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997U - 세면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997U
KR20110007997U KR2020100001351U KR20100001351U KR20110007997U KR 20110007997 U KR20110007997 U KR 20110007997U KR 2020100001351 U KR2020100001351 U KR 2020100001351U KR 20100001351 U KR20100001351 U KR 20100001351U KR 20110007997 U KR20110007997 U KR 201100079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rotruding
lower body
drain trap
protruding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8962Y1 (ko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이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2020100001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6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트랩의 구성물을 간소하여 설치비용이 절감할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세면대의 폼업에 결합되기 위해 상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세면대의 마개 개폐용 레버장치가 인출되기 위한 지관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연결나사부가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연결나사부와 연결결합되도록 상부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하되 상기 결합나사부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고 바닥부의 중심부에는 수봉실이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관부가 형성하며 상기 돌출관부에 연장되어 바닥의 배관과 연결되도록 외부하부로 돌출된 배관부가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의 단턱부에 안착되도록 판재로 형성하고 하방으로 역류방지하는 돌출관가 형성하되 돌출관는 상기 하부체의 돌출관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의 외측면과 하부체의 단턱부의 사이의 판재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역류방지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트랩 {Trap for Washstand}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트랩의 구성물을 간소하여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수봉실에 이물질 제거시 배수트랩을 해체하지 않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의 배수트랩에는 악취의 역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고 세면대쪽 배수관과 하수관측 사이에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P형 또는 S형의 곡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트랩은 곡관부에 상당한 양의 물이 담겨지는 수봉부를 형성하여 악취유입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배수 속도를 더디게 하고 이물질이 막히는 등으로 배수기능이 저하되며, 특히 이물질 제거 작업시에는 복잡한 레버장치까지 모두 해체하여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고 자제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이 실용신안등록 제 20-0223970 호의 세면대용 배수트랩(100)은 세면대(6)의 배수구(2)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끼워지는 상부체(110), 상기 상부체(110)와 결합되며 하방외측에 배수관(131)이 형성되고 내부로 역류방지용 돌출관부(132)가 형성되는 하부체(130), 상기 하부체(130)와 상부체(110)의 결합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외측에 대수의 배출공(151)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역류방지를 위한 돌출관부(153)가 형성된 역류방지구(150)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세면대용 배수트랩(100)은 상기 역류방지구의 돌출관부(153)와 하부체의 역류방지용 돌출관부(132)에 의하여 형성된 수봉부(C1)에 의하여 악취역류의 차단효과가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체가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구성은 마개를 개폐하는 레버장치가 설치된 배수관에 연결되는 상부체, 상부체와 연결되는 하부체, 내부에는 역류방지구로 간단한 조립체로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구성물은 필요한 구성품이 있어 생산 비용 및 설치비용이 증대하며 하부체의 내측에 형성된 수봉실에 이물질을 제거시 배수트랩을 해체하여 이물질을 제거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구성이 더욱더 간소하게 구성되어 생산 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며 또 다른 목적으로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해체하지 않고 수봉실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면대용 배수트랩은 세면대의 폼업에 결합되기 위해 상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세면대의 마개 개폐용 레버장치가 인출되기 위한 지관이 구비되며 하부내측에는 연결나사부가 형성하되 연결나사부의 상측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연결나사부와 연결결합되도록 상부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하고 내측바닥부의 중심부에는 수봉실이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관부가 형성하며 상기 돌출관부에 연장되어 바닥의 배관과 연결되도록 외부하부로 돌출된 배관부가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단턱부와 하부체의 상부면에 안착결합도록 측면에는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편에 연장되어 날개편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는 하부체의 돌출관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돌출관이 구비된 역류방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체의 돌출관부에는 내측바닥면과 직교되는 부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와 연결결합되도록 내측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배관에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돌출관부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돌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관부의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일측상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이물질제거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체의 내측바닥면에는 돌출관부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용 배수트랩은 그 구성이 더욱더 간소하게 구성되어 생산 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될 수 있으며 또한 배수트랩의 구성물 중 하나라도 해체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하부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b는 도4a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c는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도 4a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5b는 B-B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물질제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7b은 도4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실시예.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하부체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4b는 도4a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고, 도 4c는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고, 도 5b는 B-B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이물질제거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고, 도 7a,7b은 도4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실시예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1)은 세면대의 폼업(100)에 결합되기 위해 상부에는 나사부(12)가 구비되고 일측에 세면대의 마개 개폐용 레버장치(18)가 인출되기 위한 지관(14)이 구비되며 하부내측에는 연결나사부(16)가 형성하되 연결나사부(16)의 상측면에는 단턱부(15)가 형성된 상부체(10)와 상기 상부체(10)의 연결나사부(16)와 연결결합되도록 상부에는 결합나사부(24)가 형성하고 내측바닥부의 중심부에는 수봉실(U)이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관부(27)가 형성하며 상기 돌출관부(27)에 연장되어 바닥의 배관과 연결되도록 외부하부로 돌출된 배관부(28)가 형성된 하부체(20)와 상기 상부체(10)의 단턱부(15)와 하부체(20)의 상부면에 안착결합도록 측면에는 날개편(31)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편(31)에 연장되어 날개편(31)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34)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는 하부체(20)의 돌출관부(27)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돌출관(32)이 구비된 역류방지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역류방지구(30)의 바닥면(34) 외주면에 상부로 절곡되어 돌출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하며 또한 통공(33)이 바닥면(34)과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더욱더 물의 유입이 원활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구(30)의 돌출관(32)은 수봉실(U)을 밀폐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면대용 배수트랩(1)은 구조가 간소하여 생산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부체(20)는 도 4a, 4b,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20)의 돌출관부(27)에는 내측바닥면과 직교되는 부분에는 다수의 통공(29)이 형성되며 상기 배관부(28)의 외부면에는 나사부(28-1)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28-1)와 연결결합되도록 내측에는 결합나사부(52)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배관(40)이 삽입연결되는 가이드 홈(54)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돌출관부(27)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돌출관(56)이 형성하되 상기 돌출관(56)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관부(27)의 형성된 다수의 통공(29)과 일측상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통공(58)이 형성된 이물질제거장치(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삽입결합된 이물제거장치(50)의 돌출관(56)은 상기 하부체(20)의 배관부(28)이 내설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59)을 형성하여 상부로 돌출하되 최소한 하부체(20)의 돌출관부(27)에 형성된 통공(29)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54)은 상하로 이동시 배관(40)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 동시에 이물제거장치(50)에 배관(40)을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제거장치(50)의 통공(58)은 돌출관부(20)의 통공(29)보다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돌출관부(27),돌출관(56)의 통공(29,58)은 하부가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물의 흐름과 이물질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관(56)의 통공(58) 하부 외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실링(57)이 설치되어 돌출관부(27)와 돌출관(56)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더 이물질을 제거가 용이할 수 있도록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체(20)의 바닥면에는 돌출관부(27)에 통공(29)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부분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물질이 수봉실(U)의 바닥면에 쌓이는 위치가 하부체(20)의 돌출관부(27)에 형성된 통공(29)과 일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기(60)는 반구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세면대용 배수트랩은 도 7a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실시예로 사용시 세면대의 폼업의 마개로 통해 물이 유입되며 물은 역류방지구(30)의 다수의 통공(33)으로 유입되어 하부체(20)의 수봉실(U)에 저장되며 물이 계속적으로 유입되며 하부체(20)의 돌출관부(27) 내측으로 물이 이동하여 배수관으로 이동하여 배수된다.
이때 이물질 제거장치(50)의 돌출관(56)은 하부체(20)의 통공(29)으로 물이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로 이동되어 돌출관(56)의 외주면이 하부체(20)의 통공을 막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하부로 이동된 형태로 한다.
이와 같이 오래동안 사용해보면 수봉실(U)에 각종 이물질이 쌓여 더 이상 물이 수봉실(U)에 물이 유입되지 않은 형태로 막히면 하부체(20)의 하부에 연결된 이물질제거장치(50)를 상부로 올려 하부체(20)의 외측하단면에 밀착시키며 이물제거장치(50)의 돌출관(56) 통공(58)과 하부체(20)의 돌출관부(27) 통공(29)과 일치하며 이물질이 돌출관부(27)의 통공(29)으로 통해 돌출관(50) 내측으로 유입되어 이물질이 배관으로 배출되어 이물질이 제거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되며 다시 이물질제거장치(50)를 하부로 이동시켜면 이물질제거장치(50)의 돌출관(56)은 돌출관부(27)의 통공(29)을 막아 원래 배수트랩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세면대용 배수트랩은 그 구성이 간소하여 어느 누구나쉽게 연결설치할 수 있으며 편리하고 설치비용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물질 제거시 배수트랩을 해체하지 않고 단순히 이물질제거장치를 상부로 올리면 쉽게 이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누가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오랫동안 배수트랩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세면대용 배수트랩
10 : 상부체 12 : 나사부
14 : 지관 15 : 단턱부
16 : 연결나사부 18 : 마개 개폐용 레버장치
20 : 하부체 24 : 결합나사부
27 : 돌출관부 28 : 배관부
28-1 : 나사부 29 : 통공
30 : 역류방지구 31 : 날개편
33 : 통공 32 : 돌출관부
34 : 바닥면 40 : 배관
50 : 이물질제거장치 52 : 결합나사부
54 : 가이드 홈 56 : 돌출관
57 : 실링 58 : 통공
59 : 공간부

Claims (3)

  1. 세면대용 배수트랩에 있어서,
    세면대의 폼업에 결합되기 위해 상부에는 나사부가 구비되고 일측에 세면대의 마개 개폐용 레버장치가 인출되기 위한 지관이 구비되며 하부내측에는 연결나사부가 형성하되 연결나사부의 상측면에는 단턱부가 형성된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연결나사부와 연결결합되도록 상부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하고 내측바닥부의 중심부에는 수봉실이 형성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관부가 형성하며 상기 돌출관부에 연장되어 바닥의 배관과 연결되도록 외부하부로 돌출된 배관부가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단턱부와 하부체의 상부면에 안착결합도록 측면에는 날개편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편에 연장되어 날개편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는 하부체의 돌출관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돌출관이 구비된 역류방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돌출관부에는 내측바닥면과 직교되는 부분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와 연결결합되도록 내측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배관에 삽입결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돌출관부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돌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관부의 형성된 다수의 통공과 일측상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이물질제거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내측바닥면에는 돌출관부에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20100001351U 2010-02-05 2010-02-05 세면대용 배수트랩 Expired - Fee Related KR200458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51U KR200458962Y1 (ko) 2010-02-05 2010-02-05 세면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51U KR200458962Y1 (ko) 2010-02-05 2010-02-05 세면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97U true KR20110007997U (ko) 2011-08-11
KR200458962Y1 KR200458962Y1 (ko) 2012-03-12

Family

ID=4559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5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8962Y1 (ko) 2010-02-05 2010-02-05 세면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4Y1 (ko) * 2011-10-27 2013-02-22 서광복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KR20180134691A (ko) * 2017-06-09 2018-12-19 김창환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EP3835499A3 (de) * 2019-11-22 2021-08-18 Viega Technology GmbH & Co. KG Ablaufarmatur, insbesondere für eine duschwanne oder in form eines bodenablauf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970Y1 (ko) * 2000-11-29 2001-05-15 정점기 세면기의 배수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64Y1 (ko) * 2011-10-27 2013-02-22 서광복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KR20180134691A (ko) * 2017-06-09 2018-12-19 김창환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EP3835499A3 (de) * 2019-11-22 2021-08-18 Viega Technology GmbH & Co. KG Ablaufarmatur, insbesondere für eine duschwanne oder in form eines bodenablauf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962Y1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701785B1 (ko) 공동주택의 악취방지 배수전
CN202359622U (zh) 地漏
CN209066553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及水槽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AU2018252231B2 (en) An L-shaped plumbing drainage fitting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464725Y1 (ko) 배수구용 육가
KR100742723B1 (ko) 다기능 소형맨홀
CN203905110U (zh) 一种落水管结构
KR101053435B1 (ko) 건식 싱크대 배수전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101422804B1 (ko) 배수 트랩
KR200475485Y1 (ko) 팝업밸브
KR20180000448U (ko) 악취 차단장치가 장착된 하수구 배수트랩
KR20160003586U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20036729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101312665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2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00316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22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10328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01

U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UE08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E08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2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7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601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1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24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2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12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