 중앙부에 배수구(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되는 사용수가 배수구(12)의 내주면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침투 방지관(222)이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상부 및 하부패널(210, 220)은 각각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패널(21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부패널(220)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부 및 하부패널(210, 22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패널(210)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부(112)의 끝단부와, 하부패널(220)의 상측 끝단부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돌기 및 돌기홈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여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배수 조립체(100)의 세척시 상부패널(210)을 하부패널(22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걸음망(120)은 바닥 프레임(110)의 중앙측에 형성된 망 고정부(118)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배수홀(135)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사용수의 필터링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여과 처리된 사용수를 배출홀(119)측으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걸음망(120)은 하단부가 바닥 프레임(110)의 망 고정부(118)에 안착되며, 외주면을 따라 그물망 형태의 필터수단이 구성되어 사용수가 걸음망(120)으로 유입될 때 상기 사용수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순수한 물로 이루어진 사용수만이 걸음망(120)을 통과하여 배출홀(119)측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걸음망(120)은 상부 및 하부가 관통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터수단이 상부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배수홀(135)을 통해 배수되는 사용수가 걸음망(120)의 외주면 뿐만 아니라, 상부면을 통해서도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들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덮개(13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닥 프레임(110)의 개방된 상부면을 밀폐하면서 머리카락 등이 포함된 사용수를 걸음망(120)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덮개(130)는 원형의 프레임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면을 따라 덮개 고정홈(116a)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덮개(130)에는 고정 플랜지(132)의 상단부에서 상부덮개(130)의 중심부(Q1)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배출 유도패널(134)이 형성된다.
제1배출 유도패널(134)은 그 끝단부가 상부덮개(130)의 중심부(Q1)측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사부(134a)를 형성하여 사용수가 배수홀(135)측으로 보다 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하며, 사용수에 포함된 거품 등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덮개(130)에는 그 중앙부로 제2배출 유도패널(138)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138) 사이에는 사용수를 걸음망(120)측으로 유입시키는 배수홀(135)이 형성된다.
배수홀(135)은 제2배출 유도패널(138)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만 사용수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제2배출 유도패널(138)의 원주면 전체 방향에 대해서 사용수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수의 배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134, 138)의 각 모서리부에는 연결리브(136)가 형성되어 제2배출 유도패널(138)이 제1배출 유도패널(134)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배출 유도패널(138)은 그 중심부(Q)가 배수홀(135)측, 다시말해 제2배출 유도패널(134)의 끝단부(Q2)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수가 보다 쉽게 배수홀(135)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134, 138)은 상부면을 따라 욕실의 오염된 물과 거품 등이 배수홀(135)측으로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적어도 25°~35°의 범위를 이루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경사각이 25°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수홀(135)측으로 유입되는 거품 등의 이물질의 유입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고, 35°를 초과하여 경사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된 물의 배출량 보다 배수홀(135)을 통해 유입되는 유입량이 더 많게 되어 배수 조립체의 내부에서 오염된 물의 정체 현상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134, 138)의 경사각은 25°~35°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 유도패널(138)의 형상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원형 및 사각형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욕실용 배수 조립체(100)는 중심측 꼭지점이 양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어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거품 등이 고이지 않고 완전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머리카락 및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욕실을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배수 조립체 110: 바닥 프레임
112: 프레임 고정부 116: 배수 안내부
118: 망 고정부 119: 배출홀
120: 걸음망 130: 상부덮개
132: 고정 플랜지 134: 제1배출 유도패널
135: 배수홀 136: 연결리브
138: 제2배출 유도패널 210: 상부패널
220: 하부패널

Claims (4)

  1.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되고 중앙으로 배수구와 연통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패널과, ABS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구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사용수가 상기 배수구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침투 방지관이 구성된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바닥 프레임;
    상기 배출홀의 상부에 안착되며, 외주면으로 상기 사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그물망 형태의 필터수단이 구성되는 걸음망; 및
    상기 상부패널의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용수를 상기 걸음망측으로 배수하는 배수홀이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패널은
    외면이 배구수의 상부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되게 구성되며, 상기 바닥 프레임을 상기 배수구에 결합하는 프레임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내측 끝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사용수를 걸음망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상부덮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덮개가 삽입 및 결합되는 덮개 고정홈이 구성되는 배수 안내부와, 상기 배수 안내부와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걸음망을 고정시키며, 상기 배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망 고정부와, 상기 망 고정부의 상부면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걸음망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구성되는 망 고정슬릿과,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외면으로 실링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상부패널의 내면에 결합되는 고정 플랜지와, 상기 고정 플랜지의 상단부에서 상기 상부덮개의 중심부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배출 유도패널과, 상기 상부덮개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중심부에서 끝단부로 향할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구성된 제2배출 유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홀은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배출 유도패널은 상부면을 따라 욕실의 오염된 물과 거품이 배수홀측으로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25°~35°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4547U 2017-08-28 2017-08-28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200491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7U KR200491172Y1 (ko) 2017-08-28 2017-08-28 욕실용 배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47U KR200491172Y1 (ko) 2017-08-28 2017-08-28 욕실용 배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91U KR20190000591U (ko) 2019-03-08
KR200491172Y1 true KR200491172Y1 (ko) 2020-02-27

Family

ID=6572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47U KR200491172Y1 (ko) 2017-08-28 2017-08-28 욕실용 배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7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06Y1 (ko) * 2004-03-12 2004-06-04 박종호 배수트랩
KR200444354Y1 (ko) * 2008-01-16 2009-05-07 김하용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
JP2009138366A (ja) * 2007-12-04 2009-06-25 Hitachi Housetec Co Ltd 排水口部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07Y1 (ko) 2003-09-15 2003-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수구 커버
KR200471286Y1 (ko) 2013-07-03 2014-02-13 유정규 배수구덮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206Y1 (ko) * 2004-03-12 2004-06-04 박종호 배수트랩
JP2009138366A (ja) * 2007-12-04 2009-06-25 Hitachi Housetec Co Ltd 排水口部材
KR200444354Y1 (ko) * 2008-01-16 2009-05-07 김하용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91U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1573A (ja) シンク台用排水装置
KR200490309Y1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101891270B1 (ko) 배수구 덮개를 포함하는 배수 설비
KR200491172Y1 (ko)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JP5703824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28992Y1 (ko) 우수받이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2099543B1 (ko) 배수트랩
KR100895271B1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20070112595A (ko) 그리스트랩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CN208377593U (zh) 一种垃圾集装箱的污水排出结构
CN210507724U (zh) 防臭地漏
KR101194025B1 (ko)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KR20110011153A (ko) 싱크대 배수구의 거름장치
CN202298802U (zh) 一种水槽去水器
JP2010203167A (ja) 浴室排水装置
KR102668213B1 (ko) 물마개 겸용 배수구 거름망
JP6988038B2 (ja) 排水口部材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KR200496211Y1 (ko)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200446872Y1 (ko) 하수구의 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