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326B1 -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326B1
KR100361326B1 KR1020000006061A KR20000006061A KR100361326B1 KR 100361326 B1 KR100361326 B1 KR 100361326B1 KR 1020000006061 A KR1020000006061 A KR 1020000006061A KR 20000006061 A KR20000006061 A KR 20000006061A KR 100361326 B1 KR100361326 B1 KR 10036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variable
support
drain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654A (ko
Inventor
최준식
Original Assignee
최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1020000006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326B1/ko
Priority to KR2020000003394U priority patent/KR200189530Y1/ko
Publication of KR2001007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백화점, 여관, 주택의 욕실이나 베란다, 사우나, 세탁실의 배수구 등의 배수관과 연결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타일 외부로 노출되어 하수를 배수하는 배수트랩의 덮개판이 바닥타일과 같은 색상의 조화를 이룰 뿐 아니라 가변조절판을 트랩본체에 대하여 전후 또는 좌우 사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이동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시 마감재인 바닥타일의 라인 정렬 시공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수관(1)에 연결되는 배수통(2)내에서 회동 자재한 회동부재(3)에서 가변가능한 가변부재(4)에 나삽되는 나사관(11)이 형성되어 배수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배수트랩으로서, 이는 소정 높이의 측벽(10a)과, 상기 측벽(10a)으로부터 상기 나사관(11)을 향해 경사진 바닥면(10b) 및 상기 경사진 바닥면(10b)에 형성된 다수의 받침리브들(12)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리브들(12)사이에 배수유도공간(13)을 형성하도록 한 사각형상의 트랩본체(10)와;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구(21)의 일측에는 상기 트랩본체(10)의 받침리브(12)에 지지되는 지지구(22)가 형성되고, 사각형상의 개구(21)의 타측에는 돌출된 테두리(23)와 받침턱(24)이 구비되어 상기 트랩본체(10)상에서 전후 좌우 이동 가능한 가변조절판(20)과; 상기 가변조절판(20)에 형성된 개구(21)내에 장착되며 받침턱(31)이 구비되고, 단면적이 상기 개구(21)의 단면적 보다 작도록 형성된 덮개판(30);및 외주연부가 상기 가변조절판(20)의 받침턱(24)에 지지되고 내주연부가 상기 덮개판(30)의 받침턱(31)에 지지되며 상기 외주연부와 내주연부 사이에는 다수의 배수공(41)이 형성된 걸름망(40)으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Variable type drainage trap}
본 발명은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백화점, 여관, 주택의 욕실이나 베란다, 사우나, 세탁실의 배수구 등의 배수관과 연결 사용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 타일 외부로 노출되어 하수를 배수하는 배수트랩의 덮개판이 바닥타일과 같은 색상의 조화를 이룰 뿐 아니라 가변조절판을 트랩본체에 대하여 전후 또는 좌우 사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이동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시 마감재인 바닥타일의 라인 정렬 시공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시공시 마무리 작업으로 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트랩이 설치되는바, 배수트랩은 그의 몸체가 배수관에 끼워져서 슬라브 층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수트랩은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면에 시설되어 있는 배수구에 설치되므로 각종 이 물질이 배수구로 유입되어 배수구를 폐색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걸름판이 별도로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형적인 배수트랩에 있어서는 악취역류 차단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나 이물질의 유입차단기능은 전적으로 상부면에 설치되는 이물질 걸름판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물질 걸름판에 걸러지는 이물질은 배수 후에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면과 같은 높이에 설치된 이물질 걸름판 위에 잔류하게 되어 비위생적이고 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다. 한편, 욕실이나 화장실의 바닥면으로 시공된 타일은 대개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이러한 타일형태에 맞추어 구성된 배수트랩이라 하여도 이물질 걸름판이 타일형태에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99-39270호에는 이물질이 배수트랩의 내부에서 걸러질 수 있도록 하고 상부면 구조가 욕실이나 화장실 바닥면으로 시공된 타일의 형태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배수트랩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의 고안은 배수관의 끝 단부와 연결되며 화장실 등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하부 트랩동체와 상부 덮개판을 구비하되, 이 하부 트랩동체에는 배수잔류구를 형성하기 위해 내주면으로 부터 상승된 사각받침부가 형성되고, 상부덮개판은 상기의 하부 트랩동체의 내 측에 삽입되어 사각 타일이 시멘트 몰타르에 의해 상부 덮개판에 연 이어져 부착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에 있어서, 하부 트랩동체 내에서 상부 덮개판의 유동이 전혀 없도록 설계되었으므로 설치시 상부 덮개판에 부착된 타일이 주변의 바닥 타일과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하부 트랩동체 내에서 상부 덮개판이 전후,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주위의 바닥 타일과 정렬(라인 정열)하기가 매우 곤란한 시공상의 문제점이 유발되고, 또한 이를 정확히 맞춤하기 위해서는 작업상의 숙련이 요구된다.
또한 바닥 타일판이 몰타르에 의해 상부 덮개판에 고정되므로 어떤 원인에 의해 타일판이 깨질 경우에는 이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특히 선 출원 고안의 경우에는 별도의 걸름망 기능이 전혀 없고 하부 배수트랩 자체에 배수잔류구가 얕은 깊이로 직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의 배출에 따른 머리카락 등의찌꺼기가 걸러지지 않고 곧장 배출되거나 또는 배수잔류구에 걸려 남게됨에 따라 오히려 하수의 신속한 배출을 방해할 뿐 아니라 자주 청소해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배수구의 청소를 등한시하는 경우 배수잔류구에 어느 정도 항상 남아 있는 찌꺼기와 오수에 의해 오히려 악취의 발생 염려가 많은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타일 외부로 노출되어 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걸름망이 안착되는 덮개판이 주변 바닥 타일과 같은 색상으로 조화를 잘 이룰 뿐 아니라 덮개판이 삽설되는 가변조절판이 트랩본체에 대하여 전후, 좌우 사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 조절이 가능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바닥 타일의 라인 정렬 시공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조절판을 "B" 방향으로 가변시킨 상태의 예시 평면도,
도4는 도3에 있어서 가변조절판이 "B" 방향으로 가변된 상태에서의 측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조립 측 단면도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부절제 분리 사시도,
도7은 도6의 조립 측 단면도,
도8 및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판의 구조를 보인 각각의 발췌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랩본체 10a: 트랩본체의 측벽
10b: 트랩본체의 바닥면 12: 받침리브
13: 배수유도공간 20: 가변조절판
21: 개구 22: 지지구
23: 돌출테두리 24,31: 받침턱
30: 덮개판 40: 걸름망
41: 배수공 50: 타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은, 소정 높이의 측벽과, 상기 측벽으로부터 배수용 나사관을 향해 경사진 바닥면 및 상기 경사진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의 받침리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리브들 사이에 배수유도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사각형상의 트랩본체와;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구의 일측에는 상기 트랩본체의 받침리브에 지지되는 지지구가 형성되고, 사각형상의 개구의 타측에는 돌출된 테두리와 받침턱이 구비되어 상기 트랩본체상에서 전후 좌우 이동 가능한 가변조절판과; 상기 가변조절판에 형성된 개구내에 장착되며 받침턱이 구비되고, 단면적이 상기 개구의 단면적 보다 작도록 형성된 덮개판;및 외주연부가 상기 가변조절판의 받침턱에 지지되고 내주연부가 상기 덮개판의 받침턱에 지지되며 상기 외주연부와 내주연부 사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걸름망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조절판의 전후 좌우 이동시 상기 가변조절판의 지지구는 트랩본체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내에서 받침리브위를 전후 좌우 이동이 자재하도록 하고, 상기 가변조절판의 전후 좌우 이동시 상기 걸름망에 형성된 배수공들은 상기 트랩본체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판에는 주위에 시공되는 타일 형상의 받침요홈을 더 형성하여 이 받침요홈에는 타일을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덮개판은 금속으로 만들 수 있으나, 부식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배수트랩은 트랩본체(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트랩본체(1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관(1)이 연결되는 배수통(2) 내에서 회동 자재한 회동부재(3)에 끼워지는 가변부재(4)에 나삽되는 나사관(11)이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관(11)은 소정 높이의 측벽(10a)과 바닥면(10b)에 의해 한정되는 배수유도공간(13)을 갖도록 트랩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바닥면(10b)은 측벽(10a)으로부터 나사관(11)을 향해 경사져 있음으로써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하였다. 경사진 바닥면(10b)에는 다수의 받침리브들(12)이 형성되어 이후 설명하는 가변조절판(20)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받침리브(12)의 높이는 측벽(10a)쪽에서는 낮고, 나사관(11)에 인접한 곳에서는 높도록 설계되었으므로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평평한 수평면을 이루어 이후 설명할 가변조절판(20)의 지지구(22)와 덮개판(30)이 수평적으로 이동 자재하도록 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조절판(20)은 트랩본체(10)상에서 전후 좌우 이동 가능한 것인바, 가변조절판(20)의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의 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트랩본체(10)의 받침리브(12)에 지지되는 지지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구(22)의 반대쪽에는 사각 형상의 테두리(23)가 돌출되어 있으며 테두리(23)의 내측에는 받침턱(2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변조절판(20)에 형성된 개구(21)내에는 덮개판(30)이 위치되는바, 이 덮개판(30)에는 받침턱(31)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덮개판(30)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 가능한바, 특히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경우 그 색상을 주변 타일색과 동일한 색상으로 제조하여 시공에 따른 장식미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판(30)에는 걸름망(40)이 결합되는바, 이 걸름망(40)에는 오수 등이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공시 다수의 배수공(41)이 형성된 걸름망(40)의 외주연부는 가변조절판(20)의 받침턱(24)에 지지되고 걸름망(40)의 내주연부는 덮개판(30)의 받침턱(31)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가변조절판(20)의 상면에는 테두리(23)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걸름망(40)이 제자리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여기에서 테두리(23)의 내측에는 걸름망(40)이 위치되고 그의 외측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타일(50)이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닥타일(50)의 위치정렬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조절판(20)의 전후 좌우 이동시 가변조절판(20)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구(22)는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내에서 받침리브(12)위를 전후 좌우 이동이 자재하게 되고 가변조절판(20)의 전후 좌우 이동시 걸름망(40)에 형성된 배수공(41)들은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천공되어 있다.
여기에서 걸름망(40)의 배수공(41)은 도1 및 도3에서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바, 걸름망(40)에 형성되는 배수공(41)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배열이 아닌 기타의 형태 및 배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덮개판(30)은 제조시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5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70은 트랩본체(10)의 나사관(11)을 통해 배수되는 오수를 굴절시켜 하수도에서 올라오는 악취등을 방지하기 위한 봉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5에 도시한 슬라브층(60)에 매몰된 배수통(2)의 내측단턱(2a)에 회동부재(3)를 삽입하고, 가변부재(4)를 적당한 방법으로 회동부재(3)의 양측 가이드홈(도면부호 생략)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트랩본체(10)의 수나사관(11)을 가변부재(4)내에 적당한 길이로 나삽시킨다. 이러한 나삽은 도4에서와 같이 가변조절판(20)의 상부가 후공정에 의해 부착될 바닥타일(50)의 상측면과 동일면 또는 그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조절판(20)의 높이가 정해지면 가변조절판(20)을 회동시켜 가변조절판(20)의 돌출 테두리(23)가 타일의 배열방향과 일치되도록 하여 고정하면 된다.
그런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변조절판(20)은 좌우방향(A,B)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방향(C,D)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가변조절판(2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유는 가변조절판(20)의 하측면에 형성된 지지구(22)의 크기가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보다 작게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의 영역이 트랩본체(10)의 측벽(10a)이므로 가변조절판(20)의 전후 좌우 이동시 가변조절판(20)의 지지구(22)는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내에서 받침리브(12)위에서 화살표방향(A,B,C,D)으로 자유로히 수평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가변조절판(20)의 전후 좌우 이동시 걸름망(40)에 형성된 배수공(41)들은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천공되어 있음으로써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인바, 이는 도2의 측단면도를 보면 더욱 명확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시 작업자는 테두리(23)를 잡고 가변조절판(2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함도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조절판(20)을 가변 조절시킨 후에도 걸름망(40)의 각 배수공(41)은 트랩본체(10)의 배수유도공간(13)내에 위치하게 되어 오수는 각 화살표를 따라 각 받침리브들(12)사이를 통해 나사관(11)으로 곧장 유도 배출된다.
이렇게 가변조절판(20)이 설치되고 나면 받침판(30)을 개구(21)내에 위치시킨다음 걸름망(40)을 받침판(30)의 받침턱(31)에 받침한후 걸름망(40)을 가변조절판(20)의 받침턱(24)에 올려 놓으면 되는 것인데, 테두리(23)의 외측에는 바닥타일(50)을 붙이게 되는데 이 경우 바닥타일(50)의 일측면은 테두리(23)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므로 덮개판(30)과 걸름망(40) 및 바닥타일(50)은 평행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트랩은 시공시 전후좌우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주위의 바닥타일과 시공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바, 예컨대 주변 바닥타일(50)의 라인정렬을 용이하게 맞춤시공 가능하고, 또한 트랩본체(10)의 배수유도공간(13)의 바닥면(10b)이 경사져 있으므로 걸름망(40)의 배수공(41)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배수유도공간에 남아있지 않고 곧바로 배수됨에 따라 찌꺼기나 오수에 의한 악취의 발생우려가 없게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6 및 도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도면에 있어서 도1 및 도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6 및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판(30)에는 소정형상의 받침요홈(32)이 더 형성되어 타일(50)이 받침요홈(32)에 부착되도록 하였는바, 여기에서 받침요홈(32)의 형상은 부착될 타일(5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오각형, 원형 또는 기타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고, 타일(50)역시 주변에 부착되는 바닥타일(50)과 동일한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그 만큼 배수트랩의 설치에 따른 장식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덮개판(30)은 제조시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은 바닥 타일 외부로 노출되어 하수를 유입하기 위한 걸름망이 안착되는 덮개판이 주변 바닥 타일과 같은 색상으로 조화를 잘 이룰 뿐 아니라 덮개판이 삽설되는 가변조절판이 트랩본체에 대하여 전후, 좌우 사 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 조절이 가능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바닥 타일의 라인 정렬 시공을 보다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트랩본체의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오수등이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는 효과를 지닌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하기의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많은 변형이 있을 수 도 있다. 예컨대 걸름망(40)에 형성된 배수공(41)의 형상 및 배열은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물론이다.

Claims (3)

  1. 배수관(1)에 연결되는 배수통(2)내에서 회동 자재한 회동부재(3)에서 가변가능한 가변부재(4)에 나삽되는 나사관(11)이 형성되어 배수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의 배수트랩에 있어서:
    소정 높이의 측벽(10a)과, 상기 측벽(10a)으로부터 상기 나사관(11)을 향해 경사진 바닥면(10b) 및 상기 경사진 바닥면(10b)에 형성된 다수의 받침리브들(12)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리브들(12)사이에 배수유도공간(13)을 형성하도록 한 사각형상의 트랩본체(10)와;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개구(21)의 일측에는 상기 트랩본체(10)의 받침리브(12)에 지지되는 지지구(22)가 형성되고, 사각형상의 개구(21)의 타측에는 돌출된 테두리(23)와 받침턱(24)이 구비되어 상기 트랩본체(10)상에서 전후 좌우 이동 가능한 가변조절판(20)과;
    상기 가변조절판(20)에 형성된 개구(21)내에 장착되며 받침턱(31)이 구비되고, 단면적이 상기 개구(21)의 단면적 보다 작도록 형성된 덮개판(30);및
    외주연부가 상기 가변조절판(20)의 받침턱(24)에 지지되고 내주연부가 상기 덮개판(30)의 받침턱(31)에 지지되며 상기 외주연부와 내주연부 사이에는 다수의 배수공(41)이 형성된 걸름망(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조절판(20)의 전후 좌우 이동시 상기 가변조절판(20)의 지지구(22)는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내에서 받침리브(12)위를 전후 좌우 이동이 자재하도록 하고, 상기 가변조절판(20)의 전후 좌우 이동시 상기 걸름망(40)에 형성된 배수공(41)들은 상기 트랩본체(10)의 측벽(10a)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벗어나지 않도록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에는 소정형상의 받침요홈(32)을 더 형성하고 상기 받침요홈(32)에는 타일(50)을 부착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조절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20000006061A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036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61A KR100361326B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20000003394U KR200189530Y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61A KR100361326B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94U Division KR200189530Y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54A KR20010078654A (ko) 2001-08-21
KR100361326B1 true KR100361326B1 (ko) 2002-11-22

Family

ID=19645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94U KR200189530Y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20000006061A KR100361326B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94U KR200189530Y1 (ko) 2000-02-09 2000-02-09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95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18B1 (ko) 2006-07-31 2008-06-26 김흥준 좌변기의 배수관과 하수관의 이음관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3-10-17 김창연 욕실용 배수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35492A (en) * 2005-10-26 2008-04-30 Modern Avenue Sdn Bhd A drainage grat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8307582B2 (en) 2007-03-17 2012-11-13 Tile Redi, Llc Shower enclosure design and assembly methods using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US8112831B2 (en) 2007-03-17 2012-02-14 Cook Joseph R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and associated shower benches
US8141182B2 (en) 2007-03-17 2012-03-27 Cook Joseph R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 and associated shower bench
US20120036632A1 (en) * 2010-08-10 2012-02-16 Cook Joseph R Kits from which may be manufactured drainable structures with concealed drains
US20120036631A1 (en) * 2010-08-10 2012-02-16 Cook Joseph R Tileable drain and cover apparatus
US20120036697A1 (en) * 2010-08-10 2012-02-16 Cook Joseph R Methods for installing drainable structures with concealed drains
IT201700018536A1 (it) * 2017-02-20 2018-08-20 Mauro Giuseppe Musciatelli Piletta di tipo migliorato per lo scarico a pavimento di reflui
CN111827446A (zh) * 2020-07-20 2020-10-27 杨运春 一种地漏固定面板及其锻压打磨设备
CN112031132B (zh) * 2020-09-07 2021-12-28 邹重庆 一种水流冲击组合式防反水地漏及其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18B1 (ko) 2006-07-31 2008-06-26 김흥준 좌변기의 배수관과 하수관의 이음관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3-10-17 김창연 욕실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54A (ko) 2001-08-21
KR200189530Y1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EP3044383B1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100887004B1 (ko) 배수트랩
KR101576528B1 (ko) 베란다 우수관용 배수장치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200192282Y1 (ko) 배수트랩
KR200150630Y1 (ko) 바닥 배수용 트랩유니트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181388Y1 (ko) 배수트랩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200311398Y1 (ko) 일체형 배수트랩
KR101148237B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0123415Y1 (ko) 배수전
KR200196773Y1 (ko) 배수 트랩
KR200295976Y1 (ko) 배수트랩
TWM562884U (zh) 浴/廁防溢水裝置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200262382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AU2007203019B2 (en) Floor Waste Assembly
JPH0137008Y2 (ko)
KR200182301Y1 (ko) 배수관 장치의 상부 기틀 및 상부기틀판
KR200360042Y1 (ko) 다층건물의 층별 배수/배관용 집수죠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