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223Y1 -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 Google Patents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223Y1
KR200266223Y1 KR2020010038298U KR20010038298U KR200266223Y1 KR 200266223 Y1 KR200266223 Y1 KR 200266223Y1 KR 2020010038298 U KR2020010038298 U KR 2020010038298U KR 20010038298 U KR20010038298 U KR 20010038298U KR 200266223 Y1 KR200266223 Y1 KR 200266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stewater
water
accumulated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복
Original Assignee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20010038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223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는 이의 수실에 담겨진 폐수를 유출시키는 배수관이 바로 하수관에 연결되어 있어 수실의 마개를 열었을 때는 하수관 내에 고여 있는 가스 등의 악취가 배수관으로 역류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싱크대의 수납실 내에 설치되게 한 몸체(1)의 상부에는 폐수 관 끼움부가 있는 덮개가 나사 결합되고, 몸체(1)의 공실 내에는 물고임실(1-5)과 변좌(1-2) 및 관 끼움부(1-3)를 개재한 배출구(1-1)가 형성되고, 전기한 변좌(1-2)에 안치되는 부구(5)의 저면에는 추(5-1)가 부착되고, 부구(5)의 상반부는 가리개(3)의 내저면에 부착된 안내 망통(4)에 의해 안내되게 하여 고임실(1-5) 내에 고임된 수위에 의해 부구(5)가 부상되면서 배수 및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하고, 가리개(3)의 하주연은 고임실(1-5) 내에 근접되어 고임실(1-5) 내에 고임된 폐수에 잠김 됨에 의해 역류된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하고, 고임실(1-5) 내에 고임된 폐수 찌꺼기는 가리개(3)에서 분산되고, 가속 흐름되는 낙수력에 의해 청소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A nasty smell interceptor of sink units conduiter}
본 고안은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는 이의 수실에 담겨진 폐수를 유출시키는 배수관은 바로 하수관에 연결되고 있어 수실의 마개를 열었을 때는 하수관 내에 고여 있는 가스 등 악취가 배수관으로 역류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다세대 주택에 경우는 주방과 거실이 근접되어 있고, 또한 고층으로 겹쳐져 있어 심각한 환경 공해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몸체의 상부에 폐수 유입관 끼움부가 있는 덮개가 나사 결합되고, 몸체의 저면 중심부에는 폐수 고임실과 변좌 및 관 끼움부를 개재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이에 배출관이 끼움 연결되게 하고, 전기한 변좌의 상부에는 안내 망통을 개재한 가리개가 설치되어지고, 변좌에는 저면에 무게 추가 부착된 부구가 기밀하게 안치되어 고임실 내에 일정량의 폐수가 고이면 부구가 부상되어짐에 따라 폐수는 배출구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하수관에서 역류되는 악취를 변좌와 부구 및 전기한 가리개와 물고임실에 의해 완벽히 차단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1-1. 배출구 1-2. 변좌 1-3. 관 끼움부
1-4. 나사부 1-5. 고임실 2. 덮개 2-1. 관 끼움부
2-2. 나사부 3. 가리개 3-1. 지지간 3-2. 걸림부
4. 안내 망통 4-1. 체결볼트 5. 부구 5-1. 추
6. 유입관 7. 배출관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상주연에 형성된 나사부(1-4)에는 덮개(2)의 하주연에 형성된 나사부(2-2)가 나사 조임되고, 덮개(2)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 끼움부(2-1)에는 유입관(6)이 끼움되고, 몸체(1)의 내저면에 형성된 폐수 고임실(1-5)의 중심부에는 변좌(1-2)와 관 끼움부(1-3)를 개재한 배출구(1-1)가 형성되고, 전기한 변좌(1-2)에 안치되는 부구(5)의 저면에는 무게 추(5-1)가 부착되어 있으되, 이 부구(5)는 가리개(3)의 저면에 체결된 안내 망통(4) 내에서 안내되게 하고, 가리개(3)의 상주면에는 다수의 지지간(3-1)이 연결되어 있으되, 이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3-2)는 몸체(1)의 주연부에 걸림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를 설치할 시는 싱크대의 수납장 저면에 설치한 후 덮개(2)에 형성된 관 끼움부(2-1)에는 싱크대 수실에 부착된 유입관(6)을 연결하고, 배출구(1-1)에는 하수관에 이음된 배출관(7)을 연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사용 할 때는 싱크대의 수실 내에 있는 마개를 열면 이때 배출된 폐수는 유입관(6)을 통해 유입된 후 몸체(1) 내에 설치된 가리개(3)에 낙하된다. 이때, 낙하된 폐수는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고임실(1-5) 내에 가속력을 갖고 낙하되면서 고임실(1-5) 내에 고여 있는 찌꺼기 등을 청소한 상태에서 부구(5)를 부상시킨다. 이때, 부구(5)가 상승되면서 변좌(1-2)가 개방됨에 따라 폐수는 배출구(1-1)와 연결된 배출관(7)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싱크대의 수실의 배수가 끝나면 이때에는 부구(5)는 추(5-1)의 무게에 의해 변좌(1-2)에 접하면서 하수관에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게 되고, 이때 불안전 차단되므로 해서 상승된 악취는 가리개(3)의 하주연에 잠겨져 있는 폐수 고임층에 의해 차단되므로 완벽한 악취 차단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의 수실에서 배수되는 폐수가 몸체(1)의 공실 내에 설치된 가리개(3)의 주면에 확산되면서 가속력을 갖고 고임실(1-5) 내에 고여있는 찌꺼기를 청소한 상태에서 부구(5)를 부상시켜 변좌(1-2)를 개방시켜 배출구(1-1)로 배수되고, 배수가 끝나면 부구(5)의 추(5-1)의 무게에 의해 부구(5)는 변좌(1-2)에 밀접되어 수밀되게 하되, 이때 누설된 악취는 가리개(3)의 하주연에 잠겨져 있는 고임실(1-5) 내에 폐수에 의해 다시 차단되게 하였기 때문에 악취의 완벽한 차단은 물론 고임실(1-5) 내에는 찌꺼기가 침적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주방 문화 향상 및 쾌적한 환경 조성 등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몸체(1)의 상부에는 관 끼움부(2-1)가 있는 덮개(2)가 나사 결합되고, 몸체(1)의 공실 내에는 변좌(1-2)와 관 끼움부(1-3) 및 폐수 고임실(1-5)이 있는 배출구(1-1)가 형성되고, 전기한 변좌(1-2)에 안치되는 부구(5)의 저면에는 추(5-1)가 부착되고, 부구(5)의 상반부는 가리개(3)의 저면에 부착된 안내 망통(4) 내에서 안내되게 하고, 가리개(3)의 하주연부는 전기한 고임실(1-5) 내에 근접되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2020010038298U 2001-12-12 2001-12-12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200266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298U KR200266223Y1 (ko) 2001-12-12 2001-12-12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298U KR200266223Y1 (ko) 2001-12-12 2001-12-12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223Y1 true KR200266223Y1 (ko) 2002-02-27

Family

ID=7311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298U KR200266223Y1 (ko) 2001-12-12 2001-12-12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2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70A (ko) * 2002-08-30 2002-10-30 김주식 공기방취배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170A (ko) * 2002-08-30 2002-10-30 김주식 공기방취배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07358A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10060267A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266223Y1 (ko)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101056506B1 (ko) 씽크대 배수 구조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CN212956789U (zh) 随时拿出清洗的防臭下水器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CN211621821U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CN2486618Y (zh) 具防臭之落水头
KR200352132Y1 (ko) 배수장치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243607Y1 (ko) 씽크대 배수구조에 따른 에스트랩 제어 구조
KR200317103Y1 (ko) 하수구 냄새 차단장치
KR200395244Y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218248Y1 (ko) 집수정
KR0125273Y1 (ko) 건축물 바닥용 드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