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50Y1 -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50Y1
KR200447850Y1 KR2020090005588U KR20090005588U KR200447850Y1 KR 200447850 Y1 KR200447850 Y1 KR 200447850Y1 KR 2020090005588 U KR2020090005588 U KR 2020090005588U KR 20090005588 U KR20090005588 U KR 20090005588U KR 200447850 Y1 KR200447850 Y1 KR 200447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odor
trap
hol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이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기 filed Critical 이진기
Priority to KR2020090005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바닥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냄새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배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에는 배수구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가 상단에 구비되고, 플랜지보다 낮은 위치의 내주면에 망체가 형성된 배수트랩관 및 배수트랩관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를 막고, 오수의 유입시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냄새역류방지구가 결합된다.
또한, 배수구가 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배수트랩관과 냄새역류방지구 사이에는 오수의 낙차를 증대시키는 연장트랩관이 개재되는 것이다.
배수 트랩, 냄새

Description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draintrap for swiftness drain}
본 고안은 욕실 바닥에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수구에 시공가능하면서도 냄새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배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욕실 바닥에 사용되는 배수트랩(100)은 배수구 구멍에 걸쳐지는 상단 플랜지(111)가 구비된 원통형 몸체(110)와, 이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냄새역류방지구(120) 및 상단 플랜지(1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망체(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냄새역류방지구(1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며, 하부면은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있다. 이러한 냄새역류방지구는 상부에 차오르는 오수의 중량으로 인하여 하부면이 아래로 처지면 오수가 배수되며, 오수가 배수된 이후에는 하부면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악취가 배관 내부를 타고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 망체(130)는 몸체(11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버려진 오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망체의 눈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오수가 망체를 고르게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목욕 등으로 비눗물이 버려지는 경우에는 망체의 눈에 수막이 형성될 개연성이 높아져 오수가 망체를 고르게 투과하기 더욱 어려운 것이다.
이렇게 불규칙하게 망체한 통과한 오수는 충분한 수압을 가지지 못함으로써 냄새역류방지구(120)의 하부면을 제대로 밀어내지 못하여, 통로를 충분히 크게 확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오수가 원활하게 배수되지 아니하는 문제를 갖는다.
한편,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욕실 바닥의 배수구의 유로는 건축물 시공자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어서, 배수구의 직하방 길이에서 얻어지는 오수의 낙하차를 이용하는 기술이 종래에 없었다. 즉, 종래의 기술은 배수관의 직선 길이와 상관없이 다양한 건축물에서 호환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욕실바닥의 배수구 구멍에 간단히 설치되는데 치중되어 있는 것뿐이다.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배수구에서 역류하여 올라오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수구에 설치가능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삭제
또한, 배수구가 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이 배수구의 길이를 이용하여 배수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배수트랩에 모인 적은 량의 오수가 충분한 압력을 가지며 배수트랩의 하부로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조립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배수트랩 근체에서 물 빠짐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배수구 주변이 함몰되어 형성된 배수홈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배수홀이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는 거름망 사이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며,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디스크판;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1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11)보다 낮은 위치의 내주면에 망체(12)가 형성된 배수트랩관(1); 및 상기 배수트랩관(1)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을 막고, 오수의 유입시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냄새역류방지구(2);가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판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배수홀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거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플랜지가 걸쳐지는 상부로 오목한 안치면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트랩관, 디스크판 및 상기 바닥프레임이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제시한다.
삭제
또한, 상기 디스크판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홀의 직경에 따라 절개되는 환형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배수트랩관(1)과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 사이에는 상기 오수의 낙차를 증대시키는 연장트랩관(3)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의 하단에는 그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의 하단(21)을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세 개로 분할된 탄성변(211)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트랩관(1) 또는 상기 연장트랩관(3)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홈(13,31)이 형성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에는 상기 걸림홈(13,31)에 탄성변형되어 끼워지는 걸림돌기(22)가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 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냄새역류방지구가 악취의 상승을 방지하며, 망체가 배수트랩관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배수트랩관에 수집되는 오수의 압력이 상승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와, 디스크판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수구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호환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삭제
한편, 연장트랩관이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오수의 낙차를 크게 하여 냄새역류방지구의 탄성변의 개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적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냄새역류방지구의 하단은 삼각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삼각형인 탄성변이 구비되어 탄성변의 탄성력이 증가되어 배수구에서 상승하는 악취의 차단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수트랩관의 하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냄새역류방지구에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시공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수트랩관의 플랜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수구 주변의 물 빠짐이 원활해지고, 배수트랩관에 유입되는 오수의 속력이 상승하여 오수가 배수트랩관을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10)에는
배수구(H) 주변이 함몰되어 형성된 배수홈(H1)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배수홀(41)이 형성된 바닥프레임(4)과, 상기 바닥프레임(4)의 상부에 안치되는 거름망(5) 사이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41)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며, 중앙에는 관통홀(62)이 형성된 디스크판(6)과, 상기 관통홀(62)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1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11)보다 낮은 위치의 내주면에 망체(12)가 형성된 배수트랩관(1) 및 상기 배수트랩관(1)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을 막고, 오수의 유입시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냄새역류방지구(2);가 결합된다.
배수홈(H1)은 욕실, 베란다 등의 건축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H)를 중심으 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수홈(H1)에는 배수구의 위치에 맞추어 중앙에 배수홀(41)이 형성된 바닥프레임(4)이 안치된다.
이때, 바닥프레임(4)에 형성된 배수홀은 배수구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통상적으로 규격화되어 사용되는 배수파이프의 다양한 직경에 따른 다양한 규격화된 직경을 갖는다.
한편, 거름망(5)에는 체눈이 형성되어, 바닥프레임(4)에 안치되는 것으로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쉽게 배수구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거름망(5)은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바닥프레임에 설치되었을 때, 바닥프레임의 바닥과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공간에 물이 수집되었다가 배수구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배수트랩관(1)은 욕실, 배란다 등의 건축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H)의 통상적인 단면 형상에 따라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단에는 배수구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11)가 외부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트랩관(1)의 플랜지 직경은 하나의 통일된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만일, 플랜지(11)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배수홀(41)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중간 부재인 디스크판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디스크판(6)은 외측이 배수홀(41)에 거치되고, 중앙의 관통홀을 통하여 배수 트랩관(1)이 거치됨으로써, 배수트랩관(1)의 플랜지(11)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배수홀(41)에도 배수트랩관(1)이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스크판(6)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배수홀(41)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거치면(6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62)에는 상기 플랜지(11)가 걸쳐지는 상부로 오목한 안치면(621)이 형성된다.
즉, 디스크판의 외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거치면은 배수홀의 오목한 가장자리 홈에 걸쳐짐으로써, 배수홀에 빠지지 아니하고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트판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안치홈은 상부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배수트랩관(1)의 플랜지가 걸쳐져 배수트랩관(1)이 관통홀의 하부로 빠지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배수트랩관(1), 디스크판(6) 및 바닥프레임(4)의 상부면은 평탄하도록 거치면과 안치면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거름망을 통과한 오수가 원활하게 배수구로 빠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상부에 결합되는 거름망(5)의 저부에는 누름쇠(5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거름망(5)의 자중에 의하여 누름쇠가 배수트랩관(1)의 플랜지(11)를 상부에서 누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수구에서 물이 역류하는 경우에도 누름쇠가 배수트랩관을 누르고 있어, 합성수지 재질의 가벼운 배수트랩관이 부유되지 아니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디스크판(6)은 단일 제품으로 생산되었다가 시공현장에서 배수홀의 다양한 내경 사이즈에 따라 절개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크판(6)의 바닥면에는 관통홀(62)의 동심상의 환형 요홈(6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어느 한 요홈(63)따라 용이하게 절개하여, 디스크판(6)의 외경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잘려나간 요홈(63)에 거치면(6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요홈(63)의 외측에는 두께를 더욱 얇게 하는 절개홈(631)이 더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절개홈(631)은 시공자가 해당 바닥프레임(4) 배수홀(41)의 내경에 따라, 디스크판(6)을 용이하게 부러뜨려 별다른 커팅 작업 없이 바로 현장에서 디스트판의 치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배수트랩관(1)의 내부에는 플랜지(11)가 형성된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망체(12)가 구비된다. 이때, 망체(12)는 유입되는 오수가 배수트랩관의 일부 내주면만 타고 흘러내려가지 아니하게 하는 것으로, 통상의 거름망보다 큰 체눈을 가지게 형성된다. 이 망체(12)를 통과한 오수는 배수트랩관(1)의 내주면뿐만 아니라 직하방으로 고르게 낙하하여, 냄새역류방지구(2)에 충분한 속력을 가지며 떨어지도록 유도된다.
이때, 망체(12)는 플랜지(11)가 구비되는 배수트랩관(1)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어서, 망체(12) 상부에 수집되는 오수의 압력을 높여, 오수가 망체를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즉, 세제, 비눗물 등으로 이루어져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오수가 조금씩 유입되는 상황에서, 망체에 거품으로 인한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더라도 배수트랩관의 망체 위 공간에 모이는 오수의 압력에 의하여 쉽게 수막이 제거되어 오수가 원활하게 망체를 통과함으로써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망체는 플랜지가 형성된 배수트랩관의 상단에서 1 내지 2 인치 정도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플랜지는 외부에서 중앙을 향하여 낮은 경사도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랜지는 배수트랩관(1)의 중심을 향하여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수가 용이하게 경사진 플랜지를 타고 배수트랩관의 내부로 빠르게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배수트랩관에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망체에서 오수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이후 설명되는 냄새역류방지구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조건이 만족되는 것이다.
한편, 냄새역류방지구(2)는 상기 배수트랩관(1)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을 막고, 오수의 유입시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부재이다.
냄새역류방지구는 오수가 중력에 의하여 배수구 내부로 떨어지는 힘을 이용 하여 배출통로를 개방하게 되며, 오수의 유입이 없는 경우 탄성 또는 배출통로를 개방하였던 판재가 중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배출통로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수가 유입되지 아니하는 평상시에는 배출통로를 폐쇄하여 배수구 내부 악취의 상승이 방지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냄새역류방지구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역류방지구(2)의 상부는 배수트랩관(1)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단(21)에는 오수의 낙하에 의하여 탄성있게 개방되는 탄성변(211)이 구비된다.
이때, 냄새역류방지구(2)의 하단(21)에는 그 내측으로 절곡되고, 이 하단을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세 개로 분할된 탄성변(211)이 구비될 수 있다.
냄새역류방지구(2)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21)은 삼각 평면으로 형성되고, 이 하단은 삼각 평면의 중심에서 각 꼭지점을 향하여 절개되어 오수의 유입에 따라 개방되는 세 개의 탄성변(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변(211)은 삼각 평면의 가장자리가 직선인 절곡선(211a)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오수의 자중력으로 인하여 세 개의 탄성변은 하방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배수통로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탄성변의 절곡선(211a)과 절개된 면에는 하단의 두께보다 두꺼운 리브 살(211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브살(211b)이 형성된 부분은 탄성계수가 더 커지게 되므로 탄성변(211)의 복원력이 더 커지게 되어 오랜 사용에 의한 탄성변의 처짐을 방지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즉, 절곡선(211a)에 의하여 탄성변(211)의 회복력을 강화하며, 탄성변(211)이 서로 접하는 부분이 피로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영구 변형을 가능한 방지하여 보다 오랜 기간 냄새역류방지구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수트랩관(1)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홈(13)이 형성되고, 냄새역류방지구(2)에는 상기 걸림홈(13)에 탄성변형되어 끼워지는 걸림돌기(22)가 내주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시공자가 냄새역류방지구(2)를 배수트랩관(1)의 하부에 대고 가압하는 것만으로 냄새역류방지구(2)가 탄성변형되며 걸림돌기(22)가 걸림홈(13)에 끼워지므로, 냄새역류방지구와 배수트랩의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10′)에 는, 배수트랩관(1), 연장트랩관(3) 및 냄새역류방지구(2)가 구비된다.
이때, 배수트랩관(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전술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연장트랩관(3)은 배수트랩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긴 관체로, 이 연장트랩관(3)의 하부에는 전술된 냄새역류방지구(2)가 결합된다.
즉, 연장트랩관(3)은 배수트랩관(1)의 하부에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되어, 마치 배수트랩관을 연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연장트랩관(3)의 하부 외주면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냄새역류방지구(2)의 걸림돌기(22)가 탄성 변형되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 경우, 연장트랩관(3)에 의하여 배수트랩관(1)의 망체(12)와 냄새역류방지구(2)의 탄성변(211)의 간격이 더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망체를 통과하여 고르게 퍼진 오수는 배수트랩관의 하부와 연장트랩관을 통과하여 낙하하면서 높은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이 용이하게 탄성변형되어 배출통로가 용이하게 확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배수구의 길이에 따라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 배수구가 바닥면의 바로 아래에서 휘어지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수트랩관과 냄새역류방지구만으로 설치하고, 배수구가 연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오수의 낙차를 크게 얻어 보다 원활하게 오수가 배수되도록 연장트랩관을 더 구비 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의 물 빠짐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배수트랩
1 : 배수트랩관
11 : 플랜지 12 : 망체 13 : 걸림홈
2 : 냄새역류방지구
21 : 하단 211 : 탄성변 211a : 절곡선 211b : 리브살
22 : 걸림돌기
3 : 연장트랩관 31 : 걸림홈 H : 배수구 H1 : 배수홈
4 : 바닥프레임 41 : 배수홀
5 : 거름망 51 : 누름쇠
6 : 디스크판 61 : 거치면 62 : 관통홀
63 : 요홈 631 : 절개홈
621 : 안치면

Claims (5)

  1. 삭제
  2. 배수구(H) 주변이 함몰되어 형성된 배수홈(H1)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배수홀(41)이 형성된 바닥프레임(4)과, 상기 바닥프레임(4)의 상부에 안치되는 거름망(5) 사이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41)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며, 중앙에는 관통홀(62)이 형성된 디스크판(6);
    상기 관통홀(62)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1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11)보다 낮은 위치의 내주면에 망체(12)가 형성된 배수트랩관(1); 및
    상기 배수트랩관(1)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을 막고, 오수의 유입시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냄새역류방지구(2);가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판(6)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기 배수홀(41)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도록 하부로 오목한 거치면(6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62)에는 상기 플랜지(11)가 걸쳐지는 상부로 오목한 안치면(621)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트랩관(1), 디스크판(6) 및 상기 바닥프레임(4)의 상부면이 평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3. 제2항에서,
    상기 디스크판(6)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홀(41)의 직경에 따라 절개되는 환형 요홈(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배수트랩관(1)과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 사이에는 상기 오수의 낙차를 증대시키는 연장트랩관(3)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5. 제4항에서,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의 하단에는 그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의 하단(21)을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세 개로 분할된 탄성변(211)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트랩관(1) 또는 상기 연장트랩관(3)의 외주면 둘레에는 걸림홈(13,31)이 형성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에는 상기 걸림홈(13,31)에 탄성변형되어 끼워지는 걸림돌기(22)가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KR2020090005588U 2009-05-08 2009-05-08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KR200447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88U KR200447850Y1 (ko) 2009-05-08 2009-05-08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88U KR200447850Y1 (ko) 2009-05-08 2009-05-08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850Y1 true KR200447850Y1 (ko) 2010-02-24

Family

ID=4421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588U KR200447850Y1 (ko) 2009-05-08 2009-05-08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50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83B1 (ko) 2010-11-30 2011-05-27 한정수 하수도 악취 누출 방지 장치
KR101409838B1 (ko) 2013-11-11 2014-06-20 최우현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KR20170022309A (ko) 2015-08-20 2017-03-02 서영대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KR20180026147A (ko) * 2016-09-02 2018-03-12 (주)코트랩 바닥 배수구용 트랩장치
KR20190015689A (ko) * 2017-08-06 2019-02-14 허영호 압력 또는 중력를 받아 자연히 늘어나거나 움츠리면서 개폐 동작하는 고무 개폐구멍 시트
CN109654276A (zh) * 2019-01-23 2019-04-19 安徽管益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内藏式不锈钢卡压暗阀
US20210268893A1 (en) * 2018-06-22 2021-09-02 Renault S.A.S. Electric machine cooled by a dielectric heat transfer fluid
KR20220150034A (ko) 2021-05-03 2022-11-10 이영호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20230016273A (ko) 2021-07-26 2023-02-02 이영호 악취가 차단되는 배수트랩
KR20230020698A (ko) 2021-08-04 2023-02-13 이영호 탄성력을 이용한 악취차단 배수트랩
KR20230092265A (ko) 2021-12-17 2023-06-26 이영호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537A (ko) * 2007-07-18 2009-01-22 이준기 배수트랩
KR200444012Y1 (ko) * 2008-08-13 2009-04-02 이영호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537A (ko) * 2007-07-18 2009-01-22 이준기 배수트랩
KR200444012Y1 (ko) * 2008-08-13 2009-04-02 이영호 배수트랩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83B1 (ko) 2010-11-30 2011-05-27 한정수 하수도 악취 누출 방지 장치
KR101409838B1 (ko) 2013-11-11 2014-06-20 최우현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KR20170022309A (ko) 2015-08-20 2017-03-02 서영대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KR20180026147A (ko) * 2016-09-02 2018-03-12 (주)코트랩 바닥 배수구용 트랩장치
KR101923008B1 (ko) * 2016-09-02 2018-11-28 (주)코트랩 바닥 배수구용 트랩장치
KR20190015689A (ko) * 2017-08-06 2019-02-14 허영호 압력 또는 중력를 받아 자연히 늘어나거나 움츠리면서 개폐 동작하는 고무 개폐구멍 시트
KR102050633B1 (ko) * 2017-08-06 2019-11-29 허영호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US20210268893A1 (en) * 2018-06-22 2021-09-02 Renault S.A.S. Electric machine cooled by a dielectric heat transfer fluid
CN109654276A (zh) * 2019-01-23 2019-04-19 安徽管益生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内藏式不锈钢卡压暗阀
KR20220150034A (ko) 2021-05-03 2022-11-10 이영호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20230016273A (ko) 2021-07-26 2023-02-02 이영호 악취가 차단되는 배수트랩
KR20230020698A (ko) 2021-08-04 2023-02-13 이영호 탄성력을 이용한 악취차단 배수트랩
KR20230092265A (ko) 2021-12-17 2023-06-26 이영호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850Y1 (ko)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JP6464074B2 (ja) 間接排水継手及びカバー体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2057994B1 (ko) 도로용 배수구 트랩
KR20120127107A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20100083113A (ko) 배수트랩
KR100887004B1 (ko) 배수트랩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385876Y1 (ko) 욕실바닥용 봉수트랩의 개선구조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160004362U (ko) 악취차단 배수트랩
KR102099543B1 (ko) 배수트랩
KR102210653B1 (ko) 오래된 건물의 욕실배수구에 악취방지를 위하여 설치되는 배수트랩
KR10134196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장치
KR20160052071A (ko) 배수트랩
KR200460842Y1 (ko) 배수관 차단막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관 차단막 조립체
KR101109290B1 (ko) 복수 씽크대용 분리형 유트랩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0405376Y1 (ko)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KR20190142693A (ko) 배수트랩에 설치되는 악취 유입을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KR200472254Y1 (ko) 악취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