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77B1 - 세면대용 배수 밸브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배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377B1
KR101944377B1 KR1020170048123A KR20170048123A KR101944377B1 KR 101944377 B1 KR101944377 B1 KR 101944377B1 KR 1020170048123 A KR1020170048123 A KR 1020170048123A KR 20170048123 A KR20170048123 A KR 20170048123A KR 101944377 B1 KR101944377 B1 KR 10194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rainage
drain
washsta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589A (ko
Inventor
남의강
남기경
Original Assignee
남의강
남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의강, 남기경 filed Critical 남의강
Priority to KR102017004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에서 사용하고 난 오수를 막힘없이 원활히 배수시키고, 특히 세면대 사용 후 하측의 하수관부 측에서 역류하는 오염공기나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보다 개선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 밸브의 배수차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측 메인 배수 밸브의 구조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원터치 스프링식 개폐장치로 개선하고, 하부측 배수관부 측에서는 배수량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변형과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자동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는 삿갓형태의 씰커버를 추가로 설치하여 항상 배수 작동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배수가 중지되었을 때에는 배수구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여 양호한 밀폐성과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사용 중 고장이 날 우려가 극히 낮아서 사용상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며, 배수 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에 의해서 세면대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배수 밸브 내부가 쉽게 분해되어 청소가 용이하며,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염공기나 악취, 유해 유충 등의 침습을 차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면대용 배수 밸브{Drain valve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 밸브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면대에서 사용하고 난 오수를 막힘없이 원활히 배수시키고, 특히 세면대 사용 후 하측의 하수관부 측에서 역류하는 오염공기나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보다 개선된 밸브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종래의 가정용 욕실이나 각종 빌딩 등의 화장실에 설치하는 세면대용 배수 밸브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86084호(2002년 8월 21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원터치스토핑 밸브(일명 똑딱이 밸브)로서 사용자가 한번 누르면 하측 배수공이 닫히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배수공이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 밸브는 스토핑 밸브장치가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장기 사용 시 고장이 잘나고 생산코스가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제작상의 단점과 아울러, 사용 후 밸브시트의 밀폐상태가 충분하지 못하여 하부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염공기나 냄새, 유해 해충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286084 Y1 2002. 8. 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세면대용 배수 밸브의 배수차단장치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머리카락 등의 걸림이 최소화되고, 또한 상기 배수 밸브의 밀폐수단과는 별도로 밸브의 하측에 신축 탄성력이 우수한 연질수지제의 씰커버를 설치하여 세면수가 일단 배수 처리되고 나면 항상 배수관 하부전체를 막음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측 하수배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공기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밀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세면대용 배수 밸브를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면대용 배수 밸브의 배수차단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측 메인 배수 밸브의 구조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원터치 스프링식 개폐장치로 개선하고, 하부측 배수관부 측에서는 배수량에 따라서 자유자재로 변형과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자동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는 삿갓형태의 씰커버를 추가로 설치하여 항상 배수 작동은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배수가 중지되었을 때에는 배수구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여 양호한 밀폐성(密閉性)과 기밀성(氣密性)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적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세면대용 배수 밸브는 다음과 같은 기능적 사용효과가 있다.
① 세면대용 배수 밸브를 구동시킴에 있어서, 한번 누르면 하측 배수공이 닫히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배수공이 열리는 원터치식 개폐장치의 구조를 하나의 수직 스프링에 의하여 쉽고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밸브의 전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사용 중 고장이 날 우려가 극히 낮아서 사용상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② 종래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배수 밸브는 머리카락 등의 각종 이물질이 상당히 많이 걸려서 조금만 사용하더라도 세면대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배수 밸브의 막힘 현상이 빈번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배수 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걸리는 부분을 최소화시켜서 장시간 사용 시에도 세면대가 막히는 현상을 현저히 줄여서 사용상 편의성을 제고(提高)시킨다.
③ 장기사용에 따라 배수 밸브 내부를 청소할 경우에도 상측에 배치한 밸브시트(valve seat)를 돌려서 열어주면 내부 전체가 쉽게 분해되어 내부 청소가 용이하고, 경우에 따라서 밸브시트의 패킹커버를 교체할 경우에도 쉽게 교체가 이루어지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④ 하측 배수관부에는 배수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 작동되는 삿갓형의 씰커버(Seal Cover)가 설치되어 세면용수의 배수기능은 원활하게 유지되면서 일단 배수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배수관 전체를 막음상태로 차단기능을 부여하여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오염공기나 악취, 유해 유충 등의 침습을 차단할 수 있어 고도의 위생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적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3a는 밸브가 개방된 상태, 도 3b는 밸브가 닫힌 상태의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서 배수에 따른 씰커버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세면대에서 사용하고 난 오수를 막힘없이 원활히 배수시키고, 특히 세면대 사용 후 하측의 하수관부 측에서 역류하는 오염공기나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토록 한 세면대용 배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외형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세면대용 배수 밸브의 일반적 구성은 세면대 바닥에 물 배수 밸브(1)를 설치하여 세면대의 사용 시에는 밸브(4)를 눌러서 밸브시트(3) 중앙에 개설된 배수공(31)을 닫히게 하고 사용이 끝났을 때는 밸브(4)를 한번 더 누르면 내장된 스토핑 기능이 해제되어 밸브(4)가 위로 융기됨으로써 배수공(31)이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수 밸브(1)는 외통체(2)의 외부에 상하 패킹(5)이 구비되며 체결너트(6)에 의해서 세면대 아래에 배관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배수 밸브(1)의 외관상의 기본적인 구성들은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 밸브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본적인 공지구성에서 밸브시트(3) 내부에 승강작동되는 밸브(4)의 승강 개폐장치와, 외통체 내부에 삽입된 내통체(21) 및 내통체(21)의 하측에 별도의 밀폐용 씰커버(14)가 설치된 악취차단장치로 이루어진 새로운 구성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첫 번째 주요구성인 승강 개폐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체(2)에 수용되어 외통체(21) 하단의 단턱(2a)에 지지된 내통체(21) 상단에는 삽입관(11)이 가운데에 연결편(11b)으로 연결 고정되게 수직으로 설치된 고정링(10)을 안치되게 설치하고, 이 삽입관(11) 내부에 형성한 요입실(11a)에 코일스프링(9)과 나사봉(81)이 상단에 형성된 스핀들(8)을 차례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11) 측면에는 나사공(11c)을 천공하여 볼트(12)를 나사결합하여 볼트(12)의 내측단이 상기 스핀들(8)의 일측에 요입 형성한 수직키홈(8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핀들(8)이 수직키홈(82)의 상하 허용 높이간격(H)의 범위내에서 제한적으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핀들(8) 상부의 나사봉(81)은 승강 밸브(4)의 하측에 형성한 나사관(41)에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승강 밸브(4)를 누르면 스핀들(8)이 코일스프링(9)의 탄성을 받으면서 일정한 높이간격(H)으로 승하강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4)의 하부측에는 전체적으로 연질고무제로 된 패킹커버(7)를 둘러씌워 승강 밸브(4)가 밸브시트(3) 측의 배수공(31)을 폐쇄할 시 상기 패킹커버(7)의 외측 돌환부(71)가 일정한 협지력을 발휘하여 상기 배수공(31)을 밀폐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9)은 상부 일정 구간은 하부보다 피치가 길면서 탄성력이 약하고, 하부 일정 구간은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피치가 짧으면서 탄성력이 강하게 이단으로 구성되며, 이에 의해서 승강 밸브(4)를 가볍게 누르면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약한 코일스프링(9)의 상부만 압축되어서 패킹커버(7)에 의해서 밸브(4)가 밸브시트(3)에 끼여서 배수공(31)을 밀폐 차단하게 되고, 차단된 상태에서 승강 밸브(4)를 하부로 강하게 누르면 코일스프링(9) 상부의 탄성력이 약한 부분이 완전 압축된 후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강한 코일스프링(9)의 하부까지도 압축되었다가 코일스프링(9) 하부의 강한 복원탄성력에 의해서 승강 밸브(4)를 밸브시트(3)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밀어 올려서 배수공(31)이 개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주요구성인 악취차단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 배수통로를 이루는 내통체(21)의 하방에 고정나사공(13a)을 갖는 고정구(13)를 고정레버(13b)에 의해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일정높이로 고정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13)에는 연질수지로된 삿갓형의 씰커버(14)와, 이 씰커버(14)를 상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7)을 상하로 중첩 배치하여 고정볼트(16)로서 결합 지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고정볼트(16)는 상단측에 나사부(16a)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13)의 고정나사공(13a)과 직접 결합하고 지지스프링(17)은 상기 씰커버(14)를 위로 들어 올려주는 적당한 탄력성을 갖도록 하부에 배치하며, 씰커버(14)는 비교적 얇고 탄력성이 우수하여 플렉시블(flexible)한 다이어후렘(Diaphragm)타입으로 형성하고 상부 중간에 축공(15)을 천공하여 이 축공(15)에 고정볼트(16)가 슬라이드 상으로 끼워 넣어져서 세면기에서 하강하는 물이 상기 씰커버(14)의 외주면을 타고 사방으로 분산되어 원활히 하강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스프링(17)은 일정한 탄성강도로 미리 설정하여 상부에서 물이 적게 내려올 때에는 축공(15)이 고정볼트(16)에 작게 슬라이드 되고, 물이 많이 내려와 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는 축공(15)이 고정볼트(16)를 타고 하방으로 크게 슬라이드 되어 수축운동이 크게 하방으로 이루어져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사전 설계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밸브(4)의 승강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면기에 물을 받아 손을 씻거나 세수를 할 시에는 밸브(4)를 1회 하방으로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가볍게 내려 누르면 이와 결합된 하부측의 스핀들(8)이 코일스프링(9)을 적당히 하향으로 누르는 상태로 하강하여 밸브시트(3)의 안쪽 배수공(31)을 폐쇄한다.
이때 밸브(4)의 하부에 전체적으로 둘러 씌워진 패킹커버(7)의 외주면에는 둥근 돌환부(71)가 일정높이로 돌설(突設)되어 있어서 이 돌환부(71)가 밸브(4)의 외주면과 배수공(31) 측의 밸브시트(3) 내주면(32)과 일정한 텐션압력으로 밀착되고 협지되어 도 3b와 같이 밸브(4)는 배수공(31) 전체를 막음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9)은 스핀들(8)을 가볍게 받아주는 적은 탄성만을 가지고 있어 밸브(4)의 하강으로 인해 패킹커버(7)의 돌환부(71)는 배수공(31)의 내주면에 긴밀한 탄성압력으로 양호하게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세면대의 사용이 끝나고 세면대에 고인 물을 배수공(31)을 통해 배출시키고자할 때에는 승강 밸브(4)를 한번 더 하향으로 깊숙이 눌렀다가 손을 뗀다.
이때 승강 밸브(4)가 하부로 눌러질 때는 스핀들(8)의 수직키홈(82)의 허용된 높이간격(H)만큼만 아래로 눌러지며, 이때 코일스프링(9)은 하부로 수축되어 상당한 외향 탄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눌러진 상태에서 밸브(4)로부터 손을 떼면 순간적으로 코일스프링(9)의 상향 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스핀들(8)과 이에 연결된 상부측 밸브(4)를 상부로 밀어올려 패킹커버(7)의 돌환부(71)의 협지상태가 해제되므로 배수공(31)은 도 3a와 같이 개구되어 세면대의 하수가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상기한 개폐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코일스프링(9)의 탄성강도와 스핀들(8)의 높낮이 높이간격(H), 그리고 패킹커버(7)에 형성한 돌환부(71)의 협지강도를 미리 적정하게 설정하여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승강 밸브(4)를 한번 누르면 배수공(31)가 폐쇄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배수공(31)가 열리는 원터치식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구조가 아주 간단하고 고장의 우려가 없어 작동의 정확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갖게 되며, 외통체(2)의 상부로 밸브(4), 패킹커버(7), 스핀들(8) 및 코일스프링(9), 고정링(10) 및 삽입관(11), 내통체(21)와 이에 연결 구성된 고정구(13)와 이에 결합된 씰커버(14), 지지스프링(17) 및 고정볼트(16) 등이 손쉽게 인출시킬 수 있어서 청소가 극히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악취방지수단을 설명한다.
상기 배수공(31)의 하측에 고정레버(13b)에 의해서 가로질러 고정 설치한 고정구(13)에는 상기 구성수단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지지스프링(17)에 상향으로 탄력 설치된 삿갓형의 씰커버(14)가 고정볼트(16)에 축공(15)을 중심으로 상하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밸브(4) 측으로부터 물이 내려오지 않는 경우에는 씰커버(14)에 외부압력이 미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9)의 가벼운 상향 탄력에 의해 씰커버(14) 전체는 배수공(31)의 하측 배수구(40)를 도 4a와 같이 막음상태(폐쇄)로 유지하여 하부 건물 실내 배관으로부터 악취나 유해 오염공기 또는 해충이 상부로 스며 올라오지 못하게 되어 항상 위생적으로 청결한 세면대의 환경부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세면대의 사용 시 상부로부터 물이 낙하할 경우에는 씰커버(14)의 둘레에 골고루 물이 분산되면서 하강하는데 이때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씰커버(14)에 물의 하중이 적게 작용하여 씰커버(14)가 자체 신축탄성에 의해 하부로 약간 쳐져서 도 4b와 같이 배수공간(C)을 적게 유지토록 개방하여 하수처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만일 세면기로부터 많은 양의 물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물의 하중이 씰커버(14) 전체에 급격하고 크게 영향을 미쳐서 지지스프링(17)이 수축하면서 씰커버(14)의 축공(15)이 하부로 내려와서 도 4c와 같이 배수공간(C)이 크게 열려져서 배수처리가 막힘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수의 배수가 끝나면 지지스프링(17)의 복원탄성력으로 씰커버(14)는 다시 배수공간(C)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악취차단장치에 의하면 세면대로부터 배수처리는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평상시 세면대의 사용이 끝났을 때에는 배수공(31)의 하측 배수구(40)를 양호한 막음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므로 악취차단의 효과를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장치로서 세면대의 원터치식 하수 개폐기능과 악취차단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서 지금까지 일반화된 세면대용 배수 밸브보다는 한 차원 더 높은 실용적 가치를 구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산업적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배수 밸브 2:외통체 2a:단턱 21:내통체 3:밸브시트 31:배수공 32:내주면 4:밸브 41:나사관 5:패킹 6:체결너트 7:패킹커버 71:돌환부 8:스핀들 81:나사봉 82:수직키홈 9:코일스프링 10:고정링 11:삽입관 11a:요입실 11b:연결편 11c:나사공 12:볼트 13:고정구 13a:고정나사공 13b:고정레버 14:씰커버 15:축공 16:고정볼트 16a:나사부 17:지지스프링 40:배수구 C:배수공간 H:높이간격

Claims (1)

  1. 내측으로 배수공(31)이 형성되는 밸브시트(3)가 일체로 형성된 외통체(2);
    외통체(2) 하단에 내향 돌출된 단턱(2a)에 지지되어 내부로 수용되게 설치된 내통체(21);
    외통체(2) 상단에 밸브시트(3)의 배수공(31)을 개폐토록 구성된 밸브(4);
    배수공(31) 내부에서 내통체(21)의 상단에 안치되게 설치된 고정링(10);
    고정링(10)의 가운데에 연결편(11b)에 의해서 수직으로 고정링(10)과 일체로 연결 고정된 삽입관(11);
    삽입관(11)의 요입실(11a)에 차례로 내장되는 코일스프링(9) 및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삽입관(11) 하부에 탄력 지지되게 내장되는 스핀들(8);
    스핀들(8)의 상단에 밸브(4)의 하부로 형성된 나사관(41)에 나사 결합되게 형성된 나사봉(81);
    스핀들(8)의 일측에 삽입관(11)의 나사공(11c)에 나사 결합된 볼트(12)의 내측단이 걸림 지지되게 요입 형성된 수직키홈(82);
    밸브(4) 하부측 전체를 둘러씌울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 돌환부(71)가 형성되어 밸브(4)가 밸브시트(3)의 배수공(31)을 폐쇄할 시 밀폐 차단되도록 구성된 패킹커버(7);
    내통체(21) 내측 하방에 고정나사공(13a)가 하향되게 형성되면서 고정레버(13b)에 의해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된 고정구(13);
    고정구(13)의 고정나사공(13a)에 상단이 고정 결합되게 구성된 고정볼트(16);
    고정볼트(16)의 하단에 스프링(17)으로 탄력 지지되게 결합되어 배수하중에 따라서 고정볼트(16)를 타고 승강되면서 배수가 중단될 시 하측 배수구(40)를 항상 막음상태로 유지토록 구성된 삿갓형상을 갖는 연질수지제의 씰커버(14);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1020170048123A 2017-04-13 2017-04-13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10194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23A KR101944377B1 (ko) 2017-04-13 2017-04-13 세면대용 배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23A KR101944377B1 (ko) 2017-04-13 2017-04-13 세면대용 배수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89A KR20180115589A (ko) 2018-10-23
KR101944377B1 true KR101944377B1 (ko) 2019-02-01

Family

ID=6410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123A KR101944377B1 (ko) 2017-04-13 2017-04-13 세면대용 배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261B1 (ko) * 2021-03-05 2021-12-02 다로스 주식회사 상부 시공형 주방수전
CN114159662B (zh) * 2021-11-01 2024-02-02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麻醉机新鲜气体的输出切换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0Y1 (ko) * 2001-07-06 2001-12-24 양재호 배수트랩
US20050060796A1 (en) 2003-09-19 2005-03-24 Sang-Ik Cho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a drain valve in a washsta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084Y1 (ko) 2002-05-23 2002-08-21 윤재경 세면기용 배수밸브
KR100758581B1 (ko) * 2005-07-06 2007-09-13 백기호 하수 악취차단장치
KR101162105B1 (ko) * 2009-06-18 2012-07-04 (주)도원드레인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130122061A (ko) * 2012-04-30 2013-11-07 권태원 배수트랩
KR101757418B1 (ko) * 2015-08-25 2017-07-12 주식회사 디아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0Y1 (ko) * 2001-07-06 2001-12-24 양재호 배수트랩
US20050060796A1 (en) 2003-09-19 2005-03-24 Sang-Ik Cho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a drain valve in a wash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589A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377B1 (ko)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KR20080001524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162105B1 (ko)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1058890B1 (ko) 배수트랩
KR101545314B1 (ko)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KR20100121385A (ko) 배수구 마개
KR100678385B1 (ko)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101391478B1 (ko) 원터치 팝업식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178011B1 (ko) 배수트랩
CN202081476U (zh) 防臭疏水阀及相应地漏
KR101121930B1 (ko)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WO2006102662A1 (en) Offset grid drain and drain closure mechanism
KR20130122061A (ko) 배수트랩
CN213805673U (zh) 一种可快速安装的防臭防渗漏排水器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EP3507427B1 (en) Shower drain fitting
KR20110026848A (ko)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KR100960590B1 (ko) 배수구 개폐장치
KR200395729Y1 (ko) 악취방지용 배수유가
CN213572212U (zh)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CN210177616U (zh) 一种具有防虫防臭功能的盥洗面盆排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