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767A -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767A
KR20160101767A KR1020150024068A KR20150024068A KR20160101767A KR 20160101767 A KR20160101767 A KR 20160101767A KR 1020150024068 A KR1020150024068 A KR 1020150024068A KR 20150024068 A KR20150024068 A KR 20150024068A KR 20160101767 A KR20160101767 A KR 20160101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floor structure
waterproof
tp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현
정점순
황상원
Original Assignee
이현배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배쓰(주) filed Critical 이현배쓰(주)
Priority to KR102015002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767A/ko
Publication of KR2016010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Abstract

본 발명은 'TPR방수판'과 '몰탈층'에 의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형성하여 종래 사용자에게 익숙한 사용 환경의 우수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의 용이성, 시공 후 구조체의 경량화, 단열 효과 확보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및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층간 소음의 획기적 저감을 고려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욕실 바닥 슬래브 상면에 적용되는 방수구조와 상기 방수구조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층을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몰탈층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경량화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개시한다. 또한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는 경량화와 단열 및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FLOOR STRUCTURE FOR PREFABRICATED BATHROOM WITH WEIGHT LIGHTENING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주택뿐만 아니라, 조립식 욕실의 면적을 미리 정하지 않고 입주자의 취향과 요구에 따라 결정하는 벽체 이동식 신개념 주택에도 적합하며, 현장 대응성이 향상되어 욕실 면적에 맞도록 용이하게 제작되는 TPR방수판에 적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TPR방수판'은 일정한 규격의 열가소성수지판의 각 코너부위를 필요에 따라 일정 부분 가로, 세로 절단하여 절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면의 교차점을 잇는 절곡선을 따라 외측부를 상향 절곡하고 맞대어지는 절곡면을 접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욕실의 바닥층에 대응하는 가로 및 세로길이의 바닥면이 형성되고 그 외측둘레에 방수막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상술한 'TPR방수판'과 '몰탈층'에 의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형성하여 종래 사용자에게 익숙한 사용 환경의 우수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의 용이성, 시공 후 구조체의 경량화, 단열 효과 확보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및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층간 소음의 획기적 저감을 고려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의 바닥은 방수구조를 가져야 한다. 욕실 바닥을 방수구조로 시공하는 방법에는 습식(濕式)공법과 건식(乾式)공법이 있다.
습식공법은 사면이 옹벽과 조적벽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 슬래브(slab) 상에 액체방수공사에 의해 바닥방수층을 형성하고 바닥방수층 상부에 시멘트 몰탈을 사춤하여 바닥타일 공사를 실행하며, 벽면에도 액체방수에 의한 벽면방수층을 형성하고 벽면방수층 표면에 벽타일 공사를 실행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습식공법은 욕실의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서 정밀시공이 어렵고, 특히 동절기 영하의 기온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하며 균일한 품질의 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지나면서 방수층의 균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건식공법의 대표적인 공법으로서는 섬유보강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방수층 형성판을 포함하는 욕실의 바닥, 벽 및 천장의 형성에 필요한 자재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하여 욕실을 완성하는 일명 'UBR(Unit Bath Room) 공법'이라고 하는 조립식 욕실 공법이 있으며, 습식공법에서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어 오랫동안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조립식 욕실 공법은 방수층 형성판의 성형에 필요한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 증가와 공사기간 장기화의 문제점 등이 지적되면서 새로운 공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따른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4004호(2009.12.17. 등록)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선행기술1)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슬래브)에 대응하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일정높이의 방수막으로 구성된 열가소성수지재의 방수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층이 형성되며, 시멘트 몰탈층에 바닥타일을 부착하는 구조로서, 금형이 필요하지 않음에 따른 시공 비용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 소음 문제 해결 및 방수층 형성판을 시공현장의 욕실 바닥 형상 및 규격에 맞춰서 제작할 수 있음에 따른 시공현장 대응성 향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배수관과 오수관을 배관하기 위하여 방수판재의 바닥면과 시멘트 몰탈층 및 욕실의 바닥층(슬래브)에 배수관과 오수관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설치되는 배관 연결관에 배수관과 오수관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과 오수관이 해당 층의 욕실 바닥층의 상면에 배관되는 것이 아니라 욕실 바닥층의 하면(하층의 욕실 천장면)에 배관되고, 하층 욕실 천장에는 천장반자를 설치하여 배수관과 오수관을 가리는 것이어서 각종 배수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몰탈층이 두꺼워지는 경우 상기 몰탈층에 의한 하중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있다. 정리컨대, 'TPR방수판'에 의한 조립식 욕실 바닥 공법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나, 아래층으로 전해지는 배수소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층상배관의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몰탈층에 의한 하중 발생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바닥구조가 강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0745호(2010.06.28. 공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선행기술2')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해당 세대의 욕실 바닥에서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골조 다운(down) 시공된 바닥슬래브를 전제로 하고 있다. 여기서 욕실 바닥의 골조 다운(슬래브 다운)이란 해당 층의 욕실 바닥이 침실, 거실, 주방 등 다른 영역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되고, 하층의 욕실 천장 쪽에서는 해당 층에서 낮아진 만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슬래브의 높이(레벨)가 부분적으로 다른 것을 말한다.
상기 선행기술2는 상기 골조 다운된 바닥슬래브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가 설치되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구; 상기 높이조절구의 위에 놓여져서 지지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바닥슬래브와 상기 받침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배관공간에 배치되며, 욕실 벽체 일측의 수직관 설치영역에 있는 수직관에 연결되는 오수관 및 배수관; 및 상기 받침프레임의 위에 놓여져서 지지되면서 욕실 바닥에 걸쳐 설치되는 블록을 포함한다.
덧붙여, 상기 선행기술2는 양변기와 세면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위치에는 상기 오수관 및 배수관과 대응되게 오수구와 배수구가 천공되고, 이들 주변에서 각각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점검구가 마련된 블록과 욕실 바닥에 대응되게 바닥면이 이루어져 그 외측 둘레에 방수막을 가지며,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블록의 오수구, 배수구, 점검구에 맞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의 위에 설치되는 방수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배수관과 오수관이 해당 세대의 욕실 바닥에 배관되어 오수 및 배수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아래층에 배수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욕실 바닥이 골조 다운에 의하여 안방, 작은 방, 거실 또는 주방 등 여타 다른 영역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입주자의 취향이나 요구와 무관하게 욕실의 면적이 건물의 설계 당시부터 입주 후 건물이 폐기될 때까지 결정되어 모든 세대의 욕실 면적이 확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2는 골조 다운(슬래브 다운) 깊이가 200mm 정도이고, 오수관과 배수관을 매립하기 위해서는 120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시멘트 몰탈층이 형성되는바, 이 시멘트 몰탈층의 중량이 800여kg에 이르기 때문에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개정된 관계법령에서는, 욕실의 면적을 미리 정하지 않고 벽체 이동 등 신개념의 주택건설로서 입주자의 취향과 요구에 따라 욕실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골조 다운(슬래브 다운) 시공과 습식 시공을 지양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TPR방수판'에 의한 욕실 바닥 구조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조립식 욕실의 면적을 미리 정하지 않고 입주 후 입주자의 취향과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다운이 되지 않은 슬래브에서도 용이하게 시공가능하며, 무엇보다도 시멘트 몰탈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욕실 바닥 구조를 경량화하면서도 배수소음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4004호(2009.12.17. 등록)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70745호(2010.06.28. 공개)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TPR방수판'과 '몰탈층'에 의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익숙한 종래 사용 환경의 우수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의 용이성, 시공 후 구조체의 경량화, 단열 효과 확보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및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아래층으로의 소음 전달의 획기적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수배관이 내장벽체와 내부벽체 또는 구획벽체 등을 통과하여 수직배관통로에 설치된 오수합류관에 연결되며, 내부 수평배관이 방수판의 수직벽부, 내장벽체, 내부벽체 또는 구획벽체 등을 관통하여 층상 수평배관으로서 수직배관통로에 설치된 배수합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방수판의 바닥부에는 배관을 위한 구멍의 천공을 최소화하거나 없도록 하여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확보함과 아울러, 바닥굴곡판을 배치하여 방수판 상부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소음발생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욕실 바닥 구조의 하중을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몰탈층에 익숙한 사용자 환경을 확보함과 아울러 바닥굴곡판층을 통하여 경량화 등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욕실 바닥에 설치되어야 하는 상기 배수관은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하고, 단축 방향이 상하방향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상의 바닥구조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바닥슬래브 상면에서 바닥타일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방수판, 합성수지재 등으로 된 바닥굴곡판, 기포층, 단열층, 시멘트 몰탈층 및 바닥타일과 같이 서로 밀도가 다른 층이 적층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경량화와 단열 효과 및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욕실의 면적을 미리 정하지 않고 입주자의 취향과 요구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벽체 이동식 신개념 주택에 적합하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판을 현장에서 욕실 면적에 맞도록 제작하는 것을 전제로 함으로써 현장 대응성이 향상되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수관이 수직배관통로에 설치된 오수합류관에 연결되며, 배수관이 방수판의 수직벽부 등을 관통하여 수직배관통로에 설치된 배수합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판과 시멘트 몰탈층 사이에 바닥굴곡판에 의한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하중을 줄이고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굴곡판의 경제적이고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한 형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 바닥의 수평 배관을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하고, 단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층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바닥슬래브 상면에서 바닥타일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몰탈층에 바닥굴곡판으로 형성하는 빈 공간과 상기 타원형 파이프로 높이를 낮춘 상면을 가지는 몰탈층은 시멘트 몰탈층에 의한 하중을 대폭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로 된 방수판, 플라스틱으로 된 바닥굴곡판, 기포층, 단열층, 시멘트 몰탈층 및 바닥타일과 같이 서로 밀도가 다른 층이 적층되는 구조로써, 경량화와 단열 효과 및 층간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조립식 욕실 바닥 슬래브 상면에 적용되는 방수구조와 상기 방수구조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층을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몰탈층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경량화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방수구조는 TPR방수판을 적용한 것이며, 상기 슬래브 위에 배치되는 배관은, 상기 TPR방수판의 바닥부를 관통하지 않고, 수평 배관으로 수직배관통로의 합류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몰탈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공간은, 상기 방수구조 위에 놓이는 빈공간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빈공간형성수단은 바닥굴곡판이고, 상기 바닥굴곡판은 일정폭의 돌출 형상인 파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TPR방수판과 상기 바닥굴곡판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바닥굴곡판에는 내부 수평배관이 설치되도록 배관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굴곡판의 노출된 측면에 플라스틱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굴곡판 상에 단열층 및 난방코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은 기포층일 수 있다.
상기 바닥굴곡판은 2장 이상이 상기 TPR방수판 상에 배치되되, 상기 파형 돌출부가 끼워 겹쳐지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평배관은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되고, 단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에 TPR방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TPR방수판 위에 바닥굴곡판을 배치하되, 상기 바닥굴곡판과 내부 수평배관이 간섭되는 부분은 배관공간이 형성토록 하는 단계; 상기 배관공간에 내부 수평배관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배관공간이 형성되도록 노출된 상기 바닥굴곡판의 측면에 플라스틱폼을 형성하는 단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층 상에 난방코일을 시공하는 단계; 시멘트 몰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바닥타일 마감공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의하면, 골조 다운(슬래브 다운) 없이 입주자가 결정한 욕실 면적에 따라 구획벽체를 설치할 수 있어 조립식 욕실의 면적을 미리 정하지 않고 입주자의 취향과 요구에 따라 결정하는 벽체 이동식 신개념 주택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의하면 'TPR방수판'을 욕실 면적에 맞도록 제작하는 것이므로 현장 대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의하면 오수관이 수직배관통로에 설치된 오수합류관에 연결되며, 배수관이 방수판의 수직벽부 등을 관통하여 수직배관통로에 설치된 배수합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방수판의 바닥부에는 배관을 위한 구멍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의하면 방수판과 시멘트 몰탈층 사이의 바닥굴곡판을 통해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전달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닥굴곡판의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의하면 오수관은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하여 단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층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바닥슬래브 상면에서 바닥타일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로 된 방수판, 플라스틱으로 된 바닥굴곡판, 기포층, 단열층, 시멘트 몰탈층 및 바닥타일과 같이 서로 밀도가 다른 층이 선택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이므로 경량화와 단열 효과 및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측단면을 보인 도면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된 TPR방수판을 보인 것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바닥 단면을 확대하여 보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욕실 바닥의 층을 단계별로 보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측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가 적용되는 조립식 욕실은 일반적으로 건물 시공 시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슬래브(1), 및 내부 벽체(2)와 외부 벽체(3)가 준비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 벽체(2)와 외부 벽체(3) 사이에는 배수합류관(P1)과 오수합류관(P2)이 통과하는 수직배관통로(P)가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기본적 구성은 대표적인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립식 욕실 구조에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조립식 욕실의 면적은 입주자의 결정에 따라 바닥 슬래브(1) 상에 세워지는 구획벽체(4)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상기 구획벽체(4)는 2면 내지 4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력벽, 벽돌 조적벽 또는 드라이월(경량벽체) 등을 시공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3면의 구획벽체(4) 중 하나에는 문틀(5)이 설치되고, 문틀(5)에는 도어(6)가 설치된다.
상기 문틀(5)은 바닥 슬래브(1) 상에 설치되는 문틀받침(5a)에 의하여 지지되어 구획벽체(4)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내부 벽체(2)의 안쪽에는 UBR벽체(7)가 설치된다. 욕실 상부에는 천장반자(7a)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8a는 욕조, 8b는 세면대, 8c는 수납장, 9는 변기를 보인 것이다.
TPR방수판(10)은 상기 바닥 슬래브(1) 상에 안착되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는 수직벽부(12)로 구성된다. 상기 TPR방수판(10) 이외의 방수구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TPR방수판(10)이 적용된 방수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벽부(12)는 UBR벽체(7)와 내부 벽체(2) 또는 구획벽체(4)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된 TPR방수판을 보인 것이다. 상기 TPR방수판(10)은 열가소성 수지재 시트로 성형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수지(Poly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 Chloride; PVC),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폴리스틸렌수지(Polystyrene; PS), ABS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s), EP(Engineering Plastic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PR방수판(10)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1)와 수직벽부(12)를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준비하여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귀퉁이를 절단하여 바닥부(11)와 수직벽부(12)를 형성하고,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벽부(12)를 수직으로 상향 절곡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접합 방법은 열융착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일 실시 예에서는 네 귀퉁이를 절단하는 것이나, 현장 여건에 맞추어 보다 많은 귀퉁이를 절단하여 다양한 평면의 욕실 바닥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바닥 단면을 확대하여 보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욕실 바닥의 층을 단계별로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는 바닥 슬래브(1) 상에 안착되는 TPR방수판(10)과 상기 방수판 상부에 형성되는 시멘트 몰탈층(50)을 가지는데,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에는 바닥굴곡판(20)이 묻히게 된다. 상기 바닥굴곡판(20)은 상기 몰탈층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빈공간형성수단이다.
상기 TPR방수판(10) 상에 안착되는 상기 바닥굴곡판(20)은 상기 TPR방수판(10) 위 방향에 놓이게 되며,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에는 매립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멘트 몰탈층(50)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시멘트 몰탈층만이 있는 경우와 달리, 상기 바닥굴곡판(20)이 설치되는 경우 욕실 바닥에 배관되는 층상의 수평배관과 간섭이 문제될 수 있다. 몰탈층만 있는 경우에는 욕실 바닥 수평배관을 몰탈층에 묻으면 되는 것이지만, 본 실시 예는 몰탈층 내에 상기 바닥굴곡판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간섭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굴곡판(20)은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에 매립되는 배관을 위한 배관공간(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공간(23)은 상기 수평배관과 간섭되는 상기 바닥굴곡판(20)의 일정 부분을 미리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관공간(23)은 현장에서 도 5에 도시된 내부 수평배관(81) 및 바닥배수구(71) 등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닥굴곡판(20)을 절취하여 그 절취부로서 형성할 수 있으며, 즉 이 절취부가 상기 배관공간(23)이며, 이 절취부에 내부 수평배관(81)과 바닥배수구(71)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공간(23)에 상기 내부 수평배관(81) 등을 배치하고,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바닥굴곡판(20)과 상기 바닥슬래브 사이의 공간에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플라스틱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공간(23)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상기 바닥굴곡판(20)의 측면에 우레탄폼을 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에는 난방코일(30)이 매립될 수 있고, 상기 난방코일(30)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난방코일(30)과 함께, 상기 바닥굴곡판의 상면에 단열층(40)을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층(40)은 현장 여건에 맞는 통상의 단열재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 바닥굴곡판(20) 위에는 기포층(21)이 형성되고 그 위에 상기 단열층(40) 및 상기 난방코일(30)이 적층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포층(21)이 상기 단열층(40)을 갈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본 실시 예는 바닥굴곡판(20); 상기 바닥굴곡판(20) 위에 배열되는 난방코일(30); 상기 난방코일(30)과 함께 바닥굴곡판(20) 상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포층(21) 및/또는 단열층(40)을 매립하는 시멘트 몰탈층(50); 상기 시멘트 몰탈층(50) 상에 부착되는 바닥타일(61); 상기 바닥타일(61), 시멘트 몰탈층(50), 단열층(40), 바닥굴곡판(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닥배수구(71)와, 상기 배관공간(23) 내에 설치되는 내부 수평배관(81); 상기 바닥배수구(71)와 연결된 상기 내부 수평배관(81)이 연장되어 상기 TPR방수판(10), 상기 UBR벽체(7)와 내부 벽체(2)를 관통하고 상기 수직배관통로(P)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상기 배수합류관(P1)에 연결되는 층상 수평배관(82); 상기 변기(9)에 연결되어 상기 UBR벽체(7)와 내부 벽체(3)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배관통로(P)로 연장되어 오수합류관(P2)에 연결되는 오수배관(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굴곡판(20)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평평한 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시공편이와 리브 형태와 같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일정폭의 돌출 형상을 갖는 파형 돌출부(2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형 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슬래브와 상기 바닥굴곡판(2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굴곡판(20)은 TPR방수판(10) 상에 위치하여 상기 배관공간(23)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굴곡판(20)은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현장 대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 개(예컨대 3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현장에서는 중간에 삽입되는 것의 폭을 재단하여 욕실 바닥에 맞출 수도 있다.
예컨대, 욕실 바닥의 폭이 1400mm, 1500mm, 1600mm이라고 하면, 550mm폭의 바닥굴곡판(20) 3장을 준비하여 양측의 2장을 그대로 사용하고, 중앙의 1장을 욕실 바닥의 폭에 따라 재단하거나, 상기 파형 돌출부(22)에 끼워 겹쳐지도록 결합함으로써 현장 대응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난방코일(30)은 통상적인 바닥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에 연결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시멘트 몰탈층(50)은 시멘트, 모레, 물을 혼합한 것으로 바닥구배 형성 및 바닥타일(61)을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시멘트 몰탈층(50)이 양생된 경우 그 위에 백시멘트와 혼화제를 혼합하여 압착방식으로 바닥타일(61)을 부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멘트 몰탈층(50)만으로 된 두께는 50mm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몰탈층이 120mm라고 하면, 상기 바닥굴곡판(20)에 의하여 상기 시멘트 몰탕층(5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욕실 바닥 구조를 매우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바닥타일(61)은 자기질 타일, 대리석 등이 사용된다. 상기 구획벽체(4)에는 벽면타일(62)로 복합타일 등이 부착된다. 상기 바닥배수구(71)는 상기 바닥타일(61)의 상면에서 개구되는 개구부에 배수구 덮개(72)로 복개된다. 상기 내부 수평배관(81)은 바닥굴곡판(20)의 파형 돌출부(22)에 절취 형성되는 절취부를 통하여 배관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평배수관은 필요에 따라 욕조에서 통합배수구에 연결되는 욕조배수관과, 통합배수구에 연결되는 바닥배수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상기 수평 배관은 배수성능을 위하여 관경을 50~100mm의 원형 파이프로 구성하는데, 예를 들어 50mm 관경의 원형 파이프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하여, 단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층(50)의 높이를 더욱 낮출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는 바닥슬래브(1) 상면에서 바닥타일(61)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슬래브 다운을 하지 않는 구조에서 유용한 구조이다. 즉, 상기 배수관은 원형 파이프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바닥타일(61)의 표면 레벨을 낮출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변기(9)는 통상적인 좌변기 설치 방법과 마찬가지로 좌변기로서 바닥타일(61)과 변기(9)의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를 백색 시멘트 몰탈 또는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한다.
상기 오수배관(90)은 변기(9)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TPR방수판(10)과 바닥굴곡판(20) 사이의 배관공간(23)에 배관되지 않고, 곧바로 UBR벽체(7)와 내부벽체(2)를 관통하여 수직배관통로(P)로 연장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선택적인 것이다. 상기 오수배관(90)은 오수연결관을 통하여 오수합류관(P2)에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건축된 건물의 욕실 설치 영역에는 바닥슬래브(1), 내부벽체(2), 외부벽체(3), 수직배관통로(P), 배수합류관(P1), 오수합류관(P2) 및 내부벽체(2)에 고정되는 배수소켓 및 오수연결소켓이 설치된 상태이다. 흡수재 및 퇴수관 등을 통하여 TPR방수판 내부에 발생하는 침투수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할 수도 있다(미도시).
우선, 바닥슬래브(1) 상에 TPR방수판(10)을 설치한다. 상기 TPR방수판(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11)와 수직벽부(12)를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준비하여 네 귀퉁이를 절단하여 바닥부(11)와 수직벽부(12)를 형성하고, 수직벽부(12)를 수직으로 상향 절곡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현장 대응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내부 수평배관(81) 또는 층상 수평배관(82)이 상기 수직벽부(12)를 관통하도록 한다.
TPR방수판(10) 상에서 바닥배수구(71)의 마감위치에 맞추어 내부 수평배관(81)과 필요시 욕조배수관(미도시)을 연결 설치한다. TPR방수판(10) 상에 바닥굴곡판(20)을 안착시킨다. 상기 바닥배수구(71), 필요시 욕조배수관(미도시), 내부 수평배관(81) 및 퇴수관(미도시)에 대응하는 상기 파형 돌출부(22)의 부분을 절취하여 바닥굴곡판(20)이 바닥배수구(71), 내부 수평배관(81) 및 퇴수관(미도시)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바닥굴곡판(20)의 안착과 상기 배관 작업의 공정상 선후는 현장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바닥굴곡판(20) 상에 기포를 타설하여 기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공정에 따라 필요시에 구획벽체(4), UBR벽체(7), 문틀(5)을 설치하고, 상기 선택적인 바닥 기포층(21) 상에, 역시 선택적인 단열층(40), 난방코일(30), 시멘트 몰탈층(50) 등을 충전하고 바닥타일(61)을 부착한다. 상기 공정 중에 필요에 따라 욕조(8a), 세면대(8b) 및 변기(9) 등을 설치하고, 변기(9)를 오수배관(90)에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UBR벽체(7)에 세면대(8b) 또는/및 수납장(8c)을 설치할 수 있다. 문틀(5)에 도어(6)를 설치하고, 기타 욕실 내부에 수납장(8c) 등 욕실용 가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서 SL은 바닥슬래브(1)의 레벨을 의미하며, FL은 최종 바닥 레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바닥타일(61)을 부착하였을 때의 레벨과 안방, 거실, 주방 등 여타 영역의 바닥과 레벨이 일정한 단차를 이루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는 TPR방수판(10)을 욕실 면적에 맞도록 제작하는 것이므로 현장 대응성이 향상된다. 또한 오수배관(90)이 UBR벽체(7)와 내부벽체(2)를 통하여 수직배관통로(P)에 설치된 오수합류관(P2)에 연결되며, 내부 수평배관(81)이 TPR방수판(10)의 수직벽부(12)와 UBR벽체(7) 및 내부벽체(2)를 관통하여 수직배관통로(P)에 설치된 배수합류관(P1)에 연결되는 것으로 TPR방수판(10)의 바닥부(11)에는 배관을 위한 구멍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는 TPR방수판(10)과 시멘트 몰탈층(50) 사이에 파형 돌출부(22)에 의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의 하중을 줄이고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평배관(81)은 50mm 관경의 원형 파이프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하여 단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바닥타일(61)의 상면 레벨을 낮출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바닥슬래브(1) 상면에서 바닥타일(61)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는 열가소성 수지로 된 TPR방수판(10), 플라스틱으로 된 바닥굴곡판(20),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포층(21), 단열층(40) 및 난방코일(30)과 시멘트 몰탈층(50) 및 바닥타일(61)과 같이 서로 밀도가 다른 층이 적층되는 구조이므로 경량화와 단열 효과 및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바닥슬래브
2 : 내부벽체
3 : 외부벽체
4 : 구획벽체
5 : 문틀
5a : 문틀받침
6 : 도어
7 : UBR벽체
7a : 천장반자
8a : 욕조
8b : 세면대
8c : 수납장
9 : 변기
P : 수직배관통로
P1: 배수합류관
P2 : 오수합류관
10 : TPR방수판
11 : 바닥부
12 : 수직벽부
20 : 바닥굴곡판
21 : 기포층
22 : 파형돌출부
23 : 배관공간
30 : 난방코일
40 : 단열층
50 : 시멘트 몰탈층
61 : 바닥타일
62 : 벽면타일
71 : 바닥배수구
72 : 배수구덮개
81: 내부수평배관
82 : 층상수평배관
90 : 오수배관

Claims (10)

  1. 조립식 욕실 바닥 슬래브 상면에 적용되는 방수구조와
    상기 방수구조의 상부에 시멘트 몰탈층을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몰탈층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를 경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구조는 TPR방수판을 적용한 것이며,
    상기 슬래브 위에 배치되는 배관은,
    상기 TPR방수판의 바닥부를 관통하지 않고, 수평 배관으로 수직배관통로의 합류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몰탈층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공간은,
    상기 방수구조 위에 놓이는 빈공간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빈공간형성수단은 바닥굴곡판이고,
    상기 바닥굴곡판은 일정폭의 돌출 형상인 파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TPR방수판과 상기 바닥굴곡판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굴곡판에는 내부 수평배관이 설치되도록 배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굴곡판의 노출된 측면에 플라스틱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굴곡판 상에 단열층 및 난방코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굴곡판은 2장 이상이 상기 TPR방수판 상에 배치되되,
    상기 파형 돌출부가 끼워 겹쳐지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평배관은 타원형 파이프로 구성되고, 단축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10. 바닥 슬래브에 TPR방수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TPR방수판 위에 바닥굴곡판을 배치하되, 상기 바닥굴곡판과 내부 수평배관이 간섭되는 부분은 배관공간이 형성토록 하는 단계;
    상기 배관공간에 내부 수평배관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배관공간이 형성되도록 노출된 상기 바닥굴곡판의 측면에 플라스틱폼을 형성하는 단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열층 상에 난방코일을 시공하는 단계;
    시멘트 몰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바닥타일 마감공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욕실의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50024068A 2015-02-17 2015-02-17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01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68A KR20160101767A (ko) 2015-02-17 2015-02-17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068A KR20160101767A (ko) 2015-02-17 2015-02-17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67A true KR20160101767A (ko) 2016-08-26

Family

ID=5688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068A KR20160101767A (ko) 2015-02-17 2015-02-17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7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024B1 (ko) * 2018-10-19 2019-05-03 (주)토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욕실 층간 방음 구조
KR20210001236A (ko) * 2019-06-27 2021-01-06 현대건설주식회사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20210001235A (ko) * 2019-06-27 2021-01-06 현대건설주식회사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352649B1 (ko) 2021-07-21 2022-01-17 주식회사 성일 다중 진공성형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제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004B1 (ko) 2007-03-21 2009-12-28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KR20100070745A (ko) 2008-12-18 2010-06-28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004B1 (ko) 2007-03-21 2009-12-28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KR20100070745A (ko) 2008-12-18 2010-06-28 이현배쓰(주)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024B1 (ko) * 2018-10-19 2019-05-03 (주)토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욕실 층간 방음 구조
KR20210001236A (ko) * 2019-06-27 2021-01-06 현대건설주식회사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20210001235A (ko) * 2019-06-27 2021-01-06 현대건설주식회사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352649B1 (ko) 2021-07-21 2022-01-17 주식회사 성일 다중 진공성형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713B2 (en) Integrated bonding flange support disk for prefabricated shower tray
KR100865483B1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US8918926B1 (en) One piece shower pa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29839B1 (ko)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CA2689796A1 (en) Shower base apparatus
KR20160101767A (ko)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6461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160028809A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KR101135564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2264712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GB2471779A (en) Shower floor structure with support layer
JPH08289852A (ja) 組立式浴室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999248B1 (ko) 기포 콘크리트층 배수 배관 실링구조
JP2005213840A (ja) 耐水性複合板
KR20050120006A (ko) 무소음 화장실 건식 시공방법---T-gps
KR101390710B1 (ko) 조립식 욕실의 층상 배관 설치구조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KR20010083516A (ko) 건축용 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CN115897737A (zh) 一种卫生间防水排水一体化部品及其制作安装工艺
CN117145166A (zh) 建筑防水预制模块、建筑预制模块、建筑及成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