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295A -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295A
KR20120048295A KR1020100109852A KR20100109852A KR20120048295A KR 20120048295 A KR20120048295 A KR 20120048295A KR 1020100109852 A KR1020100109852 A KR 1020100109852A KR 20100109852 A KR20100109852 A KR 20100109852A KR 20120048295 A KR20120048295 A KR 20120048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late
waterproof
bathroom
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원
Original Assignee
서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원 filed Critical 서종원
Priority to KR102010010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295A/ko
Publication of KR2012004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이중방수효과와 함께 멀티 사이즈로 인해 시공비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은 굴곡부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멀티 사이즈가 되는 ABS방수시트와, 이 ABS방수시트위에 접합되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으로 구성되고,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은 배수구쪽을 향해 곡면 가공되어 구배가 형성되고, 사방쪽 단부에는 벽패널이 삽입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때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의 배수구 위치는 자유롭게 설계가 가능하며, ABS방수시트와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의 이중구조 배수 및 방수 시스템이다. 또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에는 난방을 위한 "U"자형 온돌파이프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욕조가 설치될 부분에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을 설치하지 않고 세팅블록을 인코너에 설치하여 벽패널의 높이 및 코너각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Pre-casting bathroom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욕실바닥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용 바닥판을 미리 맞춤 제작한 후, 기 제작된 바닥판을 현장으로 이동하여 시공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장이나 욕실(또는 화장실) 등 물의 사용이 잦은 곳에 대한 시공은 그 방법에 따라 시멘트와 모래를 물과 혼합하여 섞은 뒤 방수액을 첨가시켜 타일을 붙이는 습식공법과, 제조공정에서부터 일정한 크기가 정해져서 생산되는 일체형 방수판 및 조립부재를 이용하는 건식공법으로 나뉜다.
습식공법은 건식공법에 대한 기술이 알려지기 이전에 널리 통용되었던 공법으로, 습식공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취약성 즉, 누수로 인해 유발되는 시공상의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의 건축 시공방법으로 건식공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건식공법에 따른 바닥판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6-23557호(1996.07.20. 이하 '종래1'이라 함)와, 제98-2546호 (1998.03.30. 이하 '종래2'라 함) 및 등록특허공보 제259010호(2000.03.16. 이하 '종래3'이라 함)를 통해 개시된 기술들이 있음을 알수 있다.
먼저, 종래1에 따른 기술을 살펴보면, 외주연을 따라 받침턱이 상향 절곡된 일체의 에프알피(FRP) 방수시트로 전체 욕실 바닥을 커버토록 구성되며, 특히 에프알피(FRP) 방수시트의 강도 보강을 위해 그 하부와 에프알피(FRP)면 사이에는 각각 리브와 합판이 부가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1에 따른 기술에 의하면, 욕실의 방수효과를 높이고 벽체 조립재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등의 장점이 있으나, 방수시트 자체의 강도가 취약함에 따라 합판 및 리브와 같은 보강재를 부가해야 하며, 벽체 고정을 위한 각종 앵커의 설치가 불가피한 것으로, 시공이 어려워져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 및 에프알피(FRP) 방수시트의 생산비용 대비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2에 따른 기술은, 밑면이 건축골조 슬라브 위에 얹혀지도록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조립되는 방수시트의 리브가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합성수지 발포체, 합성고무발포체 또는, 콘크리트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종래1에 따른 방수시트에 대한 방수효과를 좀더 보장할 수 있는 일종의 보조부재를 제공하는 정도의 기술일 뿐, 종래1의 방수시트가 가지고 있는 리브 및 합판 등과 같은 보강재로부터 야기되는 시공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로 접층된 발포 구조물을 더 부과함으로써 오히려 시공상의 생산비용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또, 종래3에서 개시된 기술은, 각각의 프레임과 바닥판 및 구배판 등 시공하는 장소에 따라 사이즈가 변하는 가변부품과, 프레임을 잇는 연결재 등 규격부품을 별도로 생산함으로써, 규격부품과 가변부품을 유기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3에 따른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의 경우, 이전의 일체형 방수판이 가지고 있었던 일률적인 규격의 제조 형태를 탈피함으로써 사이즈에 따른 세면장 및 욕실의 시공이 훨씬 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발휘된다.
그러나 조립식 프리 사이즈 방수판 역시 복잡하게 세분화된 조립체로 인해 시공이 난잡하게 되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없으며, 특히 제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강도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내구성이 떨어짐은 물론, 잦은 파손으로 유지관리 비용의 부담이 커지고, 제조 공정상 생산비용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BS방수시트를 진공성형한후, 설치할 욕실의 사이즈에 맞도록 재단 접합하고, 이 ABS방수시트위에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을 부착시킨후, 구배 및 가장자리 가공을 하여 제작되고, 이 제작된 바닥판을 현장으로 옮겨 벽패널 및 타일작업을 하여 완공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방에 절곡부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임의의 지점에 욕실배수구에 삽입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어 욕실의 바닥면위에 접착되는 ABS방수시트와, ABS방수시트의 상부면상에 접합되는 배수홀과 연통되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을 중심으로 곡면가공되어 자연 구배가 형성되며, 욕실의 벽면쪽 단부에는 벽면에 설치될 벽패널이 삽입되도록 걸림턱이 가공형성되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을 제공한다.
이때,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은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블록(또는 패널)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의 최종면은 특수 방수재를 전면 도포 제작하여 방수판의 기능을 완벽히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의 상부면상에는 "U"자 형태의 온돌파이프 설치홈이 설계 형상에 맞춰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욕실 난방을 도모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은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진공금형을 이용하여 사방에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ABS방수시트를 제작하는 단계;
ABS방수시트의 상부면상에 기 성형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을 끼움결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에 배수공을 천공하는 단계;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의 상부면 상을 배수공 방향으로 곡면 가공하여 구배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의 욕실 벽면과 맞닿을 단부에 벽패널이 삽입되도록 걸림턱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식바닥판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ABS방수시트는,
배수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요철금형을 진공금형위에 올려 놓은 후, 진공성형하여 배수홀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진공금형을 이용하여 사방에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메인시트를 제작하는 단계;
배수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요철금형을 메인시트용 진공금형보다 작은 사이즈의 또 다른 진공금형위에 양 옆으로 대칭되게 올려 놓은후, 사방에 절곡부가 형성되면서 배수홀이 형성되도록 배수시트를 제작하는 단계;
배수시트를 긴변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단계;
이등분된 배수시트의 폭이 합쳐졌을 때 시공할 욕실의 폭과 일치하도록 메인시트의 폭을 커팅하는 단계; 및
메인시트와 배수시트의 커팅부위를 접합하는 단계;를 통해 멀티 사이즈로 제작하여 다양한 욕실(또는 화장실) 규격에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접합부위는 물이 흐르는 방향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단턱을 형성하여 접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은 욕실의 욕조가 배치될 부분을 제거하고 제작됨이 좋을 것이다. 이는 욕조높이를 낮추어 욕조 출입을 보다 더 쉽게하도록 도움이 되는 구조이다.
또한, 욕조쪽에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이 없을때의 시공방법으로서,
욕조쪽의 인코너에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과 동일한 높이의 세팅블록이 ABS방수시트위에 배치되어 벽패널의 높이 및 코너각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은 맞춤 설계되어 현장으로 이동됨으로써, 시공에서 공기를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공장제작 완성품이 출하되어 현장 노동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탁월한 제품이다.
또한, ABS방수시트 및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을 이용하여 이중 방수처리 됨으로써 방수능력이 뛰어나고, 건물의 유동성으로 인한 방수층 파손(코너부위나 바닥 배수구 주위 방수층 파손 등)과 같은 습식 액체방수 방식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욕실(화장실) 규격마다 몰드를 제작해야 하는 기존 건식 방식의 FRP방수판과는 달리 몰드없이 모든 규격의 제품을 제작 및 대응할 수 있어 막대한 경제적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ABS방수시트와 경량콘크리트 방수판은 습식방식에서 사용되는 액체 방수액과 우레탄 방수제와 달리 친환경 제품이어서 인체에 무해하며, 탈취성능과 흡음성능도 뛰어나 욕실 제품으로 매우 적합하다.
또한, FRP방수판을 몰탈로 고정하던 기존의 건식 방식과는 달리 ABS방수시트와 경량콘크리트 방수판만으로 완전 건식화가 가능하며, 경량 자재를 사용하여 욕실의 하중을 줄여 건축물의 경량화,장수명화에 기여한다.
또한, 개보수 및 리모델링이 필요할 경우는 ABS방수시트는 유지한 채 경량콘크리트 방수판만을 제거하여 재설치 할 수 있어 매우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BS방수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배수홀이 형성되도록 ABD방수시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금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ABS방수시트의 멀티 재단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욕조쪽에 발포콘크리트 방수판이 설치되지 않을 때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은 욕실의 바닥면(10)위에 올려질 ABS방수시트(20)와, 이 방수시트(20)위에 설치되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방수시트(20)는 사면이 일체형으로 절곡되면서 배수구(15)로 삽입되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배수구(15)쪽으로 구배지도록 곡면가공되며, 사방면상에는 벽패널(40)이 설치되도록 걸림턱(32)이 형성된다.
먼저, ABS방수시트(20)의 제작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ABS방수시트(20)는 진공성형하여 제작된다.
진공성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의 진공금형(100)을 구비하고, 이 진공금형(100)의 상부면상 가장자리에 ABS시트의 가장자리가 구부러지게 성형되도록 절곡턱(101)이 형성되고, 진공금형(100)의 내부에는 진공챔버(102)가 형성되며, 진공챔버(102)의 내부에서부터 진공금형(100)의 상부면상으로 다수의 진공홀(103)이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챔버(102)의 하부 또는 측면에는 외부의 진공펌프(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접속커넥터(104)가 형성된다.
이렇게 준비된 진공금형(100)의 일정높이위에 ABS시트(20)를 배치시킨후, 히터(200)로 ABS시트(20)에 열을 가해 ABS시트(20)가 흐물흐물 해지도록 한 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BS시트(20)를 진공금형(100)의 상면으로 내리면, 진공금형(100)의 상면에서 발생되고 있는 진공압에 의해 ABS시트(20)가 진공금형(10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절곡부(21)가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이때, 진공금형(100)은 상온이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흐른뒤 ABS시트(20)는 경화되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화된 시트를 들어올리거나 진공금형(100)을 내려 절곡부(21)를 깔끔하게 커팅하여 성형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ABS방수시트(20)에 배수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금형(100)의 상부면상에 요철금형(110)을 올려놓고, 진공성형을 시키는데, 요철금형(110)은 배수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수구가 형성될 위치에 요철금형(110)을 올려 놓은후, 도 6과 같이 진공성형하면 이 요철금형(110)과 같은 형상으로 ABS시트가 밀착되면서 도 7과 같은 배수홀(22)이 형성된 ABS방수시트(20)가 완성된다.
한편, 욕실의 구조는 동일할 수가 없으므로 맞춤제작을 위해 ABS시트의 변형이 필요하게 된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진공금형을 길이 가변형으로 구성시켜 제작되는 ABS방수시트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두 번째 방법으로는 제작된 ABS방수시트를 재단 및 접합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인 진공금형을 길이 가변형으로 구성시키는 방법으로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금형(100)의 어느 일측부가 분리되도록 코어금형(100a)으로 구성시켜 이 코어금형(100a)을 다수개 구비하면 여러 사이즈의 ABS방수시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기본형태의 금형은 사이즈를 동일하게 정해놓고, 코어금형(100a)을 100, 200, 300 등의 사이즈로 준비해 두면, 원하는 사이즈에 따라 코어금형(100a)만을 달리 결합시켜 ABS방수시트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코어금형(100a)과 기본금형의 결합방법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과 밀폐용 실링을 통해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인 ABS방수시트의 재단 및 접합방식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ABS방수시트(20)는 멀티형으로서, 두가지 형태의 시트를 기 제작한 후, 이를 적절히 재단 및 접합하여 조금씩 또는, 좀 큰 오차를 갖는 욕실 등에도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ABS방수시트(2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욕실바닥의 평면부에 설치되는 메인시트(20a)와, 욕실바닥의 배수구쪽에 설치되는 배수시트(20b)의 두가지로 제작하여 사용된다.
메인시트(20a)는 위의 제작방법에서처럼 요철금형(110)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공성형하면 되고, 배수시트(20b)는 보다 작은 사이즈의 별도 금형에서 제작된다. 배수시트(20b)를 위한 진공금형은 긴변은 메인시트(20a)의 길이와 같고, 짧은변이 메인시트(20a)의 길이보다 짧게 한후, 양쪽에 두 개의 요철금형(110)을 올려놓아 양쪽 대칭되도록 배수홀(22)을 형성시키게 된다.
메인시트(20a) 및 배수시트(20b)는 항상 일정한 사이즈로 제작되는데, 즉,
메인시트(20a)는 2,200mm × 1,400mm 로 성형되고,
배수시트(20b)는 2,200mm × 800mm 로 배수홀(22)이 양쪽 대칭되게 성형된다.
예를 들어, 욕실은 그 평면이 직사각형인데, 긴변이 2,200mm이고, 짧은변이1,500mm일 경우,
배수시트(20b)는 배수홀(22)이 양쪽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긴변쪽으로 이등분하여 하나의 배수구만 남도록 절단하면, 그 사이즈는 2,200mm × 400mm 가 된다. 따라서 2,200mm × 1,500mm의 ABS방수시트(20)를 만들기 위해서는 메인시트(20a)의 짧은변을 300mm만큼 커팅한후, 이 커팅된 부위에 400mm의 배수시트(20b)를 접합하여 제작된다.
또는, 2,200mm × 1,700mm의 ABS방수시트(20)를 만들기 위해서는 메인시트(20a)의 짧은변을 100mm만큼 커팅한후, 이 커팅된 부위에 400mm의 배수시트(20b)를 접합시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멀티형 ABS방수시트(20)는 메인시트(20a)나 배수시트(20b)중 어느 한쪽의 접합부위를 단턱(25)이 생기도록 가공하여 서로 겹쳐지게 접합하며, 물이 흐르는 것을 고려하면 배수시트(20b)쪽의 접합부위가 아래쪽으로 겹쳐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기성품으로서, 여러 가지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ABS방수시트(20)의 크기에 맞도록 조립결합된다. 즉,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이 멀티제작된 ABS방수시트(20)에 꼭 맞는 사이즈는 없기 때문에 이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을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 형태로 제작하여 이들을 끼움결합(33)에 의해 결합시켜 조립하게 된다.
이처럼 조립결합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접착제에 의해 끼움결합(33)부위가 서로간 결합되고, 또한, 접착제에 의해 ABS방수시트(20)에 접합된다.
이렇게 제작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배수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수공(31)을 뚫고, 배수공(31)을 중심으로 15~20mm로 곡면가공하여 구배를 주게 된다. 또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의 바깥쪽 단부에는 벽패널(40)이 설치되도록 걸림턱(32)을 가공성형하여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에는 온돌난방이 가능하도록 그 상부면상에 "U"자 형 온돌설치홈(34)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온돌설치홈(34)은 대부분의 온돌구조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때에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며, 측면쪽에서 보았을때에는 그 단면이 "U"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온돌설치홈(34)에 순환파이프(35)를 배치한후, 빈공간에 채움작업(36)을 하면,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의 단열능력에 의해 대부분의 열이 위쪽으로 전달되어 욕실바닥 및 욕실의 난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은 시공을 원하는 날짜에 시공장소로 이동되어져 욕실바닥면에 설치되고, 벽패널(40)과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이 만나는 부위에는 1차로 우레탄 계열의 실리콘으로 도포한 후, 타일 부착후, 2차 실링처리를 한다.
한편,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굳이 욕실의 욕조쪽에는 필요없으므로, 이 욕조부분에는 ABS방수시트(20)만 제작하고,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제작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이 없는 부위에는 벽패널(40)을 설치할때에 바닥면의 단차가 발생되므로, 욕조쪽의 인코너에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과 동일한 높이의 "ㄱ"자 세팅블록(60)을 설치하여 코너각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욕실이 직사각형이 아닌 "ㄱ"자와 같은 굴절형태일 경우에는 욕실바닥의 평면을 감싸는 메인시트(20a)와, 배수구 부분을 감싸는 배수시트(20b)와, 욕조부(또는 샤워부)를 감싸는 욕조시트(도시되지 않음)로 재단하여 그 욕실의 평면구조와 일치하도록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0 : 바닥면 20 : ABS방수시트
21 : 절곡부 22 : 배수홀
25 : 단턱 30 : 발포콘크리트 방수판
31 : 배수공 32 : 걸림턱
33 : 끼움결합 34 : 온돌설치홈
35 : 순환파이프 36 : 채움작업
40 : 벽패널 50 : 타일
60 : 세팅블록 100 : 진공금형
100a : 코어금형 101 : 절곡턱
102 : 챔버 103 : 진공홀
104 : 커넥터 110 : 요철금형
200 : 히터

Claims (9)

  1. 사방에 절곡부(21)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임의의 지점에 욕실배수구(15)에 삽입되도록 배수홀(22)이 형성되어 욕실의 바닥면(10)위에 접착되는 ABS방수시트(20)와, 상기 ABS방수시트(20)의 상부면상에 접합되, 상기 배수홀(22)과 연통되는 배수공(31)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31)을 중심으로 곡면 가공되어 구배가 형성되며, 욕실의 벽면쪽 단부에는 벽면에 설치될 벽패널(40)이 삽입되도록 걸림턱(32)이 가공형성되는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의 상부면상에는 "U"자 형태의 온돌파이프 설치홈(34)이 설계도면을 기초로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3. 상기 제 1 항의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을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진공금형(100)을 이용하여 사방에 절곡부(2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ABS방수시트(2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ABS방수시트(20)의 상부면상에 기 성형된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에 배수공(31)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의 상부면상을 상기 배수공(31)방향으로 곡면가공하여 구배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의 욕실 벽면과 맞닿을 단부에 벽패널(40)이 삽입되도록 걸림턱(32)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식바닥판의 제작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BS방수시트(20)는,
    배수구(1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요철금형(110)을 현장 배수구의 위치에 맞도록 상기 진공금형(100)위에 올려놓은 후, 배수홀(22)이 형성되도록 진공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의 제작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BS방수시트(20)는,
    진공금형의 어느 일측이 분리 및 결합되도록 코어금형(100a)을 여러개 구비하여, 원하는 사이즈에 맞도록 상기 코어금형(100a)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진공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의 제작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BS방수시트(20)는,
    진공금형(100)을 이용하여 사방에 절곡부(2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메인시트(20a)를 제작하는 단계;
    배수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요철금형(110)을 상기 메인시트용 진공금형(100)보다 작은 사이즈의 또 다른 진공금형위에 양 옆으로 대칭되게 올려놓은 후, 배수홀(22)이 형성되도록 배수시트(20b)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배수시트(20b)를 긴변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단계;
    이등분된 배수시트(20b)의 폭이 합쳐졌을 때 시공할 욕실의 폭과 일치하도록 상기 메인시트(20a)의 폭을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시트(20a)와 배수시트(20b)의 커팅부위를 접합하는 단계;를 통해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의 제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위는 물이 흐르는 방향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단턱(25)을 형성하여 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의 제작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은 욕실의 욕조가 배치될 부분을 제거하고 제작됨을 특징으로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의 제작방법.
  9. 상기 제 8 항으로부터 얻어진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욕조쪽의 인코너에는 상기 발포콘크리트 방수판(30)과 동일한 높이의 세팅블록(60)이 상기 ABS방수시트(20)위에 배치되어 벽패널(40)의 높이 및 코너각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00109852A 2010-11-05 2010-11-05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KR20120048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52A KR20120048295A (ko) 2010-11-05 2010-11-05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852A KR20120048295A (ko) 2010-11-05 2010-11-05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295A true KR20120048295A (ko) 2012-05-15

Family

ID=4626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852A KR20120048295A (ko) 2010-11-05 2010-11-05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29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514A (zh) * 2015-09-10 2017-03-22 当代节能置业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在卫生间的防水构造和施工方法
CN107002398A (zh) * 2014-11-06 2017-08-01 骊住株式会社 浴室单元
KR102086118B1 (ko) 2019-05-30 2020-03-09 (주)에스비씨산업 욕실용 조립식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8963A (ko) * 2020-01-07 2021-07-15 이현배쓰(주) 벽체 방수와 바닥 방수판의 연결 부위 방수를 보강하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52649B1 (ko) * 2021-07-21 2022-01-17 주식회사 성일 다중 진공성형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제작방법
KR102409308B1 (ko) * 2021-01-07 2022-06-15 주식회사 울트라스파 욕실용 방수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09576B1 (ko) * 2021-09-29 2022-06-22 주식회사 에이치엔에프 조립식 욕실용 방수판 제작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2398A (zh) * 2014-11-06 2017-08-01 骊住株式会社 浴室单元
CN106522514A (zh) * 2015-09-10 2017-03-22 当代节能置业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在卫生间的防水构造和施工方法
KR102086118B1 (ko) 2019-05-30 2020-03-09 (주)에스비씨산업 욕실용 조립식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8963A (ko) * 2020-01-07 2021-07-15 이현배쓰(주) 벽체 방수와 바닥 방수판의 연결 부위 방수를 보강하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9308B1 (ko) * 2021-01-07 2022-06-15 주식회사 울트라스파 욕실용 방수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52649B1 (ko) * 2021-07-21 2022-01-17 주식회사 성일 다중 진공성형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욕실 바닥판의 제작방법
KR102409576B1 (ko) * 2021-09-29 2022-06-22 주식회사 에이치엔에프 조립식 욕실용 방수판 제작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8295A (ko) 프리캐스팅 욕실바닥판 및 이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EP3670774B1 (en) Prefabricated bathroom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installing the same
KR20080086329A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CN102230338A (zh) 预制卫生间及其建造和安装方法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100759586B1 (ko) 욕실용 바닥방수판
WO2014125553A1 (ja) 床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CN102230339A (zh) 预制厨房及其建造和安装方法
KR20160028809A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KR100951956B1 (ko) 조립식 욕실의 난방파이프 설치구조
KR102264712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CN102777032B (zh) 预制卫生间的安装方法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1309734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KR20130051403A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EP3009576B1 (en) Wet room module
KR20060009528A (ko) 건식공법용 방수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42077B1 (ko) 외단열 기능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제작방법
KR102264711B1 (ko) 모듈형 화장실 및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
CN102777033B (zh) 预制厨房的安装方法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2441162B1 (ko) 조립식 욕실의 타일벽체에 설치되는 욕실선반 지지용 grp 벽체
CN220706594U (zh) 一种混凝土模块化建筑薄型墙膜给水管暗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