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990Y1 -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990Y1
KR200223990Y1 KR2020000033995U KR20000033995U KR200223990Y1 KR 200223990 Y1 KR200223990 Y1 KR 200223990Y1 KR 2020000033995 U KR2020000033995 U KR 2020000033995U KR 20000033995 U KR20000033995 U KR 20000033995U KR 200223990 Y1 KR200223990 Y1 KR 200223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alcony
connecting end
drain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202000003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990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L)형 발코니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코니 공사중은 물론 타일공사 및 창호공사 전후에도 발코니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기타 청소작업에 의한 오물 등이 발코니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발코니 주변을 항상 구조적으로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높이조절연결단(11)의 외주면에 보강날개(12)(14)가 돌출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는 길이조절연결단(15)이 돌출관통되고 수직방향 저부로는 지지연결단(13)이 돌출형성된 배수몸체(10)와, 상기 배수몸체(10)의 길이조절연결단(15)에 수평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길이조절구(22)와, 발코니벽체(72)로 통과되면서 단부가 경사성형된 배수구(24) 및 상기 배수구(24)와 길이조절구(22) 사이에 끼움조립되는 길이조절소켓(20)과, 다수의 바닥고정턱(32)이 돌출형성된 받침대(30)와 그 하단이 끼움조립되면서 반대편 상단은 배수몸체(10)의 지지연결단(13)에 끼움조립되는 지지구(26)와, 상단부위에 수평날개(42)가 돌출형성되면서 내측에는 배수캡지지턱(44)이 단턱형성되어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끼움조립되는 높이조절구(40)와, 상측에 다수의 배수공(62)이 관통형성되어 높이조절구(40)의 배수캡지지턱(44) 위로 삽입안착되는 배수캡(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L Type Drain Device For Balcony}
본 고안은 발코니 바닥에 공사 전후로 빗물이나 오수가 고이지 않고 외부 배수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코니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코니 공사중은 물론 바닥타일 공사마감 후에도 발코니벽체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기타 청소작업에 의한 오물 등이 발코니벽체 밖의 건물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발코니 주변을 항상 구조적으로 청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엘(L)형 발코니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은 물론 빌딩 등을 건축할 때 발코니(Balcony)나 베란다(Veranda)에는 빗물 또는 오수 등의 배수장치용으로 드레인파이프가 설치되는데, 이는 발코니가 콘크리트바닥 공사중은 물론 바닥타일 마감공사 후에도 창호문공사 전의 빗물은 물론 청소작업 등에 의한 오수 등이 발코니벽체 밖으로 배수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같이, 발코니의 콘크리트바닥(170)에 대한 콘크리트타설시의 건물벽체(172)에 드레인배수구(110)의 마감높이를 설정하기 어려워 대부분 드레인파이프(110)의 설치작업을 하지 않고 있으며, 콘크리트타설작업 후에 코어링작업으로 드레인파이프(110)를 설치할 때에는 그만큼 코어링 작업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방수몰탈(180) 위의 바닥타일(182)을 기준으로 정확한 배수높이로의 배수구설치작업도 어려움이 있었다.
아울러, 콘크리트타설시에 드레인파이프(110)를 발코니벽체(172)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예정 마감높이를 설정하여 설치하기도 하나, 이때에도 현실적으로 타설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드레인파이프(110)가 바닥타일(182)의 마감면보다 아래로 묻히거나 그 위로 높게 설치되어, 발코니 안쪽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 등이 드레인파이프(110)를 통해 발코니벽체(172) 밖으로 확실하게 배수처리되지 못하였으며, 또한 비바람이 불 때에는 발코니벽체(172)를 타고 흐르는 빗물이 드레인파이프(110)를 통해 안으로 역유입될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발코니벽체에 설치되었던 기존의 드레인파이프의 구조적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타일공사 및 창호공사 전후에도 빗물이나 오수가 자연스럽게 외부 배수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발코니 공사중은 물론 타일공사 및 창호공사 전후에도 발코니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기타 청소작업에 의한 오물 등이 발코니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발코니 주변을 항상 구조적으로 청결하게 할 수 있는 엘(L)형 발코니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L형 발코니 배수장치의 배수몸체에 콘크리트보호캡 및 배수캡이 조립되기 전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발코니 배수장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배수몸체에 콘크리트보호캡이 조립된 결합상태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배수몸체에 보호캡이 조립되는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L형 배수장치가 발코니의 콘크리트바닥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보호캡과 배수캡이 순차조립되는 작업순서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L형 배수장치가 콘크리트바닥에 설치되어 발코니벽체쪽으로 배수구가 횡설노출된 설치상태 단면구조도.
도 6은 종래의 배수장치인 드레인파이프가 발코니벽체에 설치된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몸체 11 : 높이조절연결단
12,14 : 보강날개 13 : 지지구연결단
15 : 길이조절연결단 20 : 길이조절소켓
22 : 길이조절구 24 : 배수구
26 : 지지구 30 : 받침대
32 : 바닥고정턱 40 : 높이조절구
42 : 수평날개 44 : 배수캡지지턱
50 : 콘크리트보호캡 52 : 빗물배수공
54 : 파지날개 56 : 끼움돌기
60 : 배수캡 62 : 배수공
70 : 콘크리트바닥 72 : 발코니벽체
80 : 방수몰탈 82 : 바닥타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엘(L)형 발코니 배수장치는, 상측으로 개방된 높이조절연결단의 외주면에 보강날개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하측 수평방향으로는 길이조절연결단이 돌출관통되고 밀폐된 수직방향 저부로는 지지연결단이 돌출형성된 배수몸체와, 내부관통되어 상기 배수몸체의 길이조절연결단에 수평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길이조절구와, 내부관통되고 발코니벽체로 통과되어 외부 노출되는 단부가 경사성형된 배수구 및 내부관통되어 이들 배수구와 길이조절구 사이에 길이조절용으로 끼움조립되는 길이조절소켓과, 다수의 바닥고정턱이 돌출형성된 받침대와 그 하단이 끼움조립되면서 반대편 상단은 상기 배수몸체의 지지연결단에 수직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지지구와, 아울러 콘크리트바닥 위의 방수몰탈이 침투되지 않도록 상단부위에 수평날개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내측에는 배수캡지지턱이 단턱형성되어 상기 배수몸체의 높이조절연결단에 수직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높이조절구와, 상측에 다수의 배수공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구의 배수캡지지턱 위로 삽입안착되는 배수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몸체는 +콘크리트바닥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침투되지 않도록 주연외측으로 파지날개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저부로는 상기 배수몸체의 높이조절연결단으로 끼움조립되는 끼움돌기가 연장형성되고, 상측 중앙에는 분리제거되는 빗물배수공이 관통형성된 콘크리트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엘(L)형 발코니 배수장치의 배수몸체(10)에 콘크리트보호캡(50) 및 배수캡(60)이 조립되기 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L형 발코니 배수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배수장치의 배수몸체(10)에 콘크리트보호캡(50) 및 배수캡(60)이 각각 조립된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L형 발코니 배수장치는 건물바닥쪽으로 지지구(26)가 수직연결되면서 건물벽체(72)쪽으로 길이조절구(22) 및 배수구(24)가 수평연결되는 배수몸체(10)를 기본구성으로 하여 성형이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데, 우선 건물바닥의 콘크리트바닥(70)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상기 배수몸체(10)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몸체(10) 상측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끼움조립되어 일시 사용되는 콘크리트보호캡(50)과, 상기 콘크리트바닥(70) 위로 도포되는 방수몰탈(80)이 상기 배수몸체(10)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방수몰탈(80) 위로 부착되는 바닥타일(82)과 함께 발코니바닥을 이루게 되도록 타일몰탈(82) 타설시에 상기 배수몸체(10) 상측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끼움조립되어 그 상측 내부에 배수캡(60)이 삽입안착되는 높이조절구(40)의 조립구조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수몸체(10)는 개방된 상측으로 높이조절연결단(11)이 돌출형성되면서 그 상부와 중간부위의 외주면에는 각각 콘크리트바닥(70)의 타설작업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고착효율을 높힐 수 있도록 보강날개(12)(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연결단(11) 반대편의 하측 수직방향으로는 지지구(26)가 삽입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연결단(11)보다 구경이 작으면서 그 상측내부는 빗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밀폐형성된 지지연결단(13)이 돌출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연결단(15)의 하측 수평방향으로는 길이조절구(22)가 삽입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연결단(11)보다 구경이 작으면서 내부관통된 길이조절연결단(15)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구(22)는 발코니벽체(72) 밖으로 통과되는 배수구(24)와 함께 빗물이 유입되어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관통되며, 특히 상기 배수구(24)는 발코니벽체(72)로 통과되어 외부 노출되는 단부가 경사성형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이들 배수구(24)와 길이조절구(22) 사이에는 내부관통되면서 상대적으로 구경이 큰 길이조절용으로 끼움연결되는 길이조절구(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26)는 배수몸체(10)의 지지연결단(13)에 삽입끼워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은 원통형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26) 하단으로 끼움조립되는 받침대(30)는 콘크리트바닥(70) 타설작업에 앞서 건물바닥에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그 하측에 바닥고정턱(32)이 돌출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드레인파이프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일시 사용되는 콘크리트보호캡(50)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작업 이후에 방수몰탈(80) 및 바닥타일(82) 부착작업시에 같이 사용되어 발코니바닥의 배수구조를 이루게 되는 높이조절구(40) 및 배수캡(60)의 보조 구성으로 제품완성된다.
우선, 콘크리트바닥 타설작업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배수몸체(10) 안으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끼움조립되어 일시 사용되는 콘크리트보호캡(50)은, 주연외측으로 제거가능한 파지날개(54)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저부로는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으로 끼움조립되는 끼움돌기(56)가 연장형성되고, 그 상측 중앙에는 간단하게 분리제거되어 빗물이 통과될 수 있는 빗물배수공(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바닥 타설작업 이후에 사용되어 배수캡(60)과 같이 배수구조를 이루게 되는 높이조절구(40)는, 콘크리트바닥(70) 위의 방수몰탈(80)이 침투되지 않도록 상단부위에 수평날개(42)가 수평방향으로 면적확장되게 돌출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상기 배수캡(60)이 삽입안착될 수 있도록 배수캡지지턱(44)이 단턱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배수캡(60)은 상측에 발코니로 유입되는 빗물 및 청소작업 등으로 발생되는 오수가 배수몸체(10)와 연결된 배수구(24)를 통해 발코니벽체(72)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62)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발코니배수용 드레인파이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은 작업순서로 설치 사용되는데, 우선 콘크리트바닥(70) 타설시에 건물바닥에 배수몸체(10) 아래쪽의 받침대(30)을 건물바닥에 부착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수몸체(10)를 중심으로 길이조절구(22) 및 배수구(24)를 조립연결시키고,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콘크리트보호캡(50)을 끼움조립시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기 배수몸체(10) 안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콘크리트바닥(70)의 타설작업이 완료된 이후부터 방수몰탈(80)의 부착작업 이전까지 발코니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 배출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보호캡(50)에서 빗물배수공(52)을 절단제거하면 빗물이 관통된 상기 빗물배수공(52)을 통해 배수몸체(10) 안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방수몰탈(80)을 고착작업하기에 앞서 상기 콘크리트보호캡(50)에서 파지날개(54)를 분리제거하면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 상측부위에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침투되지 않고 요입공간(상세한 도면도시 생략)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보호캡(50)의 파지날개(54)를 절단제거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바닥(70) 위로 방수액(80)를 도포시키고 방수몰탈(80)을 고착시킨 후에 상기 배수몸체(10)에서 방수보호캡(50)을 분리이탈시키는 한편,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높이조절구(40)을 끼움조립하고 상기 높이조절구(40)의 배수캡지지턱(44) 위로 배수캡(60)을 끼움안착시킨 상태에서 방수액(90)이 도포처리된 상기 콘크리트바닥(70) 위로 바닥타일(82)을 부착작업하는 작업순서로 발코니바닥이 완성되며, 이때 콘크리트바닥(70)의 타설작업 이후에 발코니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기타 청소작업으로 발생되는 오수는 상기 높이조절구(40)의 배수캡(60)을 통해 발코니벽체(72) 밖으로 자연스럽게 외부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엘(L)형 발코니 배수장치에 의하면, 발코니 공사중은 물론 타일공사 및 창호공사 전후에도 발코니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기타 청소작업에 의한 오물 등이 발코니 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발코니 주변을 항상 구조적으로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발코니공사의 콘크리트바닥 타설작업시에 그 현장여건에 맞게 높이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발코니공사 전후로 유입되는 빗물로 인한 실내의 장판지 및 도배지가 썩거나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의 원시적인 발코니 배수장치인 드레인파이프에 비해 자재비용은 다소 높으나 우기의 공사중에 작업자가 발코니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퍼내는 불필요한 수고 등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서, 그만큼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발코니공사 후에도 청소용오수의 배수구조로도 이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상측으로 개방된 높이조절연결단(11)의 외주면에 보강날개(12)(14)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하측 수평방향으로는 길이조절연결단(15)이 돌출관통되고 밀폐된 수직방향 저부로는 지지연결단(13)이 돌출형성된 배수몸체(10)와,
    내부관통되어 상기 배수몸체(10)의 길이조절연결단(15)에 수평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길이조절구(22)와,
    내부관통되고 발코니벽체(72)로 통과되어 외부 노출되는 단부가 경사절곡된 배수구(24) 및 내부관통되어 이들 배수구(24)와 길이조절구(22) 사이에 길이조절용으로 끼움조립되는 길이조절소켓(20)과,
    다수의 바닥고정턱(32)이 돌출형성된 받침대(30) 및 그 하단이 끼움조립되면서 반대편 상단은 상기 배수몸체(10)의 지지연결단(13)에 수직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지지구(26)와,
    아울러 콘크리트바닥(70) 위의 방수몰탈(80)이 침투되지 않도록 상단부위에 수평날개(42)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내측에는 배수캡지지턱(44)이 단턱형성되어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에 수직방향으로 끼움조립되는 높이조절구(40)와,
    상측에 다수의 배수공(6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구(40)의 배수캡지지턱(44) 위로 삽입안착되는 배수캡(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몸체(10)는 콘크리트바닥(70) 타설시에 콘크리트가 침투되지 않도록 주연외측으로 파지날개(54)가 돌출형성되면서 그 저부로는 상기 배수몸체(10)의 높이조절연결단(11)으로 끼움조립되는 끼움돌기(56)가 연장형성되고, 상측 중앙에는 분리제거되는 빗물배수공(52)이 관통형성된 콘크리트보호캡(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KR2020000033995U 2000-12-04 2000-12-04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KR200223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95U KR200223990Y1 (ko) 2000-12-04 2000-12-04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995U KR200223990Y1 (ko) 2000-12-04 2000-12-04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990Y1 true KR200223990Y1 (ko) 2001-05-15

Family

ID=7306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995U KR200223990Y1 (ko) 2000-12-04 2000-12-04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9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81B1 (ko) * 2007-10-30 2009-08-2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0981324B1 (ko) * 2007-10-22 2010-09-10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24B1 (ko) * 2007-10-22 2010-09-10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KR100913781B1 (ko) * 2007-10-30 2009-08-26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3000C (en) Mock shower drain and associated methods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US6739800B2 (en) Self-flushing gutter pipe
US20020025225A1 (en) Self-flushing pipe
KR200223990Y1 (ko) 엘형 발코니 배수장치
JP3466282B2 (ja) 天幕構造
KR100392076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21667A (ko) 건축용 배수트랩의 설치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200244697Y1 (ko) 발코니 배수장치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200249070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KR0116052Y1 (ko) 양변기용 배수구
KR102528341B1 (ko) 워터 드레인 파이프를 갖는 피씨기둥 시공방법
JPH07317233A (ja) 建築物の防水床、及びこれに用いる防水シート
CN219710467U (zh) 一种组合式卫生间预埋排水装置
KR200387721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CN217949369U (zh) 一种预制板竖向拼接缝排水结构
KR960008704B1 (ko) 위생 상수 및 하수도용 플라스틱 수용구
CN101538882B (zh) 一种模块化同层排水回填层积水排除装置
KR200440925Y1 (ko) 확장형 발코니의 배수장치
JPH0327111Y2 (ko)
KR200356325Y1 (ko) 발코니용 배수관에 화단용 배수관이 일체로 설치된배수트랩
KR970003927Y1 (ko) 발코니 배수구
JPH1025771A (ja) 雨水利用装置
JPS5849281Y2 (ja) 乾式施工用バルコニ−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