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265A -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265A
KR20230092265A KR1020210181507A KR20210181507A KR20230092265A KR 20230092265 A KR20230092265 A KR 20230092265A KR 1020210181507 A KR1020210181507 A KR 1020210181507A KR 20210181507 A KR20210181507 A KR 20210181507A KR 20230092265 A KR20230092265 A KR 2023009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contact
drain trap
fitting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21018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265A/ko
Publication of KR2023009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유출 시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하수가 유동되는 것으로,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단을 따라 안치대(110)가 확장 돌출된 관체 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측 중앙 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와 연결살(210)들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하면에 축공(220)이 관통형성된 축고정부(200)와; 상기 축고정부(200)의 축공(220)에 상측부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끼움봉(300)과; 상기 끼움봉(300)의 하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몸체(100)의 하면이 접촉되어,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몸체(1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끼움봉(300)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축공(50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단 악취방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200)의 중심부에는, 안치공간(23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봉(300)의 상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 및 측면을 착탈가능하게 덮는 것으로,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에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교체용 밀착링체(700);를 포함하며, 상측이 상기 고정판(350)의 하측에 접촉지지되고, 하측이 상기 안치공간(230)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통해 하단 악취방지부(500)에 덮혀진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가압접촉시키는 스프링(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Drain trap that can replace odor blocking members}
본 발명은 하수 유출 시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급·배수를 필요로 하는 공간의 바닥에는 하수관이 시공되기 마련이며, 특히 세면 또는 샤워 시 물의 사용이 빈번한 욕실 바닥의 하수관 입구에는 원활한 배수 흐름의 유도와 함께 생활하수(이하, 하수라 칭함)에 섞인 머리카락이나 각종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수구 막힘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수 본관 및 가옥 배수관에서 발생한 해로운 하수가스(악취)의 역류 및 벌레 등이 실내로 침입함을 차단케 된 배수트랩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배수트랩관 및 냄새역류방지구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구(H) 주변이 함몰되어 형성된 배수홈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배수홀이 형성된 바닥프레임(4)과, 상기 바닥프레임(4)의 상부에 안치되는 거름망(5)과, 상기 배수홀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는 플랜지(1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11)보다 낮은 위치의 내주면에 망체(12)가 형성된 배수트랩관(10)과, 상기 배수트랩관(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상시에 탄성있게 닫혀져 배수구를 막고, 오수의 유입시 오수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벌어지며 오수의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냄새역류방지구(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에는 그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세 개로 분할된 탄성변(2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배수과정을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냄새역류방지구(20)의 분할된 3개의 탄성변(21a)은 평상 시 탄성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배수구를 막음으로서,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가 배수트랩관(10)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주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목욕과 같은 이유로 물을 사용할 경우 사용된 물은 욕실 바닥을 통해 배수트랩관(10)을 경유하여 냄새역류방지구(20)로 유동된다.
냄새역류방지구(20)로 유동되는 하수는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이루는 3개의 탄성변(21a)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고, 3개의 탄성변(21a)은 가압되는 하수로 인해 탄성변형되면서 벌어짐으로써, 하수가 배수되게 안내하며, 이후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3개의 탄성변(21a)은 탄성복원되어 배수구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가 배수트랩관(10)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다시 차단하여 준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배수트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사용 중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이루는 3개의 탄성변(21a)의 표면을 따라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데, 이로 인해, 3개의 탄성변(21a)에 낀 오염물질에서 악취가 풍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배수트랩은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 냄새역류방지구(20) 자체를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짧아 유지보수비용이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새롭게 파생된다.
또한, 종래의 배수트랩은 도 4를 참조하여,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을 이루는 3개의 탄성변(21a)은 탄성 복원 및 탄성 변형이 용이한 고무 재질인 얇은 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동되는 하수의 가압 반복에 따른 탄성력 감소로 인해 벌어짐으로써, 틈(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그 발생된 틈(G)으로 악취가 유입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은 3개의 탄성변(21a)을 배수트랩관(10)에 이중구조 또는 삼중구조와 같은 다중구조로 적용할 경우 유동되는 하수의 가압 반복에 따른 탄성력 감소를 저감시켜줄 수 있으나, 구조 특성상 냄새역류방지구(20)의 하단(21)에 단일구조로만 가능하여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20-0447850 Y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 유출 시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악취의 냄새 정도에 따라 단일구조, 이중구조 또는 삼중구조 중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 별로 차단성능을 단계별로 향상시켜 주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악취 방지막이 탄성변형되면서 틈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하수구 하단부를 폐쇄시켜주는 수단을 통해, 악취 차단 성능을 유지시켜주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트랩의 내부로 올라오는 악취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의 외측과 배수구 사이를 통해 올라오는 악취도 최대한 차단시켜주는 악취차단용 배수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은, 하수가 유동되는 것으로,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단을 따라 안치대가 확장 돌출된 관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 중앙 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와 연결살들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하면에 축공이 관통형성된 축고정부와; 상기 축고정부의 축공에 상측부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끼움봉과; 상기 끼움봉의 하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몸체의 하면이 접촉되어,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몸체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끼움봉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축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단 악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의 중심부에는, 안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봉의 상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의 상면 및 측면을 착탈가능하게 덮는 것으로,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의 상면에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교체용 밀착링체;를 포함하며, 상측이 상기 고정판의 하측에 접촉지지되고, 하측이 상기 안치공간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통해 하단 악취방지부에 덮혀진 교체용 밀착링체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몸체의 하측에 가압접촉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봉의 하단에는 걸림판이 확장연결되고, 상기 끼움봉의 외주면에 돌기용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판의 상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는,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 및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로 분리구분되고,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에는 상측 중앙 부위에 축공이 관통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상측결착홈이 형성되며, 저면의 축공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2개의 내측 끼임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형성되는 각 내측 끼임대의 하부에 내측 걸침돌기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의 돌기용 걸림홈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에는 하측 중앙 부위에 축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축공의 직하에 이동제한공간이 확장형성되며, 그 확장형성된 이동제한공간에 상기 걸림판이 수용되어 고정되고, 측면 상부에 하측결착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턱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막 밀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그 형성되는 막 밀착공간과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의 상면을 덮는 교체용 밀착링체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이 막 밀착공간으로 인해 이격 위치되되, 상기 축고정부의 안치공간에 배치되는 스프링의 압착에 의해 상기 몸체의 하측이 교체용 밀착링체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을 누르면서 교체용 밀착링체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이 가압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체용 밀착링체는, 중앙부위에 축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측용 덮개면과; 상기 상측용 덮개면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절곡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과 상기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가 맞대여져 이루어지는 상측결착홈 및 하측결착홈에 끼워지는 결착대가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측면용 덮개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수 유출 시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악취의 냄새 정도에 따라 단일구조, 이중구조 또는 삼중구조 중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 별로 차단성능을 단계별로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악취 방지막이 탄성변형되면서 틈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하수구 하단부를 폐쇄시켜주는 수단을 통해, 악취 차단 성능을 유지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트랩의 내부로 올라오는 악취 뿐만 아니라 배수트랩의 외측과 배수구 사이를 통해 올라오는 악취도 최대한 차단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배수트랩관 및 냄새역류방지구 부분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배수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냄새역류방지구의 3개의 탄성변이 감소된 탄성력으로 인해 벌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몸체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내부 악취방지막의 각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교체용 밀착링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절개
도 10ab는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을 이루는 구성 중 교체용 밀착링체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유출 시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부분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도록,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은 몸체(100), 축고정부(200), 끼움봉(300), 하단 악취방지부(500), 교체용 밀착링체(700) 및 스프링(36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100)는 사용자가 목욕과 같은 이유로 사용된 물인 하수가 유동되는 것으로,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단을 따라 안치대(110)가 확장 돌출된 관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원통형체나 사각이나 오각과 같은 다각형체의 관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원통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0)가 배치되는 배수구의 직경은 규격화되지 않아 사용장소마다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배수구의 상이한 직경에 상관 없이 본원발명의 몸체(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구(800)가 제공되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공되는 거치구(800)는 중앙부에 진입구멍(811)이 관통형되고, 가장자리 부근이 배수구에 걸쳐지는 지지판(810), 진입구멍(811)을 이루는 지지판(810)의 내면을 따라 수직으로 절곡연장되는 연결대(820) 및 연결대(820)에서 수평으로 절곡연장되어, 몸체(100)의 안치대(110)의 하면이 안치되는 받침대(8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대(820)를 구비하는 주된 이유는 하수가 흐르는 바닥면 보다도 몸체(100)의 상측이 낮도록 배치, 즉 단차를 두어 몸체(100) 상에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하수에 포함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100) 상부로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모이는 이물질은 후술되는 연결살(210)들에 최대한 걸려짐으로써, 이물질의 제거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에서는 후술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을 통해, 몸체(100)의 내부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몸체(100)의 외측과 배수구 사이를 통해 올라오는 악취도 최대한 차단시켜주도록, 몸체(100)에 돌출된 안치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몸체(100)의 외측과 배수구 사이를 통해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켜주는 악취차단용 밀폐링(840)을 추가로 구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배수구에 상기 거치구(800)가 놓여진 상태에서, 악취차단용 밀폐링(840)이 몸체(100)에 돌출된 안치대(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거치구(800) 상에 접촉됨으로써, 몸체(100)의 외측과 배수구 사이를 통해 유출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축고정부(200)는 몸체(100)의 상측 중앙 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몸체(100)와 연결살(210)들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하면에 축공(220)이 관통형성된 부재이다.
여기서, 몸체(100)와 축고정부(200) 간을 연결하여 주는 연결살(210)들은 몸체(100)의 크기에 따라 3개에서 7개 정도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끼움봉(300)은 후술되는 하단 악취방지부(500)가 고정되도록 축고정부(200)의 축공(220)에 상측부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부재로서, 끼움봉(300)의 상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판(350)이 구비되어진다.
또한, 축고정부(200)의 중심부에는 안치공간(230)이 형성됨으로써, 그 형성되는 안치공간(230)에 후술되는 스프링(360)이 배치됨으로써, 끼움봉(300)이 탄성이동 가능하게 고정배치되어진다.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는 끼움봉(300)의 하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몸체(100)의 하면이 접촉되어, 하수구의 악취가 몸체(1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끼움봉(300)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축공(501)이 관통형성되고, 몸체(10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부재이다.
한편, 하단 악취방지부(500)는 하중을 최소화하고자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 및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20)로 분리구분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단 악취방지부(500)는 끼움봉(300) 간의 결합에서도 후술되는 스프링(360)을 통한 탄성력에 따라 끼움봉(300)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끼움봉(300)의 하단에는 걸림판(310)이 확장연결되고, 끼움봉(300)의 외주면에 돌기용 걸림홈(320)이 형성되되, 걸림판(310)의 상부 위치에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에는 상측 중앙 부위에 축공(501)이 관통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상측결착홈(511)이 형성되며, 저면의 축공(501)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2개의 내측 끼임대(512)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형성되는 각 내측 끼임대(512)의 하부에 내측 걸침돌기(512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끼움봉(300)의 돌기용 걸림홈(320)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20)에는 하측 중앙 부위에 축공(502)이 관통형성되고, 축공(502)의 직하에 이동제한공간(503)이 확장형성되며, 그 확장형성된 이동제한공간(503)에 걸림판(310)이 수용되어 고정되고, 측면 상부에 하측결착홈(521)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탄성력을 이용한 악취차단 배수트랩에서는 몸체(100)와 하단 악취방지부(500)간에 밀착성능을 향상시켜주어 악취유입을 최소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의 상면에는 몸체(1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턱(513)이 돌출형성되어,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막 밀착공간(513a)이 형성됨으로써, 그 형성되는 막 밀착공간(513a)과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을 덮는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이 막 밀착공간(513a)으로 인해 이격 위치되되,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에 배치되는 스프링(360)의 압착에 의해 몸체(100)의 하측이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을 누르면서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과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이 가압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체용 밀착링체(700)는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 및 측면을 착탈가능하게 덮는 것으로,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에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세부구성은 중앙부위에 축공(701)이 관통형성되고,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측용 덮개면(710) 및 상측용 덮개면(710)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절곡연장되는 것으로,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과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20)가 맞대여져 이루어지는 상측결착홈(511) 및 하측결착홈(521)에 끼워지는 결착대(721)가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측면용 덮개면(7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축공(701)이 관통형성된 상측용 덮개면(710)의 중앙 부위를 따라 상방으로 절곡연장되는 것으로, 끼움봉(300)에 끼워지는 봉 끼움대(7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제공되어진다. 여기서,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밀착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360)은 상측이 고정판(320)의 하측에 접촉지지되고, 하측이 안치공간(230)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통해 하단 악취방지부(500)에 덮혀진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가장자리 부분이 몸체(100)의 하측에 가압접촉시킴으로서, 하수가 유출 시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상면 쪽에 부착되기 때문에, 일정주기마다 교체용 밀착링체(700)를 교체하여, 악취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에서는 하수구를 막는 악취차단부재를 악취의 냄새 정도에 따라 단일구조, 이중구조 또는 삼중구조 중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 별로 차단성능을 단계별로 향상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끼움봉(300)의 외주면을 따라 막용 걸림홈(330)들이 이격 형성되는데, 돌기용 걸림홈(32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지고, 걸림홈(310)들의 개수는 3개이고, 후술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의 개수는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 별로 차단성능을 단계별로 향상시켜 주도록, 1개 내지 3개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등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끼움봉(300)을 관통하여 막용 걸림홈(330)들에 걸려 고정되게 중앙 부위에 삽입공(40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0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입되는 하수가 유동되게 안내하고,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탄성복원되어 몸체(100)의 내부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유출을 차단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이 구비 제공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의 형상은 제1적용예로, 도 9a를 참조하여, 내부 악취방지막(400)은 삽입공(401)이 위치되는 중앙측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하여 준다.
그리고 내부 악취방지막(400)의 형상은 제2적용예로, 도 9b를 참조하여,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물결무늬의 주름이 형성되어, 내부 악취방지막(400)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언덕부(410) 및 언덕부(410) 보다 낮은 위치의 골짜기부(420)가 일정간격마다 교호배치되고, 언덕부(410)들간의 사이에는 하수집중 수용면(430)이 형성되어 하수량이 집중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적은 하수량에도 원활하게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한다.
이와 더불어, 끼움봉(300)의 걸림홈(310)들에 걸려 고정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들은 그 재질이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수지와 같이 탄성력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환경에 취약하여 사용 중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내부 악취방지막(400)의 배수성능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끼움봉(300)의 걸림홈(310)들에 걸려 고정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들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자, 끼움봉(300)의 상단 가장자리에 적어도 2개의 상측 끼임대(340)를 일체로 형성되고, 그 형성되는 각 상측 끼임대(340) 사이의 거리는 축공(220)의 내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되, 각 상측 끼임대(340)의 상부에 상측 걸침돌기(34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고정판(350)에는 하면 중앙에 축공(351) 및 확장공(352)이 수직으로 각각 관통형성되어 지며, 축공(351)의 내경이 끼움봉(300)에 형성되는 각 상측 끼임대(34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확장공(352)의 내경이 축공(351)의 내경보다 커서 확장공(352)에 상측 걸침돌기(341)의 후측이 걸려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배수 및 악취차단기능을 수행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들의 사용에 따른 성능 저하 시를 이를 교체 가능하게 안내하여, 배수 및 악취차단기능이 항시 최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에는 축고정부(200)의 개방된 안치공간(230)을 밀폐시키는 덮개(600)를 제공하여 안치공간(230) 내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여 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 내로 하수도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600)를 이중의 밀폐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치공간(230)을 이루는 축고정부(200)의 상부에는 끼움대(24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덮개(600)는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을 덮는 밀폐판(610), 밀폐판(61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것으로, 내측면이 끼움대(24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측 밀폐대(620) 및 밀폐판(610)의 하면에 축공(220)의 내경면 형상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것으로, 외측면이 끼움대(24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안측 밀폐대(630)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덮개(600)는 끼움대(24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측 밀폐대(620)를 통해, 1차적으로 밀폐시켜 유동하는 하수가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설령 유동되는 하수 중 일부가 덮개(600)의 가장자리측 밀폐대(620)를 통해 유입된다 하더라도 끼움대(24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안측 밀폐대(630)를 통해, 2차적으로 밀폐시켜 줌으로써, 일부 유입된 소량의 하수도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으로 유입되는 차단하여 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은 끼움봉(300)의 걸림홈(310)들에 걸려 고정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들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에 따라 단일구조, 이중구조 또는 삼중구조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도 고려하여 위치까지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가 낮고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하수량도 적은 경우, 끼움봉(300)의 하단에 연결된 하단 악취방지부(500)만으로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주는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가 목욕과 같은 이유로 사용된 물인 하수가 유입 시 스프링력을 통해, 하단 악취방지부(50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어 유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기능 또한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가 조금 심해지면, 끼움봉(300)을 따라 일정 간견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걸림홈(310)들 중 끼움봉(3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310)에 1개의 내부 악취방지막(400)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끼워지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은 끼움봉(300)의 상중하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310)들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310)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배수량이 많은 경우 끼움봉(30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310)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냄새 정도가 많이 심해지면, 끼움봉(300)을 따라 상중하에 일정 간견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걸림홈(310)들 2개 이상의 내부 악취방지막(400)들을 각각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끼움봉(300)에 연결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의 개수를 다양한 조합 및 위치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4 : 바닥프레임 5 : 거름망
10 : 배수트랩관 11 : 플랜지
12 : 망체 20 : 냄새역류방지구
21 : 하단 21a : 탄성변
100 : 몸체 110 : 안치대
200 : 축고정부 210 : 연결살
220 : 안치공간 230,351,501,502,701 : 축공
240 : 끼움대 300 : 끼움봉
310 : 걸림판 320 : 돌기용 걸림홈
330 : 막용 걸림홈 340 : 상측 끼임대
341 : 상측 걸침돌기 350 : 고정판
352 : 확장공 360 : 스프링
400 : 내부 악취방지막 401 : 삽입공
410 : 언덕부 420 : 골짜기부
430 : 하수집중 수용면 500 : 하단 악취방지부
503 : 이동제한공간 510 :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
511 : 상측 결착홈 512 : 내측 끼임대
513 : 단턱 513a : 막 밀착공간
512a : 내측 걸침돌기 520 :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
521 : 하측 결착홈 600 : 덮개
610 : 밀폐판 620 : 가장자리측 밀폐대
630 : 안측 밀폐대 700 : 교체용 밀착링체
710 : 상측용 덮개면 720 : 하측용 덮개면
721 : 결착대 730 : 봉 끼움대
800 : 거치구 810 : 지지판
811 : 진입구멍 820 : 연결대
830 : 받침대 840 : 악취 차단용 밀폐링

Claims (11)

  1. 하수가 유동되는 것으로, 배수구에 걸쳐지도록 상단을 따라 안치대(110)가 확장 돌출된 관체 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측 중앙 쪽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와 연결살(210)들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하면에 축공(220)이 관통형성된 축고정부(200)와;
    상기 축고정부(200)의 축공(220)에 상측부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끼움봉(300)과;
    상기 끼움봉(300)의 하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상기 몸체(100)의 하면이 접촉되어,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몸체(10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끼움봉(300)에 연결되게 중앙 부위에 축공(50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단 악취방지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축고정부(200)의 중심부에는, 안치공간(23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봉(300)의 상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판(350);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 및 측면을 착탈가능하게 덮는 것으로,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에 물때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교체용 밀착링체(700);를 포함하며,
    상측이 상기 고정판(350)의 하측에 접촉지지되고, 하측이 상기 안치공간(230)의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통해 하단 악취방지부(500)에 덮혀진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가압접촉시키는 스프링(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봉(300)의 하단에는 걸림판(310)이 확장연결되고,
    상기 끼움봉(300)의 외주면에 돌기용 걸림홈(320)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판(310)의 상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는,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 및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20)로 분리구분되고,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에는 상측 중앙 부위에 축공(501)이 관통형성되고, 측면 하부에 상측결착홈(511)이 형성되며, 저면의 축공(501)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2개의 내측 끼임대(512)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형성되는 각 내측 끼임대(512)의 하부에 내측 걸침돌기(512a)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봉(300)의 돌기용 걸림홈(320)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20)에는 하측 중앙 부위에 축공(50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축공(502)의 직하에 이동제한공간(503)이 확장형성되며, 그 확장형성된 이동제한공간(503)에 상기 걸림판(310)이 수용되어 고정되고, 측면 상부에 하측결착홈(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의 상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단턱(513)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막 밀착공간(513a)이 형성됨으로써, 그 형성되는 막 밀착공간(513a)과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을 덮는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이 막 밀착공간(513a)으로 인해 이격 위치되되, 상기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에 배치되는 스프링(360)의 압착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하측이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을 누르면서 교체용 밀착링체(700)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이 가압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악취차단 배수트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용 밀착링체(700)는, 중앙부위에 축공(70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하단 악취방지부(500)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측용 덮개면(710)과;
    상기 상측용 덮개면(710)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절곡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상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10)과 상기 하측 하단 악취방지몸체(520)가 맞대여져 이루어지는 상측결착홈(511) 및 하측결착홈(521)에 끼워지는 결착대(721)가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측면용 덮개면(7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봉(300)의 외주면을 따라 막용 걸림홈(330)들이 이격 형성되고,
    상기 끼움봉(300)을 관통하여 상기 막용 걸림홈(330)들에 걸려 고정되게 중앙 부위에 삽입공(401)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유입되는 하수가 유동되게 안내하고, 하수의 유입이 없으면 탄성복원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막아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의 유출을 차단하는 내부 악취방지막(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6. 상기 막용 걸림홈(310)의 개수는, 3개 이하고,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400)의 개수는, 1개 내지 3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공간(230)이 형성된 축고정부(200)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축고정부(2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덮개(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공간(230)을 이루는 상기 축고정부(200)의 상부에는, 끼움대(24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덮개(600)는, 상기 축고정부(200)의 안치공간(230)을 덮는 밀폐판(610)과;
    상기 밀폐판(610)의 하면에 상기 안치공간(230)의 내경면 형상에 대응되게 돌출되는 것으로, 외측면이 상기 끼움대(24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안측 밀폐대(6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00)에는, 상기 밀폐판(61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것으로, 내측면이 상기 끼움대(24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측 밀폐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 돌출된 안치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외측과 상기 배수구 사이를 통해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켜주는 악취차단용 밀폐링(8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400)은, 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물결무늬의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악취방지막(400)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언덕부(410) 및 상기 언덕부(410) 보다 낮은 위치의 골짜기부(420)가 일정간격마다 교호배치되고, 상기 언덕부(410)들간의 사이에는 하수집중 수용면(430)이 형성되어 하수량이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KR1020210181507A 2021-12-17 2021-12-17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KR20230092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507A KR20230092265A (ko) 2021-12-17 2021-12-17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507A KR20230092265A (ko) 2021-12-17 2021-12-17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265A true KR20230092265A (ko) 2023-06-26

Family

ID=8694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507A KR20230092265A (ko) 2021-12-17 2021-12-17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2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0Y1 (ko)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50Y1 (ko)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9892U (ja) 膜片式排水口装置
KR101058890B1 (ko) 배수트랩
KR102356646B1 (ko) 건축물의 오배수관용 통기밸브
KR200472604Y1 (ko)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20230092265A (ko) 악취차단부의 교체가 가능한 배수트랩
KR20230016273A (ko) 악취가 차단되는 배수트랩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230020698A (ko) 탄성력을 이용한 악취차단 배수트랩
KR102081750B1 (ko) 하수구용 배수 트랩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1944377B1 (ko)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20220150034A (ko)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2242669B1 (ko) 층간 병원체 전파 차단 구조형 배수트랩
CN213390441U (zh) 一种防堵塞地漏
KR20230094347A (ko) 탄성이동형 배수트랩
KR20140002080U (ko) 세탁기 배수호스 결합소켓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200268593Y1 (ko) 하수구덮개의 악취방지구조
JPH07197504A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101632919B1 (ko) 수질개선 기능과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