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186A -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186A
KR20150143186A KR1020140072378A KR20140072378A KR20150143186A KR 20150143186 A KR20150143186 A KR 20150143186A KR 1020140072378 A KR1020140072378 A KR 1020140072378A KR 20140072378 A KR20140072378 A KR 20140072378A KR 20150143186 A KR20150143186 A KR 2015014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ipe
tube
perforated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941B1 (ko
Inventor
정상철
송태광
정진환
Original Assignee
정일테크 (주)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테크 (주),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일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4007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94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에 따르면, 건축물 바닥구조 중에서도 특히 수전 사용이 많은 화장실 바닥 구조를 이루는 기포층 내에 다수의 배수공들이 천공된 천공관을 매립하고 이를 슬라브층에 가설된 연결 배관을 통해 외부로 연결하여 기포층 내에 함유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들이 상대적으로 건조도가 높은 벽체 등에 통해 스며들면서 벽체나 벽체에 부착된 타일 사이에 곰팡이를 피게 하거나 벽체에 부착된 목재 가구나 벽지 등을 오염시켜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기포층 내에 천공관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밀봉관을 다 삽입하여 천공관에 형성된 배수공들을 막아 이를 통해 기포층을 이루도록 타설된 기포 콘크리트가 천공관 내부로 유입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기포층 양생 이후 밀봉관의 하부를 절단한 후 다시 천공관의 개방된 상측 단부를 막아 기포층 위에 무근층을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무근 콘크리트가 천공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포층 배수 배관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DRAINAGE PIPING OF CELLULAR CONCRETE LAYER AND CONSTRUCT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축물 바닥 구조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 위에 형성되는 기포층 내에 포함된 수분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 바닥 구조 중에서 특히, 화장실 바닥 구조는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 위에 순차적으로 기포층, 무근층 및 타일 마감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포층은 시멘트 페이스트에 발포제를 섞거나 혹은 안정한 거품과 시멘트 페이스트를 섞어 내부에 많은 기포를 포함시킨 다공질 콘크리트로 경량이고 흡음성 및 열의 차단성이 뛰어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기포층은 철근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슬라브층과 무근 콘코리트로 이루어지는 무근 콘크리트층 사이에서 밀도차를 갖도록 하여 층간 소음의 원인이 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 배관을 설치하여 단열을 통한 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기포층은 바닥 시공시 기포 콘크리트 양생 이후에도 저면에 잔존하는 수분이 계속하여 존재할 뿐만 아니라 타일 마감층이 형성되지 않는 욕조 바닥면 등을 통해 욕조 저면에 형성된 결로 등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따라서,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들이 상대적으로 건조도가 높은 벽체 등에 통해 지속적으로 스며들어 퍼져나가면서 벽체나 벽체 타일 사이에 곰팡이를 피게 하거나 벽체에 부착된 목재 가구나 벽지 등을 오염시켜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37433호(등록일자 2012년04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부 제10-0913781호(등록일자 2009년08월18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바닥 구조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 위에 형성되는 기포층 내에 포함된 수분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포층 배수 배관은,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슬라브층 내에 매립 가설되는 연결 배관; 상기 슬라브층 상에 적층 형성되는 기포층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결합되고, 상기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게 다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는 천공관; 및 상기 천공관 내에 끼워져 상기 기포층을 타설시 상기 천공관의 배수공들을 막아 상기 배수공들을 통해 상기 기포층을 이루도록 타설된 상기 기포 콘크리트가 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포층 양생 이후 하단부가 절단된 상태로 끼워져 개방된 상기 배수공들 통해 상기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기포층 위에 적층 형성되는 무근층을 이루도록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를 막아 타설되는 무근 콘크리트가 상기 천공관 내부로 유입을 방지하는 밀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관은 상기 천공관의 배수공들 내부에서 막아 폐쇄하도록 상기 천공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 및 상기 삽입관부 상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를 막아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덮개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관부는 하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브층 내에 매립 가설되는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천공관이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상기 슬라브층 상면에 노출되게 연결되는 연결 배관 플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포층 배수 배관을 시공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시공 방법은 상기 슬라브층을 이루도록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연결 배관을 가설하여 상기 슬라브층 내에 매립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 배관 가설 단계; 상기 밀봉관이 끼워져 상기 배수공들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천공관을 상기 슬라브층 상에 노출된 상기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결합하는 천공관 연결 단계;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가 노출되며 매립되게 상기 슬라브층 위에 상기 기포층을 형성하도록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포층 형성 단계; 상기 기포층 양생 이후 노출된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밀봉관을 인출하여 상기 밀봉관의 하부를 절단하는 밀봉관 하부 절단 단계; 및 하부가 절단된 상기 밀봉관을 다시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에 끼워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만을 폐쇄 상태로 이를 덮으며 상기 기포층 위에 상기 무근층을 형성하도록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무근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브층과 상기 기포층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이 형성된 상기 슬라브층 상면에 노출되게 상기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플렌지를 통해 상기 천공관의 하단부가 끼워져 연통되게 연장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에 따르면, 건축물 바닥구조 중에서도 특히 수전 사용이 많은 화장실 바닥 구조를 이루는 기포층 내에 다수의 배수공들이 천공된 천공관을 매립하고 이를 슬라브층에 가설된 연결 배관을 통해 외부로 연결하여 기포층 내에 함유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들이 상대적으로 건조도가 높은 벽체 등에 통해 스며들면서 벽체나 벽체에 부착된 타일 사이에 곰팡이를 피게 하거나 벽체에 부착된 목재 가구나 벽지 등을 오염시켜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기포층 내에 천공관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밀봉관을 다 삽입하여 천공관에 형성된 배수공들을 막아 이를 통해 기포층을 이루도록 타설된 기포 콘크리트가 천공관 내부로 유입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기포층 양생 이후 밀봉관의 하부를 절단한 후 다시 천공관의 개방된 상측 단부를 막아 기포층 위에 무근층을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무근 콘크리트가 천공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포층 배수 배관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포층 배수 배관이 설치된 화장실 바닥구조를 도시한 건축물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포층 배수 배관이 설치 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포층 배수 배관의 연결 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포층 배수 배관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은 연결 배관(110), 연결 배관 플렌지(110), 천공관(130) 및 밀봉관(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를 통해 건축물 바닥 구조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1) 위에 형성되는 기포층(3) 내에 포함된 수분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을 건축물 바닥 구조 중에서도 특히, 수전 사용이 많은 화장실 바닥 구조에 적용한 것을 예시하며, 화장실 바닥 구조는 층상 배관을 위해 슬라브 다운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이 이에 반드시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수분 함유량이 높은 기포층(3)이 적용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바닥 구조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연결 배관(110)은 화장실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1) 내에 매립된 상태로 수평 연결 배관(111), 엘자 연결관(112) 및 수직 연결 배관들(113)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와 연결되게 가설하여 후술하는 천공관(130)의 배수공(131)들을 통해 기포층(3)으로부터 배출된 수분들을 외부로 흘러 내려 배출되도록 하거나 상대적으로 건도가 높은 외부 공기 중으로 좀더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하도록 하여 기포층(3)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천공관(130)은 상기 슬라브층(1) 상에 적층 형성되는 기포층(3)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연결 배관(110)의 상측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결합되며, 상기 기포층(3)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게 다수의 배수공(131)들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배수공(131)들은 기포층(3) 내에 함유된 수분들을 천공관(130)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다 배수공을 통해 내부로 좀더 쉽게 유입되어 배출할 수 있도록 천공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장공 형태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브층(1) 내에 매립 가설되는 연결 배관(110)의 상측 단부를 상기 슬라브층(1) 상면에 노출되게 연결하는 연결 배관 플렌지(120)를 통해 상기 천공관(130)이 끼워져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배관 플렌지(120)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슬라브층(1) 내에 매립 가설되는 연결 배관(110)의 수직 연결 배관(113) 상측 단부를 슬라브층(1) 상면에 노출시키도록 연장시켜 천공관(130)에 직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밀봉관(140)은 상기 천공관(130)의 배수공(131)들 막아 폐쇄하도록 상기 천공관(130)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143)와, 상기 삽입관부(143) 상측 단부에서 걸림턱부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관(130)의 상측 개방 단부를 막아 폐쇄하는 덮개판부(14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밀봉관(140)의 삽입관부(143)는 상기 천공관(130) 내에 끼워져 상기 기포층(3)을 타설시 상기 천공관(130)의 배수공(131)들을 막도록 하여 상기 배수공(131)들을 통해 상기 기포층(3)을 이루도록 타설된 상기 기포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기포층(3) 양생 이후 삽입관부(143)의 하부를 절단한 상태로 다시 천공관(130) 상측에 끼워져 절단된 삽입관부(143)의 하부에 의해 막혔던 상기 배수공(131)들을 개방하여 이를 통해 상기 기포층(3)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상태로 덮개판부(141)를 이용해 천공관(130)의 상측 개방부를 막아 상기 기포층(3) 위에 무근층(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타설된 무근 콘크리트가 상기 천공관(130) 내부로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밀봉관(140)의 삽입관부(143)에는 하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선(14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밀봉관(140)의 삽입관부(143)에 상기 절단선(14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천공관(130)의 배수공(131)들을 개방하도록 삽입관부(143)의 하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절단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좀더 쉽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은 수전 사용이 많은 화장실 바닥 구조를 이루는 기포층(3) 내에 다수의 배수공(131)들이 천공된 천공관(130)을 매립하고 이를 슬라브층(1)에 가설된 연결 배관(110)을 통해 외부로 연결하여 기포층(3) 내에 함유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포층(3)에 함유된 수분들이 상대적으로 건조도가 높은 벽체 등에 통해 스며들면서 벽체나 벽체에 부착된 타일 사이에 곰팡이를 피게 하거나 벽체에 부착된 목재 가구나 벽지 등을 오염시켜 주거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본 실시예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을 화장실 바닥에 적용하여 시공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의 (a)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은 연결 배관 가설 단계(ST10), 천공관 연결 단계(ST20), 기포층 형성 단계(ST30), 밀봉관 하부 절단 단계(ST40), 무근층 형성 단계(ST50)를 거쳐 시공된다.
먼저, 연결 배관 가설 단계(ST10)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층(1)을 이루도록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슬라브층(1) 내에 매립 설치되도록 상기 연결 배관(110)을 가설하여 외부로 수분 배출할 수 있게 연결한다.
한편, 상기 슬라브층(1)과 상기 기포층(3) 사이에 방수층(2)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수층(2)이 형성된 상기 슬라브층(1) 상면에 노출되게 상기 연결 배관(110)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플렌지(120)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관(130)의 하단부가 끼워져 연통되게 연장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천공관 연결 단계(ST20)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봉관(140)의 삽입관부(143)를 끼워 넣어 상기 배수공(131)들이 막아 밀폐된 상태로 상기 천공관(130)을 상기 슬라브층(1) 상에 노출된 상기 연결 배관(110)의 상측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결합하도록 한다.
기포층 형성 단계(ST30)에서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관(130)의 상측 단부가 덮이지 않고 노출되게 매립하도록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슬라브층(1) 위에 상기 기포층(3)을 형성하도록 한다.
밀봉관 하부 절단 단계(ST40)에서는,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포층(3) 양생 이후 노출된 상기 천공관(130)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밀봉관(140)을 인출하여 상기 삽입관부(143)에 형성된 절단선(142)을 따라 삽입관부(143) 하부를 기설정된 길이로 절단해 내도록 한다.
무근층 형성 단계(ST50)에서는, 도 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절단된 상기 밀봉관(140)의 삽입관부(143)를 다시 상기 천공관(130)의 상측 단부에 끼워 상기 천공관(130)의 상측 단부만을 폐쇄 상태에서 이를 덮도록 상기 기포층(3) 위에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무근층(4)을 형성한다.
그리고, 무른 콘크리트층 위에 타일 등을 이용해 마감층(5)을 형성하여 화장실 바닥 구조를 완성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기포층 배수 배관(100) 시공 방법을 통해 기포층 배수 배관(100) 을 시공함으로써, 기포층(3) 내에 천공관(130)을 매립하는 과정에서 밀봉관(140)의 삽입관부(143)를 끼워 천공관(130)에 형성된 배수공(131)들을 막아 이를 통해 기포층(3)을 이루도록 타설된 기포 콘크리트가 천공관(130) 내부로 유입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기포층(3) 양생 이후 밀봉관(140)의 하부를 절단한 후 다시 천공관(130)의 개방된 상측 단부를 막아 기포층(3) 위에 무근층(4)을 형성하도록 타설되는 무근 콘크리트가 천공관(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포층 배수 배관(100)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슬라브층 2: 방수층
3. 기포층 4: 무근층
5: 타일 마감층 100: 기포층 배수 배관
110: 연결 배관 111: 수평 연결 배관
112: 엘자 연결 배관 113: 수직 연결 배관
120: 연결 배관 플렌지 130: 천공관
131: 배수공 140: 밀봉관
141: 덮개판부 142: 절단선
143: 삽입관부

Claims (6)

  1. 건축물의 바닥구조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슬라브층 내에 매립 가설되는 연결 배관;
    상기 슬라브층 상에 적층 형성되는 기포층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결합되고, 상기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게 다수의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는 천공관; 및
    상기 천공관 내에 끼워져 상기 기포층을 타설시 상기 천공관의 배수공들을 막아 상기 배수공들을 통해 상기 기포층을 이루도록 타설된 상기 기포 콘크리트가 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기포층 양생 이후 하단부가 절단된 상태로 끼워져 개방된 상기 배수공들 통해 상기 기포층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기포층 위에 적층 형성되는 무근층을 이루도록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를 막아 타설되는 무근 콘크리트가 상기 천공관 내부로 유입을 방지하는 밀봉관;을 포함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2. 제1항에서,
    상기 밀봉관은,
    상기 천공관의 배수공들 내부에서 막아 폐쇄하도록 상기 천공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관부; 및
    상기 삽입관부 상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를 막아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덮개판부;를 포함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3. 제2항에서,
    상기 삽입관부는 하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선이 형성되는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슬라브층 내에 매립 가설되는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천공관이 연통되게 연결하도록 상기 슬라브층 상면에 노출되게 연결되는 연결 배관 플렌지;를 더 포함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5. 제1항의 기포층 배수 배관을 시공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층을 이루도록 철근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연결 배관을 가설하여 상기 슬라브층 내에 매립 설치되도록 하는 연결 배관 가설 단계;
    상기 밀봉관이 끼워져 상기 배수공들이 밀폐된 상태로 상기 천공관을 상기 슬라브층 상에 노출된 상기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에 연통되게 연장 결합하는 천공관 연결 단계;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가 노출되며 매립되게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슬라브층 위에 상기 기포층을 형성하는 기포층 형성 단계;
    상기 기포층 양생 이후 노출된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로부터 상기 밀봉관을 인출하여 상기 밀봉관의 하부를 절단하는 밀봉관 하부 절단 단계; 및
    하부가 절단된 상기 밀봉관을 다시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에 끼워 상기 천공관의 상측 단부만을 폐쇄 상태로 이를 덮으며 상기 기포층 위에 상기 무근층을 형성하도록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무근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시공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슬라브층과 상기 기포층 사이에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이 형성된 상기 슬라브층 상면에 노출되게 상기 연결 배관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플렌지를 통해 상기 천공관의 하단부가 끼워져 연통되게 연장 결합되도록 하는 기포층 배수 배관 시공 방법.
KR1020140072378A 2014-06-13 2014-06-13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162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78A KR101624941B1 (ko) 2014-06-13 2014-06-13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78A KR101624941B1 (ko) 2014-06-13 2014-06-13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186A true KR20150143186A (ko) 2015-12-23
KR101624941B1 KR101624941B1 (ko) 2016-06-07

Family

ID=5508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378A KR101624941B1 (ko) 2014-06-13 2014-06-13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542A (zh) * 2017-08-31 2018-01-09 江苏远瀚建筑设计有限公司 室内排水结构
CN110273449A (zh) * 2019-04-30 2019-09-24 三明学院 一种应用于卫生间防水的排水结构
CN114164914A (zh) * 2021-12-10 2022-03-1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地漏构造层用多功能连接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48B1 (ko) 2018-01-22 2019-07-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기포 콘크리트층 배수 배관 실링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151U (ja) * 1991-10-21 1993-05-25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ヨン 断熱防水用ドレン
KR200220668Y1 (ko) * 2000-10-09 2001-04-16 오세영 배수트랩 슬리브
KR100913781B1 (ko) 2007-10-30 2009-08-2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20100025172A (ko) * 2008-08-27 2010-03-09 임성균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0967187B1 (ko) * 2010-01-25 2010-07-05 박성만 이중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151U (ja) * 1991-10-21 1993-05-25 株式会社長谷工コーポレーシヨン 断熱防水用ドレン
KR200220668Y1 (ko) * 2000-10-09 2001-04-16 오세영 배수트랩 슬리브
KR100913781B1 (ko) 2007-10-30 2009-08-2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20100025172A (ko) * 2008-08-27 2010-03-09 임성균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0967187B1 (ko) * 2010-01-25 2010-07-05 박성만 이중 배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542A (zh) * 2017-08-31 2018-01-09 江苏远瀚建筑设计有限公司 室内排水结构
CN110273449A (zh) * 2019-04-30 2019-09-24 三明学院 一种应用于卫生间防水的排水结构
CN114164914A (zh) * 2021-12-10 2022-03-1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地漏构造层用多功能连接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941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75B1 (ko) 바닥 구조물 내부 배수 배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4004B1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KR101624941B1 (ko)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N106958358A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US20090255199A1 (en) Concrete Floor System Incorporating Foundation Footing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028809A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920008389B1 (ko) 건축물의 방습 공사방법
CN206681418U (zh) 节能环保的工业化商品住宅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999248B1 (ko) 기포 콘크리트층 배수 배관 실링구조
KR20130019748A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19990023522A (ko) 지하실의 방습구조 및 방습공법
KR101677028B1 (ko) 평슬라브형 층상배관 시스템 시공방법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안치틀
CN104947935B (zh) 组合式厨卫的建筑施工方法
KR101390710B1 (ko) 조립식 욕실의 층상 배관 설치구조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