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636B1 -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636B1
KR100377636B1 KR10-1999-0044305A KR19990044305A KR100377636B1 KR 100377636 B1 KR100377636 B1 KR 100377636B1 KR 19990044305 A KR19990044305 A KR 19990044305A KR 100377636 B1 KR100377636 B1 KR 100377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pipe
fastened
flow por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027A (ko
Inventor
김갑진
Original Assignee
김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진 filed Critical 김갑진
Priority to KR2019990022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054Y1/ko
Priority to KR10-1999-0044305A priority patent/KR1003776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연결구 본체(1)의 상부에 봉수트랩용 홈(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3)을 체결하고 홈(2)에는 봉수트랩(4)이 설치되어 있는 상하유동구(5)를 체결하며, 유동구(5)의 중앙부에는 하단에 배출공(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관(7)을 삽입하며 고정관(7)의 상부 내측에는 배수관(8)을 고정하는 고정구(9)를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상부배수관과 하부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배수용 봉수캡을 설치하되 그 중앙부에 상하로 작동되는 유동구를 설치하여 상,하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동구를 상하로 작동시켜 간단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흙이나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EXCLUSION METHOD AND THE EQUIPMENT DIFFERENT THING CONNECTION BUILDING WATER PIP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복도나 발코니를 통하여 우수를 폐기할 경우 배수관을 층마다 연결하는 연결구에 흙이나 실 등의 이물질이 유입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연결구에 남아 있게 되는 각종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형성하여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대단위 공장이나 주거지역에서는 각 층마다 물로 청소를하여 배수시킬수 있는 발코니와 같은 면적과 사람이 통행하는 공용면적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발코니나 공용면적을 물로 청소하고 난 후 발생되는 오수 우수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관은 단순히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벌레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봉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바닥면을 물로 청소할 경우 바닥면에 있는 흙과 실등의 각종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흘러 봉수트랩부분에 쌓이게 되므로서 배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물이 배수가 되지 않으므로 청소를 할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이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종래에는 배수관을 고정하고 있는 부분을 교체를 하기 위하여 부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콘크리트를 깨어 배수관을 교체하였으나 작업이 힘들고 어려우며 기존의 콘크리트를 깨었다가 다시 성형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며 이로 인하여 작업이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한편 종래에 사용되어온 발코니용 트랩(실용신안공개 1992-6440호)이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고안은 외벽과 봉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내벽과 삽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체의 통수공이 있는 날개편과 내외벽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체로 구성되는 발코니용 트렙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일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안내편이 돌출되고, 상부에 경사확개부가 형성된 안내관을 하부체의 내벽에 얹어 본체가 내벽에 삽입되게 하고, 상부체를 하부체 위에 앉어 상부체의 내벽이 경사확개부의 돌테내에 삽입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그러나 상기의 트랩은 상부체가 하부체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체결되는 방식으로서 하부체의 내측에 하부관이 체결되고, 상부체에는 상부관이 관통되게 한 다음 안내관에 체결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부체가 관과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됨으로, 상부체나 관이 흔들리거나 유격의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어 장기간이 경과할 경우 상부체가 관에 고정됨으로서 상, 하작동을 못하게 되며, 트랩이 막히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하부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와 트랩의 파손시 상부체를 파손시켜야 함으로서 수리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발코니에 매설된 하부체의 저면에 관을 체결하여 고정 한 다음 하부체의 상측 내부에 안내관을 삽입 하고, 이 상태에서 상부체를 얹은 상태에서 관을 상부체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안내관에 올려지도록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그러나 이 경우 상부체가 관에서 슬라이딩을 할 경우 약간의 유격이 있어야 하며, 이 유격으로 인하여 상부체가 흔들리거나 관이 흔들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 흔들림으로 인하여 상부체와 하부체 및 관의 수명은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또한 상기의 트랩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관과 상부체 사이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유격의 내부에 각종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심할 경우 상부체가 고정되는 단점이 있고, 강제로 상부체를 올리고자 할 경우 관이 파손됨으로서 공사를 크게 발전시키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부배수관과 하부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배수용 봉수캡을 설치하되 그 중앙부에 상하로 작동되는 유동구를 설치하여 상,하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동구를 상하작동시켜 간단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연결구 본체 (2) 봉수트랩용 홈 (3) 고정판
(4) 봉수트랩 (5) 상하유동구 (6) 배출공
(7) 고정관 (8) 배수관 (9) 고정구
(10) 체결공 (11) 배수공 (12) 걸림턱
(13) 체결부
봉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본체(1)의 상부에 봉수트랩용 홈(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3)을 체결하고 홈(2)에는 봉수트랩(4)이 설치되어 있는 상하유동구(5)를 체결하며, 유동구(5)의 중앙부에는 하단에 배출공(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관(7)을 삽입하고, 고정관(7)의 상부 내측에는 배수관(8)을 삽입하여 체결하되 배수관(8)의 하단부에 일측이 절개되고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9)를 체결한 다음 배수관(8)과 고정구(9)를 함께 동시에 삽입함으로써 일측 절개되어 있는 고정구(9)가 고정관(7)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억지끼워맞춤 방식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상하유동구(5)는 하단 저면에 봉수트랩(4)이 형성되고, 상측 중앙부에는 체결공(10)이 형성되며 그 외부에는 배수공(11)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배수관 고정구(9)는 고정구의 상측에 걸림턱(12)이 형성되고, 하단의 체결부(13)는 하향경사지게 형성하며, 고정구(9)의 일측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C'형으로 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구 본체(1)를 건물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설하여 성형한 다음 그 상부에 고정판(3)을 체결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판(3)의 상부에 고정관(7)을 삽입한 다음 그 외부에 상하유동구(5)를 체결하여 상하유동구(5)의 중앙부로 고정관(7)이 삽입되게 한다.
이때 상하유동구(5)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봉스트랩(4)과 고정판(7)에 형성되어 있는 봉수트랩용 홈(2)에 체결되므로서 악취나 벌래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봉수트랩이 구성되는 것이다.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측에서 고정되어 오는 배수관(8)을 고정관(7)의 내측으로 유입시킨 다음 고정구(9)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배수관(8)의 하단부에 고정구(9)를 체결한 상태에서 배수관(8)과 고정구(9)를 같이 고정관(7)의 내부로 삽입시켜 체결한다. 이때 고정구(9)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측이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9)의 절단부를 벌려 배수관에 체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에 고정구(9)를 체결한 상태에서 고정구(9)와 배수관(8)을 고정관(7)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눌러 압착한 다음 다시 고정구(9)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2)을 망치로 때리면 고정구(9)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고정구(9)가 고정관(7)과 배수관(8)의 사이로 파고들어 유격을 메우면서 억지끼워맞춤방식으로 견고히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구(9)를 체결하여 배수관(8)을 고정할때 고정구(9)의 상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2)의 일측을 망치로 때리게 되면 하중을 받은 부분이 하단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타측부는 올라가게 됨으로 올라온 부분으로 이동하여 계속 때리면, 고정구(9)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배수관(8)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흙이나 각종 이물질이 고정판(3)의 봉수트랩용 홈(2)에 쌓이게 되면 봉수트랩(4)이 형성되어 있는 상하유동구(5)를 상부로 들어올린다음 봉수트랩용홈(2)에 쌓여 있는 흙이나 각종 이물질을 청소하고, 이 상태에서 상하유동구(5)를 원상 복귀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부배수관과 하부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배수용 봉수캡을 설치하되 그 중앙부에 상,하로 작동되는 유동구를 설치하여 상,하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동구를 상하로 작동시켜 간단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흙이나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배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 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봉수트랩이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배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본체(1)의 상부에 봉수트랩용 홈(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3)을 체결하고, 봉수트랩용 홈(2)에는 봉수트랩(4)이 설치되어 있는 상하유동구(5)를 체결하며, 유동구(5)의 중앙부에는 하단에 배출공(6)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관(7)을 삽입하고, 고정관(7)의 상부 내측에는 배수관(8)을 삽입하여 체결하되 배수관(8)의 하단부에 일측이 절개되고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9)를 체결한 다음 배수관(8)과 고정구(9)를 함께 동시에 삽입함으로써 일측이 절개되어 있는 고정구(9)가 고정관(7)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억지끼워맞춤 방식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삭제
KR10-1999-0044305A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377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003U KR200187054Y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99-0044305A KR100377636B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305A KR100377636B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03U Division KR200187054Y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027A KR20010037027A (ko) 2001-05-07
KR100377636B1 true KR100377636B1 (ko) 2003-03-29

Family

ID=196151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03U KR200187054Y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999-0044305A KR100377636B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03U KR200187054Y1 (ko) 1999-10-13 1999-10-13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70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47B1 (ko) 2021-03-22 2021-11-17 (주) 대전통일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32B1 (ko) * 2007-05-23 2007-08-09 (주)종합건축사사무소명선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우수 이용 가능한 배수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40Y1 (ko) * 1990-07-04 1992-09-17 주식회사 티 삭 전자식 네온 안정기의 무부하시 과출력 방지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40Y1 (ko) * 1990-07-04 1992-09-17 주식회사 티 삭 전자식 네온 안정기의 무부하시 과출력 방지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47B1 (ko) 2021-03-22 2021-11-17 (주) 대전통일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054Y1 (ko) 2000-06-15
KR20010037027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US6467995B2 (en) Self-flushing pipe
US6202700B1 (en) Self-flushing pipe
KR100377636B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69781B1 (ko)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KR200273523Y1 (ko)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163755Y1 (ko) 하수역류및악취차단장치
KR200212891Y1 (ko) 역류 방지용 배수전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70008842A (ko) 배수트랩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200265573Y1 (ko) 배수트랩
KR200334316Y1 (ko) 트랩 일체형 우수받이
KR960015897B1 (ko) 아파트 베란다 생활하수 드레인
KR200294875Y1 (ko) 맨홀
KR200403860Y1 (ko) 맨홀 자동 개폐기
KR100648962B1 (ko) 트랩 일체형 우수받이
KR200282286Y1 (ko) 배수용 트랩의 소음차단장치
KR200244684Y1 (ko) 악취를 차단하는 하수관 연결구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100572215B1 (ko) 공동주택의 배수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