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34B1 -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 Google Patents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34B1
KR101496234B1 KR20130121060A KR20130121060A KR101496234B1 KR 101496234 B1 KR101496234 B1 KR 101496234B1 KR 20130121060 A KR20130121060 A KR 20130121060A KR 20130121060 A KR20130121060 A KR 20130121060A KR 101496234 B1 KR101496234 B1 KR 10149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ccentric member
fastening
fixing sleeve
flow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2013012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화장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의 하수와 세면기 또는 욕조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집수하여 측면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 층상 배관용 플로우 드레인(Flow Drain; 이하 FD라 함)을 바닥에 고정시키되,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라브에 기 매설되어 있는 FD 고정 슬리브 상부에 체결되거나 슬라브의 방수층 상부에 접착 설치되는 FD 고정용 편심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Flow Drain Fixing Eccentricity Member}
본 발명은 공동주택 화장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의 하수와 세면기 또는 욕조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집수하여 측면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 층상 배관용 플로우 드레인(Flow Drain; 이하 FD라 함)을 바닥에 고정시키되,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라브에 기 매설되어 있는 FD 고정 슬리브 상부에 체결되거나 슬라브의 방수층 상부에 접착 설치되는 FD 고정용 편심부재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화장실에 적용되는 층상배관 시스템은 기초 콘크리트 바닥인 슬라브 상부에 방수 시공을 실시한 후, 플로우 드레인(이하, FD라 함)을 포함하는 세면기와 욕조 및 바닥의 배수를 위한 하수 배수관과, 양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오수관을 시공하였다.
다음에 상기 시공된 배수관들이 묻히도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타일마감과 위생도기들을 설치함으로써 공동주택 화장실의 층상배관 시스템을 시공하였다.
도1은 종래의 층상배관 시스템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슬라브(A)에 매설되며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측면에 다수개의 개구부(13)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체결 고정되며 층상배관용 FD(40) 밑면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구를 체결 고정시키는 FD 고정구(12)로 구성된 FD 고정 슬리브(10)가 매설되고, 상기 FD 고정 슬리브(10)가 매설된 슬라브 표면에 방수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에 상기 방수처리된 슬라브(A) 상부로 노출된 FD 고정 슬리브(10)의 FD 고정구에 FD를 체결 고정시키고 배수관(20)을 세면기(41), 욕조(42) 및 파이프 덕트의 입상관과 연결한다. 다음에 상기 배수관(20)을 설치한 다음, 별도의 오수관(30)을 설치한 후 배수관과 오수관이 덮이도록 경량 기포 콘크리트(B)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타일(44) 및 양변기(43)를 포함하는 위생 도기들을 설치함으로써 층상배관을 시공하였다.
상기와 같이 층상배관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FD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 의해 배수관 및 오수관과 FD가 들릴 수 있고, 이 경우 배관들의 역 구배에 의해 하수가 제대로 배수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통상적인 방법은 FD를 슬라브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FD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수단은 통상적으로 FD 고정 슬리브라 하고, 그 구성은 FD 고정 슬리브 몸체와 그 몸체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FD 고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도2는 상기 FD 고정 슬리브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거푸집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수단 체결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개구부(13)가 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체결 고정되며 중앙에 층상용 FD 하부에 형성된 체결구가 체결 고정되는 FD 고정구(1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FD 고정 슬리브는 콘크리트 타설전 거푸집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시공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FD 고정 슬리브가 설계 위치에서 벗어나 시공될 경우 추후 배관 시공과정에서 설치되는 FD가 고정 슬리브에 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FD 고정 슬리브가 시공된 위치가 설계된 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경우 FD를 고정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FD 고정 슬리브가 설계된 위치에 매설되어 있지 않거나, 슬라브 시공 후 조적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FD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매설된 FD 고정 슬리브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FD와 하수관을 매설하기 위해 타설되는 경량 기포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FD의 들림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배수관의 역구배 현상이 발생하거나 마감공정에서 배수관과 타일 사이의 간격이 밀착하는 현상으로 추후 배관의 망실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FD 고정 슬리브를 구성하는 FD 고정구에 체결되며, 상부에 FD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FD 고정용 편심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시공오차(통상적으로 3Cm) 이상으로 FD 고정 수단이 매설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 FD 고정용 편심부재에 의해 FD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FD 고정용 편심부재에 의해 FD를 FD 고정 슬리브에 고정함으로써 경량 기포콘크리트 타설 공정에서 FD의 미고정으로 인해 발생되는 FD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배수관의 역구배를 방지하고, 마감재 시공 과정에서 배수관과 타일의 시공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푸집에 고정되며 안쪽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상단에 체결되어 FD를 고정시키는 FD 고정구로 구성된 FD 고정 슬리브에 체결되며, 적어도 상기 FD 고정구의 직경에 2배 이상의 가로 크기와 2배 이상의 세로크기를 갖도록 사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윗면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의 돌기가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다수개 형성되고, 밑면에는 상기 FD 고정 슬리브의 FD 고정구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된 편심부재 몸체와; 상기 편심부재 몸체 윗면의 돌기에 체결 고정되도록 윗면의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FD 밑면의 체결구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편심부재 체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FD 고정 슬리브 상단에 FD 고정용 편심부재의 편심부재 몸체를 체결 한 후, FD 밑면의 체결구에 상기 편심부재 체결구를 결합고정한 다음, 상기 편심부재 몸체 상부의 FD 설계된 위치에 FD를 체결 고정하여 FD를 바닥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FD 고정용 편심부재에 의해 FD 고정 슬리브가 설계된 위치를 벗어나 슬라브에 매설되어 있더라도 설계된 위치에 FD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FD 고정용 편심부재에 의해 FD를 설계된 위치에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후 시공인 경량 기포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FD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배수관의 역구배를 방지할 수 있고, 배수관이 들려져 타일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추후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배수관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층상배관 시스템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FD 고정 슬리브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FD 고정용 편심 부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FD 고정용 편심 부재를 구성하는 체결구를 층상용 FD 하부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FD 고정용 편심 부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FD 고정 슬리브(10)에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FD 고정 슬리브(10)의 FD 고정구(12)에 체결되는 FD 편심부재 몸체(51)와, 층상용 FD(40) 밑면의 체결구에 체결 고정되는 편심부재 체결구(54)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FD 편심부재 몸체(51)는 적어도 상기 FD 고정 슬리브(10)를 구성하는 FD 고정구(12)의 직경에 2배 이상의 가로 크기와 2배 이상의 세로크기를 갖도록 사각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윗면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의 돌기(53)가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다수개 형성되고, 밑면에는 상기 FD 고정 슬리브(10)의 FD 고정구(12)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체결부(5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FD 고정 슬리브(10)의 FD 고정구(12)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체결부(52)는 상기 편심부재 몸체(51)의 중앙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밑면 일측으로 폄심되게 형성하여 추후 FD 고정 슬리브(10)에 체결하여 고정 시키기 전에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FD 고정 슬리브(10)가 시공 편차 이상으로 매설되어 있더라도 층상용 FD(40)를 설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심부재(50)를 구성하고 층상용 FD(40) 하부의 체결구에 체결고정되는 편심부재 체결구(54)는 상면은 상기 층상용 FD(40) 하부의 체결부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상기 편심부재 몸체(51) 상면에 형성된 돌기(53)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돌기(53)가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돌기 형상과 돌기 높이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다수개의 홈(55)이 형성된다. 이때, 형성된 홈(55)의 깊이만큼의 하부는 상기 삽입되는 돌기들의 합친 형상의 외간을 갖는 4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4는 상기 FD 고정용 편심부재(50)를 구성하는 편심부재 체결구(54)를 층상용 FD(40) 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부재 체결구(54)가 체결된 층상용 FD(40)를 편심부재 몸체(50)의 상면에 체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편심부재의 시공 방법은, 먼저 슬라브에 매설되어 있고, 슬라브 표면이 방수처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FD 고정 슬리브의 FD 고정부에 상기 편심부재 몸체를 삽입하면서 설계된 위치로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여 편심부재 몸체를 회전시킨 후 완전히 밀착 고정되게 압력을 가해 삽입 고정시킨다.
다음에, 배관을 위해 준비된 상기 FD 고정용 편심부재를 구성하는 체결부를 FD 하부의 FD 고정슬리브 체결구에 삽입 체결하여 고정시킨 다음, 설계된 위치에 FD 를 위치시키고 상기 편심부재 몸체에 압력을 가해 삽입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FD 고정용 편심부재를 사용함으로써 FD를 고정시키기 위해 매설된 FD 고정 슬리브의 위치가 설계된 위치에서 벗어나 있다 하더라도 FD를 설계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기포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FD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A: 슬라브 B : 경량기포콘크리트
10 : FD 고정 슬리브 11 : 몸체 12 : FD 고정구
13 : 개구부 20: 배수관 30 : 오수관
40 : 층상용 FD 41 : 세탁기 42 : 욕조
43 : 양변기 44 : 타일 50 : FD 고정용 편심부재
51 : 편심부재 몸체 52 : 체결부 53 : 돌기
54 : 편심부재 체결구 55 : 홈

Claims (2)

  1. 슬라브에 매설된 플로우 드레인(Flow Drain) 고정 슬리브에 체결되며, 적어도 상기 플로우 드레인 고정 슬리브를 구성하는 플로우 드레인 고정구의 직경에 2배 이상의 가로 크기와 2배 이상의 세로크기를 갖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윗면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의 돌기가 동일한 거리를 갖도록 다수개 형성되고, 밑면에는 상기 플로우 드레인 고정 슬리브의 플로우 드레인 고정구에 체결되는 원통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된 편심부재 몸체와;
    상기 편심부재 몸체 윗면의 돌기에 체결 고정되도록 윗면의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고 플로우 드레인 밑면의 체결구 내부에 체결 고정되는 편심부재 체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재 몸체 밑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체결부는 몸체 중앙을 벗어나 일측에 편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부재.
KR20130121060A 2013-10-11 2013-10-11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KR10149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060A KR101496234B1 (ko) 2013-10-11 2013-10-11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060A KR101496234B1 (ko) 2013-10-11 2013-10-11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34B1 true KR101496234B1 (ko) 2015-03-04

Family

ID=5302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060A KR101496234B1 (ko) 2013-10-11 2013-10-11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4356A1 (en) * 2006-10-19 2008-04-23 Easy Sanitairy Solutions B.V. Adjustable drainage
KR100913781B1 (ko) * 2007-10-30 2009-08-2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049046B1 (ko) * 2009-09-15 2011-07-15 주식회사 청완 편심부재를 갖는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20110137931A (ko) * 2010-06-18 2011-12-26 이종태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4356A1 (en) * 2006-10-19 2008-04-23 Easy Sanitairy Solutions B.V. Adjustable drainage
KR100913781B1 (ko) * 2007-10-30 2009-08-2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049046B1 (ko) * 2009-09-15 2011-07-15 주식회사 청완 편심부재를 갖는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20110137931A (ko) * 2010-06-18 2011-12-26 이종태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1716876B1 (ko) 조립식 욕실 바닥판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496234B1 (ko)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20100093246A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313848B1 (ko)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JP5106071B2 (ja) 浴室及び浴室ユニット
KR101935725B1 (ko) 공동주택 방수 바닥구조
KR20110101529A (ko)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KR20160000688U (ko)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049046B1 (ko) 편심부재를 갖는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KR101935726B1 (ko) 공동주택 방수구조용 지지 조립체
KR20160035876A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CN201487397U (zh) 预埋承插式防水套管
CN216380401U (zh) 一种集成卫生间防水结构
KR101979062B1 (ko) 층상배관용 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