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034A -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034A
KR20220150034A KR1020210057225A KR20210057225A KR20220150034A KR 20220150034 A KR20220150034 A KR 20220150034A KR 1020210057225 A KR1020210057225 A KR 1020210057225A KR 20210057225 A KR20210057225 A KR 20210057225A KR 20220150034 A KR20220150034 A KR 2022015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odor
blocking
prevention film
drainage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210057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034A/ko
Publication of KR2022015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이중구조로 구현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차단성을 향상시켜주고,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며,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하수가 유동되도록 관체 형상의 몸체(100)와;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따라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거치구(200)와; 상기 거치구(200)의 개구된 부분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림대(310)가 복수 연결된 걸림망체(300)와; 상기 걸림대(310)에 연결되는 거치봉(400)과; 상기 거치봉(400)에 연결되도록 중앙 부위에 삽입공(50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입되는 하수가 유동되게 안내하고,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탄성복원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유출을 차단하는 내부 악취방지막(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취차단용 배수트랩{Drainage trap for odor blocking}
본 발명은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이중구조로 구현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차단성을 향상시켜주고,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며,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급·배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의 바닥에는 하수관이 시공되기 마련이며, 특히 세면 또는 샤워 시 물의 사용이 빈번한 욕실 바닥의 하수관 입구에는 원활한 배수 흐름의 유도와 함께 생활하수(이하, 하수라 칭함)에 섞인 머리카락이나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수구 막힘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수 본관 및 가옥 배수관에서 발생한 해로운 하수가스(악취)의 역류 및 벌레 등이 실내로 침입함을 차단케 된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배수트랩관 및 냄새역류방지구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구(H) 주변이 함몰되어 형성된 배수홈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배수홀이 형성된 바닥프레임(4)과, 상기 바닥프레임(4)의 상부에 안치되는 거름망(5)과, 상기 배수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1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11)보다 낮은 위치의 내주면에 망체(12)가 형성된 배수트랩관(10)과, 상기 배수트랩관(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를 막고, 오수의 유입시 오수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냄새역류방지구(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에는 그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세 개로 분할된 탄성변(2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배수과정을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냄새역류방지구(20)의 분할된 3개의 탄성변(21a)은 평상 시 탄성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배수구를 막음으로서,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가 배수트랩관(10)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목욕과 같은 이유로 물을 사용할 경우 사용된 물은 욕실 바닥을 통해 배수트랩관(10)을 경유하여 냄새역류방지구(20)로 유동된다.
냄새역류방지구(20)로 유동되는 하수는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이루는 3개의 탄성변(21a)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고, 3개의 탄성변(21a)은 가압되는 하수로 인해 탄성변형되면서 벌어짐으로써, 하수가 배수되게 안내하며, 이후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3개의 탄성변(21a)은 탄성복원되어 배수구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가 배수트랩관(10)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다시 차단하여 준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배수트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이루는 3개의 탄성변(21a)을 탄성 복원 및 탄성 변형이 용이한 고무 재질인 얇은 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동되는 하수의 가압 반복에 따른 탄성력 감소로 인해 벌어짐으로써, 틈(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그 발생된 틈(G)으로 악취가 유출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은 3개의 탄성변(21a)을 배수트랩관(10)에 이중구조 또는 삼중구조와 같은 다중구조로 적용할 경우 유동되는 하수의 가압 반복에 따른 탄성력 감소를 저감시켜줄 수 있으나, 구조 특성상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에 단일구조로만 가능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20-0447850 Y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이중구조로 구현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차단성을 향상시킨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은, 하수가 유동되도록 관체 형상의 몸체와;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을 따라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거치구와; 상기 걸림대의 개구된 부분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림대가 복수 연결된 걸림망체와; 상기 걸림대에 연결되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에 연결되도록 중앙 부위에 삽입공(50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입되는 하수가 유동되게 안내하고,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탄성복원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유출을 차단하는 내부 악취방지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에는,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 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유출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동되는 하수가 하수구로 유출되게 안내하고,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의 탄성복원으로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몸체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거치봉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큰 하단직경을 갖는 하단 악취방지막;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봉에는 상부측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거치봉에 끼워진 내부 악취방지막의 중앙 하면 쪽이 걸려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거치봉에 돌출된 상부측 걸림돌기 보다 하부에 하부측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거치봉에 끼워진 하단 악취방지막의 중앙 하면 쪽이 걸려 이동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은, 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물결무늬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언덕부 및 상기 언덕부 보다 낮은 위치의 골짜기부가 일정간격마다 교호배치되고, 상기 언덕부들간의 사이에는 하수집중 수용면이 형성되어 하수량이 집중됨으로써, 적은 하수량으로도 배수가 가능하게 안내한다.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은, 중앙측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이다.
본 발명은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이중구조로 구현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차단성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배수트랩관 및 냄새역류방지구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배수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냄새역류방지구의 3개의 탄성변이 감소된 탄성력으로 인해 벌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하수의 배수에 따른 악취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은 크게 몸체(100), 거치구(200), 걸림망체(300), 거치봉(400), 내부 악취방지막(500) 및 하단 악취방지막(6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100)는 사용자가 목욕과 같은 이유로 사용된 물인 하수가 유동되도록 관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원통형체나 사각이나 오각과 같은 다각형체의 관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원통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구(200)는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따라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도넛 형상의 판 부재로서, 배수구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배수구 프레임에 걸쳐지거나 또는 배수구에 바로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거치구(200)가 배수구에 바로 끼워져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거치구(200)에는 후술되는 걸림망체(300)가 바닥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안치되도록,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210)을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걸림망체(300)는 상기 걸림대(310)의 개구된 부분인 단턱(210)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림대(310)가 복수 연결되어 제공되어진다.
여기서, 걸림망체(300)는 링형체로 특정될 수 있으며, 걸림대(310)는 링형체인 걸림망체(300)의 중중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태로 제공되고, 걸림망체(300)의 중앙에 연결된 걸림대(310)의 일측에는 체결구멍(320)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거치봉(400)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체결구멍(320)에 고정되는 거치봉(400)의 결합방식은 억지끼움이나 나선체결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봉(400)은 일단부가 걸림대(310)의 체결구멍(320)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후술되는 내부 악취방지막(500)과 하단 악취방지막(600)이 걸리도록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봉(400)에는 상부측 걸림돌기(410a)가 돌출되어, 거치봉(400)에 끼워진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중앙 하면 쪽이 걸려 하부쪽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안내하며,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두께 정도의 상부 위치에 상부측 걸림돌기(410a)를 하나 더 돌출시켜 상부쪽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또한, 거치봉(400)에는 거치봉(400)에 돌출된 상부측 걸림돌기(410a) 보다 하부에 하부측 걸림돌기(410b)도 돌출시켜, 거치봉(400)에 끼워진 하단 악취방지막(600)의 중앙 하면 쪽이 걸려 하부쪽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안내하며, 하단 악취방지막(600)의 두께 정도의 상부 위치에 하부측 걸림돌기(410b)를 하나 더 돌출시켜 상부쪽으로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거치봉(400)에 연결되도록 중앙 부위에 삽입공(50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0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 즉, 오므라 들어 유입되는 하수가 유동되게 안내하고, 하수의 유입이 없어 가압되는 힘이 없어지면 탄성복원되어 몸체(100)의 내부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가 욕실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물결무늬의 주름이 형성되어, 내부 악취방지막(500)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언덕부(510) 및 언덕부(510) 보다 낮은 위치의 골짜기부(520)가 일정간격마다 교호배치되고, 언덕부(510)들간의 사이에는 하수집중 수용면(530)이 형성되어 하수량이 집중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한다.
이와 더불어,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삽입공(501)이 위치되는 중앙측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특정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상기 하단 악취방지막(600)은 내부 악취방지막(500) 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유출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동되는 하수가 하수구로 유출되게 안내하고,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탄성복원으로 하수구의 악취가 몸체(1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거치봉(400)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삽입공(601)이 관통형성되고, 몸체(100)의 외경보다 큰 하단직경(H1)을 갖는다.
이를 통해, 하단 악취방지막(600)의 상면 가장자리 부근이 몸체(100)의 하단을 폐쇄시킴으로써, 내부 악취방지막(500)과 함께 이중구조로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하단 악취방지막(600)이 삽입공(601)이 위치되는 중앙측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특정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하수의 배수에 따른 악취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과정을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를 참조하여, 평상 시 본 발명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몸체(100)의 내부를 막고 있는 상태이고, 하단 악취방지막(600)은 몸체(100)의 하단을 막고 있는 상태로서, 이중구조로 몸체(100)를 막고 있어, 극대화된 악취 차단 성능을 제공하여 준다.
한편, 사용자가 목욕과 같은 이유로 물을 사용할 경우 사용된 물인 하수는 욕실 바닥을 통해 몸체(100)의 상부로 유입되어지고, 유입되어지는 하수는 도 8b를 참조하여, 내부 악취방지막(500)으로 유동되어 내부 악취방지막(500)을 자중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내부 악취방지막(500)이 탄성변형 즉, 오므라 들면서 하수가 몸체(100)의 하부로 유동된다.
이때,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물결무늬의 주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언덕부(510)들 사이의 하수집중 수용면(530)에 보다 많은 하수가 수용되어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줄 뿐만 아니라 내부 악취방지막(500)이 삽입공(501)이 위치되는 중앙측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이후, 도 8c를 참조하여, 유동되는 하수에 의해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오므라든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수가 계속 유동되게 안내함과 더불어 최초 유입된 하수 부분이 몸체(100)의 하단을 막고 있는 하단 악취방지막(600)으로 유동되어 하단 악취방지막(600)을 자중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하단 악취방지막(600)이 탄성변형 즉, 오므라 들면서 하수가 몸체(100)의 하부로 유동된다.
이후, 도 8d를 참조하여, 몸체(100)로 유입되는 하수가 없는 경우 몸체(100)의 내부에 오므라든 형태로 변형된 내부 악취방지막(500)이 탄성복원되면서 몸체(100)의 내부를 막아 몸체(100)의 하부에 남아 유동하는 마지막 하수에 의해 개방된 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1차 차단하여 준다.
이후, 도 8e를 참조하여, 마지막 남은 하수가 모두 몸체(100)를 빠져 나가면 오므라든 형태로 변형된 하단 악취방지막(600)이 탄성복원되면서 몸체(100)의 하단을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2차 차단하여 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에서 언급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거치봉(400)에 걸림되는 내부 악취방지막(500a,500b)의 개수를 2개로 특정함으로써, 악취 차단 성능이 가일층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 외에는 앞에서 언급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이상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4 : 바닥프레임 5 : 거름망
10 : 배수트랩관 11 : 플랜지
12 : 망체 20 : 냄새역류방지구
21 : 하단 21a : 탄성변
100 몸체 200 : 거치구
210 : 단턱 300 : 걸림망체
310 : 걸림대 320 : 체결구멍
400 : 거치봉 410a : 상부측 걸림돌기
410b : 하부측 걸림돌기 500,500a,500b : 내부 악취방지막
501,601 : 삽입공 510 : 언덕부
520 : 골짜기부 530 : 하수집중 수용면
600 : 하단 악취방지막

Claims (6)

  1. 하수가 유동되도록 관체 형상의 몸체(100)와;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단을 따라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되는 거치구(200)와;
    상기 거치구(200)의 개구된 부분에 안치되는 것으로, 하수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림대(310)가 복수 연결된 걸림망체(300)와;
    상기 걸림대(310)에 연결되는 거치봉(400)과;
    상기 거치봉(400)에 연결되도록 중앙 부위에 삽입공(50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입되는 하수가 유동되게 안내하고,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탄성복원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유출을 차단하는 내부 악취방지막(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 보다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탄성변형으로 인해 유출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동되는 하수가 하수구로 유출되게 안내하고,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탄성복원으로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몸체(1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거치봉(400)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삽입공(60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외경보다 큰 하단직경(H1)을 갖는 하단 악취방지막(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봉(400)에는 상부측 걸림돌기(410a)가 돌출되어, 상기 거치봉(400)에 끼워진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중앙 하면 쪽이 걸려 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거치봉(400)에 돌출된 상부측 걸림돌기(410a) 보다 하부에 하부측 걸림돌기(410b)가 돌출되어, 상기 거치봉(400)에 끼워진 하단 악취방지막(600)의 중앙 하면 쪽이 걸려 이동을 방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물결무늬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언덕부(510) 및 상기 언덕부(510) 보다 낮은 위치의 골짜기부(520)가 일정간격마다 교호배치되고, 상기 언덕부(510)들간의 사이에는 하수집중 수용면(530)이 형성되어 하수량이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은, 중앙측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500)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1020210057225A 2021-05-03 2021-05-03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2022015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25A KR20220150034A (ko) 2021-05-03 2021-05-03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225A KR20220150034A (ko) 2021-05-03 2021-05-03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034A true KR20220150034A (ko) 2022-11-10

Family

ID=8410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225A KR20220150034A (ko) 2021-05-03 2021-05-03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0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214B1 (ko) 2023-04-05 2023-09-11 이은송 오수 트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0Y1 (ko)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0Y1 (ko)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214B1 (ko) 2023-04-05 2023-09-11 이은송 오수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220150034A (ko)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JP6031647B2 (ja) 管体継ぎ手
KR101031707B1 (ko)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KR20190089667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922537B1 (ko) 악취 차단용 배수트랩
KR20230016273A (ko) 악취가 차단되는 배수트랩
KR200487178Y1 (ko) 하수구 악취차단기구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JP3689869B2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CN213836958U (zh) 一种防堵塞防臭地漏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230092265A (ko)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200475485Y1 (ko) 팝업밸브
KR20230020698A (ko) 탄성력을 이용한 악취차단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H07197504A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2020012883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KR101126692B1 (ko)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KR20100014063A (ko)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KR200262264Y1 (ko) 배수구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