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781B1 -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781B1
KR100569781B1 KR1020030058660A KR20030058660A KR100569781B1 KR 100569781 B1 KR100569781 B1 KR 100569781B1 KR 1020030058660 A KR1020030058660 A KR 1020030058660A KR 20030058660 A KR20030058660 A KR 20030058660A KR 100569781 B1 KR100569781 B1 KR 10056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reservoir
installatio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667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03005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7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일반주택 또는 식당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 등의 바닥에 고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에 설치되어 배수트랩의 배수고정통를 협지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개선하고, 대용량의 저수통몸체을 형성한 저수통을 갖으며, 저수통의 상부에 슬라이드판으로 자유롭게 조절되고 배수접시의 높낮이가 상하로 조절되는 조절나선통을 형성하고, 배수접시의 방취홀에 삽입되어 체결홈과 체결돌기에 의하여 유지되는 방취관를 갖고, 배수파이프의 배수구에는 손잡이를 부설한 걸름망을 설치하고, 별도로 제작되는 보호커버의 중앙에 빗물배수구를 형성하고 용이하게 분리되는 마개로 밀폐되어 있으며,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배수고정통의 상부에 방수홈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설치가 간편하고 불량이 없는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를 제공한다.
배수트랩, 바닥체, 방취, 건축용.

Description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Draining-traps of subsidiary for building and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공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도 2a는 거푸집에 고정구가 설치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2b는 배수고정통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2c는 보호링과 보호덮개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2d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단면도,
도 2e는 방수층이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배수설치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배수접시가 방취통몸체와 함께 배수고정통에 조립된 상태도,
도 3b는 배수접시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최종조립완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수장치가 고정구와 결합되는 사시도,
도 6은 종래 배수트랩의 일반적인 구조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배수트랩 10 ; 고정구 11 ; 지지링
12 ; 지지홀 14 ; 지지돌기 15 ; 고정고리
16 ; 고정보스 17 ; 고정홀 20 ; 배수고정통
21 ; 배수설치공간부 22 ; 보호캡설치부 23 ; 방수드레인홈
24 ; 받침턱 25 ; 방수테 26 ; 방수홈
27 ; 고정구결합턱 28 ; 배수관연결부 30 ; 저수통
32 ; 저수통절곡부 33 ; 익수구 34 ; 저수통몸체
35 ; 드레인공간 36 ; 받침리브 41 ; 조절나선홈
51 ; 방취통홀 53 ; 조절나선통 60 ; 방취관
61 ; 배수구 62 ; 체결돌기 63 ; 체결손잡이돌기
64 ; 걸림편 70 ; 걸름망 71 ; 손잡이
80 ; 배수도입부 90 ; 배수설치 100 ; 배수고정부
105 ; 보호링 106 ; 보호커버 107 ; 빗물배수구
108 ; 빗물배수마개 109 ; 콘크리트 110 ; 거푸집
112 ; 지지핀 120 ; 방수층
본 발명은 아파트나 일반주택 또는 식당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에 배수트랩을 설치 시공할 때 배수트랩을 거푸집에서 소정의 위치에 견고하게 설 치되도록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고, 설치된 후 배수트랩이 갖추고 있는 방취작용을 향상시켜 쾌적한 사용환경을 유지하고, 별도로 시공되는 배수로장치의 배수구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건축물의 바닥에 정확히 시공할 수 있는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베란다에 방풍용 창문을 부설한 베란다용 샤시를 설치하여 실내와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실내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으로 예기치 않은 악취가 유입될 경우 방취작용을 하도록 방취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건축물 실내의 욕실이나 세탁실과 같은 바닥체에는 건물의 상하층으로 연결된 메인배수관을 각종 파이프가 지나가도록 형성된 배관덕트에 위치시키고, 이 메인배수관에서 분기되는 배수파이프의 유입구를 소정의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위치까지 연장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배수관을 따라서 역류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취구조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배수트랩은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를 갖춘 배수트랩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 배수트랩은 대부분 첨부도면 도 6에서와 같은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래 배수트랩(1)은 방취기능을 수행하는 저수통(5)에 배수홀(5a)을 천공하고, 내부 중앙에 방취파이프(6)를 부설하여 저수통에 담긴 배수물에 방취파이 프가 잠기도록 하여 메인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방취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방취기능의 구조는 건출물의 바닥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거푸집(110)에 고정구(2)를 설치하고 이 고정구(2)에 배수관연결홈(3a)을 이용하여 배수고정통(3)을 조립하여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배수고정통(3)은 상기 방취구조를 부설하기 위하여 내부 상측에 방취통아답터(4)를 이용하여 방취구조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취구조의 상측에는 배수접시(7)를 설치하게 되며 이 배수접시(7)에는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판(7a)과 배수그릴(8)이 조립된다.
상기 종래의 배수트랩(1)에 적용한 방취구조에서는 저용량의 저수량을 갖는 저수통(5)에 의존하여 방취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방취를 위한 저수통의 용량이 작은 관계로 짧은 시간동안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배수트랩에 방취목적으로 저수되어 있는 물이 빨리 증발하여 방취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수트랩을 건축 구조물인 바닥체의 슬라브에 매립시켜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때 고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배수트랩의 몸체를 잡아주기 위한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 고정구의 협지력이 미약하여 비교적 부피가 큰 본체를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하여 배수트랩이 쉽게 위치 이탈되거나 부력에 의하여 고정구로부터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수트랩의 본체를 고정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금속와이어와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감은 후, 고정시켜야 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부설하여야 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수트랩의 배수구에는 걸름망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이 자주 막히게 되며 특히 세척때는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등의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배수트랩을 건축물의 바닥체인 슬라브에 설치한 후, 그 슬라브 의 표면에 방수층을 시공하게 되는데 배수트랩의 주변에 방수홈을 형성하여 물이 배수트랩의 설치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수트랩 몸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커버에 방수홈틀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서 보호커버가 콘크리트타설 때 쉽게 분리되며 방수작업시 절취선을 따라 시공자가 수동으로 절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해 인건비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우기에 다량의 빗물이 고여서 배수시켜야 하는 경우, 빗물 배수구를 만들기 위해 보호덮개에 형성된 절개선을 따라 절취하여야 하는 불편함뿐만 아니라, 현장시공자가 망치 등으로 강한 충격을 가하여 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수트랩몸체가 파손되거나 콘크리트 양생부위가 손상되어 불량시공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수구에 설치되는 걸름망은 청소를 위한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측에 손잡이 를 부설하였고;
배수트랩을 거푸집에 부착시키는 고정구에 고정고리를 설치하고 배수트랩에는 결합턱을 형성하여 거푸집에 고정된 고정구에 배수트랩이 단단히 결합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가해지는 압력 및 부력등으로 설치상태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 함과 더불어, 몸체의 내부에서 방취의 기능을 수행하는 저수통의 내용적을 극대화하여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배수트랩을 사용하지 않아도 저수된 물이 장시간동안 방취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배수트랩의 배수구와 바닥체의 슬라브에 설치되는 배수로장치의 배수 유입구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슬라이드 조절구조를 갖으며;
방수때 방수홈에 의하여 방수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방수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취한 임시보호커버를 보호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시공방법과 그 물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도입부(80)와 방취구성부가 형성되고 배수구 위치조절기능이 가능한 배수설치부(90), 그리고 배수트랩 전체를 지지하는 배수고정부(1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은 본 발명의 주요형상이 나타나도록 부분단면을 삽입한 주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설치공정도로서,
중앙에 지지홀(12)이 천공된 지지링(11)의 외부에 방사형으로 다수개(특히, 6개가 바람직할 것이다)의 암(13)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끝단에 못(111)을 이용하여 거푸집(110)에 고정되는 지지핀(112)을 삽입하는 고정홀(17)을 천공한 고정보스(16)와; 고정고리(15)가 내측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14)를 교호시켜 형성되는 고정구(10)가 있다.
그리고, 배수트랩(101)의 기본구조를 이루는 배수고정통(20)은 다각형(특히, 사각형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원통형이며 하부는 막혀 있고 그 중앙에 배수관연결부(28)가 천공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고정구결합턱(27)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방수홈(26)이 형성되도록 방수테(25)가 돌출되고 내측에 있는 배수설치공간부(21)의 상측에 받침턱(24)이 형성되고 연이어 보호캡설치부(22)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끝단의 전둘레에는 방수층의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방수드레인홈(2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게 하여 고정구(10)와 결합되게 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체인 슬라브 등에 매립되는 배수고정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고정통(20)의 배수설치공간부(21)에 안치되는 배수 설치부(90)는 저수통(30)과 슬라이드판(40)과 배수접시(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저수통(30)은 배수고정통(20)의 배수설치공간부(21)와 같은 지름을 갖는 저수외통(37)의 내측에 드레인공간(35)을 형성한 상태에서 밑면이 막힌 저수통몸체(34)가 일체로 형성되고, 드레인공간(35)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익수구(33)가 천공되어 있으며; 저수외통(37)의 상부에는 중심부로부터 외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저수통절곡부(32)가 형성되고, 저수통절곡부(32)의 저부에는 다수개의 받침리브(36)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통절곡부(32)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배수접시(50)의 천공위치를 조절하는 원판형상의 슬라이드판(40)이 조립되며, 이 슬라이드판(40)의 중앙에는 조절나선홈(41)이 형성되어 있는 천공부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40)과 결합되어 작용하는 배수접시(50)는 중앙은 내측으로 경사져 있고 그 중앙에 방취통홀(51)이 천공된 조절나선통(53)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곡면에 복수개의 체결홈(52)이 형성되게 하여 배수설치부(90)를 구성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배수그릴(55)을 마감조립하게 된다.
상기 배수설치부(90)를 구성하는 배수접시(50)의 방취통홀(51)에는 상하방향으로 완전히 개방된 방취관(60)이 설치되는며, 방취관(60)의 상부에는 체결손잡이돌기(63)가 형성된 링 형상의 걸림편(6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배수구(61)의 내측에 걸름망턱(65)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곡면에는 체결돌기(62)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61)에는 상측에 손잡이(71)가 부설된 걸림턱(72)을 형성한 걸름망(70)을 삽입설치하여 배수도입부(80)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배수도입부(80)와 배수설치부(90), 그리고 배수 고정부(100)는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배수트랩(101)으로 완성된다.
한편, 상기 배수고정통(20)의 방수홈(26)에 삽입되어 콘크리트(109)가 타설될때 콘크리트(109)가 유입되어 방수홈(26)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호링(105)을 삽입하며, 동시에 배수설치부(21)에 상기 콘크리트(109)가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커버(106)를 덮어서 받침턱(24)에 걸리어 유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커버(106)는 중간에 빗물배수구(107)를 천공하여 형성하였으며 평상시에는 배수마개(108)를 삽입하여 두고 타설된 콘크리트(109)가 양생되는 동안 우기로 인하여 빗물이 고이면 상기 배수마개(108)를 제거하여 고인 빗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중 미설명부호 "55"는 배수그릴, "120"은 방수층, "T"는 타일, "M"은 몰타르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일련의 설치공정에 의하여 아파트나 일반 주택같은 건축물의 욕실 또는 세탁실의 바닥체에 설치되며, 대부분 마무리로 시공되는 방수와 배수로장치들과 함께 진행된다.
먼저,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2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치시공방법은 일련의 시공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공 공정에 의해서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 또는 베란다와 같은 바닥체가 완성하게 되는데 배수트랩(101)을 설치하는 시공공정도 함께 진행된다.
따라서, 배수트랩(101)이 설치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거푸집(110)에 고정구(10)를 설치한다.
즉, 첨부도면 도 2a에서와 같이 배수트랩(101)의 배수관연결부(28)가 삽입되는 고정구(10)가 설치되는 거푸집(110)에 못(111)으로 고정되는 지지핀(112)으로 상기 고정구(10)를 설치한다.
상기에서 고정구(1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고정보스(16)의 중앙에 천공된 고정홀(17)에 상기 지지핀(112)을 삽입한 후 못(111)을 박아서 고정한다.
상기 고정구(10)가 거푸집(110)에 설치되면 지지링(11)에서 연장된 암(13)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14)의 밑면이 거푸집(110)과 밀착되고 상측의 고정고리(15)는 내측을 향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구(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2b와 같이 배수고정통(20)을 상기 고정구(10)와 결합하는 제 2 공정이 시행된다.
즉, 배수관연결부(28)를 밑으로 향하게 하여 고정구(10)의 중앙에 형성된 지지링(11)의 지지홀(12)과 결합한다.
이때, 배수고정통(20)의 하부외주곡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결합턱(27)이 고정구(10)의 지지돌기(14)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고리(15)와 동시에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배수고정통(20)의 바깥틀 부분과 고정구(10)의 클립구조가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서 견고하고 확고하게 배수고정통(20)을 거푸집(110)에 고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배수고정통(20)은 콘크리트(109)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동안 유동되어선 안되며, 특히 타설된 콘크리트(109)에 의하여 배수고정통(20)이 부력으로 인하여 고정구(10)에서 이탈되어선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109)가 배수고정통(20)의 방수홈(26)과 배수설치공간부(21)로 유입되는 콘크리트(109)로 메워지지 않도록 첨부도면 도 2c와 같이 방수홈(26)에는 보호링(105)을 삽입하고, 배수설치공간부(21)는 상부에 형성된 받 침턱(24)에 걸리어 유지되는 보호커버(106)를 씌워서 유입되는 콘크리트를 방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설된 콘크리트(109)가 양생되는 동안 우기에 있어 빗물이 고이면 타공정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여진 빗물을 배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보호커버(106)의 중간에 천공된 빗물배수구(107)를 밀폐하고 있는 배수마개(108)를 제거하면 상기 빗물배수구(107)가 개방됨으로 양생중인 콘크리트(109)의 표면에 고여 있는 빗물이 빗물배수구(107)를 통하여 배수설치공간부(21)로 흘러서 배수관연결부(28)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다음 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끔 마무리된다.
그리고, 바닥체를 형성하는 거푸집(110)도 제거하면 고정구(10)가 배수고정통(20)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로 콘크리트(109)에 매립된다.
상기 콘크리트(109)의 양생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2e에서와 같이 방수홈(26)에 삽입되어 방수홈(26)을 보호하던 보호링(105)을 제거한다.
한편, 콘크리트(109)의 상부에 시공되는 방수층(120)은 배수고정통(20)의 상부에 형성된 방수홈(26)으로부터 평탄하게 도포한다.
이때, 방수층(120)은 주로 몰타르성분으로서 굳어지면 매우 단단하고 수분의 침투를 막아주게 되며 바닥층의 콘크리트(109)를 보호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방수층(120)이 형성하면 수분은 보호캡설치부(22)의 상부에 다수개 형성된 방수드레인홈(23)을 통하여 수분이 흘러내리게 됨으로서 방수층(120)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어 진다.
그리고, 거푸집(110)을 분리할때는 거푸집(110)에 못(111)을 통하여 고정된 지지핀(112)이 고정구(10)를 고정한 후, 거푸집(110)과 함께 고정구(10)에서 분리 됨으로서 양생된 콘크리트(109)에 고정구(10)를 지지하는 못(111) 등과 같은 필요없는 요소들이 남지 않아서 차기 시공공정, 예를 들면 마감공사 등을 원활이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고정통(20)이 콘크리트(109)에 완전히 매립되어지면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이 배수설치부(90)를 설치한다.
상기의 배수고정통(20) 배수설치공간부(21)에 저수통(30)를 안치하면 배수설치공간부(21)의 내측면에 저수통(30)의 저수외통(37)이 접촉하게 되고, 그 상단에 일체로 형성한 받침리브(36)의 하단이 배수설치공간부(21)의 받침턱(24)에 올려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저수통(30)는 내측의 저수통몸체(34)가 배수설치 공간부(21)의 바닥에 닿지 않고 배수에 간섭되지 않는 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중간에 위치하고, 외측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드레인공간(35)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통(3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저수통절곡부(32)에는 배수접시(50)의 조절나선통(53)과 조절나선홈(41)이 조립된 상태의 슬라이드판(40)이 접촉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판(40)은 첨부도면 도 3b에서와 같이 하향으로 돌출된 조절나선통(53)이 나선결합되는 조절나선홈(41)이 방취통공간부(31)에 형성되기 때문에 배수접시(5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그 유효공간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상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배수접시(50)의 위치를 방취통공간부(31)의 유동가능한 유효공간만큼의 이동이 가능하므로서, 상측에 별도로 취부되는 배수로장치와 배수그릴(55)은 물론, 주변의 타일 또는 기타 마감재와 그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수설치부(90)의 조립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4에서와 같이 방취관(60)와 걸름망(70)이 취부되는 배수도입부(80)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도입부(80)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기 때문에 수시로 세척 및 청소를 할 수 있어 위생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방취관(60)을 방취통홀(51)에 체결 또는 분리함에 있어서, 방취관(6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64) 상측에 돌출된 체결손잡이돌기(63)를 이용하여 방취관(60)을 회전시키면 방취통홀(51)의 입구에 형성된 체결홈(52)과 결합되는 방취관(60)의 체결돌기(62)가 연동회전하게 됨으로서 체결홈(52)의 경사면을 따라 조여져서 조립되게한다.
반대로, 체결손잡이돌기(63)를 역회전시키면 방취관(60)의 체결돌기(62)가 체결홈(52)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방취관(60)이 배수접시(50)의 방취통홀(52)에 결합이 완료되면 방취관(60)의 하단이 저수통몸체(34)의 밑면에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위치하게 되고, 방취관(60)은 저수통몸체(34)에 형성된 익수구(33)와 적절한 높이로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배수접시(50)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은 방취관(60)의 배수구(61)를 통하여 저수통몸체(34)에 유입되면 배수물이 저수통몸체(34)에 채워지고 그 수위가 저수통몸체(34)의 익수구(33)을 넘는 것은 익수구(33)과 드레인공간(35)을 통하여 배수고정통(20)의 배수설치공간부(21)로 유출되고 중간에 천공된 배수관 연결부(28)를 통하여 시공된 배수파이프를 통하여 메인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취관(60)은 저수통몸체(34)에 저수되는 배수물에 중간부분까지 잠겨 있게 됨으로서 배수파이프 등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가 저수통몸체(34)에 저수된 배수물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방취관(6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름망턱(65)에는 걸름망(70)을 설치하여 배수물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을 걸러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걸름망(70)은 상측에 걸림턱(72)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손잡이(71)를 부설하여서 분리할때 취급이 용이하게 하였고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72)은 배수구(6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름망턱(65)에 올려져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충족하는 구조적인 구성을 정리하면,
첫째, 거푸집(110)에 설치된 고정구(10)의 지지돌기(14)의 상측에 고정고리(15)를 일체로 형성한다.
둘째, 배수고정통(20)의 외측 하부에 고정고리(15)와 결합되는 고정구결합턱(27)을 형성한다.
셋째, 배수고정통(20)의 배수설치공간부(21)의 지름에 유사한 용량의 저수통몸체(34)을 형성한 저수통(30)를 형성한다.
넷째, 저수통(30)의 상부에 접촉되는 슬라이드판(40)과 그 중간에 배수접시(50)의 중앙에 형성된 조절나선통(53)을 나선결합하여 배수접시(50)의 높낮이는 물론,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다.
다섯째, 배수접시(50)의 방취통홈(51)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체결홈(52)에 결합되는 체결돌기(62)에 의하여 유지되는 방취관(60)이 조립된다.
여섯째, 방취관(60)의 배수구(61)에는 손잡이(71)를 부설한 걸름망(70)을 설치한다.
일곱째, 보호커버(106)가 배수고정통(20)과 별도로 설치되고 그 보호커버에 형성되는 빗물배수구는 분리가 용이한 마개로 밀폐되어 있음으로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덟째,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배수고정통(20)의 상부에 방수홈(26)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방수시공의 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거푸집에 설치된 고정구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이탈될 수 있는 배수고정통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불량시공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건축시공을 행할 수 있으며, 매립된 배수고정통이 알맞은 위치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방수공정이나 배수트랩을 완료하는 일련의 공정이 원만하게 이루어져 시공 기간을 단축하게 되는 효과의 진보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통상적인 아파트나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설치시공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에 배수트랩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구의 고정고리에 배수고정통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고정통의 방수홈에는 보호링을 끼워서 조립하고, 배수고정통의 상측부에는 보호커버를 덮어서 조립하였으며,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라브를 형성하고,
    상기 방수홈에 조립된 보호링을 제거하며,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에 배수고정통의 방수홈과 연계하여 평탄한 방수층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고정통에서 상기보호커버를 제거한 후, 그 설치공간부에 방취통과 슬라이드판 및 배수접시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배수설치부를 완성하였으며,
    상기 배수접시의 중앙에 걸름망을 설치하여 배수도입부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배수트랩의 설치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2. 통상적인 아파트나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욕실이나 세탁실의 바닥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배수트랩(101)을 배수도입부(80)와 배수설치부(90) 및 배수고정부(100)로 구성하되,
    상기 배수 고정부(100)는 배수고정통(20)을 거푸집(110)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10)와 외측 하부에 상기 고정구(10)의 고정고리(15)와 결합되게 고정구결합턱(27)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방수홈(26)과 보호캡설치부(22)를 형성한 배수 고정통(20)으로 형성하고,
    상기 배수설치부(90)는 배수고정통(20)의 배수설치공간부(21)와 일치하는 지름을 갖는 저수통몸체(34)가 부설된 저수통(30)과, 상기 저수통(30)의 상부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슬라이드판(40)과, 상기 슬라이드판(40)의 중앙에 형성된 조절나선홈(41)과 조립되게끔 중앙에 조절나선통(53)을 형성하고 상기 저절나선통(53)에 방취통홈(51)을 형성한 방취관(60)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배수도입부(80)는 방취관(60)과, 내측에 손잡이(71)및 배수그릴(55)로
    형성하여서 배수트랩(101)을 구성하되,
    상기 고정구(10)는 중앙에 지지홀(12)을 천공한 지지링(11)의 외주곡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암(13)을 연장하고 그 끝단에 고정홀(17)을 중앙에 형성한 고정보스(16)와; 내측을 향하여 고정고리(15)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14)를 교호로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배수고정통(20)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체의 통이며, 하부는 밑이 막혀 있는 중앙에 배수관연결부(28)가 천공되어 있고; 외부곡면의 하단에는 고정구결합턱(27)이 일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수홈(26)을 이루는 방수테(25)가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의 배수설치공간부(21)의 상측에 받침턱(24)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연장된 보호캡설치부(22)가 형성하며, 그 끝단의 전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방수드레인홈(23)을 다수개 형성하였으며,
    상기 저수통(30)은 배수고정통(20)의 배수설치공간부(21)와 일치하는 지름을 갖는 저수외통(37)이 외측에 위치하여 드레인공간(35)이 형성되게 밑면이 밀폐된 저수통몸체(34)을 형성하고; 드레인공간(35)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익수구(33)을 천공하고; 저수외통(37)의 외주 상부에는 다수의 받침리브(36)를 갖은 저수통절곡부(32)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배수고정통(20)의 방수홈(26)에 삽입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109)가 범람하여 방수홈(26)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링(105)과; 배수설치공간부(2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09)가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커버(106)를 보호캡설치부(22)에 삽입하여 받침턱(24)에 걸리어 유지 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커버(106)는 중앙에 빗물배수구(107)를 천공하고 배수마개(108)로 밀폐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수트랩.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30058660A 2003-08-25 2003-08-25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KR10056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660A KR100569781B1 (ko) 2003-08-25 2003-08-25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660A KR100569781B1 (ko) 2003-08-25 2003-08-25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667A KR20050021667A (ko) 2005-03-07
KR100569781B1 true KR100569781B1 (ko) 2006-04-10

Family

ID=3722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660A KR100569781B1 (ko) 2003-08-25 2003-08-25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7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51B1 (ko) 2009-02-24 2011-10-14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관 장치
KR101846988B1 (ko) * 2016-04-14 2018-05-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9389B1 (ko) 2020-12-11 2021-06-24 김종규 건설 공사 현장용 배수 장치
KR102327047B1 (ko) * 2021-03-22 2021-11-17 (주) 대전통일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65B1 (ko) * 2009-06-18 2012-03-20 김연이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2332765B1 (ko) * 2020-07-22 2021-12-02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배수장치
CN113738443B (zh) * 2021-09-16 2023-10-03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堵排结合的隧道涌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20240000028U (ko) 2022-06-29 2024-01-05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방수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851B1 (ko) 2009-02-24 2011-10-14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관 장치
KR101846988B1 (ko) * 2016-04-14 2018-05-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9389B1 (ko) 2020-12-11 2021-06-24 김종규 건설 공사 현장용 배수 장치
KR102327047B1 (ko) * 2021-03-22 2021-11-17 (주) 대전통일 배수관 연결용 배수트랩의 이물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667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6691A1 (en) Subterranean chamber waterproofing system
KR100569781B1 (ko)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구조 및 그 물품
US6467995B2 (en) Self-flushing pipe
US6739800B2 (en) Self-flushing gutter pipe
KR101230572B1 (ko)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AU2016256750C1 (en) A drain grate assembly
KR101787567B1 (ko)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JP4388869B2 (ja) 住宅用雨水貯留システム
KR100377636B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23990Y1 (ko)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KR200417635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구조
US20040223807A1 (en) Self-flushing gutter pipe
CN112900870B (zh) 一种卫生间防潮防水施工方法及结构
KR100878507B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440925Y1 (ko) 확장형 발코니의 배수장치
KR200395195Y1 (ko) 배수트랩용 종단관의 개선구조
KR101925205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
KR20240000028U (ko) 방수시공이 용이한 배수트랩 고정장치
KR200376696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시스템
JP4427801B2 (ja) 地表埋設用枠体
CN101936027B (zh) 同层排水系统中的盒式回填层积水排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