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021B1 - 배수 트랩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021B1
KR100962021B1 KR1020090070073A KR20090070073A KR100962021B1 KR 100962021 B1 KR100962021 B1 KR 100962021B1 KR 1020090070073 A KR1020090070073 A KR 1020090070073A KR 20090070073 A KR20090070073 A KR 20090070073A KR 100962021 B1 KR100962021 B1 KR 10096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pport
pipe
hollow
drain trap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경
장동욱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주)장유씨엠
(주) 코아트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주)장유씨엠, (주) 코아트 코리아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0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트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측이 착탈 위치가 공회전 되도록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배관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 트랩을 기준으로 변기, 욕조, 세면대 등 다른 오배수관들을 쉽게 연결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배수, 트랩, 타일, 봉수

Description

배수 트랩 시스템{Drain Trap System}
본 발명은 배수 트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수 트랩을 기준으로 변기, 욕조, 세면대 등 다른 오배수관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수 트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욕실, 화장실, 베란다, 세면대, 욕조 등과 같이 물이 사용되는 장소의 바닥과 설비들에는 폐수를 오배수관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오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 트랩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 트랩은 바닥에 매설되며 유입되는 배수를 모아 배수지로 보내게 되며, 다른 오배수관들과 확장을 고려하여 봉수 내장형 배수 트랩이 많이 사용된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배수 시스템이 욕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 트랩(1)을 구비한 배수 시스템은 배수 트랩(1)을 바닥에 공간을 천공한 후 천공된 공간에 몰입되도록 그 위치를고정시킨 후, 배수 트랩(1)이 몰입된 바닥면을 타일 또는 블럭(이하, 타일)으로 마감한 다.
그리고 변기(3), 세면대(4), 욕조(5) 등에도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해 오배수 배관(P)들이 장착되며, 이들 배관(P)들은 상기 변기(3), 세면대(4) 및 욕조(5)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로 모아지도록 연결된다.
통상 이러한 배관(P)들의 연결작업에는 배관(P)을 지지해주는 파이프행거(H)와, 파이프행거(H)를 바닥 또는 천장의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매달 수 있도록 하는 인서트(I)가 사용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를 위해서 배수 트랩(1)의 하부에 고정된 봉수부(60)의 일측과 오배수 배관(P)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오배수 배관(P)은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워맞춤 결합 등으로 봉수부(60)와 결합되어지며, 파이프행거(H)와 인서트(I)를 통해 배관(P)은 그 하중이 지지되고 설치 위치가 고정된다.
그러나 봉수부(60)는 배수 트랩(1)과 일체로 고정되므로 봉수부(60)와 배관(P)이 설치될 경우, 방향이 맞지 않으면 배관(P) 또는 봉수부(60)의 결합의 위치를 재조정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리고 배관(P)을 지지하는 인서트(I)는 바닥 또는 천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시공해야 하는데 인서트(I)는 시공 전후에 콘크리트에서 빠지기 쉬울 뿐만 아니라 오배수 배관(P)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경우에 설치 및 분해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관(P)을 연결하는 경우 배관(P)의 위치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해 가면서 설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서트(I)의 사용으로 시공이 복잡해지고 설치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P)의 설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불필요한 인서트(I)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배수 트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이 착탈 위치가 공회전 되도록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배관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바닥에 매설되며 중공의 형상을 갖는 메인지지부;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중공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을 상기 중공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슬라이드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링을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링을 덮도록 상기 링받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커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되어 봉수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일단이 메인지지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상기 봉수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봉수부는 분기되어 다른 배수관들이 연결될 수 있는 분기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에는 상기 배관 확장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일단이 봉수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부의 일측에는 파이프가 끼워지고, 상기 배관 확장유닛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메인지지부;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봉수부; 및 일측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봉수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일단이 봉수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수 트랩 구조물을 기준으로 변기, 욕조, 세면대 등 다른 오배수관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둘째, 배관 확장유닛에 의해 봉수부 또는 다른 배관들이 공회전 가능하므로 각 배관들이 설치된 위치로 봉수부를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할 수가 있어 배관(P)을 필요한 길이만큼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오배수관을 가장 짧은 길이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인서트와 같은 구조물이 그만큼 불필요하게 되므로 시공이 간편해지며 배수 시스템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시스템이 욕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배수 트랩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배수트랩이 이동한 상태의 설치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시공재 누설방지와 오물 건조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시스템은 욕실의 바닥에 매설되게 설치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 트랩 구조물(101)을 기준으로 변기(3), 세면대(4), 욕조(5) 등의 오수 배관(P)을 함께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관(P)의 낭비를 막고 시공의 편리를 도모하게 해준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도 1a를 참조하면 배관(P)이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시공되었음을 가시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도 2의 A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도 3을 참조하면서 배수 트랩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배수 트랩 구조물(101)을 먼저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바닥(H)에 매설되는 메인지지부(100)와,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200)과, 상기 메인지지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지지부(100)는 욕실, 다용도실, 베란다 등 배수를 요하는 시설물의 바닥(H)에 매설되도록 설치되는데, 시설물의 바닥(H) 두께에 맞는 길이를 갖는다. 메인지지부(100)는 배수트랩(200)이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 성하도록 내부가 중공(W)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지지부(100)는 원통 형상으로써 상부 영역의 지름이 하부 영역의 지름보다 크도록 테이퍼 진 형상을 예시하였다. 즉, 메인지지부(100)는 바닥(H)을 이루는 소재와 접촉되는 외벽(110)과, 상기 외벽(110)의 내부에서 중공(W)을 형성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내벽(120)과, 상기 수직내벽(120)과 연장되는 경사내벽(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지지부(100)는 바닥(H)에 천공된 설치공간에 배수트랩(2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바닥(H)의 두께 방향으로 몰입되게 먼저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트랩(200)은 상부 일측이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돌출되도록 상기 중공(W)에 개재되는 외통(210)과, 상기 외통(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2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외통(210)은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외통(210)은 상부면이 개구되고 하부면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공(W)의 영역에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통(220)은 상기 외통(210)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통(220)은 일측이 상기 외통(210)의 내측 중앙에 개재되고 타측이 상기 외통(21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내통(220)의 상부와 하부에는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내통입구(221)와 내통출구(223)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트랩(200)에는 배수를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수트랩(200)의 상부 개구 영역에는 거름망(260)을 구비한 상부 캡(27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트랩(20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수평이동부(300)와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 캡(270)과 이격되도록 일정 경사를 갖고 물의 배수 유로를 형성하는 경사판(240)이 포함된 상부 배수관 조립체(23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배수관 조립체(23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캡(270)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거름망(260)을 통과하여 이물질의 일부가 걸러지면서 배수트랩(200)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경사판(240)으로 유입된 물은 거름망(260)의 상단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상 속도 이상의 유속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24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배수트랩(200)의 상단부의 좌측 부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평이동부(300)에 의해 상기 배수트랩(200)이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상기 배수트랩(200)의 외통(210)을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시공 환경에 맞도록 시공자가 배수트랩(200)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이동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200)의 외통(210)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링(310)과, 상기 메인지지부(100)에 마련되어 슬라이드링(310)을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받침(3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링(310)은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링(310)의 내주는 상기 외통(210)의 외주면과 결합되어 상기 외통(21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통(210)에는 상부 배수관 조립체(2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링(310)의 내주는 상기 배수관 조립체(230)의 나사부에 나사결합 형태로 결합되면서 슬라이드링(310)은 외통(21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부(100)가 매설된 후에는 상기 외통(210)과 결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드링(310)은 메인지지부(100)에 마련된 링받침(330)에 외주 영역이 놓여지게 된다. 상기 링받침(33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부(100)의 외벽(110) 및 수직내벽(120)의 사이에 방사상의 형태로 배열된 격벽이 이루는 상면이 될 수 있다.
상기 링받침(330)에 놓여진 슬라이드링(310)은 링받침(330)의 상면을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슬라이딩 조작하면서 그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시공 과정에서 먼저 메인지지부(100)가 매설된 후에는 타일을 부착시키기 위해 시멘트, 몰타르 등 시공재(T)가 바닥(H)에 도포되고, 그 위에 타일(B)이 차례로 맞추어지면서 놓여지게 된다. 이때, 처음 시공 위치에서 상기 배수 트랩 구조물(101)이 위치한 근처에 까지 타일이 놓여질 때에 타일의 모양 등을 고려하여 처음 자리잡은 배수 트랩 구조물(101)의 위치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좌측에 놓여진 배수트랩(200)을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링(310)을 이동시켜 배수트랩(200)이 우측을 향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된 슬라이드링(3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버링(350)이 상기 슬라이드링(310)의 외주 영역을 덮도록 상기 링받침(3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링(350)과 링받침(330)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커버링(350)이 상기 슬라이드링(310)을 온전하게 구속시키지 않더라도 시공재(T)가 도포되어 굳어지면서 배수트랩(200)은 시공후에도 이동된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타일을 시공할 때에 배수트랩(200)의 설치 위치를 쉽게 바꿀 수 있어 타일의 파손 및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배수 트랩 구조물(101)의 시공 과정 또는 시공 후에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시공재(T)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특히, 시멘트 몰타르 등 표면에 굳어져 공간을 차지하는 시공재(T)의 경우에는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을 막아 배수트랩(2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거나 배수시 물빠짐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지지부(100)로 시공재(T)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400)가 설치된다.
도 7은 도 2의 트랩 구조물에서 시공재(T) 누설방지와 오물 건조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방지부(400)는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중공(W) 가장자리에 형성한 수직내벽(120)과 외벽(110)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메인지지부(100)가 매설되고 시공재(T)가 바닥(H)을 덮으면서 메인지지부(100) 영역까지 도포되면 중력에 의해 밀리는 시공재(T)는 메인지지부(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 누설방지부(400)로 먼저 이동하면서 차츰 누적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공 환경에 맞게 그 위치가 이동된 배수트랩(200)이 설치된 후에 슬라이드링(310)에는 커버링(350)이 덮여지므로 상기 누설방지부(400)로 유입되는 시공재(T)의 양은 그리 많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타일의 시공재(T)가 배수트랩(200)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재(T)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거나 배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 트랩 구조물(101)이 사용되는 과정에서 외통(210)에는 이물질이 차츰 쌓이면서 부패해 악취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외통(210)의 하부에는 외통(210)에 축적된 오물의 건조를 위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세통공(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 과정 중에 외통(210)에 오물이 걸러지면서 내부의 내통(220)으 로 배수가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외통(210)의 오물에 포함된 수분은 미세통공(211)으로 빠지게 되면서 외통(210)에 축적된 오물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부패에 의한 악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3의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9는 배관 확장유닛에 대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6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봉수부(600)는 상기 메인지지부(10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부(100)의 하단과 연통되며 측방 또는 사방으로 오배수관(P)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된 구조(602, 603)를 갖는다. 예를 들어 측방(602)에는 주관이 연결되어 옥외로 배수되고 또 다른 측방향(603)에는 욕조나 세면기 같은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봉수부(600)에는 하부 습식 봉수부와 상부 건식 봉수부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오배수관 내부의 냄새를 완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배수트랩(200)의 하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유동되는 물이 유입되어 걸러지는 걸름망(610)이 설치되고, 걸름망(610)의 하단에는 각 분기로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6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봉수부(600)의 내부 저부로 배수되는 물이 일정량 이상으로 형성될 때 분기관을 통하여 배수된다. 따라서,상기 봉수부(600)의 걸름망(61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악취가 방지되면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시스템은 상기 봉수부(600)를 상술한 메인지지 부(100)의 하부에 보다 간편한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5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배관 확장유닛(500)은 일단이 메인지지부(100)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기둥(530)을 갖는 착탈본체(520)부와, 상기 중공기둥(530)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절곡끼움링(540)과, 봉수부(600)가 상기 절곡끼움링(540)과 중공기둥(530)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520)부에 결합되는 덮개부(5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배관 확장유닛(500)을 메인지지부(100)에 나사 결합시켜 덮개부(550)가 노출되도록 결합시킨다. 이어서 봉수부(600)의 단부(601)를 상기 배관 확장유닛(500)의 덮개부(550)를 향해 삽입시키면 봉수부(600)의 단부(601)는 덮개부(550) 내측에 노출된 절곡끼움링(540)과 중공기둥(53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절곡된 형상의 절곡끼움링(540)이 봉수부(60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서 봉수부(600)는 메인지지부(10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관 확장유닛(500)은 메인지지부(100)에 착탈결합되면서 메인지지부(100)와 봉수부(600)를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봉수부(600)의 분기관에 각각 착탈결합되면서 다양한 오배수관을 공회전되도록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봉수부(600)와 메인지지부(100), 또는 다른 오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가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삽입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고정 위치를 변경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오배수관 등을 지지해줄 인서트(미도시)와 같은 부품들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시스템은 배관 확장유닛(500)에 의해 봉수부(600)를 메인지지부(100)에 대해 공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각 배관(P)들이 설치된 위치로 봉수부(600)을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을 필요한 길이만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오배수관(P)을 가장 짧은 길이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인서트와 같은 구조물이 그만큼 불필요하게 되므로 시공이 간편해지며 배수 시스템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배수 트랩 구조물(101)은 메인지지부(100)의 하부가 파이프 배관(150)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봉수부(600)에는 배관 확장유닛(500)이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배관 확장유닛(500)의 상부로 상기 메인지지부(100)의 하부 배관(150)을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배수 트랩 구조물(101)과 봉수부(600)를 결합시킨다.
도 11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 트랩 구조물의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 배관 확장유닛(500)이 장착되고, 봉수부(600)에도 배관 확장유닛(5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 배관 확장유닛(500)의 사이에 일정길이를 갖는 파이프부재(P)가 개재된다. 상기 파이프부재(P)는 시공환경에 맞도록 적당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봉수부(600)를 배수 트랩 구조물(101)에 대해 공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므로 다른 배수 구조물들의 확장 결합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봉수부(600)에 배관 확장유닛(500)이 장착되고, 상기 배관 확장유닛(500)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파이프부재(P)가 끼워진다.
그러나 배수 트랩 구조물(101)에서 메인지지부(100)의 하부에는 그라브링 고정판(700)에 설치되며, 상기 그라브링 고정판(700)의 내측으로 상기 파이프부재(P)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그라브링 고정판(700)에는 나사못(710)이 체결되어 상기 파이프부재(P)의 체결력을 강화시킨다.
이처럼 배수 트랩 구조물(100)과 봉수부(600)는 일측은 배관 확장유닛(500)을 통해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배수 시스템이 욕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 트랩 시스템이 욕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배수 트랩 시스템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배수트랩이 이동한 상태의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수 트랩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3의 배수 트랩 구조물에서 시공재 누설방지와 오물 건조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3의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9는 배관 확장유닛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10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
도 11은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
도 12는 배수 트랩 구조물과 봉수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메인지지부 120 : 수직내벽 130 : 경사내벽
200 : 배수트랩 210 : 외통 211 : 미세통공
220 : 내통 221 : 내통입구 223 : 내통출구
300 : 수평이동부 310 : 슬라이드링 330 : 링받침
350 : 커버링 400 : 누설방지부 500 : 배관 확장유닛
510 : 착탈부 520 : 착탈본체 530 : 중공기둥
540 : 절곡끼움링 550 : 덮개부 600 : 봉수부
610 : 걸림망 620 : 배수공

Claims (12)

  1. 삭제
  2. 일측이 착탈 위치가 공회전 되도록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배관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바닥에 매설되며 중공의 형상을 갖는 메인지지부;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과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중공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일단이 메인지지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상기 봉수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봉수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을 상기 중공 내부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부는,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중공의 지름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슬 라이드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에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링을 수평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링받침;을 포함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링을 덮도록 상기 링받침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링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커버링을 더 포함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부는 분기되어 다른 배수관들이 연결될 수 있는 분기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에는 상기 배관 확장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9. 일측이 착탈 위치가 공회전 되도록 마련되고 타측에 다른 배관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바닥에 매설되며 중공의 형상을 갖는 메인지지부; 및
    상기 메인지지부의 중공 내부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트랩;과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중공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수가 이루어지는 내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일단이 상기 봉수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메인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봉수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를 포함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의 일측에는 파이프가 끼워지고, 상기 배관 확장유닛의 일측은 상기 파이프의 타측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11. 삭제
  12.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메인지지부;
    상기 메인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봉수부; 및
    일측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이 봉수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배관 확장유닛;
    상기 배관 확장유닛은,
    일단이 봉수부에 착탈 결합되며 중공 기둥을 갖는 착탈본체부;
    상기 중공 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며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끼움링; 및
    상기 메인지지부가 상기 절곡끼움링과 중공기둥에 개재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배수 트랩 시스템.
KR1020090070073A 2009-07-30 2009-07-30 배수 트랩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96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73A KR100962021B1 (ko) 2009-07-30 2009-07-30 배수 트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73A KR100962021B1 (ko) 2009-07-30 2009-07-30 배수 트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021B1 true KR100962021B1 (ko) 2010-06-08

Family

ID=4236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0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2021B1 (ko) 2009-07-30 2009-07-30 배수 트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4541A1 (de) * 2022-03-17 2023-09-21 Wedi Gmbh Ablaufvorrichtung mit einem justierbaren träger für eine ablauf-abdeckung
KR102681524B1 (ko) * 2023-06-15 2024-07-04 (주)에이에이브이 통기 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4541A1 (de) * 2022-03-17 2023-09-21 Wedi Gmbh Ablaufvorrichtung mit einem justierbaren träger für eine ablauf-abdeckung
KR102681524B1 (ko) * 2023-06-15 2024-07-04 (주)에이에이브이 통기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871B1 (ko) 당해층 벽체 배수 시스템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RU2421576C2 (ru) Сифонная система, воплощаемая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 во врем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229689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304302B1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20110058613A (ko) 건물의 실내 배수구조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234877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2760060B1 (ko) 배수트랩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20170048718A (ko)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JPH0137008Y2 (ko)
KR101073851B1 (ko) 층상 배수관 장치
KR200305381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
JP4238149B2 (ja)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集水ます
KR20160082416A (ko)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JPH0513828Y2 (ko)
KR20120073849A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200468349Y1 (ko) 냄새가 풍기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