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81B1 -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 Google Patents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81B1
KR100913781B1 KR1020070109737A KR20070109737A KR100913781B1 KR 100913781 B1 KR100913781 B1 KR 100913781B1 KR 1020070109737 A KR1020070109737 A KR 1020070109737A KR 20070109737 A KR20070109737 A KR 20070109737A KR 100913781 B1 KR100913781 B1 KR 10091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age
floor
basin
pip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926A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070109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7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본 발명은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배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욕조실의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는 바닥 하수관 및 그 바닥 하수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L자형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 상부에 체결되며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채워지는 바닥 마감재의 유입을 차단하고 그 마감재로 스며든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 상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구배를 갖는 양변기용 오수관을 고정하는 오수관 고정구를 포함하여서, 세면욕조실의 타일의 갈라진 틈 등으로 유입된 하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 양변기용 오수관이 일정한 구배를 가지면서 설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 배수관 장치를 제공한다.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 세면욕조실, 바닥 배수관 장치

Description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 배수관 장치{Drain Equipment For Bathroom Floor Coupled With Drain Pipe System Laid On Floor}
본 발명은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 배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욕조실의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는 바닥 하수관 및 그 바닥 하수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L자형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 상부에 체결되며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채워지는 바닥 마감재의 유입을 차단하고 그 마감재로 스며든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 상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구배를 갖는 양변기용 오수관을 고정하는 오수관 고정구를 포함하여서, 세면욕조실의 타일의 갈라진 틈 등으로 유입된 하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고,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 양변기용 오수관이 일정한 구배를 가지면서 설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 배수관 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다가구 주택의 세면 욕조실은 세면기와 욕조, 그리고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 배관 시스템과 양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와 기초 콘크리트 바닥을 통과하여 하층의 세면욕조실 천장을 통해 옆 세대와의 사이에 형성된 파이프 덕트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과 오수 입상관에 연결되어 있었다.
도1은 종래의 세면욕조실에 설치되는 배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세면욕조실 바닥에는 직경이 큰 양변기(40)의 오수관(90) 등을 매설할 정도로 바닥 마감재(30)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없어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10) 상부에 직경이 작은 욕조(60)의 배수관과 세면기(50)의 배수관, 그리고 상기 욕조 및 세면기 배수관을 체결하고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배수관 장치(70)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 장치(70)에 연결된 하수관(80)과, 직경이 큰 양변기(40)의 오수관(90)을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10)을 관통시켜 하층 세면욕조실의 천장을 통해 측면으로 관통시켜 세대 사이의 하수 입상관 및 오수 입상관에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수 및 오수 배관 시스템을 갖는 세면욕조실 사용시 하수 또는 오수의 배출소음과 세면욕조실에서 행해지는 거주자의 행위(샤워, 용변 소리 등)에 따른 소음이 하수관과 오수관을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거나 세면욕조실 층간의 바닥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세면욕조실을 사용하는 사람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하층의 사람들에게는 상기 소음 으로 인해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을 관통하지 않고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하수 시스템과 오수 배관을 모두 설치하고 세면욕조실 바닥에 일측으로 관통 슬리브를 형성하여 그 관통슬리브를 통해 상기 하수 또는 오수 입상관에 하수관 또는 입상관을 연결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세면욕조실의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을 관통하여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하수관이나 오수관을 통해 상층의 소음이 하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세면 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 전체와 마감재 및 타일이 부착되는 높이 이상의 측면에 방수처리를 실시하여 세면욕조실의 물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을 형성한 후, 빗물 등으로 인해 세면욕조실에 오수가 고일 경우 퍼내기 전에는 그대로 고여 있게 되므로 고인물이 썩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에서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을 방수처리한 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고 몰타르와 같은 마감재와 타일을 이용하여 마감 공사를 실시하여야 하나, 상기와 같이 세면욕조실의 시공 후 거주자의 사용중에 타일 사이의 틈이나 타일이 파손된 부분으로 바닥의 하수가 마감재 내부로 스며들거나,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오수관 또는 배수관이 파손되어 하수나 오수의 누수가 발생할 경우 그대로 마감재 사이에 스며들게 되고, 스며들어 적체된 하수 또는 오수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썩게 되어 이로 인해 세면욕조실에 악취가 발생하고, 세면욕조실이 항상 습한 상태로 유지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는 경우 양변기에 연결되는 오수관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설치되는데, 양변기 쪽은 바닥에서 비교적 높게 설치되고 오수관의 끝단은 세면욕조실 측벽 하단의 바닥과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오수관은 일정한 구배를 갖도록 하여 양변기로부터 배출된 오수가 내부에 적체되지 않고 흘러나갈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은 상부가 방수처리된 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오수관의 구배를 잡아주면서 고정할 수단이 없어 마감재의 시공과정에서 오수관이 설치위치를 벗어나거나 양변기에 체결된 부분이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마감재가 누르는 힘에 의해 구배가 없어져 양변기로부터 배출된 오수가 배출되지 않고 적체될 수 있으며, 적체된 오물이 쌓일 경우 오수관을 막게 되어 양변기가 막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바닥 배수관 장치를 매설함으로써 세면욕조실 시공과정에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유입된 오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세면욕조실 완공 후 방수 처리된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의 마감재에 스며든 하수나 배수관 또는 오수관으로부터 발생된 누수가 마감재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를 거푸집에 고정 설치할 수 있고 하단에 콘크리트로 채워지는 L자형 접속관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가 설계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바닥 배수관 장치를 통해 상층의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집수구 상부에 좌우 및 상하로 유동 가능한 오수관 고정부를 더 형성하여 층상 배관되는 오수관의 위치 및 구배를 고정함으로써 마감재 시공과정에서 오수관이 양변기로부터 분리되거나 구배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며, 상면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노 출되고 L자형으로 절곡된 L자형 접속관과; 상기 L자형 접속관에 연결되어 기초 바닥 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닥 하수관과; 상기 L자형 접속관 상부에 체결되며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채워지는 마감재의 유입은 차단하고 하수만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와 일체로 형성되며 양변기용 오수관의 위치와 구배를 고정하기 위한 오수관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어 기초 콘크리트 바닥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배출하는 바닥 배수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세면욕조실 시공과정에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유입된 오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세면욕조실 완공후 방수처리된 기초 콘크리트 바닥 상부의 마감재에 스며든 하수나 배수관 또는 오수관으로부터 발생된 누수가 마감재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를 거푸집에 고정 설치할 수 있고 하단에 콘크리트로 채워지는 L자형 접속관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가 설계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바닥 배수관 장치를 통해 상층의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집수구 상부에 좌우 및 상하로 유동 가능한 오수관 고정부를 더 형성하여 층상 배관되는 오수관의 위치 및 구배를 고정함으로써 마감재 시공과정에서 오수관이 양변기로부터 분리되거나 구배가 없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는 바닥 배수관 장치(200)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100)에 매설되고, 상면이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노출되며 L자형으로 절곡된 L자형 접속관(210)과; 상기 L자형 접속관에 연결되어 기초 바닥 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닥 하수관(220)과;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200)를 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지 않도록 거푸집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L자형 접속관 고정구(230)와; 상기 L자형 접속관(210) 상면에 삽입 체결되며 기초 콘크리트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집수구(240)로 구성된다. 이때, L자형 접속관(210)은 상면에 일정한 폭의 테투리가 형성되고 그 중간에 방수처리용 홈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구(240) 상부에 양변기용 오수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오수관 고정구(2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오수관 고정구(250)가 형성된 집수구(240)는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해 다수개의 하수 유입공이 형성된 집수구 몸체(241)와; 상기 집수구 몸체(241) 저면 중앙에 형성된 L자형 접속관 체결부(242)와; 상기 집수구 몸체(241) 상면에 설치되며 양측면에 인접하게 상부로 형성된 오수관 고정구(2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구 몸체(241)와 연결된 L자형 접속관 체결부(242) 상단에 다수개의 통공을 더 형성하여 L자형 접속관(210)과 집수구 몸체(240) 사이로 유입된 하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수관 고정구(250)는 집수구 몸체 양측단에 일체로 상향 형성된 지지부들(251)과; 상기 지지부들(251) 상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집수구 몸체(24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수개의 걸림홈(256)이 형성된 이동 가로대(252)와; 상기 이동 가로대(252)에 체결되며 상기 걸림홈(256)에 걸림 고정되도록 내측 상단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이동가로대 체결부(257)와, 상단 중앙에 중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그 중공의 내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높이 조절구(258)를 구비한 유동구(253)와; 상기 유동구(253)의 높이 조절구(258)에 체결되며 하단에는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높낮이를 조정할 수 높이 조정부(255)와; 상기 높이 조정부(255)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오수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는 반원 형태의 오수관 고정부(25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구(253)의 이동가로대 체결부(257)는 상기 이동 가로대(252)에 삽입 체결되도록 이동 가로대(252)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이동 가로대 단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한다. 즉 상기 오수관 고정부(254)에 상측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경우 유동구(253)의 걸림돌기가 이동 가로대(252)의 걸림홈(256)에 걸려 움직이지 않고, 유동구(253)를 들어 올릴 경우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L자형 접속관 고정구(2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자형 접속관(230)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상부 몸체(231)와, 상기 상부 몸체(2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 몸체(232)가 확관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 중앙에는 상기 L자형 접속관(210)의 상단이 체결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32)는 넓어지는 부분부터 세로방향으로 측벽이 개방된 다수개의 콘크리트 유입구(233)가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유입구 중 어느 하나로 L자형 접속관의 타단이 노출되어 하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 하단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거푸집 고정부(234)를 형성하여 못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오수관 고정구를 갖는 바닥 배수관 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욕조실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거푸집 상부에 상기 L자형 접속관 고정구(230)를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L자형 접속관 고정구(230)에 L자형 접속관(210)을 체결 고정하고, 바닥 하수관(220)을 상기 L자형 접속관(210)에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200)가 설치된 거푸집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1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L자형 접속관(210) 상면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커버를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L자형 접속관(210)이 매설되는 위치는 설계된 오수관(90)이 지나가는 위치 중 양변기(40)에 인접한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 형성시 세면욕조실 측벽의 하 단부에 층상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면기, 욕조 그리고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는 하수관을 체결하거나 관통시키는 관통슬리브와, 양변기용 오수관을 관통시키는 관통 슬리브를 바닥에 인접하게 매설하여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바닥 배수관 장치가 매설된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의 시공이 완료되면 세면욕조실 바닥 전체와 측벽의 일정높이까지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처리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L자형 접속관(210) 상면의 테두리 중간에 형성된 방수처리 홈까지 방수제를 도포함으로써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L자형 접속관의 매설된 틈으로 오수나 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세면욕조실에 방수처리가 실시되면, 상기 L자형 접속관(210) 상면에 L자형 접속관 체결부를 삽입고정하는 방법으로 집수구(240)를 체결한다. 다음에, 상기 세면욕조실 상부에 욕조(60), 세면기(50) 그리고 세면욕조실 바닥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하수관들과 배수관 장치를 설치하고, 양변기(50)가 설치될 위치에 오수관(9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오수관(90)은 상기 바닥 배수관 장치(200)의 집수구(240)에 형성된 오수관 고정구(250)에 거치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구 상부에 형성된 오수관 고정구는 좌우 및 상하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오수관을 정위치에 원하는 구배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나 몰타르와 같은 바닥 마감재(110)를 채워 넣고, 그 채워진 바닥 마감재 상부에 세면기, 욕조 그리고 양변기를 설치하고 타일을 부착하여 세면욕조실을 완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배수관 장치가 매설된 세면욕조실은 세면욕조실의 시공과정에서 기초 콘크리트 바닥으로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들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세면욕조실 시공후 파손된 타일 또는 타일 틈새로 유입되어 바닥 마감재에 스며든 하수를 적체시키지 않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 배수관 장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건축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세면욕조실의 배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에 매설되는 바닥 배수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의 바닥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오수관 고정구가 형성된 집수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배수관 장치를 갖는 세면욕조실에 설치된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
20 : 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
30,110 : 바닥 마감재 40 : 양변기
50 : 세면기 60 : 욕조
70 : 배수관 장치 80 : 하수관
90 : 오수관 200 : 바닥 배수관 장치
210 : L자형 접속관 220 : 바닥 하수관
230 : L자형 접속관 고정구 231 : 상부 몸체
232 : 하부 몸체 233 : 유입구
234 : 거푸집 고정부 240 : 집수구
241 : 집수구 몸체 242 : L자형 접속관 체결부
243 : 유입공 250 : 오수관 고정구
251 : 지지부 252 : 이동 가로대
253 : 유동구 254 : 오수관 고정부
255 : 높이 조정부 256 : 걸림홈
257 : 이동가로대 체결부 258 : 높이 조정구

Claims (8)

  1.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세면욕조실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되며, 상면이 세면욕조실의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노출되고 L자형으로 절곡된 L자형 접속관과;
    상기 L자형 접속관에 연결되어 기초 콘크리트 바닥 하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닥 하수관과;
    상기 L자형 접속관 상부에 체결되며 기초 콘크리트 바닥에 채워지는 마감재의 유입을 차단하고 하수만을 집수하여 배출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와 일체로 형성되며 양변기용 오수관의 위치와 구배를 고정하기 위한 오수관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는,
    상기 L자형 접속관을 설계된 위치의 거푸집 상부에 고정시키는 L자형 접속관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접속관 고정구는, L자형 접속관 상단을 체결고정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 하부에 연장형성되며 상부 몸체의 보다 큰 확관형상의 외경을 가지며 측벽에 다수개의 콘크리트 유입구와 하나의 L자형 접속관 하단 노출구가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거푸집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접속관은 상면 테두리 중간에 방수처리용 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마감재로 유입된 하수를 집수하기 위해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입방체 형상의 집수구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L자형 접속관 상단에 체결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L자형 접속관 체결부와;
    상기 집수구 몸체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오수관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몸체와 연결된 L자형 접속관 체결부 상단에 다수개의 통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관 고정구는 집수구 몸체 양측단에 일체로 상향 형성된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을 연결하도록 상기 집수구 본체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이동 가로대와;
    상기 이동 가로대에 체결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도록 내측 상단에 걸림돌기를 구비한 이동가로대 체결부와, 상단 중앙에 중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그 중공의 내주면에 피치가 형성된 높이 조절구를 구비한 유동구와;
    상기 유동구의 높이 고절구에 체결되며 하단에는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이 조정부와;
    상기 높이 조정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오수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반원 형태의 오수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 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구의 이동가로대 체결부는 상기 이동 가로대에 삽입 체결되도록 이동 가로대의 단면과 같은 형상으로 이동 가로대 단면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유동구를 상하로 움직여 이동 가로대 상에서 움직이거나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기초 바닥 배수관 장치.
KR1020070109737A 2007-10-30 2007-10-30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091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37A KR100913781B1 (ko) 2007-10-30 2007-10-30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737A KR100913781B1 (ko) 2007-10-30 2007-10-30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926A KR20090043926A (ko) 2009-05-07
KR100913781B1 true KR100913781B1 (ko) 2009-08-26

Family

ID=4085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737A KR100913781B1 (ko) 2007-10-30 2007-10-30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34B1 (ko) * 2013-10-11 2015-03-04 주식회사 청완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KR20150143186A (ko) 2014-06-13 2015-12-23 정일테크 (주)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10B1 (ko) * 2012-10-04 2014-04-30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층상 배관 설치구조
KR20170002282U (ko) 2015-12-17 2017-06-27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2511120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이중 배수구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154Y1 (ko) * 1991-08-10 1993-10-13 신정섭 온돌파이프 고정구
KR200223990Y1 (ko) * 2000-12-04 2001-05-15 김대현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KR200231559Y1 (ko) * 2001-02-13 2001-07-19 한양방수 주식회사 옥상용 드레인 유닛
KR20020094265A (ko) * 2001-06-08 2002-12-18 김대현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154Y1 (ko) * 1991-08-10 1993-10-13 신정섭 온돌파이프 고정구
KR200223990Y1 (ko) * 2000-12-04 2001-05-15 김대현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KR200231559Y1 (ko) * 2001-02-13 2001-07-19 한양방수 주식회사 옥상용 드레인 유닛
KR20020094265A (ko) * 2001-06-08 2002-12-18 김대현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94265 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34B1 (ko) * 2013-10-11 2015-03-04 주식회사 청완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KR20150143186A (ko) 2014-06-13 2015-12-23 정일테크 (주)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926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US20090013461A1 (en) Siphon system attainable directly during the forming of sanitary ware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20160018122A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090108348A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100981324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073851B1 (ko) 층상 배수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