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590B1 -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590B1
KR100960590B1 KR1020080073529A KR20080073529A KR100960590B1 KR 100960590 B1 KR100960590 B1 KR 100960590B1 KR 1020080073529 A KR1020080073529 A KR 1020080073529A KR 20080073529 A KR20080073529 A KR 20080073529A KR 100960590 B1 KR100960590 B1 KR 10096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housing member
drai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236A (ko
Inventor
윤완중
Original Assignee
조용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윤 filed Critical 조용윤
Priority to KR102008007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5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에 원터치로 작동하는 개폐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덮개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를 개방하고 폐쇄하여 배수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배수구를 폐쇄하여 배수구에서 악취 등이 발생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되는 걸림부재; 상기 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걸림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상기 하우징부재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왕복 이동시키는 덮개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73529
배수구, 배수구 덮개, 개폐장치, 싱크대

Description

배수구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F DRAINPIPE}
본 발명은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에 원터치로 작동하는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덮개를 누름에 따라 배수구를 개방하고 폐쇄하여 배수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배수구를 폐쇄하여 배수구에서 발생된 악취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욕조, 싱크대 등 각종의 수조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배수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배수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할 때 마개를 열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 것으로서, 배수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간단한 구조의 원판형 마개가 사용되기도 하나 사용자가 수중에 잠겨 있는 마개를 열고, 마개를 배수구 주변에 아무렇게나 던져 놓아 마개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 다.
이와 같이 마개를 분실하면 배수구를 개방된 상태로 놔두게 되는데, 이렇게 배수구가 항상 개방되면 배수구의 내부를 흐르는 하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이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되면서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은 각종 해충의 먹이가 되어 배수구 내에서 번식된 해충들이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물을 수용하여 사용하는 욕실, 싱크대, 세면대 등의 수조에 있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덮개가 배수구 개폐장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배수구를 개폐함으로써, 덮개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욕실, 세면대, 싱크대 등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배수구를 폐쇄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수구 밑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저장부에 담겨지는 유체가 배수되는 배수구의 가장자리에 걸리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어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걸림부까지 덮어서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 작동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홈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저장부에 담겨지는 유체가 배수되는 배수구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우징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에 상기 하우징부재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고정부재와,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걸림부까지 덮어서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 작동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홈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의 아래쪽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배수구와 걸림부재 사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재 또는 상기 배수구에 제1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단에 걸림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관통공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부에 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에는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고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에는 상기 덮개 작동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고정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에는 유체가 배수될 때 와류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유체배수 안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주에는 유체의 배수를 가속하는 유체배수 가속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배수 가속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주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설치부에 설치부재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와 상기 덮개 사이로 배수구 아래쪽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에 제2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덮개의 끼움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덮개 작동부재는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에 고정되는 승강안내부재와, 상기 승강안내부재와 승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부재가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승강안내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및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왕복이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부재를 정지시키는 캠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단에 상기 덮개의 고정홈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에는 상기 스톱퍼가 끼워져 왕복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안내부재는 하단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재의 고정홈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작동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캠돌부와, 상기 캠돌부에 하트형상의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캠홈과, 상기 캠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캠고리부재 및 상기 캠고리부재를 고정하는 캠고리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될 때 상기 캠고리부재가 걸림되는 상측걸림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될 때 상기 캠고리부재가 걸림되는 하측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모아 놓고 사용하는 세면대, 싱크대, 욕실 등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수조나 기타 유체를 담을 수 있는 유체저장부에 구비되는 배수구에 덮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원터치로 덮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세면대, 욕실, 싱크대 등에 수용된 물을 원터치의 작동으로 물을 배수할 수 있어 편리할 뿐 아니라, 덮개가 배수구 개폐장치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저장부에 유체가 담겨져 있지 않을 경우 즉, 유체저장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덮개로 배수구를 폐쇄시켜 놓을 수 있으므로 배수구를 통해 배수구 아래쪽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대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하우징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덮개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재를 분해하여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서 덮개 작동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가 열리고 닫히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10)는, 걸림부재(100)에 설치되는 하우징부재(200), 하우징 고정부재(300), 덮개(400), 덮개 작동부재(500)로 크게 구성된다.
걸림부재(100)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부(15)에 구비되는 배수구(20)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리고, 하우징부재(200)가 끼워지는 관통공(101)이 형성된다.
걸림부재(100)는 유체저장부(15)의 배수구(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안착홈부(22)에 걸림되어 유체저장부(15)의 바닥과 걸림부재(100)가 같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100)의 둘레 또는 배수구(20)의 안착홈부(22) 내주에는 오링고정홈(10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링고정홈(102)에 탄성을 갖는 제1실링부재(110)가 고정되어 걸림부재(100)와 배수구(20) 사이로 배수구(20) 내측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우징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단에 걸림부(202)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부재(200)는 걸림부재(100)의 관통공(101)에 끼워져서,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202)가 관통공(101)의 가장자리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걸림부재(100)의 관통공(101) 가장자리에는 걸림부재(100)의 상면보다 낮게 걸림턱부(103)가 형성되어, 걸림턱부(103)에 하우징부재(200)의 걸림부(202)가 걸림되어, 하우징부재(200)의 걸림부(202) 상면과 걸림부재(100)의 상면이 같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하우징부재(200)는 도 3과 같이 중앙으로 가로질러 고정리브(204)가 형성되고, 고정리브(204)에는 덮개 작동부재(500)가 고정되는 고정구멍(206)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일실시예에서는 고정리브(204)가 하우징부재(200)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하우징부재(200)의 상하 관통된 내주의 어느 곳에 형성되어도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고정구멍(206)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 작동부재(500)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된다.
하우징부재(200)의 내주에는 배수되는 유체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의 유체 배수 안내부(210)가 구비된다.
이 유체 배수 안내부(210)는 하우징부재(200)의 내주에 유체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배수되는 유체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가속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유체 배수 안내부(210)는 하우징부재(200)의 내주에 움푹패인 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별도의 하우징 고정부재(300)가 끼워져 걸림부재(100)의 관통공(101)에 끼워진 하우징부재(200)가 유동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는 하우징 고정부재(30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208)이 형성된다. 즉, 하우징 고정부재(300)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재(200)와 하우징 고정부재(300) 사이에는 별도의 와셔(30)가 끼워져 하우징 고정부재(300)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덮개부재(400)는 캡부재(402), 고정홈(404), 끼움부(406), 제2실링부재(410)로 크게 구성된다.
캡부재(402)는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것으로, 그 저면 가장자리가 하우징부재(200)의 걸림부(202)와 걸림부재(100)의 상면까지 덮도록 형성된다.
캡부재(402)의 밑면 중앙부에는 덮개 작동부재(500)가 고정되는 고정홈(404) 이 형성되고, 이 고정홈(404)의 내주에는 덮개 작동부재(500)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4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부재(402)의 밑면에는 하우징부재(200)의 상단 내주면에 끼워지는 끼움부(406)가 돌출 형성된다.
끼움부(406)에는 끼움홈(408)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408)에는 별도의 제2실링부재(410)가 끼워져 고정된다.
제2실링부재(410)는 끼움부(406)의 둘레면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부재(200)의 상단 내주면에 밀착되어 하우징부재(200)와 덮개(400) 사이로 배수구(2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덮개 작동부재(500)는 승강부재(510), 탄성부재(530), 승강안내부재(540), 캠작동부재(550), 스톱퍼(570)로 크게 구성된다.
승강부재(510)는 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상단에 캡부재(402)의 고정홈(404)에 고정되는 고정돌부(5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고정돌부(511)의 외주에는 고정홈(404)의 나사산(40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511a)이 형성된다.
승강부재(510)의 측면에는 상단에서 아랫방향으로 일정높이와 일정깊이로 가이드홈(513)이 형성된다.
승강부재(510)의 하단에는 캠부재(550)가 걸림 고정되어 왕복이동되는 캠부(515)가 형성된다.
이 캠부(515)에는 캠부재(550)가 걸림 고정되는 일정깊이의 캠홈(516)이 형성된다.
캠홈(516)은 캠부재(550)가 승강부재(5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캠홈(516)의 상부와 하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걸림부(516a)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하측걸림부(516b)가 형성된다.
승강안내부재(540)는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구되고 하면에는 캠부재(550)가 고정되는 고정구멍(541)이 형성된다.
승강안내부재(540)는 그 외주 둘레를 따라 걸림돌부(542)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돌부(542)는 승강안내부재(540)가 하우징부재(200)의 고정구멍(206)에 끼워져 고정될 때, 고정구멍(206)의 윗면 가장자리에 걸림되는 구성이다.
승강안내부재(540)는 걸림돌부(542)의 아래쪽의 외주에 나사산(543)이 형성되어, 하우징부재(200)의 고정구멍(206)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530)는 승강안내부재(540)의 내측에 끼워져서 하단이 승강안내부재(540)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단은 승강부재(510)의 하단을 탄력 지지하는 구성이다.
스톱퍼(570)는 승강안내부재(540)의 상단에 관통되어 승강안내부재(54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승강부재(510)의 가이드홈(513)에 끼워져, 가이드홈(513)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구성이다.
캠작동부재(550)는 승강부재(51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캠돌부(515)와, 이 캠돌부(515)에 일정깊이의 하트형상으로 형성되는 캠홈(516)과, 캠홈(516)에 끼워져 이동되는 캠고리부재(551)와, 캠고리부재(551)를 고정하는 캠고리 고정부재(552)를 포함한다.
캠돌부(515)는 승강부재(5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되 캠홈(516)이 형성되는 면은 캠홈(516)에 가이드되는 캠고리부재(551)가 캠홈(5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홈(516)은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중앙에는 승강부재(510)가 하강될 때 캠고리부재(551)가 걸림되는 상측걸림부(516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승강부재(510)가 상승될 때 캠고리부재(551)가 걸림되는 하측걸림부(516b)가 형성된다.
캠고리부재(551)는 그 상부가 캠홈(516)에 끼워지고, 상측 및 하측걸림부(516a)(516b)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하단은 승강안내부재(540)의 하면을 관통하여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캠고리 고정부재(552)에 고정된다.
덮개 작동부재(500)에서 승강안내부재(540)의 내측에 탄성부재(53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끼워진 승강부재(510)가 위쪽으로 이동된 상태 즉, 도 5와 같이 캠고리부재(551)의 상단이 캠홈(516)의 하측 걸림부(516b)에 위치되었을 때, 승강부재(51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승강부재(510)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캠고리부재(551)의 상단이 도 6과 같이 캠홈(516)을 따라 상승하여, 캠홈(516)의 상측 걸림부(516a)에 걸림되고 승강부재(510)는 하강된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이렇게 도 6과 같이, 승강부재(510)가 하강된 상태에서 다시 승강부재(510)의 상단을 가압하여 누르면, 상측걸림부(516a)에 있는 캠고리부재(551)가 캠홈(516)을 따라 이동되어 캠홈(516)의 하측걸림부(516b)에 걸림되면서 승강부재(510)는 상승된 상태로 멈추게 된다.
또한,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는 유체의 배수를 가속하는 유체배수 가속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유체배수 가속부재(600)는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610)와, 결합부재(610)의 하단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설치부(620)에 설치부재(630)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640)로 구성된다.
결합부재(610)는 상단과 하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내주 상단에는 하우징부재(200)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부재(610)의 하단에는 그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부(6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결합부재(610)는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결합될 때,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하단에서 일정높이로 수직방향의 끼움홈을 적어도 2개이상 형성하고, 이 끼움홈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후에, 결합부재(610)의 외주에 상기 끼움홈과 걸림홈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회동부재(640)는 설치부(620)에 설치부재(630)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로펠러인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유체저장부(15)에 담겨지는 유체가 배수되는 배수구(20)의 가장자리에 걸리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는 하우징부재(200')와,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개 폐하는 덮개(400) 및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덮개(400)를 이동시키는 덮개 작동부재(5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재(200')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일실시예의 걸림부재(100)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재(200)에서 걸림부재(100)가 하우징부재(200)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하우징부재(200')는 유체저장부(15)에 구비되는 배수구(2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안착홈부(22)에 걸림되는 걸림부재(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하우징부재(200')에는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고정리브(204)가 형성되고, 이 고정리브(204)에는 덮개 작동부재(500)가 고정되는 고정구멍(206)이 형성된다.
하우징부재(200')의 내주에는 배수되는 유체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의 유체 배수 안내부(210)가 구비된다.
이 유체 배수 안내부(210)는 하우징부재(200')의 내주에 유체 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배수되는 유체가 와류를 일으키면서 가속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유체 배수 안내부(210)는 하우징부재(200')의 내주에 움푹패인 안내홈으로 구성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고정구멍(206)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이 고정구멍(206)에 덮개 작동부재(500)가 나사 결합된다.
덮개(400)와 덮개 작동부재(500)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일실시예에서의 덮개(400)와 덮개 작동부재(500)와 같은 구성으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 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는 유체의 배수를 가속하는 유체배수 가속부재(600)가 더 구비된다.
유체배수 가속부재(600)는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610)와, 결합부재(610)의 하단 중앙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설치부(620)에 설치부재(630)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640)로 구성된다.
결합부재(610)는 상단과 하단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내주 상단에는 하우징부재(200')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부재(610)의 하단에는 그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부(6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결합부재(610)는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결합될 때,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하단에서 일정높이로 수직방향의 끼움홈을 적어도 2개이상 형성하고, 이 끼움홈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후에, 결합부재(610)의 외주에 상기 끼움홈과 걸림홈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회동부재(640)는 설치부(620)에 설치부재(630)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프로펠러인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구 개폐장치는 각 부품들을 조립한 후에 배수구에 설치해야 하는데, 먼저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걸림부재(100)의 관통공(101)에 하우징부재(200)를 끼워서 걸림부재(100)의 걸림턱부(102)에 하우징부재(200)의 걸림부(202)를 안착시킨다.
이후에,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와셔(30)를 끼워 걸림부재(100)의 저면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하우징부재(200)의 아래쪽에서 하우징 고정부재(300)를 끼우고, 하우징부재(20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208)에 나사 결합시켜서 하우징 고정부재(300)를 와셔(30)의 저면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걸림부재(100)에 하우징부재(200)가 고정되면, 하우징부재(200)에 덮개작동부재(500)를 고정하게 된다.
승강안내부재(540)의 하단에 캠고리부재(551)를 고리 고정부재(552)로 고정한 후에, 승강안내부재(540)에 탄성부재(530)를 집어넣고, 승강안내부재(540)의 외주 상단부에 스톱퍼(570)를 고정시켜 놓는다.
그런 다음, 승강안내부재(540)의 위쪽에서 승강부재(510)를 승강안내부재(540)의 내주에 끼워 넣게 되는데, 이때 승강부재(510)를 가압하여 승강부재(510)의 하단에 형성된 캠돌부(515)의 캠홈(516)에 캠고리부재(551)를 걸림시켜서 덮개 작동부재(500)의 고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 작동부재(500)가 조립되면, 덮개 작동부재(500)의 상단 즉, 승강부재(510)의 고정돌부(511)를 덮개(400)의 고정홈(404)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시킨다.
승강부재(510)의 고정돌부(511)에 덮개(400)를 고정하기 전에 먼저 캡부 재(402)의 끼움홈(408)에 제2실링부재(410)를 끼워 고정한다. 또한, 걸림부재(100)의 외주에 형성된 오링고정홈(102)에 제1실링부재(110)를 끼워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배수구 개폐장치(10)의 모든 부품의 조립이 완료되면, 배수구(20)에 거름망(24)이 끼워진 상태에서, 배수구(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홈부(22)에 걸림부재(1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면서 배수구(20)에 배수구 개폐장치(10)가 설치된다.
도 7과 도 8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가 싱크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10)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싱크대에 도 7과 같이 물이 담겨져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고 난 뒤에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배수구 개폐장치(10)의 덮개(400)를 손으로 툭 눌러준다.
덮개(40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 작동부재(500)에 의해 위로 상승되면서 막고 있던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면, 싱크대에 담겨져 있던 물이 도 8과 같이, 덮개(400)와 하우징부재(200)의 상단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들어가 하우징부재(200)의 내주를 통하여, 하우징부재(200)의 하면을 지나 배수구(20)의 밑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렇게 물을 다 배출시키고 난 뒤에 싱크대에 물을 다시 채우거나 싱크대를 사용하지 않고 덮개(400)를 닫아 놓기 위해서 사용자는 덮개(400)를 다시 툭 눌러준다.
덮개(400)는 덮개 작동부재(500)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여,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덮개(400)에 의해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되면, 사용자는 싱크대에 다시 물을 채워서 물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싱크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덮개(400)로 하우징부재(20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시켜서 배수구(20) 아래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로 인해 발생되는 냄새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의 배수구 뿐 아니라 기름 등의 유체 등이 담겨지는 유체 저장부의 배출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서 하우징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서 작동부재를 보인 부분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동부재에서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동부재에서 승강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어, 덮개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어, 덮개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구 개폐장치 20 : 배수구
22 : 안착홈부 24 : 거름망
100 : 걸림부재 110 : 제1실링부재
200,200'; 하우징부재 204 : 고정리브
300 : 하우징고정부재 400 : 덮개
402 : 캡부재 404 ; 고정홈
405 : 나사산 406 : 끼움부
408 : 끼움홈 410 : 제2실링부재
500 : 덮개 작동부재 510 : 승강부재
530 : 탄성부재 540 : 승강안내부재
550 : 캠작동부재

Claims (12)

  1. 유체저장부에 담겨지는 유체가 배수되는 배수구의 가장자리에 걸리고,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어 하우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걸림부까지 덮어서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 작동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홈;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2. 유체저장부에 담겨지는 유체가 배수되는 배수구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우징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상기 하우징부재를 고정시키는 하우징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걸림부까지 덮어서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 작동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홈; 및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의 아래쪽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배수구와 걸림부재 사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부재 또는 상기 배수구에 제1실링부재가 더 구 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단에 걸림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관통공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부에 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에는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고정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리브에는 상기 덮개 작동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고정부재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주에는 유체가 배수될 때 와류를 형성하는 나선형의 유체배수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주에는 유체의 배수를 가속하는 유체배수 가속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수 가속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외주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설치부에 설치부재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와 상기 덮개 사이로 배수구 아래쪽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새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에 제2실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덮개의 끼움부에 형성되는 끼움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작동부재는,
    상기 덮개에 고정되는 승강부재;
    상기 하우징부재에 고정되는 승강안내부재;
    상기 승강안내부재와 승강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탄성부재의 탄력에 의해 상기 승강안내부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 및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왕복이동시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부재를 정지시키는 캠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단에 상기 덮개의 고정홈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에는 상기 스톱퍼가 끼워져 왕복이동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안내부재는 하단부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재의 고정홈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캠작동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캠돌부;
    상기 캠돌부에 하트형상의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캠홈;
    상기 캠홈에 끼워져 이동되는 캠고리부재; 및
    상기 캠고리부재를 고정하는 캠고리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캠홈의 상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될 때 상기 캠고리부재가 걸림되는 상측걸림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될 때 상기 캠고리부재가 걸림되는 하측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개폐장치.
KR1020080073529A 2008-07-28 2008-07-28 배수구 개폐장치 KR10096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529A KR100960590B1 (ko) 2008-07-28 2008-07-28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529A KR100960590B1 (ko) 2008-07-28 2008-07-28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236A KR20100012236A (ko) 2010-02-08
KR100960590B1 true KR100960590B1 (ko) 2010-06-07

Family

ID=4208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529A KR100960590B1 (ko) 2008-07-28 2008-07-28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883B1 (ko) * 2011-11-28 2014-08-06 박창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IL262451B (en) 2018-10-17 2019-12-31 Squall E M T Ltd Waste disposer with embedded sprinkle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729Y1 (ko) * 2005-06-20 2005-09-13 홍종철 악취방지용 배수유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729Y1 (ko) * 2005-06-20 2005-09-13 홍종철 악취방지용 배수유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236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524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2075928B1 (ko)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
KR100960590B1 (ko)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KR20120044706A (ko) 배수구 개폐장치
KR101256571B1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JP2010053508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1576421B1 (ko) 이물질 필터링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세면대 하수관 어셈블리
KR101629916B1 (ko)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KR102087067B1 (ko) 세면대용 팝업밸브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100758544B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0367229B1 (ko) 수세식 변기의 보조 급수조
KR200333071Y1 (ko) 싱크대용 개수통
JP527088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20130064098A (ko) 세면기 팝업밸브에 부착 사용되는 스트레이너 캡
KR102309830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CN220598605U (zh) 一种防臭菜盆下水器
JP2007192008A (ja) 排水装置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20009377A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0991280B1 (ko) 배수장치
KR200457301Y1 (ko) 소변기용 탈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