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165B1 - 배수구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165B1
KR101119165B1 KR1020090054557A KR20090054557A KR101119165B1 KR 101119165 B1 KR101119165 B1 KR 101119165B1 KR 1020090054557 A KR1020090054557 A KR 1020090054557A KR 20090054557 A KR20090054557 A KR 20090054557A KR 101119165 B1 KR101119165 B1 KR 10111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stopper plate
outlet hol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280A (ko
Inventor
김연이
정문기
Original Assignee
김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이 filed Critical 김연이
Priority to KR102009005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6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체의 인력(引力)과 척력(斥力)을 이용하여 배수구의 선택적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고 오수 및 악취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오랜 사용에도 정확하면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배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수구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단 둘레는 상기 배수구의 입구측 상면 둘레에 얹히도록 형성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된 배수구 바디;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공간을 유출공이 형성된 하측 공간과 유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 혹은, 연통시키도록 배수구 바디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마개판; 상기 마개판의 상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상측 부위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반대의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한 쌍의 제1자성체; 그리고, 상기 마개판의 저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저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동일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한 쌍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배수장치가 제공된다.
배수구, 마개판, 자성체, 인력, 척력

Description

배수구용 배수장치{drain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배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성체의 인력(引力)과 척력(斥力)을 이용하여 배수구의 선택적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수 및 악취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오랜 사용에도 정확하면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배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구용 배수장치는 일반 가정의 욕실 바닥 혹은, 싱크대 등과 같은 각종 배수구에 설치되면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로부터 각종 이물질(예컨대, 머리카락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미리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각종 악취를 차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배수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공개특허 제2008-89804호, 등록실용신안 제123196호, 등록실용신안 제350016호 등과 같이 배수구 내에 저면이 개구된 통형의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개구 부위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마개를 탄력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즉, 오수의 배수시에는 상기 오수의 무게에 의해 상기 마개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개방하면서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오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마개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폐쇄함으로써 상기한 배수구를 통한 악취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전술한 마개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마개의 설치 위치는 배수구의 특성상 습한 부위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의 부식(녹 발생)이 쉽게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상기 마개의 원활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가 자주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한 코일 스프링은 설치 공간이 충분하여야 함을 고려할 때 상기한 코일 스프링의 설치 공간에 의해 실질적인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오물이 걸러지는 공간이 협소하여 배수구가 쉽게 막힐 뿐 아니라, 상기한 코일 스프링의 설치 부위로 인한 하우징 내벽의 세척이 어려워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웠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만일 상기한 코일 스프링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라면 원활한 복원력의 제공이 어려워 상기 마개가 상기 배수구를 정확히 폐쇄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악취의 역류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408040호와 같이 배수구의 개구된 저면 을 폐쇄하는 개폐수단이 자석링에 의해 상기 배수구의 저면을 원활히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 역시, 오수의 배수 후 개폐수단을 배수구 저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전술된 코일 스프링으로 인한 각종 문제점이 동일하게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은 개폐수단의 하향 이동 거리가 극히 짧음으로 인해 빠른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각종 오물이 상기 개폐수단과 배수구 저면 간의 사이에 쉽게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성체의 인력(引力)과 척력(斥力)을 이용하여 배수구의 선택적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구를 통한 오수의 배출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악취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오랜 사용에도 정확하면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며, 오물의 걸름 공간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배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구용 배수장치에 따르면 배수구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단 둘레는 상기 배수구의 입구측 상면 둘레에 얹히도록 형성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된 배수구 바디;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공간을 유출공이 형성된 하측 공간과 유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 혹은, 연통시키도록 배수구 바디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마개판; 상기 마개판의 상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상측 부위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반대의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한 쌍의 제1자성체; 그리고, 상기 마개판의 저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저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동일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한 쌍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상측 내벽면에는 상기 마개판의 과다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자성체는 상기 마개판의 상면 중 둘레 부위와 상기 걸림부의 저면 둘레 부위에 각각 대응되면서 요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배수구 바디의 내벽면과 동일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의 저면은 상기 배수구 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된 유출공의 형성 위치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는 상기 마개판의 저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저면에 각각 요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 간 척력(斥力)은 상기 한 쌍의 제1자성체 간 인력(引力)에 비해 더욱 세게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 간 척력(斥力)은 상기 한 쌍의 제1자성체 간 인력이 적용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 상기 마개판을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세기를 갖도록 구성됨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 바디의 입구측에는 배수되는 오수 내의 오물을 걸러주는 걸름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배수장치는 배출관에 형성되는 유출공의 개방 및 폐쇄가 마개판의 승강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 마개판의 승강 동작은 두 쌍의 자성체에 의한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오랜 시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동작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마개판에 의해 하수도로부터의 벌레의 유입이 차단됨과 더불어 오수와 악취가 실내로 역류됨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용 배수장치는 걸름망의 장착 공간이 확보되어 걸름망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수와 함께 섞여 배출되는 오물로 인한 배수구의 막힘과 마개판의 동작 불량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배수구용 배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배수장치는 크게 배수구 바디(100)와, 마개판(200)과, 한 쌍의 제1자성체(310,320) 및 한 쌍의 제2자성체(410,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배수구 바디(100)는 지면(예컨대, 수도가 등)이나 싱크대에 형성된 배수구(10)에 설치되면서 각종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배수구 바디(100)는 배출관(110) 및 얹힘단(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110)은 배수구(10) 내에 요입되는 원통형의 파이프체로 형성된 부위이며, 상기 얹힘단(120)은 상기 배출관(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외향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구(10)의 입구측 상면 둘레에 얹히는 부위이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관(110)의 하단 둘레면에는 유출공(111)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유출공(111)의 높이가 상기 배출관(110)이 이루는 전체 높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로 형성됨을 예로 한다. 이는 상기 유출 공(111)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함으로써 오수가 빠르면서도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배수구 바디(100)를 구성하는 배출관(110)의 상측 내벽면에 걸림부(13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130)는 후술되는 마개판(200)의 과도한 상승됨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마개판(200)의 외부 탈거를 방지함과 더불어 한 쌍의 제1자성체(310,320) 중 어느 한 제1자성체가 설치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상기한 걸림부(130)는 상기 배출관(110)의 내벽면에 상기 내벽면이 이루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단턱지게 돌출 형성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배출관(110)의 내벽면과 동일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하여 상기 배출관(110)에 결합(예컨대, 사출에 의한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걸림부(130)의 저면은 상기 배출관(1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유출공(111)의 형성 위치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유출공(111)과는 인접된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개판(200)의 하향 이동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상기 유출공(111)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출공(111)의 면적을 확대시켜 최대한 빠른 오수의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판(200)은 상기 배수구 바디(100)의 배출관(110)에 형성된 유출공(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마개판(200)이 상기 배출관(110) 내부의 공 간 중 상기 유출공(111)이 형성된 하측 공간과 유출공(111)이 형성되지 않은 상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 혹은, 연통시키도록 배출관(110) 내를 가로막으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110)의 내벽면과 상기 마개판(200)의 둘레면 간에는 상기 마개판(2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도시는 생략됨)를 대응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마개판(200)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그의 둘레면을 따라 브러시(2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출관(110)의 내벽면과의 틈새를 통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마개판(200)의 승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제1자성체(310,320)는 오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마개판(200)이 상기 유출공(111)이 형성된 공간의 상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유출공(111)을 통한 악취의 역류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영구 자석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제1자성체(310,320)는 상기 마개판(200)의 상면 중 둘레 부위와 이에 대향되는 상기 걸림부(130)의 저면 둘레 부위에 각각 하나씩 요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는 반대의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 간은 인력(引力)의 작용을 받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개판(200)에 별도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 간의 인력에 의해 마개판(200)이 상기 걸림부(13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제1자성체(310,320)를 상기 마개판(200)의 상면과 걸림부(130)의 저면에 요입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각 제1자성체(310,320)의 돌출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틈새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410,420)는 오수의 배수가 이루어져 상기 마개판(200)이 상기 유출공(111)이 형성된 공간의 하측 공간에 위치될 경우 상기 마개판(200)이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영구 자석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제2자성체(410,420)는 상기 마개판(200)의 저면과 이에 대향되는 배출관(110) 내의 저면에 각각 하나씩 요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는 동일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 간은 척력(斥力)의 작용을 받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개판(200)에 별도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 간의 척력에 의해 상기 마개판(200)이 상승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410,420)가 상기 마개판(200)의 무부하(無負荷) 상태시 상기 마개판(200)이 상기 유출공(111)의 형성 부위보다 상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척력(斥力)을 갖도록 자력의 세기가 결정되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자성체(310,320)는 상기 마개판(200)의 무부하 상태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410,420) 간의 척력에 의해 들어 올려진 위치로부터 상기 마개판(200)을 더욱 상승 이동시켜 걸림부(130)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인력(引力)을 갖도록 자력의 세기가 결정되어 구성된다.
즉, 유출공(111)을 통해 오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마개판(200)은 두 제2자성체(410,420)의 척력에 의해 상기 유출공(111)의 위치보다 더욱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승되고, 상기한 마개판(200)이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의 척력에 의한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될 경우에는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의 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판(200)을 추가 상승시켜 상기 마개판(200)과 걸림부(130) 간의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구 바디(100)를 구성하는 배출관(110)의 입구측 내부에 걸름망(500)이 더 설치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물론, 상기한 걸름망(500)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구성이지만 종래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조에서는 설치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상기 배출관(110)의 내부 공간에는 설치가 불가능한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관(110)의 입구측 내부에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름망(500)을 설치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이 걸림망(500)에 의한 걸름 양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걸림망(500)의 추가 설치로 인해 오수에 포함된 각종 오물이 걸러지기 때문에 상기한 오물이 마개판(200)의 상면에 얹혀 마개판(200)을 원치않게 하향 이동시키는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배수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최초의 상태는 첨부된 도 1과 같다.
즉, 마개판(200)은 아무런 부하도 제공받지 않은 상태로써 한 쌍의 제1자성체(310,320)가 제공하는 인력에 의해 걸림부(13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배출관(110)의 유출공을 통해 하수도 내부의 악취가 역류할 수 있지만, 상기 마개판(200)이 상기 배출관(110)의 상측 공간을 가로막으면서 상기 악취가 상기 배출관(110)의 상측 공간으로 역류됨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상기 오수의 배출량이 적어 배출되는 오수의 하중이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 간의 인력에 비해 작다면 상기 마개판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상기 오수의 배출량이 많아서 배출되는 오수의 하중이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 간의 인력에 비해 커진다면 상기 마개판(200)은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점차적으로 하향 이동된다.
물론, 상기 마개판(200)의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도중 상기 마개판(200)은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 간의 인력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두 제2자성체(410,420) 간의 척력에도 영향을 받게 되지만, 상기 배출되는 오수는 단순히 정지된 상태의 하중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흘려보내는 유속에 따른 하중도 제공받기 때문에 상기 마개판(200)은 각 자성체(310,320,410,420) 간의 인력과 척력에도 불구하고 유출공(111)이 개방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까지 하향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오수는 상기 유출공(111)을 통과하여 배수구(10)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오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은 배출관(110)의 입구측 내부에 구비되는 걸름망(500)에 걸러진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한 오수의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마개판(200)은 무부하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의 상태에서는 두 제2자성체(410,420) 간의 척력에 의해 상기 마개판(200)의 상승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유출공(111)을 통해 오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마개판(200)은 두 제2자성체(410,420)의 척력에 의해 상기 유출공(111)의 위치보다 더욱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승되고, 상기한 마개판(200)이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의 척력에 의한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될 경우에는 상기 두 제1자성체(310,320)의 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판(200)을 추가 상승시켜 상기 마개판(200)과 걸림부(130) 간의 밀착됨으로써 유출공(111)이 형성된 배출관(110)의 하측 공간을 상기 배출관(110)의 상측 공간으로부터 구획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실질적으로 상기 마개판(200)은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 간의 척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승 이동되면서 상기 두 제2자성체(410,420)의 척력이 제공하는 높이보다 더욱 높이 튕겨져 오르게 되고, 이로 인해 두 제1자성체(310,320) 간의 인력을 더욱 원활히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마개판(200)의 상승 동작에 따른 걸림부(130)와의 밀착에 의해 하수도 내부의 악취가 상기 배출관(110)의 상측 공간으로 역류됨을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배수장치의 최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배수장치로 오수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수구 100. 배수구 바디
110. 배출관 111. 유출공
120. 얹힘단 130. 걸림부
200. 마개판 310.320. 제1자성체
410,420. 제2자성체 500. 걸름망

Claims (7)

  1. 배수구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단 둘레는 상기 배수구의 입구측 상면 둘레에 얹히도록 형성되며, 하단 둘레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입구측에는 배수되는 오수 내의 오물을 걸러주는 통 형상의 걸름망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구 바디;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공간을 유출공이 형성된 하측 공간과 유출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측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 혹은, 연통시키도록 배수구 바디 내부를 가로막으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둘레면에는 브러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마개판;
    상기 배수구 바디의 내벽면과 동일한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상측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마개판의 과다 상승을 방지하며, 저면은 상기 배수구 바디의 둘레면에 형성된 유출공의 형성 위치에 비해 상측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걸름망에 비해서는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걸림부;
    상기 마개판의 상면 둘레 부위와 상기 걸림부의 저면 둘레 부위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반대의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한 쌍의 제1자성체; 그리고,
    상기 마개판의 저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저면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면서 동일 극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한 쌍의 제2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배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는 상기 마개판의 저면과 상기 배수구 바디 내의 저면에 각각 요입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배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는
    상기 마개판이 무부하(無負荷) 상태에서 상기 유출공의 형성 부위보다 상측 부위에 이르기까지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척력(斥力)을 갖도록 자력의 세기가 결정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배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자성체는
    상기 마개판이 무부하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자성체 간의 척력에 의해 들어 올려진 위치로부터 상기 마개판을 더욱 상승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의 인력 (引力)을 갖도록 자력의 세기가 결정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배수장치.
  7. 삭제
KR1020090054557A 2009-06-18 2009-06-18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111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57A KR101119165B1 (ko) 2009-06-18 2009-06-18 배수구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57A KR101119165B1 (ko) 2009-06-18 2009-06-18 배수구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280A KR20100136280A (ko) 2010-12-28
KR101119165B1 true KR101119165B1 (ko) 2012-03-20

Family

ID=4351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557A KR101119165B1 (ko) 2009-06-18 2009-06-18 배수구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83B1 (ko) * 2013-05-28 2015-03-11 장순봉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 트랩 장치
CN111719649B (zh) * 2020-07-01 2021-09-28 东易日盛家居装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厨房排污通道防堵塞系统
CN111609205B (zh) * 2020-07-07 2022-09-16 重庆界石仪表有限公司 改良结构的直通阀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54Y1 (ko) * 2000-04-24 2000-09-15 배인국 오폐수 악취차단장치
KR20050021667A (ko) * 2003-08-25 2005-03-07 김대현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시공방법 및 그 물품
EP2037050A1 (en) * 2007-09-14 2009-03-18 Trane BVBA Discharge closure set for sanitary facilities and a sanitary facilit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54Y1 (ko) * 2000-04-24 2000-09-15 배인국 오폐수 악취차단장치
KR20050021667A (ko) * 2003-08-25 2005-03-07 김대현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시공방법 및 그 물품
EP2037050A1 (en) * 2007-09-14 2009-03-18 Trane BVBA Discharge closure set for sanitary facilities and a sanitary facilit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280A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264017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101119165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62476Y1 (ko) 하수구용 냄새역류방지장치
CN102383479A (zh) 全自动密闭式阶段排水防干涸排水器
KR20180049886A (ko) 배수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2676029B1 (ko) 악취차단용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KR100548208B1 (ko) 악취 역류방지 하수구 배수전
KR100597660B1 (ko) 악취의 누출방지를 위한 하수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