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88U -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 Google Patents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88U
KR20160000688U KR2020150007021U KR20150007021U KR20160000688U KR 20160000688 U KR20160000688 U KR 20160000688U KR 2020150007021 U KR2020150007021 U KR 2020150007021U KR 20150007021 U KR20150007021 U KR 20150007021U KR 20160000688 U KR20160000688 U KR 20160000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proof
plate
waterproofing
waterproo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2020150007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688U/ko
Publication of KR20160000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상배관용 벽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주택의 욕실 시공에 있어 욕실과 입상관이 위치하는 PD실을 구획하는 조적 하부에 위치하여 조적에 매설되는 층상배관용 벽관통 슬리브를 조적을 시공하는 벽돌 등의 각진 부분에 맞추어 중앙는 양측에 파이프를 삽입 체결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고 소켓 형태의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배관부를 중심으로 종단면이 직사각형태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조적 시공시 틈이 없이 시멘트와 벽돌만으로 밀실하게 조적에 설치할 수 있는 층상배관용 벽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Join Wateproof Means for Stopwater and Wall}
본 발명은 욕실을 구성하는 벽면에 벽체 방수층을 형성할 경우 건식 또는 습식용으로 사용되는 방수판 측면과 벽체의 방수층을 연장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 제작된 함 형태의 방수판을 욕실 바닥에 설치할 경우 벽체와 방수판 측면의 간극으로 인해 벽체 방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방수판 외측면 상단에 설치하고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단에 방수판이 삽입되는 방수판 삽입홈이 형성된 방수판 삽입부와, 상기 방수판 삽입부 상부로 연장형성된 판 형태의 벽체 고정부로 구성된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제공하여 벽체 방수층이 방수판 내부 바닥 까지 연장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욕실의 배관 구조는 욕실의 하수 및 오수배관을 아래층 천장에 시공하는 층하배관 방식과, 당해층의 욕실 슬라브 상부에 하수 및 오수배관을 설치하는 층상배관 방식으로 구분되며, 상기 층하 및 층상배관 방식 모두 조립식 욕실로 대변되는 건식공법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습식공법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층상배관 방식이 적용되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에 적용되는 방수층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층상배관 방식은 당해층의 욕실 슬라브와 벽체의 일정 높이까지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방수층 상부에 오수관 및 하수관의 배관을 실시하거나 바닥 방수층을 대신하여 함 형태의 방수판을 설치한 후 방수판 내부에 오수관 및 하수관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습식 시공시 방수층의 형성은 액체의 방수액을 수차례에 걸쳐 일정한 두께가 형성될때까지 수작업에 의해 실시해야하고, 방수액이 건조되어 방수층이 형성된 후 담수 테스트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공되는 화장실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 어렵고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적벽인 경우 건물의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방수층이 갈라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건식 시공시 함 형태의 방수판은 방수공정을 줄일 수 있고 욕실마다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나, 이 함형태의 방수판을 습식 욕실에 적용할 경우 방수판은 욕실의 설계된 크기에 맞게 제작하여 제공하더라도 실제 골조시공상의 차이로 인해 적어도 한 벽체에서는 벽체와 방수판의 측면이 일정거리 이격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벽체 실시하는 액체방수층은 상기 방수판 측면의 안쪽 바닥까지 시공되어야만 안전한 벽체 방수를 실시할 수 있으나 방수판과 벽체의 이격거리에 의해 벽체 방수층을 바닥까지 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방수판과 벽체 사이를 실리콘제 등을 이용하여 메운 후 방수판 상단으로부터 벽체 방수를 실시하였으나, 이 역시 건물의 진동이나 충역에 의해 분리될 수 있어 벽체로 스며든 물이 하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습식 시공시 바닥 방수 공정을 줄이기 위해 함 형태의 방수판을 사용할 경우 벽체 방수층와 방수판의 연갈하고 방수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욕실이 시공될 위치에 설치되는 함 형태의 방수판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판 삽입부와, 상기 방수판 삽입부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벽체 고정부로 구성된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함 형태의 방수판을 욕실 위치에 벽체와 밀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판과 벽체 연결부재를 방수판 측면 상단에 체결하고 벽체 고정부를 벽체에 다양한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벽체 방수를 실시함으로써 벽체 방수층이 벽체로부터 방수판 안쪽 바닥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욕실이 시공될 위치에 설치되는 함 형태의 방수판의 측면 상단 전체에 삽입 고정되도록 방수판 삽입홈이 형성된 방수판 삽입부와; 상기 방수판 삽입부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판 형태의 벽체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함 형태의 방수판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판 삽입부와, 상기 방수판 삽입부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벽체 고정부로 구성된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함 형태의 방수판을 욕실 위치에 벽체와 밀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판과 벽체 연결부재를 방수판 측면 상단에 체결하고 벽체 고정부를 벽체에 다양한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벽체 방수를 실시함으로써 벽체 방수층이 벽체로부터 방수판 안쪽 바닥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함 형태의 방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함 형태의 방수판 측면에 체결되어 방수판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판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사용하여 방수판을 벽체에 고정하고 벽체 방수층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적용하기 전의 욕실에 설치된 방수판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방수판(10)은 사전에 욕실의 설계 치수에 따라 제작한 후 골조 공사가 완료되면 욕실의 슬라브(30) 상부에 올려 놓는 것으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때, 골조 공사는 설계치수에 따라 시공되나 주변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방수판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방수판(10)의 측면이 벽체(20)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음에,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직선 부분의 방수판 측면에 체결되는 방수부재(100)이고, (b)는 90도로 절곡된 모서리 부분에 체결되는 모서리용 방수부재(11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100)는 방수판(10) 측면 상단으로부터 체결되는 방수판 삽입부(101)와, 상기 방수판 삽입부(101)와 일체로 형성되되 판형상을 갖는 벽체 고정부(10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수판 삽입부(101)는 벽체 고정부(102) 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중간에 방수판(10)의 두께와 동일한 삽입홈(103)이 형성되어 방수판(10)을 삽입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접착제를 사전에 그 삽입홈 내부에 도포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 고정부(102)는 그 높이를 방수판(10) 측면이 벽체와 이격된 예상 거리를 산출하여 기울어지져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20cm 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한다.
또한, 절곡된 부분에 삽입되는 모서리용 방수부재는(110) 일직선의 방수부재(100)을 직각을 이루도록 접합된 형태를 갖는다.
다음에,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100)를 방수판(10)에 삽입 체결한 후 벽체(20)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욕실 위치의 슬라브(30) 상부에 방수판(10)을 설치하고, 상기 방수판(10) 측면 상단으로부터 문턱이 설치될 위치를 제외한 모든 테두리에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100) 및 모서리용 방수부재(110)를 삽입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방수부재(100)를 구성하는 벽체 고정부(102)를 다수개의 못, 앵커,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벽체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상기 벽체의 일정 높이로부터 상기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및 방수판 측면 바닥까지 방수액을 도포하여 벽체 방수를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를 사용하여 방수판에 벽체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방수부재로 인해 방수판과 벽체의 방수층을 바닥까지 형성할 수 있어 추후 시공되는 타일 뒤쪽으로 스며든 물이 방수층에 의해 방수판 내부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방수판 20 : 벽체
30 : 슬라브 100 : 방수부재
101 : 방수판 삽입부 102 : 벽체 고정부
102 : 삽입홈 110 : 모서리용 방수부재
120 : 방수층

Claims (2)

  1. 욕실이 시공될 위치에 설치되는 함 형태의 방수판의 측면 상단 전체에 삽입 고정되도록 방수판 삽입홈이 형성된 방수판 삽입부와;
    상기 방수판 삽입부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판 형태의 벽체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일직선 형태의 방수부재를 직각을 이루도록 접합한 형태의 모서리용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KR2020150007021U 2015-10-29 2015-10-29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KR20160000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21U KR20160000688U (ko) 2015-10-29 2015-10-29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21U KR20160000688U (ko) 2015-10-29 2015-10-29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81 Division 2014-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88U true KR20160000688U (ko) 2016-03-02

Family

ID=5553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21U KR20160000688U (ko) 2015-10-29 2015-10-29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68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63A (ko) * 2020-01-07 2021-07-15 이현배쓰(주) 벽체 방수와 바닥 방수판의 연결 부위 방수를 보강하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14703977A (zh) * 2022-04-07 2022-07-05 昆明市迅隆防水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交界处结构防水结构及构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63A (ko) * 2020-01-07 2021-07-15 이현배쓰(주) 벽체 방수와 바닥 방수판의 연결 부위 방수를 보강하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14703977A (zh) * 2022-04-07 2022-07-05 昆明市迅隆防水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交界处结构防水结构及构造方法
CN114703977B (zh) * 2022-04-07 2023-11-10 昆明市迅隆防水工程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交界处结构防水结构及构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1898125B1 (ko)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KR102000106B1 (ko) 지하 차수벽 구조
WO2016114592A1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839B1 (ko)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AU2018229509A1 (en) Shower hob apparatus
KR20160000688U (ko) 방수판과 벽체 연결 방수부재
US20240060311A1 (en) Wall paneling system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US10028623B1 (en) Unitary shower curb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a unitary shower curb system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KR101252808B1 (ko) 방수 시스템
KR20180028596A (ko) 패널 받침용 프레임, 프레임 받침대 및 이들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와 이의 시공 방법
KR200465920Y1 (ko) 욕실용 방수 시공구조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AU2021107546A4 (en) Shower base
KR950018994A (ko)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시공방법 및 그 장치
PL202775B1 (pl) Podpodłogowe gniazdo przyłączne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JP2019044482A (ja) 押し出しセメント板の縦張り構造及び押し出しセメント板の縦張り工法
KR20160022526A (ko) 층생배관용 벽관통 슬리브
KR101496234B1 (ko) 플로우 드레인 고정용 편심 부재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453352B1 (ko) 방수를 포함한 타일의 시공방법및 시공구조
KR101358625B1 (ko) 조립식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