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273Y1 -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273Y1
KR0125273Y1 KR2019950032300U KR19950032300U KR0125273Y1 KR 0125273 Y1 KR0125273 Y1 KR 0125273Y1 KR 2019950032300 U KR2019950032300 U KR 2019950032300U KR 19950032300 U KR19950032300 U KR 19950032300U KR 0125273 Y1 KR0125273 Y1 KR 0125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over
primary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744U (ko
Inventor
최원태
Original Assignee
최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태 filed Critical 최원태
Priority to KR2019950032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273Y1/ko
Publication of KR970023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에서 역류하는 냄새를 2중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은 높이조절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량의 하수가 배수될 시는 찌꺼기의 배출이 잘 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몸체(1)의 상부에는 망판(16)이 있는 덮개(15)가 끼움 덮힘되고, 몸체(1)의 저면에는 배수구(2)를 형성하여 이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2')에는 저면에 망판(6)과 지지판(5) 및 주면에 망판(4)이 있는 2차차단구(3)가 안치되면서 고임실(7)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상부 내주면에는 안내홈(14)(14')(14)과 걸림홀(13)(13')(13)을 형성하여 1차차단구(8)의 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2)이 끼움 안내되면서 덮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1차차단판(8)에는 깔대기형상의 경사부(8')와 그 하측 배수구(9)에는 경사부(9')를 형성하여 이에 개폐되게한 차단판(10)의 힌지부(10')에는 무게추(11)의 지지간(11')이 연결되어 1차차단구(8)의 배수구(9)내에 비교적 적은 양의 오수가 고여도 자동으로 배수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본 고안은 이중으로 냄새를 차단되게 한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DRAIN)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은 이의 높이의 가감조절이 불가능하고 이의 1차 악취차단장치가 하수관의 측벽에 설치되어있어 소량의 하수가 배수될시는 이의 작동이 되지 않고 누수현상으로 배수되므로 차단판에는 찌꺼기가 고이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몸체의 내부 상주면에 다수의 안내홈과 걸림홈을 형성하여 덮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1차차단구의 차단판은 베란다에서 유입된 배수를 한 곳으로 모아서 하부로 배수되게 한 깔대기 형상의 경사부를 가진 1차차단구의 배출관하단 경사부에 자동개폐 가능하게 추와 힌지를 개재시켜 설치하므로서 적은 양의 하수 배수시에도 이의 개폐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 : 주연부
2 : 배수구 2' : 배출부
2 : 끼움부 3 : 차단구
3' : 경사부 4 : 망판
5 : 지지판 6 : 망판
7 : 고임실 8 : 1차차단구
8' : 경사부 9 : 배수구
9' : 경사부 10 : 차단판
10' : 힌지부 11 : 무게추
11' : 지지간 12 : 걸림턱
13,13',13 : 걸림홈 14,14',14 : 안내홈
15 : 덮개 15' : 끼움부
16 : 망판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상으로 된 몸체(1) 저면에는 돌출부(2')와 하수관 끼움부(2)가 있는 배수구(2)가 형성되고,. 이의 상부에는 주면이 하향 경사부(3')로 되고, 주연부에는 망판(4)이 형성된 2차차단구(3)가 일정높이로 안치되어지게 하고 2차차단구(3)의 저면에는 하주면에 망판(6)이 형성된 지지판(5)을 연설하므로서 물고임실(7)이 형성되며, 몸체(1)의 상주연부(1') 내측에는 안내홈(14)(14')(14)과 연결된 걸림홈(13)(13')(13)을 형성하여 1차차단구(8)의 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2)이 끼움 걸림되어 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1차차단구(8)의 내향 경사부(8') 하단에 형성된 배수구(9)에는 경사부(9')가 되게 하여 이에 접탈되는 차단관(10)의 힌지부(10')에는 무게추(11)의 지지간(11')이 연결되며, 몸체(1)의 상주연(1')에 끼움되게 끼움부(15')가 있는 덮개(15)의 중앙에는 망판(16)이 형성되어진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주로 목욕탕이나 주방 또는 베란다와 같이 완전한 배수가 필요한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으로 사용하는 것인바, 이를 설치할 시는 몸체(1)의 저변에 돌설된 끼움부(2)에는 하수관을 끼움 연결하고 몸체(1)의 상주연(1')에 덮힘된 덮개(15)는 건축물의 바닥면과 일치되게 하면 된다.
이때 건축물의 바닥면이 높거나 낮을 때는 1차차단구(8)을 회동시키면 이의 상주연에 형성된 걸림턱(12)이 안내홈(14)(14')(14) 및 걸림홈(13)(13')(13)에 안내되어 승강되면서 덮개(15)의 위치를 건축물 바닥에 알맞게 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준다.
이와같이 하여 설치한 후 바닥에 있는 오수가 덮개(15)의 망판(16)을 통해 몸체(1)의 내부에 흘러들어가면 1차차단부(8)의 깔대기형상 경사부(8')로 모여지면서 배수구(9) 내부에 고임되어지고, 이때 고임된 오수나 찌꺼기의 무게가 무게추(11)의 무게보다 무겁게 되면 이의 중력에 의해 차단판(10)은 개방됨과 동시 낙하된 오수는 2차차단구(3)로 위로 낙하되며 낙하된 후는 차단판(10)이 자동으로 닫힘되어 냄새의 역류를 방지한다.
이와같이 하여 낙하된 오수는 경사부(3')의 주변에 있는 망판(4)을 통해 고임실(7)내로 유입되고, 고임실(7)에 유입된 오수가 일정량에 달하면 이때에는 배수구(2)의 돌출부(2') 상주연을 넘쳐 흘러서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고임실(7)에 고인 물은 냄새의 역류차단구실을 한다.
그리고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는 덮개(15)를 수거하고, 그 다음에는 1차차단구(8)를 수거하여 청소함과 동시 2차차단구(3)를 수거하면 고임실(7)에 있는 토사나 찌꺼기를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몸체(1)의 내주벽에 다단으로 안내홈(14)(14')과 걸림홈(13)(13')을 형성하여 이에 1차차단구(8)의 걸림턱(12)이 끼움됨으로서 덮개(15)의 높이를 바닥면과 일치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1차차단구(8)에는 하수가 한 곳으로 모이게 한 깔대기 형상인 경사부(8')와 경사단면으로 된 경사부(9')를 가진 배수구(9)를 형성하여 경사부(9') 하단에 힌지부(10')와 무게추(11)가 있는 차단판(10)을 설치하여 개폐되게 함에 있어 비교적 적은 양의 하수가 고임될시에도 이의 개폐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였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몸체(1)의 상부에는 망판(16)을 가진 덮개(15)가 끼움 덮힘되고, 몸체(1)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2)의 돌출부(2') 상측에는 하부에 망판(6)이 있는 지지판(5)을 부착한 2차차단구(3)가 안치되면서 고임실(7)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1)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호(14)(14')(14)과 걸림홈(13)(13')(13)에는 1차차단구(8)의 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2)이 끼움 안내되어 덮개(15)의 높이조절이 가능케 하고, 1차차단구(8)에는 깔대기형상의 경사부(8')와 이의 배수구(9)에는 단면경사부(9')를 형성하고 이에 개폐되게 한 차단판(10)의 힌지부(10')에는 무게추(11)의 지지간(11')이 연결되어진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KR2019950032300U 1995-11-01 1995-11-01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KR0125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300U KR0125273Y1 (ko) 1995-11-01 1995-11-01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300U KR0125273Y1 (ko) 1995-11-01 1995-11-01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744U KR970023744U (ko) 1997-06-20
KR0125273Y1 true KR0125273Y1 (ko) 1998-10-15

Family

ID=1942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300U KR0125273Y1 (ko) 1995-11-01 1995-11-01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2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740B1 (ko) * 2001-10-08 2004-07-15 한국해양연구원 교차형 갑판해수 방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744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0125273Y1 (ko)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JP2003003548A (ja) 排水弁
CN2623753Y (zh) 防非典多用卫生排水地漏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344467Y1 (ko) 배수관의 악취차단용 트랩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19990022650U (ko)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KR200266223Y1 (ko)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KR200352132Y1 (ko) 배수장치
KR100548208B1 (ko) 악취 역류방지 하수구 배수전
KR200282577Y1 (ko) 착탈식 걸름망 구조를 갖는 건축용 수직배수관 이음기구
KR102309830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KR100377636B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414187Y1 (ko) 배수관 차단장치
KR200388672Y1 (ko) 오수 및 하수용 조립식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