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572B1 -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572B1
KR101230572B1 KR1020100098225A KR20100098225A KR101230572B1 KR 101230572 B1 KR101230572 B1 KR 101230572B1 KR 1020100098225 A KR1020100098225 A KR 1020100098225A KR 20100098225 A KR20100098225 A KR 20100098225A KR 101230572 B1 KR101230572 B1 KR 10123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reservoir
water leve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501A (ko
Inventor
정성남
Original Assignee
강릉건설 주식회사
정성남
주식회사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건설 주식회사, 정성남, 주식회사경도 filed Critical 강릉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5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는 채수조에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채수 높이에 도달하거나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저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채수조 내의 펌프를 작동시켜 송수관을 통해 상기 저수조로 송수하고,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저수 높이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채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채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펌프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빗물은 필요 시 상기 저수조와 연결된 살수 호스를 통해 재배 중인 옥상 작목에 급수된다.

Description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EQUIPMENT FOR GATHERING AND STORING RAINWATER FOR ROOFTOP PLANT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옥상은 피난과 물탱크 등의 시설물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슬래브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옥상은 태양광이 뜨거운 여름철에는 과도하게 뜨거워져 건물의 상층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겨울철에는 외부의 차가운 온도에 과도하게 차가워지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건물의 상층부 온도가 높아져 냉방 비용이 증가하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건물의 상층부의 열기가 옥상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층부에 대한 난방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건물에 떨어지는 빗물은 그대로 배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빗물은 집중호우 시에 저지대로 유입되어 저지대의 침수를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빗물을 그대로 배수하면서도 수도 사용량은 증대됨에 따라 수도 사용료에 대한 부담이 커질 뿐만 아니라, 수도 생산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도 증가 추세에 있다.
아울러,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농약 사용에 대한 폐해와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한 우려가 보도되면서 식재료에 대한 염려가 증폭되어, 할 수만 있다면 본인이 직접 재배하거나 믿을 수 있는 곳에서 재배된 야채 등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대도시 지역에서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 없거나 현저히 부족하여 그러한 시도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옥상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채수조와 저수조를 설치함으로써 우기 시 방류되는 천혜의 수자원을 저장하여 갈수기에 옥상 식재에 활용할 수 있는 채수 및 저수 설비 및 그 시공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빗물을 옥상 슬라브를 관통하여 설치된 천층의 채수조를 이용하여 빗물을 채수하고 이를 저수조로 압송하여 그 저수조에 연결된 살수 호스를 통해 급수함으로써, 옥상 작목 또는 녹화 식물 재배 등의 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단부가 막힌 원통형 케이스 내에 펌프, 진동 감쇠 장치 및 수위 감지 센서가 일체형으로 장착됨으로써 단일 설치 공정으로 채수조를 설치할 수 있는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는 채수조에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채수 높이에 도달하거나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저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채수조 내의 펌프를 작동시켜 송수관을 통해 상기 저수조로 송수하고,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저수 높이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채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채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펌프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빗물은 필요 시 상기 저수조와 연결된 살수 호스를 통해 재배 중인 옥상 작목에 급수된다.
상기 채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상기 제1 저수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채수조의 수위가 상기 제1 채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채수조 내의 잉여 빗물을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으로 바이패스 할 수 있다.
상기 채수조는 상기 옥상 슬라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 홀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 측면에 다수 개의 빗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보다 직경이 큰 돔형 구조로써 상기 케이스가 상기 천공 홀 밑으로 빠져 내려가지 않도록 지탱하는 두부; 상기 두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두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내장되는 상기 펌프; 상기 두부의 빗물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펌프 및 상기 저수조와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채수된 물을 상기 저수조로 송수하는 상기 송수관; 상기 펌프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장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제1 채수 높이 및 상기 제2 채수 높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위 감지 센서; 및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채수된 물을 상기 우수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수조는 상기 천공 홀의 둘레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방수 그라우트; 상기 방수 그라우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그라우트를 패킹하는 오링(O 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의 시공 방법은 케이스 내에 펌프 및 수위 감지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옥상 슬라브의 배수구를 중심으로 외곽부를 상기 케이스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코어 보링(Core Boring)하여 천공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의 중단 외곽부에 실링용 오링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천공 홀 내에 상기 케이스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배수관을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와 상기 천공 홀 사이에 방수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에 송수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옥상 슬라브 위에 설치된 저수조에 상기 송수관의 타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펌프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제어함을 상기 펌프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전력 공급선으로 결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을 옥상 슬라브를 관통하여 설치된 천층의 채수조를 이용하여 빗물을 채수하고 이를 저수조로 압송하여 그 저수조에 연결된 살수 호스를 통해 급수함으로써, 옥상 작목 또는 녹화 식물 재배 등의 용수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부가 막힌 원통형 케이스 내에 펌프, 진동 감쇠 장치 및 수위 감지 센서가 일체형으로 장착됨으로써 단일 설치 공정으로 채수조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에 있어서, 채수조와 저수조의 옥상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에 있어서, 지상 채수조와 옥상 저수조의 배치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채수조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두부와 케이스의 결합 구조 및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뚜껑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채수조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 및 도 4의 저수조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에 있어서, 채수조와 저수조의 옥상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에 있어서, 지상 채수조와 옥상 저수조의 배치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수조(110)는 옥상 슬라브(190)의 배수구 부분을 천공한 천공 홀(hole)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채수조(110)에는 송수관(120)이 연결되고, 이 송수관(120)은 저수조(130)에 연결된다. 상기 저수조(130)에는 식재 텃밭(150)에 빗물을 급수하기 위한 살수 호스(140)가 연결된다.
상기 채수조(110) 부근에는 상기 채수조(110)와 상기 저수조(130) 간의 빗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함(195)이 설치된다. 상기 전기 제어함(195)은 옥상 난간(18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그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 가능하다.
참고로, 미 설명된 도면부호 160 및 170은 각각 옥상 출입구와 텃밭 통로를 가리킨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수조(110)는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조(130)는 상기 옥상 슬라브(190)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채수조(110)와 상기 저수조(130)는 지상과 옥상에 걸쳐서 설치되는 송수관(120)에 의해 연결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특히 도 3은 우수관 노출형 건물(예: 단독, 연립주택)에서의 설치도이고, 도 4는 우수관 벽체 내장형 건물(예: 고층 건물)에서의 설치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 같은 저층 건물은 우수관(310)이 벽체(3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옥상 난간(180)과 벽체(320) 사이의 옥상 슬라브(190)에 천공 홀을 형성하고(배수구를 중심으로 형성함), 그 안에 채수조(1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채수조(110)는 상기 우수관(310)에 연결되어, 상기 채수조(110)에 채수된 빗물 중 잉여 빗물이 상기 우수관(310)으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은 우수관(410)이 벽체(420)에 내장되며, 옥상 난간(180)이 벽체(420) 끝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옥상 난간(180) 안쪽의 옥상 슬라브(190)에 천공 홀을 형성하고, 그 안에 채수조(1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채수조(110)는 도 3과 마찬가지로 상기 우수관(410)에 연결되어, 상기 채수조(110)에 채수된 빗물 중 잉여 빗물이 상기 우수관(410)으로 배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채수조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두부와 케이스의 결합 구조 및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5의 뚜껑의 상세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수조(110)는 케이스(501), 두부(502), 펌프(503), 송수관(504), 진동 감쇠 장치(505), 제1 수위 감지 센서(506), 제2 수위 감지 센서(507), 배수관(508), 방수 그라우트(510), 오링(511), 및 뚜껑(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1)는 옥상 슬라브(516)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 홀(513)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50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공홀(513)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501)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503), 상기 송수관(504) 및 배수관(508)의 일부와 상기 진동 감쇠 장치(505)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501)는 상기 두부(502)의 빗물 유입구(601) 각각과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603)이 형성되어, 상기 빗물 유입구(601)와 함께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부(502)는 상부가 뚫려서 개구부(602)를 이루는 돔형 구조를 가지며, 그 측면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빗물 유입구(601)가 형성된다. 상기 두부(502)는 상기 케이스(50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501)가 상기 천공 홀(513) 밑으로 빠져 내려가지 않도록 지탱할 수 있다. 즉, 상기 두부(502)는 행거(Hanger) 역할을 하는 현가 장치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펌프(503)는 상기 케이스(501)의 하부에 내장된다. 상기 펌프(503)는 상기 케이스(501)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채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송수관(504)을 통해 옥상 슬라브(516) 위에 설치되는 저수조로 빗물을 송수한다. 또한, 상기 펌프(503)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저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송수관(504)을 통해 상기 저수조로 빗물을 송수한다.
상기 펌프(503)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저수 높이까지 상승하는 경우에 그 작동을 정지한다. 또한, 상기 펌프(503)는 상기 케이스(501)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채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그 작동을 정지한다.
상기 송수관(504)은 상기 펌프(503)의 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501) 내부에 채수된 물을 상기 저수조로 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송수관(504)은 상기 케이스(501)의 구멍(603)과 상기 두부(502)의 빗물 유입구(601)를 통하여 상기 펌프(503) 및 상기 저수조와 그 양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쇠 장치(505)는 상기 펌프(503)와 상기 케이스(50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503)의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진동 감쇠 장치(505)는 2개의 펌프 고정판(801), 진동 감쇠판(804), 및 회전 방지판(8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감쇠판(804)은 상기 2개의 펌프 고정판(80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방지판(803)은 상기 펌프 고정판(801)과 상기 진동 감쇠판(804)을 수직으로 볼트 체결하는 회전 방지판(8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위 감지 센서(506, 507)는 상기 케이스(501) 내부에 채수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상기 케이스(501) 내부에 상하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수위 감지 센서(506)는 상기 케이스(501) 내부의 제1 채수 높이(H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위 감지 센서(507)는 상기 케이스(501) 내부의 제2 채수 높이(H2)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배수관(508)은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509)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501) 내부에 채수된 빗물을 상기 우수관(509)으로 바이패스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 그라우트(Grout)(510)는 옥상 슬라브(516)에 형성된 천공 홀(513)로 빗물이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 그라우트(510)는 상기 옥상 슬라브(516)에 형성된 천공 홀(513)의 둘레면과 상기 케이스(501)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수 그라우트(510)는 시멘트와 물의 혼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시멘트와 모레와 물의 혼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오링(O Ring)(511)은 상기 방수 그라우트(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그라우트(510)를 패킹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오링(511)은 상기 방수 그라우트(510)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링(511)은 원형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512)은 상기 두부(502)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602)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두부(502)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두껑(512)은 돔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채수조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채수조(110)는 도 5의 채수조(110)와 그 구조에 있어서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의 채수조(110)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의 채수조(110)에서는 배수관(508)이 케이스(501)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배수관(508)이 상기 케이스(501)의 외부로까지 연장 형성되어 우수관(509)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반면에, 도 11의 채수조(110)에서는 배수관(508)이 케이스(501)의 좌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우수관(509)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12는 도 3 및 도 4의 저수조에 대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30)의 내부에는 2개의 수위 감지 센서(131, 132)가 상하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131)는 상기 저수조(13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저수 높이(H3)까지 상승하는 경우, 그 수위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의 채수조(110)는 펌프의 작동을 정지하여 빗물의 송수를 중단한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132)는 상기 저수조(13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저수 높이(H4)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그 수위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의 채수조(110)는 펌프를 작동시켜 송수관을 통해 빗물을 송수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채수조는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펌프를 작동시켜 송수관을 통해 저수조로 빗물을 송수한다. 또한, 상기 채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송수관을 통해 상기 저수조로 빗물을 송수한다.
반면, 상기 채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펌프 작동을 정지한다. 또한, 상기 채수조는 내부의 빗물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때, 상기 채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일정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채수조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채수조 내의 잉여 빗물을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으로 바이패스(By-Pass)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빗물은 필요 시 상기 저수조와 연결된 살수 호스를 통해 재배 중인 옥상 작목에 급수된다. 이에 따라, 우기 시 방류되는 천혜의 수자원을 저장하여 갈수기에 이용할 수 있으며, 지하 및 지상 저수 시의 각종 장해요인을 피하여 옥상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채수 및 저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케이스 내에 펌프 및 수위 감지 센서를 부착한다.
다음으로, 옥상 슬라브의 배수구를 중심으로 외곽부를 상기 케이스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코어 보링(Core Boring)하여 천공 홀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의 중단 외곽부에 실링용 오링을 부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천공 홀 내에 상기 케이스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배수관을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천공 홀 사이에 방수제(방수 그라우트)를 주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에 송수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옥상 슬라브 위에 설치된 저수조에 상기 송수관의 타단을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펌프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 제어함을 적당한 위치(예: 옥상 난간)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기 제어함을 상기 펌프 및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 전력 공급선으로 결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단부가 막힌 원통형 케이스 내에 펌프, 진동 감쇠 장치 및 수위 감지 센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단일 설치 공정으로 채수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케이스의 두부 측면상에 천공된 빗물 유입부를 통하여 빗물이 채수조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두부가 우산 형태로 확대되어 채수조가 빠지지 않도록 행거(Hanger) 역할을 하는 현가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채수조
120, 504: 송수관
130: 저수조
501: 케이스
502: 두부
503: 펌프
505: 진동 감쇠 장치
506, 507: 수위 감지 센서
508: 배수관
509: 우수관
510: 방수 그라우트
511: 오링
512: 뚜껑
513: 천공 홀
514: 벽체
515: 옥상 난간

Claims (5)

  1. 빗물을 채수하는 채수조, 및 채수된 빗물을 저수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에 있어서,
    상기 채수조는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채수 높이에 도달하거나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저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펌프를 작동시켜 송수관을 통해 상기 옥상 슬라브 위에 설치되는 상기 저수조로 송수하고,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저수 높이까지 상승하거나 상기 채수조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채수 높이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펌프 작동을 정지하며,
    상기 저수조에 저수된 빗물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된 살수 호스를 통해 재배 중인 옥상 작목에 급수되고,
    상기 채수조는 상기 옥상 슬라브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공 홀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 측면에 다수 개의 빗물 유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보다 직경이 큰 돔형 구조로써 상기 케이스가 상기 천공 홀 밑으로 빠져 내려가지 않도록 지탱하는 두부; 상기 두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두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내장되는 상기 펌프; 상기 두부의 빗물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펌프 및 상기 저수조와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채수된 물을 상기 저수조로 송수하는 상기 송수관; 상기 펌프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의 진동을 감쇠하는 진동 감쇠 장치;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제1 채수 높이 및 상기 제2 채수 높이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수위 감지 센서; 및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채수된 물을 상기 우수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을 포함하는 저층 건물과 같이 우수관이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채수조는 옥상 난간과 벽체 사이의 옥상 슬라브에 형성되는 천공 홀 안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관에 연결되고,
    아파트를 포함하는 고층 건물과 같이 우수관이 벽체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상기 채수조는 옥산 난간 안쪽의 옥상 슬라브에 형성되는 천공 홀 안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수위가 상기 제1 저수 높이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채수조의 수위가 상기 제1 채수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배수관을 통하여 상기 채수조 내의 잉여 빗물을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조는
    상기 천공 홀의 둘레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방수 그라우트;
    상기 방수 그라우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방수 그라우트를 패킹하는 오링(O Ring)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
  5. 삭제
KR1020100098225A 2010-10-08 2010-10-08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KR10123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225A KR101230572B1 (ko) 2010-10-08 2010-10-08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225A KR101230572B1 (ko) 2010-10-08 2010-10-08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501A KR20120036501A (ko) 2012-04-18
KR101230572B1 true KR101230572B1 (ko) 2013-02-20

Family

ID=4613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225A KR101230572B1 (ko) 2010-10-08 2010-10-08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4514B (zh) * 2016-03-03 2018-06-01 杨志恒 一种便于操作的花卉种植用培养箱
CN107152055A (zh) * 2017-07-13 2017-09-12 上海中森建筑与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多层建筑雨水收集及净化花坛组合装置
CN113719035A (zh) * 2021-07-20 2021-11-30 杭州中艺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用于屋顶绿化的环保雨水收集遮挡一体化装置
CN114439162B (zh) * 2022-01-21 2023-06-23 广东世纪建设工程有限公司 雨水回收再利用的绿色节能建筑
CN114642158B (zh) * 2022-03-17 2023-04-25 广东大自然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用循环供水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541U (ja) * 1993-04-14 1994-11-04 殖産住宅相互株式会社 屋上庭園を兼ねた鉄骨造建物の除振装置
JPH0956275A (ja) * 1995-08-21 1997-03-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屋上緑化用貯水システム
KR100725029B1 (ko)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KR20080028026A (ko) * 2006-09-26 2008-03-31 다불산업주식회사 빗물을 이용한 녹지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541U (ja) * 1993-04-14 1994-11-04 殖産住宅相互株式会社 屋上庭園を兼ねた鉄骨造建物の除振装置
JPH0956275A (ja) * 1995-08-21 1997-03-04 Sumitomo Electric Ind Ltd 屋上緑化用貯水システム
KR100725029B1 (ko) 2006-08-10 2007-06-07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옥상녹화 시스템
KR20080028026A (ko) * 2006-09-26 2008-03-31 다불산업주식회사 빗물을 이용한 녹지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501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572B1 (ko)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CN104695546B (zh) 维护成本较低的生态建筑
KR100963190B1 (ko) 옥상녹화용 자동관수시스템
KR100858413B1 (ko) 가구별 테라스를 구비한 공동주택 구조 및 이 가구별 테라스를 이용한 정화/집수 시스템.
CN104831873B (zh) 一种复合蓄排水智能倒置式刚性屋面
KR101881491B1 (ko) 태양광 자동 관개 시스템을 갖춘 조립식 물탱크
JP2011130761A (ja) 雨水人工涵養可能な地質循環式水幕栽培システム{Protectedcultivationsystemwithgeologicalcirculationofgroundwaterandrainfallartificialrecharge}
CN106069380B (zh) 一种大棚降温系统及方法
KR100787184B1 (ko) 지중온과 우수활용장치
JP2003023868A (ja) 屋上およびビル周囲の緑化のための植物栽培装置
JP4364909B2 (ja) 緑化装置
KR101061465B1 (ko) 농업용 친환경 온실구조물
JP5841689B1 (ja) 温室
KR101538992B1 (ko) 수밀용기를 이용한 단열과 방수가 가능한 옥상녹화시스템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JP2002371597A (ja) 雨水集水方法
KR100766993B1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수분 공급 장치
JP3415710B2 (ja) 縦型雨水貯水タンクの底部固定構造
JP3609816B2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3669946B2 (ja) 構造物の緑化構造
CN208965909U (zh) 绿化防水屋顶
JP3163158U (ja) 雨水貯水装置
JP3793491B2 (ja) 緑化構造及び緑化方法
CN211931602U (zh) 一种平顶房隔热绿化装置
CN220225958U (zh) 一种可上人的绿化屋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