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813B1 - 배수 트랩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813B1
KR101170813B1 KR1020090068491A KR20090068491A KR101170813B1 KR 101170813 B1 KR101170813 B1 KR 101170813B1 KR 1020090068491 A KR1020090068491 A KR 1020090068491A KR 20090068491 A KR20090068491 A KR 20090068491A KR 101170813 B1 KR101170813 B1 KR 10117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rap
main support
hollow
r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043A (ko
Inventor
장동욱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주)이씨엘플라자
(주)장유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엘플라자, (주)장유씨엠 filed Critical (주)이씨엘플라자
Priority to KR102009006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8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트랩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매설되며 중공의 형상을 갖는 메인지지부; 및 상기 메인지지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일의 시공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 한번 설치된 위치에서 배수 트랩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해지므로 타일을 재단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일의 파손을 줄여 자재비,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고, 유지 보수 또한 간편해지는 것이다.
배수, 트랩, 타일, 봉수

Description

배수 트랩 구조물{Structure Of Drain Trap}
본 발명은 배수 트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타일 시공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 기존 설치된 트랩과의 위치 문제를 개선하여 시공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배수 트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욕실, 화장실, 베란다, 세면대, 욕조 등과 같이 물이 사용되는 장소의 바닥과 설비들에는 폐수를 오배수관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오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설치되는데, 바닥에 위치된 배수구를 통해 배수하는 장소에서는 오배수관이 매설되어 있는 바닥면의 높이를 감안하여 대부분 봉수 내장형 배수 트랩을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트랩 구조물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 트랩(1)은 바닥에 공간을 천공한 후 천공된 공간에 몰입되도록 그 위치가 고정되며, 배수 트랩이 몰입된 바닥면에는 타일 또는 블럭(이하, 타일)이 함께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타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몰타르, 시멘트 등 타일을 접착할 수 있는 시공재가 바닥에 먼저 도포된다. 이어서 도포된 시공재 위로 사각형 등 다양한 모 양의 타일들을 서로 연이어 배열하면서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배수 트랩과 타일이 함께 시공되는 과정에서 종래 배수 트랩(1)은 타일이 배열되면서 배수 트랩 근처에 오면 타일의 모양을 배수 트랩의 형상에 맞도록 일부를 깨뜨리거나 변형시키는 작업을 수행해 왔다.
이러한 시공 공정은 타일을 재단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타일의 파손이 많아 자재비,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고, 모든 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미관상 또는 배수시 물 흐름을 안좋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다른 작업형태로서 시공재로 고정된 배수 트랩을 분리시켜 배수 트랩의 고정부를 위치 오차만큼 절단한 후 배수 트랩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한번 시공된 시공재와 배수 트랩의 고정부를 파손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종래 배수 트랩은 바닥에 한번 몰입되게 설치된 후에는 배수공(H)이 위치가 고정되므로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일을 함께 시공할 때 한 번 설치된 배수 트랩의 설치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어 타일의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배수 트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매설되며 중공의 형상을 갖는 메인지지부;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중공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통을 상기 중공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슬라이드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링을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링을 덮도록 상기 링받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커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부로 시공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가장자리에 수직내벽을 형성하여 발생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상기 외통에 축적된 오물의 건조를 위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봉수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봉수부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수부 결합수단은, 일단이 메인지지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봉수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타일의 시공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 한번 설치된 위치에서 배수 트랩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해지므로 타일을 재단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할 뿐만아니라 타일의 파손을 줄여 자재비, 인건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둘째, 시공 후 배수 트랩 근처에 배치되는 타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에 필요한 형상으로 타일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미관 및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타일의 시공재나 방수액의 도포과정에서 배수 트랩 내부로 시공재와 방수액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 트랩 내부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시공후 배수공이 막혀 배수가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넷째, 배수 트랩에 오물이 걸러지면서 배수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오물에 포함된 수분이 빠지게 되면서 오물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부패에 의한 악취 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배수 트랩과 봉수부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해지며 배수 트랩 구조물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설치 후 유지보수도 간편해 지는 효과가 유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배수트랩이 이동한 상태의 설치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바닥(H)에 매설되는 메인지지부(100)와,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200)과, 상기 메인지지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지지부(100)는 욕실, 다용도실, 베란다 등 배수를 요하는 시설물의 바닥(H)에 매설되도록 설치되는데, 시설물의 바닥(H) 두께에 맞는 길이를 갖는다. 메인지지부(100)는 배수트랩(200)이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가 중공(W)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지지부(100)는 원통 형상으로써 상부 영역의 지름이 하부 영역의 지름보다 크도록 테이퍼 진 형상을 예시하였다. 즉, 메인지지부(100)는 바닥(H)을 이루는 소재와 접촉되는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의 내부에서 중공(W)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내벽(120)과, 상기 수직내벽(120)과 연장되는 경사내벽(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지지부(100)는 바닥(H)에 천공된 설치공간에 배수트랩(2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바닥(H)의 두께 방향으로 몰입되게 먼저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트랩(200)은 상부 일측이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돌출되도록 상기 중공(W)에 개재되는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외통(210)은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외통(210)은 상부면이 개구되고 하부면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공(W)의 영역에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통(220)은 상기 외통(210)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통(220)은 일측이 상기 외통(210)의 내측 중앙에 개재되고 타측이 상기 외통(2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내통(220)의 상부와 하부에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내통입구(221)와 내통출구(223)가 형성 된다.
상기 배수트랩(200)에는 배수를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수트랩(200)의 상부 개구 영역에는 거름망(260)을 구비한 상부 캡(27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트랩(20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수평이동부(300)와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 캡(270)과 이격되도록 일정 경사를 갖고 물의 배수 유로를 형성하는 경사판(240)이 포함된 상부 배수관 조립체(23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배수관 조립체(23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캡(270)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거름망(260)을 통과하여 이물질의 일부가 걸러지면서 배수트랩(200)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경사판(240)으로 유입된 물은 거름망(260)의 상단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상 속도 이상의 유속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24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배수트랩(200)의 상단부의 좌측 부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평이동부(300)에 의해 상기 배수트랩(200)이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상기 배수트랩(200)의 외통(210)을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시공 환경에 맞도록 시공자가 배수트랩(200)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200)의 외통(210)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링(310)과,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마련되어 슬라이드링(310)을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받침(3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링(310)은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링(310)의 내주는 상기 외통(210)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기 외통(21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통(210)에는 상부 배수관 조립체(2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링(310)의 내주는 상기 배수관 조립체(230)의 나사부에 나사결합 형태로 결합되면서 슬라이드링(310)은 외통(21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부(100)가 매설된 후에는 상기 외통(210)과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드링(310)은 메인지지부(100)에 마련된 링받침(330)에 외주 영역이 놓여지게 된다. 상기 링받침(33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부(100)의 외벽(110) 및 수직내벽(120)의 사이에 방사상의 형태로 배열된 격벽이 이루는 상면이 될 수 있다.
상기 링받침(330)에 놓여진 슬라이드링(310)은 링받침(330)의 상면을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면서 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시공 과정에서 먼저 메인지지부(100)가 매설된 후 에는 타일을 부착시키기 위해 시멘트, 몰타르 등 시공재(T)가 바닥(H)에 도포되고, 그 위에 타일(B)이 차례로 맞추어지면서 놓여지게 된다. 이때, 처음 시공 위치에서 상기 배수 트랩 구조물(101)이 위치한 근처에 까지 타일이 놓여질 때에 타일의 모양 등을 고려하여 처음 자리잡은 배수 트랩 구조물(101)의 위치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좌측에 놓여진 배수트랩(200)을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링(310)을 이동시켜 배수트랩(200)이 우측을 향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된 슬라이드링(3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버링(350)이 상기 슬라이드링(310)의 외주 영역을 덮도록 상기 링받침(3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링(350)과 링받침(330)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커버링(350)이 상기 슬라이드링(310)을 온전하게 구속시키지 않더라도 시공재(T)가 도포되어 굳어지면서 배수트랩(200)은 시공후에도 이동된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타일을 시공할 때에 배수트랩(200)의 설치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어 타일의 파손 및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배수 트랩 구조물(101)의 시공 과정 또는 시공 후에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시공재(T)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시멘트 몰타르 등 표면에 굳어져 공간을 차지하는 시공재(T)의 경우에는 메인지지부(100) 의 중공(W)을 막아 배수트랩(2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거나 배수시 물빠짐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지지부(100)로 시공재(T)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400)가 설치된다.
도 6은 도 2의 트랩 구조물에서 시공재(T) 누설방지와 오물 건조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방지부(400)는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 가장자리에 형성한 수직내벽(120)과 외벽(110)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메인지지부(100)가 매설되고 시공재(T)가 바닥(H)을 덮으면서 메인지지부(100) 영역까지 도포되면 중력에 의해 밀리는 시공재(T)는 메인지지부(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 누설방지부(400)로 먼저 이동하면서 차츰 누적되게 된다. 이는 방수액이나 페인트 등의 도포시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 환경에 맞게 그 위치가 이동된 배수트랩(200)이 설치된 후에 슬라이드링(310)에는 커버링(350)이 덮여지므로 상기 누설방지부(400)로 유입되는 시공재(T)나 방수액의 양은 그리 많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타일의 시공재(T)나 방수액 또는 페인트 등이 도포시 배수트랩(200)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재(T)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거나 배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공이 끝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외통(210)에 는 이물질이 차츰 쌓이면서 부패해 악취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외통(210)의 하부에는 외통(210)에 축적된 오물의 건조를 위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통공(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 과정 중에 외통(210)에 오물이 걸러지면서 내부의 내통(220)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외통(210)의 오물에 포함된 수분은 미세통공(211)으로 빠지게 되면서 외통(210)에 축적된 오물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부패에 의한 악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2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8은 봉수부 결합수단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6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봉수부(600)는 상기 메인지지부(10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부(100)의 하단과 연통되며 측방 또는 사방으로 오배수관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된 구조를 갖는다.예를 들어 측방에는 주관이 연결되어 옥외로 배수되고 또 다른 측방향에는 욕조나 세면기 같은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봉수부(600)에는 하부 습식 봉수부와 상부 건식 봉수부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오배수관 내부의 냄새를 완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배수트랩(200)의 하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유동되는 물이 유입되어 걸러지는 걸름망(610)이 설치되고, 걸름망(610)의 하단에는 각 분기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6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봉수부(600)의 내부 저부로 배수되는 물이 일정량 이상으로 형성 될 때 분기관을 통하여 배수된다. 따라서,상기 봉수부(600)의 걸름망(61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악취가 방지되면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봉수부(600)를 상술한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 보다 간편한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봉수부 결합유닛(500)을 더 구비한다.
봉수부 결합유닛(500)은 일단이 메인지지부(100)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기둥(530)을 갖는 착탈본체(520)부와, 상기 중공기둥(530)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끼움링(540)과, 봉수부(600)가 상기 절곡끼움링(540)과 중공기둥(530)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520)부에 결합되는 덮개부(5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봉수부 결합유닛(500)을 메인지지부(100)에 나사 결합시켜 덮개부(550)가 노출되도록 결합시킨다. 이어서 봉수부(600)의 단부(601)를 상기 봉수부 결합유닛(500)의 덮개부(550)를 향해 삽입시키면 봉수부(600)의 단부(601)는 덮개부(550) 내측에 노출된 절곡끼움링(540)과 중공기둥(53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절곡된 형상의 절곡끼움링(540)이 봉수부(60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서 봉수부(600)는 메인지지부(100)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봉수부 결합유닛(500)은 메인지지부(100)에 착탈결합되면서 메인지지부(100)와 봉수부(600)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봉수부(600)의 분기관에 각각 착탈결합되면서 다양한 오배수관을 쉽게 결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봉수부(600)와 배수트랩을 연결하거나 봉수부(600)와 다른 오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가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삽입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결합력이 약하여 오배수관 등을 지지해줄 인서트(미도시)와 같은 부품들이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 봉수부 결합유닛(500)에 의해 봉수부 또는 다양한 오배수관을 보다 강한 체결력으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해지며 인서트와 같은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수 트랩 구조물(101)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메인지지부(100)의 하부가 파이프 배관(150)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봉수부(600)에는 봉수부 결합유닛(500)이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봉수부 결합유닛(500)의 상부로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하부 배관(150)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배수 트랩 구조물(101)과 봉수부(600)를 결합시킨다.
도 10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 트랩 구조물의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 봉수부 결합유닛(500)이 장착되고, 봉수부(600)에도 봉수부 결합유닛(5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 봉수부 결합유닛(500)의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파이프부재(P)가 개재된다. 상기 파이프부재(P)는 시공환경에 맞도록 적당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봉수부(600)를 배수 트랩 구조물(101)에 대해 공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므로 다른 배수 구조물들의 확장 결합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봉수부(600)에 봉수부 결합유닛(500)이 장착되고, 상기 봉수부 결합유닛(500)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파이프부재(P)가 끼워진다.
그러나 배수 트랩 구조물(101)에서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는 그라브링 고정판(700)에 설치되며, 상기 그라브링 고정판(700)의 내측으로 상기 파이프부재(P)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그라브링 고정판(700)에는 나사못(710)이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부재(P)의 체결력을 강화시킨다.
이처럼 배수 트랩 구조물(100)과 봉수부(600)는 일측은 봉수부 결합유닛(500)을 통해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배수트랩이 이동한 상태의 설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2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시공재 누설방지와 오물 건조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2의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8은 봉수부 결합수단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9는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
도 10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
도 11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메인지지부 120 : 수직내벽 130 : 경사내벽
200 : 배수트랩 210 : 외통 211 : 미세통공
220 : 내통 221 : 내통입구 223 : 내통출구
300 : 수평이동부 310 : 슬라이드링 330 : 링받침
350 : 커버링 400 : 누설방지부 500 : 봉수부 결합유닛
510 : 착탈부 520 : 착탈본체 530 : 중공기둥
540 : 절곡끼움링 550 : 덮개부 600 : 봉수부
610 : 걸림망 620 : 배수공

Claims (10)

  1. 바닥에 매설되며 중공의 형상을 갖는 메인지지부와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중공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을 포함하며, 상기 외통을 상기 중공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슬라이드링과 상기 메인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링을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받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링을 덮도록 상기 링받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커버링을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로 시공재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가장자리에 수직내벽을 형성하여 발생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부에는 상기 외통에 축적된 오물의 건조를 위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봉수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봉수부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부 결합유닛은,
    일단이 메인지지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봉수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배수 트랩 구조물.
KR1020090068491A 2009-07-27 2009-07-27 배수 트랩 구조물 KR10117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491A KR101170813B1 (ko) 2009-07-27 2009-07-27 배수 트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491A KR101170813B1 (ko) 2009-07-27 2009-07-27 배수 트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43A KR20110011043A (ko) 2011-02-08
KR101170813B1 true KR101170813B1 (ko) 2012-08-20

Family

ID=4377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491A KR101170813B1 (ko) 2009-07-27 2009-07-27 배수 트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816B1 (ko) * 2012-03-20 2013-07-29 이현배쓰(주)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WO2023174540A1 (de) * 2022-03-17 2023-09-21 Wedi Gmbh Adapter für eine ablauf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97Y1 (ko) * 2003-05-28 2003-08-19 하철수 오, 우수 이중 드레인
KR200330948Y1 (ko) * 2003-07-16 2003-10-22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배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97Y1 (ko) * 2003-05-28 2003-08-19 하철수 오, 우수 이중 드레인
KR200330948Y1 (ko) * 2003-07-16 2003-10-22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배수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043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10137931A (ko)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KR20130037443A (ko) 욕실의 배수트랩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304302B1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0895271B1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101119526B1 (ko)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CN105525673A (zh) 同层防臭排水地漏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200351785Y1 (ko) 점검구가 구비된 세면대 어셈블리 하부카바
KR200305382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호스연결구조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101037955B1 (ko)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