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11Y1 -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11Y1
KR200496211Y1 KR2020200004034U KR20200004034U KR200496211Y1 KR 200496211 Y1 KR200496211 Y1 KR 200496211Y1 KR 2020200004034 U KR2020200004034 U KR 2020200004034U KR 20200004034 U KR20200004034 U KR 20200004034U KR 200496211 Y1 KR200496211 Y1 KR 200496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oreign matter
hair
cover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090U (ko
Inventor
이명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돌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돌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돌돔
Priority to KR2020200004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1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욕실용 배수 조립체는, 욕실에 형성된 배수구의 상측에 안착설치되며, 내측으로 외측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안착홈에 내측으로 내측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내측안착홈의 중심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배출관이 구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내측안착홈에 삽입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이물 거름판; 상기 배출관의 내측 상부에 삽입설치되며,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물 거름판에 걸러지지 않고 통과된 모발의 2차적인 여과처리가 이루어지는 모발 걸림리브가 형성된 모발 거름관; 상기 이물 거름판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안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되어, 욕실바닥의 물이 상기 이물 거름판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커버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본체판; 상기 커버본체판의 테두리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판 상에 모인 모발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테두리부; 상기 돌출테두리부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커버를 상기 외측안착홈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패널; 및, 상기 커버본체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커버본체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휨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Drainage assembly for bathroom with functions to prevent sepa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deflection}
본 고안은 욕실용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내측으로 유입된 모발, 거품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지 않도록 하며,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발 등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뎌 중심부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욕실용 배수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바닥에는 사용 후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욕실의 바닥면은 물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배수구 쪽으로 향하도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모발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배수구 덮개(또는, 배수구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구 덮개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물은 하방으로 배출시키지만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구 덮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7426호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원통형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의 내부에 수용결합되는 누름식개폐장치와, 상기 누름식개폐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집수관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바닥 설치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누름식개폐장치를 수용결합하는 원통형 집수관이 끼움결합되어 수용되며 일측면에 배수구멍을 구비하는 트랩몸체와, 상기 트랩몸체와 상호대응하여 결합되고 상기 마개를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중앙부에 통공을 형성하며 다수의 배수구멍을 구비하는 걸름판망을 포함하는 배수트랩이 게재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1450호에는 배수구의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외부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복수개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를 탈착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커버가 개재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은 외부에 노출되는 배수구커버(등록실용신안 20-0437426호에서는 걸름판망에 해당함, 등록특허 10-1791450호에서는 외부커버에 해당함)가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샤워시 물에 포함된 거품이나 모발 등의 이물질들이 배수구커버 윗면에 모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배수구 커버 외측으로 이탈하여 욕실바닥면에 흩어져 욕실바닥면을 쉽게 오염시키고, 건조되면서 욕실바닥면에 달라붙어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욕실 바닥모서리에서 곰팡이 발생을 초래하며 세균번식으로 인해 매우 지저분한 욕실상태를 만드는 문제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욕실 이용자가 발로 배수구커버를 밟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배수구커버가 하부로 눌리면서 휘어져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74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145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외측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내측으로 유입되어 모여진 거품, 모발 등의 이물질이 외부의 욕실바닥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의 수거 및 배출이 용이하며,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발 등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견뎌 중심부에 대한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배수구 커버가 구성된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는, 욕실에 형성된 배수구의 상측에 안착설치되며, 내측으로 외측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안착홈에 내측으로 내측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내측안착홈의 중심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배출관이 구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내측안착홈에 삽입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이물 거름판; 상기 배출관의 내측 상부에 삽입설치되며,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물 거름판에 걸러지지 않고 통과된 모발의 2차적인 여과처리가 이루어지는 모발 걸림리브가 형성된 모발 거름관; 상기 이물 거름판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안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되어, 욕실바닥의 물이 상기 이물 거름판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커버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본체판; 상기 커버본체판의 테두리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판 상에 모인 모발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테두리부; 상기 돌출테두리부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커버를 상기 외측안착홈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패널; 및, 상기 커버본체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커버본체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휨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휨방지 돌출부는 상기 커버본체판의 중앙부에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절곡가공에 의해 돌출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물 거름판의 중앙부 상면에는 상기 배수커버의 중앙부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배수커버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 거름판의 중앙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발거름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유입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져, 물이 배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수구를 통한 악취역류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악취차단밸브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연질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관체로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물의 유입시 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지면서 유로개방이 이루어지고,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유로 차단이 이루어지는 개폐부가 구성된 것이며, 상기 악취차단밸브의 상부 내주면에는 고정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모발거름관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성되어, 상기 모발거름관의 하단부가 상기 악취차단밸브에 삽입되어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테두리부는 상기 커버본체판의 외측부에서 상향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판의 이물질이 외측으로 넘어가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패널과, 상기 이탈방지패널의 외측단에서 수평되게 절곡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커버고정패널과 연결되는 테두리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발걸림리브는 상기 모발 거름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역 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모발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수평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은 커버본체판의 외측 둘레 돌출테두리부(142)가 구성되어, 커버본체판에 모인 샴푸, 비누 등의 거품, 모발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커버본체판을 넘어 욕실 바닥면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거품이나 모발 등의 이물질이 다시 욕실 바닥면에 남아 욕실 바닥면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여 욕실바닥을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고 욕실청소주기를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커버본체판의 중앙부에 휨방지 돌출부가 구성되어, 휨변형에 대한 저항을 높여줌으로써 커버본체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이 이루어나지않도록 하며, 특히, 이물 거름판에 상향되게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커버본체판의 중앙부 하단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커버본체판이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약간 휘어지더라도 지지부재가 커버본체판의 하단을 지지해주어 더 이상의 휘어짐이 방지되고, 외력제거시에는 커버본체판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평평하게 복원됨으로써 휨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수커버의 손상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과 배수커버 사이에 이물 거름판이 개재되어,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모발 등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고, 이물 거름판의 하부에 배수구와 연결되게 설치된 모발 거름관에서 모발의 2차적으로 걸러지기 때문에 모발의 여과처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배수구의 막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발 거름관의 하단에는 악취제거밸브가 구성되어, 물 배수에 의해서만 개방이 이루어져 물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유로 차단에 의해 배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배수구를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배수 조립체(100)는 베이스프레임(110), 모발 거름관(120), 이물 거름판(130), 배수커버(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외면이 사각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지며, 배수구(h)의 상측 안착면(A)에 안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배수커버(140)가 안착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외측안착홈(112)이 구비되고, 커버안착홈(112)의 내측으로 거름판(130)의 안착이 이루어지는 원형의 내측안착홈(114)이 구성되며, 이 안착홈(114)의 내측 중심에는 이물질의 여과처리가 이루어진 물을 배수하도록 배수구(h)와 연통되는 배출관(115)이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 등과 같은 하드한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프레임(110)의 외측 테두리면(113)에는 사용자의 미끄럼방지를 위해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된 엠보싱부(113a)가 구성된다. 상기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은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재질이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안착홈(112)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모발 거름판(130)이 커버안착홈(11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안착홈(112)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114a)가 구성된다.
배출관(115)에는 모발 거름관(120)의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단에는 모발 거름관(120)의 상단이 걸려 배수구(h) 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16)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모발 거름관(12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배출관(115)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단 외주면에는 걸림턱(116)에 걸려 모발 거름관(120)이 배수구(h)로 빠지지 않고 배출관(115)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링(122)이 구성되며, 아울러, 상측 내주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물 거름판(130)에 걸러지지 않고 통과한 모발이 배수구(h)로 배수되지 않도록 걸려 수집되도록 하는 모발 걸림리브(123)가 구성된다.
도면상에는 모발걸림리브(123)가 한 쌍 즉 2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발 걸름관(120)의 상측 내주면을 따라 균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모발의 걸림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모발걸림리브(123)는 역 직각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모발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수평단부가 형성되는 것이며, 양측면에는 수 벨크로가 접착제로 부착설치되어 모발의 수집제거가 더욱 확실히 이루어지게 하여, 배수구(h)로 모발이 빠져나갈 가능성을 현저히 줄여 줄 수 있다.
이물 거름판(1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통공이(132)이 형성된 격자형 원판으로 이루어져, 내측암착홈(114)에 삽입 장착되어 모발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물 거름판(130)의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돌기(114a)가 통과하여 이물 거름판(130)이 내측 안착홈(114)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기이동홈(134)이 형성된다.
이물 거름판(130)은 돌기이동홈(134)이 형성되지 않은 일부를 내측 안착홈(114)에 삽입한 후, 돌기이동홈(134)에 타측의 결합돌기(114a)가 통과되도록 이물 거름판(130)이 내측 안착홈(114)에 완전히 삽입한 후, 소정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돌기이동홈(13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한 쌍의 결합돌기(114a)가 걸려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물 거름판(130)이 내측 안착홈(114)에 결합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이물 거름판(130)의 중앙부 상단에는 배수커버(140)의 중앙부 하단을 지지하여 배수커버(140)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6)가 구성된다.
배수커버(140)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외측 안착홈(112)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이 이루어진다.
배수커버(140)는 다수의 배수홀(141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본체판(141)과, 이 커버본체판(141)의 사각 테두리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커버본체판(141) 상에 모인 비누거품, 샴푸거품, 모발 등의 이물질이 커버본체판(141)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테두리부(142)와, 돌출테두리부(142)의 외측에서 수직하게 하향절곡되어 배수커버(140)를 외측안착홈(112)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패널(146)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돌출테두리부(142)는 커버본체판(141)의 외측부에서 상향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커버본체판(141)의 이물질이 외측으로 넘어가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패널(143)과, 이 이탈방지패널(143)의 외측단에서 수평되게 절곡형성되며, 외측단에는 커버고정패널(146)과 연결되는 테두리패널(145)으로 구성된다.
커버고정패널(146)은 테두리패널(146)의 외측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절곡되며, 외측 안착홈(112)의 내면에 억지끼움형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배수커버(140)가 베이스프레임(110)에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커버본체판(141)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휨방지 돌출부(147)가 구성된다.
휨방지돌출부(147)는 커버본체판(141)의 중앙부에 절곡가공에 의해 돌출형성되는 것으로서, 휨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줌으로써, 커버본체판(141)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잘 견디도록 구성된다.
휨방지돌출부(147)는 도 1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커버본체판(141)의 외측 둘레 돌출테두리부(142)가 구성되어, 커버본체판(141)에 모인 샴푸, 비누 등의 거품, 모발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커버본체판(141)을 넘어 욕실 바닥면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거품에 물에 의해 희석되어 완전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커버본체판(141)에 남아 있는 모발등의 이물질은 사용자가 샤워후 용이하게 수거하여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욕실바닥의 오염을 방지하여 청결한 욕실바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본체판(141)의 중앙부에 휨방지 돌출부(147)가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에 의한 하중이 커버본체판(141)의 중앙부에 가해지더라도, 커버본체판(141)의 휨변형을 억제하여 배수커버(140)가 휘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110)과 배수커버(140) 사이에 이물 거름판(130)이 개재되어, 배수되는 물에 포함된 모발 등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고, 이물 거름판(130)의 하부에 배치되며 배출관(115)에 삽입장착된 모발 거름관(120)의 모발걸림리브(123)에서 모발이 2차적으로 걸러지는 방식을 통해 모발 등의 이물질을 보다 확실히 필터링하게 함으로써 배수구(h)의 막힘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이물 거름판(130)에 상향되게 돌출형성된 지지부재(136)에 의해 배수커버(140)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배수커버(140)의 중앙부가 다소 휘어지더라도 과도한 휨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수커버(130)의 하단을 지지하여 주기 때문에, 배수커버(140)에 일시적으로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배수커버(140)가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배수커버(130)의 영구적인 휨변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지지부재(136)의 상단에 결합설치되고, 커버본체판(141)의 하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커버본체판(141)의 중앙부에 충격을 흡수하여 이물 거름판(130)의 손상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모발거름관(12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며, 모발 거름관(120)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유입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져, 물의 배수시에만 개방이 이루어지고, 물이 배수되지 않을 때는 차단되어 배수구(h)를 통해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밸브(15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모발 거름관(120)은 하단부 외주면에 악취차단밸브(150)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51a)가 삽입되는 고정홈(125)이 형성되며, 악취차단밸브(150)의 상부 내주면에 삽입되어 악취차단밸브(15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밸브결합부(124)가 구성되는 것이며, 악취차단밸브(150)에 밸브결합부(125)를 억지끼움결합시, 고정돌기(151a)가 고정홈(125)에 삽입되어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고, 결합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악취차단밸브(15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연질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형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 내주면에는 모발 거름관(120)의 하부가 억지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물의 유입시 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지면서 유로 개방이 이루어지고,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로 차단이 이루어지는 개폐부(153)가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부(153)는 등록실용신안 20-0449920호, 공개실용신안 20-2011-0005332호에 개시된 악취차단구의 구조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모발거름관(120)의 하단에 연통되게 악취차단밸브(150)가 설치되어, 모발거름관(120)에서 모발이 걸리진 물이 악취차단밸브(150)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악취차단밸브(150)를 통해 배수가 용이해질 뿐 아니라, 악취차단밸브(150)에 모발 등이 끼어 악취차단밸브(150)가 오염되고, 세균이 번식하여 악취차단밸브(150) 자체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베이스프레임
112...외측안착홈
113...테두리면
114...내측안착홈
115...배출관
120...모발 거름관
122...결합링
123...모발걸림리브
124...밸브결합부
125...고정홈
130...이물 거름판
132...통공
134...돌기이동홈
136...지지부재
140...배수커버
141...커버본체판
142...돌출테두리부
143...이탈방지패널
145...테두리패널
146...커버고정패널
147...휨방지돌출부

Claims (5)

  1. 욕실에 형성된 배수구의 상측에 안착설치되며, 내측으로 외측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안착홈에 내측으로 내측안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내측안착홈의 중심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배출관이 구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내측안착홈에 삽입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하는 이물 거름판;
    상기 배출관의 내측 상부에 삽입설치되며,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물 거름판에 걸러지지 않고 통과된 모발의 2차적인 여과처리가 이루어지는 모발 걸림리브가 형성된 모발 거름관;
    상기 이물 거름판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안착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되어, 욕실바닥의 물이 상기 이물 거름판 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수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커버는,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본체판;
    상기 커버본체판의 테두리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판 상에 모인 모발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테두리부;
    상기 돌출테두리부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커버를 상기 외측안착홈에 고정시키는 커버고정패널; 및,
    상기 커버본체판의 중앙부에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커버본체판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휨방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휨방지 돌출부는 상기 커버본체판의 중앙부에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절곡가공에 의해 돌출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이물 거름판의 중앙부 상면에는 상기 배수커버의 중앙부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배수커버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 거름판의 중앙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발거름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유입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져, 물이 배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수구를 통한 악취역류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악취차단밸브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연질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원형 관체로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물의 유입시 물의 하중에 의해 벌어지면서 유로개방이 이루어지고, 물이 유입되지 않으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유로 차단이 이루어지는 개폐부가 구성된 것이며,
    상기 악취차단밸브의 상부 내주면에는 고정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모발거름관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구성되어, 상기 모발거름관의 하단부가 상기 악취차단밸브에 삽입되어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테두리부는 상기 커버본체판의 외측부에서 상향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판의 이물질이 외측으로 넘어가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패널과, 상기 이탈방지패널의 외측단에서 수평되게 절곡형성되며 외측단이 상기 커버고정패널과 연결되는 테두리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걸림리브는 상기 모발 거름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역 직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모발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수평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5. 삭제
KR2020200004034U 2020-11-09 2020-11-09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200496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34U KR200496211Y1 (ko) 2020-11-09 2020-11-09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34U KR200496211Y1 (ko) 2020-11-09 2020-11-09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90U KR20220001090U (ko) 2022-05-17
KR200496211Y1 true KR200496211Y1 (ko) 2022-11-29

Family

ID=8176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034U KR200496211Y1 (ko) 2020-11-09 2020-11-09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1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3Y1 (ko) * 2009-05-11 2011-12-08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배수트랩
KR101415336B1 (ko) * 2014-04-02 2014-07-04 서재식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26Y1 (ko) 2006-11-09 2007-12-03 장태원 배수트랩
KR101791450B1 (ko) 2015-07-21 2017-10-30 이찬우 배수구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73Y1 (ko) * 2009-05-11 2011-12-08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배수트랩
KR101415336B1 (ko) * 2014-04-02 2014-07-04 서재식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90U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3674B1 (en) Flexible sink strainer
KR200447850Y1 (ko)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US20130220455A1 (en) Valve device
KR20160110925A (ko) 싱크대용 배수구거름망
JP2008025105A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101791450B1 (ko) 배수구커버
KR101793505B1 (ko) 배수구 여과장치
KR200496211Y1 (ko) 이물질 이탈방지 및 처짐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200490309Y1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1225447B1 (ko) 걸름망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20230076364A (ko) 테두리 배수 기능 및 이물질 수집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KR102121565B1 (ko) 싱크대용 걸름망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KR101922083B1 (ko) 원터치식 세면대용 팝업 밸브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KR200464725Y1 (ko) 배수구용 육가
KR101265027B1 (ko) 주방 싱크대용 여과기
JP2002322704A (ja) 排水口のごみ漉しネット装着用プレートおよびごみ漉し具
KR20160052071A (ko) 배수트랩
KR20060094616A (ko) 세면대용 거름망설치 배수관
KR20230001310U (ko) 배수 유도관 및 이 배수 유도관을 구비한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