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830B1 -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30B1
KR102309830B1 KR1020200043841A KR20200043841A KR102309830B1 KR 102309830 B1 KR102309830 B1 KR 102309830B1 KR 1020200043841 A KR1020200043841 A KR 1020200043841A KR 20200043841 A KR20200043841 A KR 20200043841A KR 102309830 B1 KR102309830 B1 KR 10230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residual
sew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섭 filed Critical 유인섭
Priority to KR102020004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되는 하수에 의해 부러시가 회전하며 내부의 이물질을 청소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은, 상하로 관통된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단에 배수공을 형성한 배수통이 하부로 돌출된 배수 유도구; 배수 유도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배수통이 일부 삽입되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를 일부 저장하며 월류시키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부력실을 형성한 배수 잔류통; 배수 잔류통에 저장된 하수가 증발되면 배수 잔류통을 승강시켜 배수공을 차단시키는 스프링; 배수 잔류통 둘레에 사선으로 다수 설치되는 날개; 및 배수 잔류통에 다수 설치되는 부러시;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은 배수되는 하수에 의해 배수 잔류통이 자동으로 회전하고, 회전하는 배수 잔류통에 구비된 부러시가 주변을 청소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배수되는 하수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배수되므로 배수구의 용적대비 신속하게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Drain trap}
본 발명은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되는 하수에 의해 부러시가 회전하며 내부의 이물질을 청소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공동주택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는 배출되는 각종 하수를 집수 처리할 수 있도록 바닥의 배수관을 통해 집수조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관에는 생활 주변의 화장실, 욕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물과 오물이 함께 내려감으로써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것이 배수트랩이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관의 직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통결합구가 천공된 배수트랩 본체와, 이 배수트랩 본체의 통결합구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부에 일정 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는 배수 잔류통과, 배수트랩 본체의 통결합구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는 배수 잔류통 내부 공간에 이격되게 수용되는 배수 유도통과, 배수트랩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전역에 걸쳐 배수홀이 천공된 거름 커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물은 거름 커버의 배수 홀들을 통해 배수트랩 본체 중앙부로 모이면서 배수 유도통을 경유하며, 계속하여 배수 잔류통의 벽면에 천공된 배수창을 통해 배수관으로 빠져나간다. 배수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은 거름 커버에서 1차로 걸러지고 배수 유도통과 배수 잔류통 내부에서도 걸러진다. 그리고 배수 잔류통 바닥에는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배수 유도통 하단이 항상 잠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배수관으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수트랩 구조에서는 배수 잔류통에 잔류하던 하수가 증발하게 되면 배수관의 냄새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배수 잔류통은 실내와 직접 연통되기 때문에 장기간 집을 비워 화장실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으면 배수 잔류통 바닥의 잔류 하수가 증발하게 되며, 하수가 증발된 배수 잔류통은 배수관과 실내를 직접 연통시켜 에어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수관의 역한 악취가 배수 잔류통과 배수 유도통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악취뿐만 아니라 해충까지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배수트랩이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제10-2075928호로 등록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단에 배수공(22)을 형성한 배수통(21)이 하부로 돌출된 배수 유도구(20); 상기 배수 유도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배수통(21)이 일부 삽입되며, 배수공(22)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를 일부 저장하며 월류시키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부력실(34)을 형성한 배수 잔류통(30); 및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가 증발되면 배수 잔류통(30)을 승강시켜 배수공(22)을 차단시키는 스프링(40); 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 잔류통(30)은 하부로 개구된 수직의 실린더(33)를 구비하고, 하우징(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직 돌출되어 실린더(33)에 삽입되는 지지봉(14)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40)은 실린더(33)와 지지봉(14) 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수 잔류통에 저장되는 하수에 배수 유도구 하단이 잠김으로써 악취를 차단하고 특히, 배수 잔류통에 내용물이 없을 시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하는 구조이므로 배수 잔류통의 하수가 증발하더라도 배수 잔류통이 승강하여 배수 유도구의 배수공을 차단함으로써 악취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하수에 섞인 이물질 들이 점차 달라붙어 고착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고착화되는 이물질에 의해 배수 잔류통의 승하강이 부자연스럽거나 작동이 안됨으로써 그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착화된 이물질에 의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물질이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6016호(2000.08.16) KR 등록특허공보 제10-2075928호(2020.02.05)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배수 잔류통에 부러시를 설치하고, 배수되는 하수에 의해 배수 잔류통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이와 함께 부러시가 회전하며 주변을 청소하도록 하는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은,
상하로 관통된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단에 배수공을 형성한 배수통이 하부로 돌출된 배수 유도구;
배수 유도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배수통이 일부 삽입되며,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를 일부 저장하며 월류시키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부력실을 형성한 배수 잔류통;
배수 잔류통에 저장된 하수가 증발되면 배수 잔류통을 승강시켜 배수공을 차단시키는 스프링;
배수 잔류통 둘레에 사선으로 다수 설치되는 날개; 및
배수 잔류통에 다수 설치되는 부러시;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 잔류통은 하부로 개구된 수직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직 돌출되어 실린더에 삽입되는 지지봉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실린더와 지지봉 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수평의 지지판을 형성하고, 지지판의 중앙에 지지봉을 형성하되, 지지판은 다수의 배수홈을 관통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에는 같은 극끼리 마주보는 한쌍의 자석을 설치하고, 상부의 자석에 스프링이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은 배수되는 하수에 의해 배수 잔류통이 자동으로 회전하고, 회전하는 배수 잔류통에 구비된 부러시가 주변을 청소함으로써 이물질이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고, 배수되는 하수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배수되므로 배수구의 용적대비 신속하게 배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의 배수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이 패쇄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의 배수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이 패쇄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은 상하로 관통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단에 배수공(22)을 형성한 배수통(21)이 하부로 돌출된 배수 유도구(20); 상기 배수 유도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배수통(21)이 일부 삽입되며, 배수공(22)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를 일부 저장하며 월류시키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부력실(34)을 하부에 형성한 배수 잔류통(30); 상기 배수 잔류통(30) 둘레에 사선으로 다수 설치되는 날개(36); 상기 배수 잔류통(30)에 다수 설치되는 부러시(37); 및 상기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가 증발되면 배수 잔류통(30)을 승강시켜 배수공(22)을 차단시키는 스프링(40); 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로 관통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어 배수되는 하수를 정해진 장소로 안내한다. 하우징(10)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제1 단턱(11)과 제2 단턱(12)이 형성된다. 제1 단턱(11)은 판 형상의 커버(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50)는 다수의 작은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수만 하우징(10)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50)는 제1 단턱(11)에 단순 안착된다. 상기 제2 단턱(12)은 배수 유도구(20)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 유도구(20)는 하우징(10)의 제2 단턱(12)에 안착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배수통(21)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배수통(21)의 하단에는 상부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하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공(22)이 형성된다. 또한, 배수통(21)의 상단을 완전 개방시킬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하면서 다수의 구멍을 관통 형성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턱(12)에는 'ㄴ' 모양의 걸림홈(13)을 두 개 이상 형성하고, 배수 유도구(20)의 가장자리에 걸림홈(13)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끼움돌부(23)를 형성한다. 따라서 배수 유도구(20)를 제2 단턱(12)에 안착시키되 걸림홈(13)에 끼움돌부(23)를 일치시킨 상태로 안착시킨 후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홈(13)에 끼움돌부(23)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수 유도구(2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된다.
물론, 상기 배수 유도구(20)의 상부 가장자리에 수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고 제2 단턱(12)에는 암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여 서로 나선 체결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배수 유도구(20)는 그 상면에 다수의 파지편(24)을 수직으로 상향 돌출 형성하여 손가락을 이용해 배수 유도구(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 잔류통(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 유도구(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배수 잔류통(30)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 유도구(20)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를 일부 저장하며 나머지 하수는 개방된 상부로 월류시켜 배수시킨다. 이러한 배수 잔류통(30)의 내부로 배수 유도구(20)의 배수통(21)이 일부 삽입되어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에 배수통(21)의 배수공(22)이 잠기면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배수 잔류통(30)은 하우징(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하수의 원할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 잔류통(30)의 바닥에는 고무재질의 패드(32)를 설치하여 배수공(22)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수 잔류통(30)은 하우징(10) 내에서 승하강 하는 것으로, 그 하부에 스프링(40)을 설치하여 저장되는 하수에 의해 중량이 증가하면 하강하고,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가 증발하면 스프링(40)에 의해 승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배수 잔류통(30)의 중앙에는 하부로 개방된 실린더(33)를 형성하고, 하우징(10)의 하부 중앙에 지지봉(14)을 상향 돌출시켜 실린더(33)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봉(14)은 하우징(10)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5)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지지판(15)에는 다수의 배수홈(16)을 형성하여 배수 잔류통(30)을 월류하는 하수가 이 배수홈(16)을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14)의 상부는 실린더(33)에 삽입됨으로써 배수 잔류통(30)은 하우징(10)의 중심에서 승하강 하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30)의 내부에 스프링(40)이 설치된다. 즉, 실린더(30)의 상단과 지지봉(14)의 상단 사이에 스프링(40)을 설치하여 배수 잔류통(30)의 하수가 증발되면 점차 배수 잔류통(30)을 승강시켜 배수 잔류통(30)의 바닥이 배수 유도구(20)의 배수공(22)에 밀착되어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0)은 실린더(30) 내에 설치되므로 유입되는 머리카락 등이 엉기지 않아 스프링(40)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0)의 탄성계수는 배수 잔류통(30)에 하수가 저장되면 배수 유도통(20)이 하강하고 하수가 증발되면 배수 유도통(20)이 승강하도록 설계되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배수 잔류통(30)은 그 하부에 부력실(34)이 형성된다. 상기 부력실(34)은 상단과 측면이 막히고 하부만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부력실(34)은 하부만 개방됨으로써 하수 역류시 부력실(34)에 공기가 채워지고 채워진 공기에 의해 배수 잔류통(30)은 부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 잔류통(30)이 부상할 경우 배수 잔류통(30)의 바닥이 배수공(22)에 밀착되어 배수공(22)을 차단함으로써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실(34)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배수 잔류통(30) 둘레에 다수의 날개(36)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다. 날개(36)는 사선으로 형성하여 배수되는 하수에 의해 배수 잔류통(30)은 회전한다. 그리고 배수 잔류통(30)의 하부에는 부러시(37)를 설치하여 배수 잔류통(30)이 회전하면서 부러시(37)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청소한다. 여기서 부러시(37)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러시(37)는 측면에 구비하여 하우징의 측면도 청소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의 상부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면 커버(50)의 관통공(51)을 통과하여 배수 유도구(20) 및 배수 잔류통(30)을 거쳐 배수 잔류통(30)의 요홈(31) 및 배수홈(16)을 통과하여 배수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하수와 함께 유입되려는 큰 이물질은 하우징(10)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50)에 의해 유입되지 않고 하수만 커버(50)의 관통공(51)을 통과하여 유입된다.
유입된 하수는 배수 유도구(20)의 배수통(21)에 모였다가 하부의 배수공(22)을 통해 배수되는데, 배수공(22)을 통과한 하수는 배수 잔류통(30)에 담겨진 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월류된다. 이때, 배수 잔류통(30)은 저장된 하수에 의해 무게가 증가하여 하강한다.
배수 잔류통(3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월류한 하수는 자연 낙하하여 지지판(15)의 배수홈(16)을 통과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월류하는 하수는 배수 잔류통(30)의 둘레에 형성된 사선의 날개(36)에 낙하되면서 배수됨에 따라 배수 잔류통(30)은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배수 잔류통(30)에 구비된 부러시(37)는 주변을 닦으면서 회전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배수되는 하수는 날개(36)에 의해 배수 잔류통(30)이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소용돌이를 일으켜 하수구의 용적 대비 신속하게 배수시키게 된다.
하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에 의해 배수 잔류통(30)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며 저장된 하수에 배수 유도구(20)의 배수통(21) 하부 즉, 배수공(22)이 담긴 상태이므로 하우징(10)의 외부와 내부는 연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10) 및 배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만약, 물의 미사용으로 인해 하우징(10)의 상부로부터 하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는 점차 증발하게 된다. 하수가 증발함에 따라 배수 잔류통(30)의 무게도 점차 가벼워지는데,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40)이 가벼워지는 배수 잔류통(30)을 승강시킴으로써 배수 잔류통(30)의 바닥에 구비된 패드(32)는 배수 유도구(20)의 배수공(22)에 밀착되어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배수 잔류통(30)의 실린더(33)는 하우징(10)에 구비된 지지봉(14)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유동 없이 안정된 상태로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한편, 주변의 배수관이 막혀 하우징(10)의 하부로부터 하수가 역류할 경우 배수 잔류통(30)의 하부에 형성된 부력실(34)에 공기가 채워지고 역류하는 하수에 의해 배수 잔류통(30)은 부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상하는 배수 잔류통(30)은 바닥이 배수 유도구(20)의 배수공(22)에 밀착됨으로써 하수가 역류할 수 있는 통로를 차단하여 하수의 역류를 완벽히 차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을 이용하여 부품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더욱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지지봉(14)에는 같은 극끼리 마주보는 한쌍의 자석(M)을 설치하고, 상부의 자석(M)에 스프링(40)이 접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14)의 내부에는 상부고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고, 판 형상의 자석(M) 한 쌍을 삽입하되, 서로 같은 극끼리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자석(M)은 같은 극끼리 마주봄에 따라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마찰이 최소화되어 배수 잔류통(30)의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은 하수구, 싱크대, 세면대, 소변기, 배수트랩 등에 사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 하우징 11 : 제1 단턱 12 : 제2 단턱
13 : 걸림홈 14 : 지지봉 15 : 지지판
16 : 배수홈 20 : 배수 유도구 21 : 배수통
22 : 배수공 23 : 끼움돌부 24 : 파지편
30 : 배수 잔류통 32 : 패드 33 : 실린더
34 : 부력실 36 : 날개 37 : 브러시
40 : 스프링 50 : 커버 51 : 관통공
M : 자석

Claims (5)

  1. 상하로 관통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단에 배수공(22)을 형성한 배수통(21)이 하부로 돌출된 배수 유도구(20); 상기 배수 유도구(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배수통(21)이 일부 삽입되며, 배수공(22)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를 일부 저장하며 월류시키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부력실(34)을 형성한 배수 잔류통(30); 배수 잔류통(30)에 저장된 하수가 증발되면 배수 잔류통(30)을 승강시켜 배수공(22)을 차단시키는 스프링(40); 배수 잔류통(30) 둘레에 사선으로 다수 설치되는 날개(36); 및 배수 잔류통(30)에 다수 설치되는 부러시(37); 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 잔류통(30)은 하부로 개구된 수직의 실린더(33)를 구비하고, 하우징(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수직 돌출되어 실린더(33)에 삽입되는 지지봉(14)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40)은 실린더(33)와 지지봉(14) 간에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봉(14)에는 서로 같은 극끼리 마주보는 한 쌍의 자석(M)을 설치하고, 상부의 자석(M)에 스프링(40)이 얹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하부에 수평의 지지판(15)을 형성하고, 지지판(15)의 중앙에 지지봉(14)을 형성하되, 지지판(15)은 다수의 배수홈(16)을 관통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3841A 2020-04-10 2020-04-10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KR10230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41A KR102309830B1 (ko) 2020-04-10 2020-04-10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841A KR102309830B1 (ko) 2020-04-10 2020-04-10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830B1 true KR102309830B1 (ko) 2021-10-07

Family

ID=7860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841A KR102309830B1 (ko) 2020-04-10 2020-04-10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016U (ko) 1999-01-21 2000-08-16 이종운 악취 역류방지 발코니 임체하수관체
KR20010088510A (ko) * 2001-07-30 2001-09-28 김행웅 배수용 오물제거장치
KR102075928B1 (ko) 2018-11-21 2020-02-11 유인섭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016U (ko) 1999-01-21 2000-08-16 이종운 악취 역류방지 발코니 임체하수관체
KR20010088510A (ko) * 2001-07-30 2001-09-28 김행웅 배수용 오물제거장치
KR102075928B1 (ko) 2018-11-21 2020-02-11 유인섭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928B1 (ko) 악취차단 및 역류방지 장치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20200106629A (ko)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2309830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KR101164091B1 (ko)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233488Y1 (ko) 배수구의 냄새차단장치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CN216865345U (zh) 一种卫生间水循环系统装置
KR20210144306A (ko) 생활 하수용 배수트랩
KR20090117035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20170003206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170003207U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235658Y1 (ko) 부력식 배수트랩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0125273Y1 (ko)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KR20220001826U (ko)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262180Y1 (ko) 하수구 공기 차단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