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236A -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236A
KR20210001236A KR1020190077031A KR20190077031A KR20210001236A KR 20210001236 A KR20210001236 A KR 20210001236A KR 1020190077031 A KR1020190077031 A KR 1020190077031A KR 20190077031 A KR20190077031 A KR 20190077031A KR 20210001236 A KR20210001236 A KR 20210001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lab
wall portion
waterproof
toil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712B1 (ko
Inventor
장세준
양우석
정남철
조용선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유창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7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69Elements for special technical purposes, e.g. with a 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모듈형 화장실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바닥 타일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와, 바닥 슬라브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와, 방수턱부에 마련되며 방수턱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module type bathroom and bui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통째로 제작되어 건축 현장에 공급되어 설치되는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기초를 시공한 후, 기초에 설치된 토대 상에 설계도에 따라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벽체를 시공하고, 이러한 벽체 상에 지붕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골격을 완성한 후, 건축물의 사용에 필요한 전기, 냉방/난방, 상수/하수용 설비배관을 벽체 형성 시에 벽체에 일체로 설비한다.
이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골격이 완성되면 벽체로 구획된 공간별로 해당 공간의 기능이나 용도에 맞게 문, 창문, 수납공간, 조명, 장식물 등의 공간시설물과 설비배관과 연결되는 설비들을 설치하여 주거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최근 대두되고 있는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모듈 유닛을 건축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이다.
상술한 모듈 유닛은 전기, 기계설비 및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모듈러 공법의 경우, 건축물의 9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이러한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된 각 모듈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 전후, 좌우로 조립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 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현장시공 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어 최근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모듈러 건축물에 있어서 모듈 유닛은 주로 방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한정되어 제작됨에 따라 전체 건축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시공하거나 유지 및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화장실의 시공방법은, 바닥 슬라브를 위한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를 위한 형틀 상에서 지정된 위치에 배관용 슬리브를 설치하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를 위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 슬라브를 제작하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 상에 방수턱을 위한 형틀을 설치하는 단계와, 방수턱을 위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방수턱을 위한 형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단계와, 방수턱을 위한 형틀을 해체하는 단계와, 바닥 슬라브 및 방수턱에 방수시공을 하는 단계와, 화장실용 배관 및 위생 기구(sanitary fixture) 등이 설치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실 시공방법은 바닥 슬라브와 방수턱이 별도로 제작되어 그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 슬라브 및 방수턱에 적용되는 방수시공에는, 바닥 슬라브 및 방수턱 상에 액체방수공사를 하여 방수층을 두텁게 형성한 뒤 그 위에 타일공사를 하는 습식공법(濕式工法)이 적용된다.
이러한 습식공법은 바닥에 방수액을 고르게 침투시킨 뒤 그위에 방수제를 혼입한 시멘트 풀(Cemment Paste)을 바르고, 또 방수 몰탈을 바르는 등 일련의 작업공정을 수차례 반복한 방수층 구조를 형성한 뒤 그 위에 타일공사를 하는 것이며, 이를 수작업으로 치밀하게 해야만 되는 것이어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었음은 물론, 시공의 난이도에 따른 정밀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습식공법이기 때문에 동절기 영하의 기온에서는 그 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타일공사까지 수행하여 완료된 바닥 구조물을 구비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건축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다면 종래보다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시공이 가능할 수 있으며,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는 모듈형 화장실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47238호, (1998.05.1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보다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며, 화장실에서의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 타일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 및 상기 방수턱부에 마련되며, 상기 방수턱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슬라브부는,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굴곡진 골강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수턱부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부착된 방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상부 영역에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상부면에 부착된 방수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방수용 플레이트부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격용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연결되며, 측벽 타일이 설치된 내벽부; 및 상기 방수턱부에 지지되고 상기 내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벽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벽부를 외부에 대해 차폐하는 외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부는, 상기 내벽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량 벽체부; 및
상기 경량 벽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내벽부에 결합되는 결합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량 벽체부는,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는 하부 런너부(runner); 상기 하부 런너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에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부(stud); 및 상기 스터드부에 결합되는 마감용 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브라켓은 상기 스터드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량 벽체부는, 상기 스터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부는, 상기 외벽부에 결합되는 내벽용 프레임부; 및 상기 내벽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측벽 타일이 부착되는 내벽용 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 타일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고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가 마련된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를 구비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제작하는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 상기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로 이동시키는 화장실 운반단계; 및 상기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에 설치하는 화장실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는, 상기 바닥 슬라브부와 상기 방수턱부를 결합하는 바닥부 형성단계; 외벽부를 상기 방수턱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차폐되며, 측벽 타일이 설치된 내벽부를 상기 외벽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는,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부착된 방수판을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수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상부 영역에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상부면에 부착된 방수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방수용 플레이트부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격용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닥 타일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와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와 방수턱부에 마련되어 방수턱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및 형틀 제거작업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모듈형 화장실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건축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보다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화장실에서의 소음 및 충격 전달을 완화하여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바닥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방향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방수턱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방향 단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이며, 도 6은 도 4의 방수턱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타일(BT)이 설치된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에 연결되며 측벽 타일(WT) 및 위생 기구(sanitary fixture)가 설치된 내벽부(120)와, 바닥부(110)에 지지되고 내벽부(120)에 연결되어 내벽부(120)를 지지하며 내벽부(120)를 외부에 대해 차폐하는 외벽부(130)와, 바닥부(1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며 내벽부(120)에 지지되는 천정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바닥부(110)에는 바닥 타일(BT)이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부(110)에는 양변기(170)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110)는,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130)를 지지하는 바닥 본체(111)와, 바닥 본체(111)에 지지되며 내벽부(120)를 지지하는 방수판(115)을 포함한다.
바닥 본체(111)는 외벽부(130)를 지지한다. 이러한 바닥 본체(111)는,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판(115)이 지지되며 비콘크리트 재질로 마련되는 바닥 슬라브부(112)와, 바닥 슬라브부(112)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바닥 슬라브부(112)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113)를 포함한다.
바닥 슬라브부(112)에는 방수판(115)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슬라브부(112)는, 도 2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굴곡진 골강판으로 마련된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닥 슬라브부(112)에는 화장실용 배관(미도시)이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굴곡진 골강판으로 마련되는 바닥 슬라브부(112)를 구비함으로써, 바닥 슬라브부(112)를 비콘크리트 재질로 마련하면서도 바닥 슬라브부(11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방수턱부(113)는 바닥 슬라브부(112)에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방수턱부(113)는, 도 3 내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부(112)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물이 화장실 외부(예를 들어, 화장실 앞 거실 바닥)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수턱부(113)는 강 재질로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된 사각 형상의 각파이프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112)와 바닥 슬라브부(112)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113)를 구비함으로써, 바닥 슬라브부(112)와 방수턱부(113)를 제작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및 형틀 제거작업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종래보다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부(113)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부(113)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11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입용 절개부(113a)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마련되어 방수턱부(113)의 측벽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유입용 절개부(113a)은, 화장실에 이웃한 방 또는 거실에 대한 기포, 방통 시공 시 기포, 방통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가 방수턱부(113)의 중공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턱부(113)의 내부에 기포, 방통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채워짐으로써, 화장실에서의 소음 및 충격 전달을 완화하여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방수판(115)은 바닥 슬라브부(112)에 지지되며 내벽부(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방수판(115)은, 도 3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부(112)의 상부 영역에 바닥 슬라브부(11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바닥 타일(BT)이 상부면에 부착된 방수용 플레이트부(116)와, 방수용 플레이트부(116)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바닥 슬라브부(112)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격용 받침부(117)와, 방수용 플레이트부(116)에 연결되며 내벽부(120)를 지지하는 내벽용 안착부(118)를 포함한다.
방수용 플레이트부(116) 바닥 슬라브부(112)의 상부 영역에서 바닥 슬라브부(11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방수용 플레이트부(116)의 상부면에는 바닥 타일(BT)이 부착된다.
이격용 받침부(117)는 방수용 플레이트부(116)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이격용 받침부(117)는 바닥 슬라브부(112)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격용 받침부(117)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격용 받침부(117)들의 사이, 즉, 방수용 플레이트부(116)의 하부면과 바닥 슬라브부(112)의 사이에는 몰탈이 충진되는 몰탈사춤 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바닥 슬라브부(112)에 지지되며 바닥 타일(BT)이 부착된 방수판(115)을 구비함으로써, 화장실의 방수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외벽부(130)는 바닥부(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외벽부(130)는 내벽부(120)에 연결되어 내벽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120)는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외벽부(130)가 측방향에서 내벽부(120)에 결합됨으로써 내벽부(120)는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본래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벽부(130)는 내벽부(120)를 감싸 내벽부(120)를 외부에 대해 차폐함으로써 내벽부(120)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벽부(130)는, 도 1 내지 도 5에 제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부(113)에 고정되고 내벽부(12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량 벽체부(131)와, 경량 벽체부(131)에 지지되고 내벽부(120)에 결합되는 결합용 브라켓(138)을 포함한다.
경량 벽체부(131)는 내벽부(12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량 벽체부(131)가 내벽부(12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화장실 내부의 단열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량 벽체부(131)는,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부(113)에 결합되는 하부 런너부(132)와, 하부 런너부(13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부 런너부(133)와, 상부 런너부(133)와 하부 런너부(132)에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부(stud, 134)와, 스터드부(134)에 결합되는 마감용 보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부 런너부(132)는 방수턱부(113)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 런너부(132)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런너부(132)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부 런너부(1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런너부(13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런너부(133)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런너부(133)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스터드부(134)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스터드부(134)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드부(134)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스터드부(134)의 상단부 영역은 상부 런너부(133)에 결합되고 스터드부(134)의 하단부 영역은 하부 런너부(132)에 결합된다.
마감용 보드부(미도시)는 스터드부(134)에 결합된다. 이러한 마감용 보드부(미도시)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용 보드부(미도시)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스터드부(134)에 각각 결합되어 내벽부(120)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감용 보드부(미도시)는 2겹으로 시공된다. 즉, 스터드부(134)의 일측 외벽에 마감용 보드부(미도시)가 결합되고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일측 외벽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하는 타측 외벽에 다른 마감용 보드부(미도시)가 결합된다.
이렇게 이격되어 배치된 2겹의 마감용 보드부(미도시)와 스터드부(134)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단열부재(136)가 배치되어 화장실 내부의 단열효율을 높인다.
결합용 브라켓(138)은 경량 벽체부(131)에 지지되고 내벽부(12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용 브라켓(138)의 일단부는 스터드부(134)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내벽부(120)의 후술할 내벽용 프레임부(121)에 결합용 나사(N)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용 브라켓(138)은,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마련되어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경량 벽체부(131)에 지지되어 내벽부(120)에 결합되는 결합용 브라켓(138)을 구비함으로써, 내벽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내벽부(120)는 방수판(115) 및 외벽부(130)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내벽부(120)에는 측벽 타일(WT) 및 위생 기구가 설치된다. 여기서 위생 기구는 급수, 급탕, 배수 설비에 사용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세면기(160) 등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벽부(1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130)에 결합되는 내벽용 프레임부(121)와, 내벽용 프레임부(121)에 결합되며 측벽 타일(WT)이 부착되는 내벽용 보드부(122)를 포함한다.
내벽용 프레임부(121)는 외벽부(130)의 결합용 브라켓(138)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벽용 프레임부(121)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내벽용 프레임부(121)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벽용 프레임부(121)는 내부가 중공되고 사각으로 각진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내벽용 보드부(122)는 내벽용 프레임부(121)에 결합된다. 이러한 내벽용 보드부(122)에는 측벽 타일(WT)이 부착되고 세면기(160) 등의 위생기구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벽용 보드부(122)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내벽용 보드부(122)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내벽용 프레임부(121)에 각각 결합되어 화장실의 벽면을 형성한다.
한편, 천정부(140)는 바닥부(1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화장실의 천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정부(140)는, 도 3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120)의 내벽용 프레임부(121)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 천정부(140)는 SMC(Sheet Molding Compound) 재질로 마련되는데,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정부(140)는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은, 측벽 타일(WT)이 설치된 내벽부(120)에 연결되어 내벽부(120)를 지지하며 내벽부(120)를 외부에 대해 차폐하는 외벽부(130)를 구비함으로써, 내벽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내벽부(120)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7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타일(BT)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112)와 바닥 슬라브부(112)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바닥 슬라브부(112)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113)를 구비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제작하는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S110)와,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로 이동시키는 화장실 운반단계(S120)와,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에 설치하는 화장실 설치단계(S130)를 포함한다.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S110)에서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112)와 바닥 슬라브부(112)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113)를 구비하는 모듈형 화장실이 공장(미도시)에서 제작된다.
이러한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S110)은, 바닥 슬라브부(112)와 방수턱부(113)를 결합하는 바닥부 형성단계와, 방수판(115)을 바닥 슬라브부(112)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수판 설치단계와, 외벽부(130)를 방수턱부(130)에 고정하는 단계와, 외벽부(130)에 의해 차폐되며 측벽 타일(WT)이 설치된 내벽부(120)를 외벽부(130)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닥부 형성단계에서는 바닥 슬라브부(112)와 방수턱부(113)이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방수판 설치단계에서는 방수판(115)이 바닥 슬라브부(112)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방수판(115)을 바닥 슬라브부(112)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수판 설치단계를 구비함으로써, 화장실의 방수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외벽부(130)를 방수턱부(130)에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외벽부(130)가,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부(130)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벽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량 벽체로 제작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내벽부(120)를 외벽부(130)에 결합하는 단계에서는 내벽부(120)를 결합용 브라켓(138)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외벽부(130)는 내벽용 프레임부(121)에 결합되는 결합용 브라켓(138)을 구비함으로써, 내벽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화장실 운반단계(S120)에서는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을 통해 공장에서 제작된 모듈형 화장실 건설현장으로 운반한다.
화장실 설치단계(S130)에서는 건설현장으로 운반된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바닥 타일(BT)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120)와 바닥 슬라브부(120)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113)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및 형틀 제거작업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공장에서 모듈형 화장실을 미리 제작하여 건축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보다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 시공이 가능하고 동절기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화장실에서의 소음 및 충격 전달을 완화하여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바닥부 111: 바닥 본체
112: 바닥 슬라브부 113: 방수턱부
113a: 유입용 절개부
115: 방수판 116: 방수용 플레이트부
117: 이격용 받침부 118: 내벽용 안착부
120: 내벽부 121: 내벽용 프레임부
122: 내벽용 보드부 130: 외벽부
131: 경량 벽체부 132: 하부 런너부
133: 상부 런너부 134: 스터드부
136: 단열부재 138: 결합용 브라켓
140: 천정부 160: 세면기
170: 양변기 BT: 바닥 타일
WT: 측벽 타일

Claims (13)

  1. 바닥 타일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 및
    상기 방수턱부에 마련되며, 상기 방수턱부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부는,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굴곡진 골강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턱부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부착된 방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상부 영역에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상부면에 부착된 방수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방수용 플레이트부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격용 받침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연결되며, 측벽 타일이 설치된 내벽부; 및
    상기 방수턱부에 지지되고 상기 내벽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벽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벽부를 외부에 대해 차폐하는 외벽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상기 내벽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량 벽체부; 및
    상기 경량 벽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내벽부에 결합되는 결합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부는,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는 하부 런너부(runner);
    상기 하부 런너부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에 결합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터드부(stud); 및
    상기 스터드부에 결합되는 마감용 보드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브라켓은 상기 스터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화장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벽체부는,
    상기 스터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는,
    상기 외벽부에 결합되는 내벽용 프레임부; 및
    상기 내벽용 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상기 측벽 타일이 부착되는 내벽용 보드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
  11. 바닥 타일을 지지하는 비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부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결합되고 내부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유입용 절개부가 마련된 비콘크리트 재질의 방수턱부를 구비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제작하는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
    상기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로 이동시키는 화장실 운반단계; 및
    상기 모듈형 화장실을 설치장소에 설치하는 화장실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는,
    상기 바닥 슬라브부와 상기 방수턱부를 결합하는 바닥부 형성단계;
    외벽부를 상기 방수턱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차폐되며, 측벽 타일이 설치된 내벽부를 상기 외벽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화장실 제작단계는,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부착된 방수판을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수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판은,
    상기 바닥 슬라브부의 상부 영역에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바닥 타일이 상부면에 부착된 방수용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방수용 플레이트부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닥 슬라브부에 지지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이격용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화장실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0190077031A 2019-06-27 2019-06-27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2264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031A KR102264712B1 (ko) 2019-06-27 2019-06-27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031A KR102264712B1 (ko) 2019-06-27 2019-06-27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36A true KR20210001236A (ko) 2021-01-06
KR102264712B1 KR102264712B1 (ko) 2021-06-11

Family

ID=7412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031A KR102264712B1 (ko) 2019-06-27 2019-06-27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751B1 (ko) 2021-11-24 2023-09-27 삼성물산 (주)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238B1 (ko) 1994-12-03 1998-09-15 정순착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839B1 (ko) * 2009-03-24 2011-04-15 이현배쓰(주)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KR20120140282A (ko) * 2011-06-21 2012-12-31 대안건철 주식회사 차수 및 방수 조립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방수 조립식 벽체시공방법
KR20160043421A (ko) * 2014-10-13 2016-04-21 정일테크 (주) 조립식 세면 욕실의 건식 뜬바닥 보강 구조
JP2016089517A (ja) * 2014-11-06 2016-05-23 株式会社Lixil 浴室ユニット
KR20160101767A (ko) * 2015-02-17 2016-08-26 이현배쓰(주)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238B1 (ko) 1994-12-03 1998-09-15 정순착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839B1 (ko) * 2009-03-24 2011-04-15 이현배쓰(주)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KR20120140282A (ko) * 2011-06-21 2012-12-31 대안건철 주식회사 차수 및 방수 조립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수 및 방수 조립식 벽체시공방법
KR20160043421A (ko) * 2014-10-13 2016-04-21 정일테크 (주) 조립식 세면 욕실의 건식 뜬바닥 보강 구조
JP2016089517A (ja) * 2014-11-06 2016-05-23 株式会社Lixil 浴室ユニット
KR20160101767A (ko) * 2015-02-17 2016-08-26 이현배쓰(주) 경량화된 조립식 욕실 바닥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712B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7187B2 (en) Modular integrated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057039A (zh) 一种组装合成建筑及其施工方法
CN110494618A (zh) 一种装配式整体卫生间及其建造方法
JP2002004610A (ja) 予め製造される浴室
KR101898125B1 (ko)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CN205134993U (zh) 预制整体卫浴
KR20120048295A (ko)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KR20100106656A (ko)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KR102264712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CN208650272U (zh) 组装合成建筑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0881063B1 (ko)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102264711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CN210713944U (zh) 带集成厨卫的装配式钢结构建筑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US20170044764A1 (en) Building or construc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KR20040094466A (ko) 화장실 건식시공방법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US10202750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bathroom plumbing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KR20010083516A (ko) 건축용 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KR102281887B1 (ko) 건축물의 천장 슬래브 개방을 이용한 공장제작 화장실 모듈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