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816B1 -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816B1
KR101290816B1 KR1020120028157A KR20120028157A KR101290816B1 KR 101290816 B1 KR101290816 B1 KR 101290816B1 KR 1020120028157 A KR1020120028157 A KR 1020120028157A KR 20120028157 A KR20120028157 A KR 20120028157A KR 101290816 B1 KR101290816 B1 KR 10129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flange
water leakag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원
류지현
Original Assignee
이현배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배쓰(주) filed Critical 이현배쓰(주)
Priority to KR1020120028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욕실이나 베란다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이중의 누수차단수단을 제공하여 타일층과 몰탈층를 통해 스며드는 물의 누수를 차단하도록 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래브 상에 시공되는 방수판과 몰탈층 및 타일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는 배관으로 연결되는 건물 바닥용 배수구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측이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상기 슬래브의 상단에 밀착되는 플랜지로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플랜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통체로 형성되는 배관 연결구와;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의 위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 상측에 밀착하도록 적층되는 연결보조판과; 상기 연결보조판의 안쪽 둘레에 덮어지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관통되는 타이볼트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와 상기 연결보조판의 사이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을 상호 긴밀하게 밀착하기 위한 덮개누름판과;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와 상기 덮개누름판이 타이볼트로 체결되는 공간(S) 사이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누수차단코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건물의 바닥을 통해 스며드는 물의 누수를 원천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drain}
본 발명은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욕실이나 베란다에 설치되는 바닥 배수구에 이중으로 누수를 차단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바닥 방수판과 배관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차단하도록 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장실, 욕실, 베란다 등의 바닥은 콘크리트 슬래브가 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방수판 및 몰탈층이 순차적으로 시공된 후, 최종적으로 타일을 깔아서 마무리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하측의 배수구의 배관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배관이 관통하는 바닥 배수구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바닥 타일구멍에 덮어지는 그릴 커버를 씌워 바닥 배수구가 마무리 시공된다.
또한 상기 방수판은 바닥을 통해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며, 여러 형태의 방수판 구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수판이 설치된 건물 바닥의 배수구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바닥 타일과 방수판 및 배수관 사이에 틈이 생겨 건물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구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바닥 설치 구조에서는 공사의 편의상 기존의 배수구에 설치된 배관을 그대로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바닥에 버려진 물은 전량이 배수구의 그릴 커버를 통해 배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일부의 물이 그릴 커버에 도달하기 전에 바닥 타일층이나 몰탈층을 통해 누수 되거나 혹은 바닥 타일층과 그릴 커버의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누수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바닥 방수판이 누수 된 물을 차단하여 더 이상 다른 부위로 누수 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지만, 공사 작업의 미비함으로 바닥 방수판과 배관이 관통하는 사이에서 틈이 벌어져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화장실 바닥에 물을 그대로 버리게 되면 바닥 타일층과 몰탈층을 통해 누수 되는 물이 바닥 방수판과 배관 사이의 틈새를 통해 근처 벽으로 침투하여 방이나 거실의 천장 및 벽에 습기가 차면서 곰팡이가 피는 등, 건물 내부가 손상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이를 빨리 보수를 하여야 하나 이를 보수하는데 많은 기일이 소요됨은 물론 막대한 비용까지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의 경우에는 자신의 주택 이외에 아래층에 위치한 주택까지 피해를 보게 되어 그만큼 보수기간이 더욱 길어지고, 그에 따른 보수비용도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바닥 틈을 메우기 위해 방수층은 물론 일반적으로 건물의 틈새를 막을 때 사용하는 액상의 실리콘을 도포시켜 경화시킬 때도 있지만, 번거로운 작업공정으로 인해 생략하는 경우가 많으며, 실리콘으로 도포하였다 하더라도 배관의 온도변화나 진동 등의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다시 틈이 생겨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즉, 배관과 슬래브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틈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 배수구를 통해 스며드는 물의 누수를 원천 차단하도록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바닥의 틈을 통해 스며드는 누수를 이중의 누수차단구조를 제공하여 장시간이 경과해도 물의 누수를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배수구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구조가 단순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래된 건물 바닥의 배수구에 설치하여도 누수 차단에 따른 활용이 용이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래브 상에 시공되는 방수판과 몰탈층 및 타일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는 배관으로 연결되는 건물 바닥용 배수구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측이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상기 슬래브의 상단에 밀착되는 플랜지로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플랜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통체로 형성되는 배관 연결구와;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의 위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 상측에 밀착하도록 적층되는 연결보조판과; 상기 연결보조판의 안쪽 둘레에 덮어지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관통되는 타이볼트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와 상기 연결보조판의 사이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을 상호 긴밀하게 밀착하기 위한 덮개누름판과;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와 상기 덮개누름판이 타이볼트로 체결되는 공간(S) 사이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누수차단코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관 연결구의 통체는 그 내벽의 상단과 하단에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 연결구와 관통하는 상기 배관의 외벽이 상기 상단 경사면이 인접하는 사이 공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보조판은 안쪽에 상기 배관이 관통하는 개방홀을 가지며, 안쪽 상단은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덮개누름판이 덮어져 유동이 없도록 밀착시키는 단턱 둘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누수차단코킹은 상기 배관 연결구와 연결보조판의 사이 공간(S)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방수판의 좌우 유동을 잡아주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타이볼트는 상기 배관연결구와 덮개누름판 및 상기 누수차단코킹을 상호 관통하도록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 상에 시공되는 방수판과 몰탈층 및 타일층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를 관통하는 배관으로 연결되는 건물 바닥용 배수구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측이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상기 슬래브의 상단에 밀착되는 플랜지로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플랜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관이 관통되는 통체로 형성되는 배관 연결구와;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의 위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 상측에 밀착하도록 적층되는 연결보조판과; 상기 연결보조판의 안쪽 둘레에 덮어지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관통되는 타이볼트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와 상기 연결보조판의 사이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을 상호 긴밀하게 밀착하기 위한 덮개누름판과; 상기 배관 연결구의 플랜지와 상기 덮개누름판이 타이볼트로 체결되는 공간(S) 사이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누수차단코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건물의 바닥을 통해 스며드는 물의 누수를 원천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누수차단코킹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와 연결보조판의 사이 공간(S)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방수판의 좌우 유동을 잡아주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건물 바닥의 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이중의 누수차단구조를 제공하여 장시간이 경과해도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바닥의 수밀을 유지하는 배수구 방수구조가 단순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에 적용하여도 활용이 용이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 신축 건물에 적용되는 오수트랩과 배수트랩을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되는 배관에 맞게 방수설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보인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보인 전체 설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보인 일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는, 슬래브(10) 상에 시공되는 방수판(20)과 몰탈층(30) 및 타일층(4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10)를 관통하는 배관(50)으로 연결되는 건물 바닥 배수구(100)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구(100)에는 상기 배관(5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배관 연결구(110)와 연결 보조판(120)과 덮개 누름판(130)이 설치되고, 상기 방수판(2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사이 공간(S)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하는 누수차단코킹(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관 연결구(110)는 상측에 상기 슬래브(10)의 상단에 밀착되는 플랜지(111)로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플랜지(11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관(50)이 관통되는 통체(112)로 형성되며, 내측은 상기 배관(50)이 관통하는 개방홀(113)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체(112)는 그 내벽의 상단과 하단에 경사면(112a)(112b)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 연결구(110)를 관통하는 배관(50)의 외벽과 상기 상단 경사면(112a)이 인접하는 사이 공간에 접착제(113)를 도포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체(112)의 상하단 경사면(112a)(112b)에 의해 상기 배관(50)의 관통을 가이드 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슬래브(10)를 일부 깨고 배수구(100)에 상기 배관 연결구(110)를 삽입시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20)과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상호 틈을 맞추어 주도록 하여 상기 방수판(2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보조판(120)은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플랜지(111)에 위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20) 상측에 밀착하도록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보조판(120)은 안쪽에 상기 배관(50)이 관통하는 개방홀(121)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안쪽 상단은 단이 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덮개누름판(130)이 덮어져 좌우 흔들림이 없도록 밀착시키는 단턱 둘레부(12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누름판(130)은 상기 연결보조판(120)의 안쪽 둘레부에 덮어지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내측은 상기 배관(50)이 관통하는 개방홀(131)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덮개누름판(130)은 상기 슬래브(10)에서부터 관통되는 타이볼트(B10)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플랜지(111)와 상기 연결보조판(120) 사이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20)을 상호 긴밀하게 밀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이볼트(B10)는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덮개누름판(130) 및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을 상호 관통하도록 연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타이볼트(B10)에 의해 상기 연결보조판(120)을 상기 방수판(20)에 더욱 밀착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타이볼트(B10)에 의해 슬래브(10) 상에서 배관 연결구(110), 연결보조판(120) 및 덮개누름판(130)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은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플랜지(111)와 상기 덮개 누름판(130)이 타이볼트(B10)로 체결되는 공간(S) 사이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은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연결보조판(120)의 사이 공간(S)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방수판(20)의 좌우 유동을 잡아주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은 각 재료의 이음매 부분이나 균열 등에 의해서 생긴 작은 틈새에 충전하여 그것들을 수밀(水密), 기밀(氣密)하게 압착시키는 물성을 갖는 재료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섀시 둘레, 비막이 주변의 틈새, 콘크리트의 신축(伸縮) 줄눈, 타일 줄눈, 유리블록 줄눈, 또는 외벽(外壁) 패널의 조인트 부분이나 석면(石綿)슬레이트 지붕 등의 볼트 부분에 사용된다.
또한 코킹재는 모든 외적 조건, 예를 들면 기상조건 등에 의해서도 장기간 성질이 변하지 않고, 틈새가 벌어지거나 신축에 의해서 변형이 생겨도 견딜 수 있는 재료라야 하므로 탄성 범위가 크고 유연성이 있으며 부착성이 풍부한 것이어야 한다.
참고로 코킹재는 불건성유(不乾性油), 어느 정도 중합(重合)한 건성유와 알키드 수지나 염화비닐수지 등의 합성수지, 합성고무 ·아스팔트 등을 적당히 혼합한 액상 전색제(液狀展色劑)에 석면 ·초크 ·석고 ·아연화(亞鉛華) ·백연(白鉛) 등 광물질 재료의 분말을 반죽해 넣은 것으로,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배합의 비율이 다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상기 덮개누름판(130)를 상호 연결하는 타이볼트(B10)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상기 덮개누름판(130)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보조판(120)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상기 덮개누름판(130)의 사이 공간(S)에 충전되는 누수차단코킹(140)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에 의해 상기 연결보조판(120)과 상기 덮개누름판(130)의 사이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20)의 간격 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상기 덮개누름판(130)이 적층되는 사이 공간(S)에 충전되는 누수차단코킹(140)에 의해 상기 배관(50)의 상측에서 오버플로 되어 상기 덮개부름판(130)과 상기 배관(50)의 간격 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중의 누수차단구조를 가지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을 완전 관통하면서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덮개누름판(130)를 일체로 연결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타이볼트(B10)에 의해 슬래브(10) 상에 설치되는 배수구(100)의 고정을 견고히 하면서도 누수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배수구 110 : 배관 연결구
111 : 플랜지 112 : 통체
113, 121, 131 :개방홀 112a, 112b : 경사면
120 : 연결보조판 122 : 둘레 단턱부
130 : 덮개누름판 140 : 누수차단코킹
B10 : 타이볼트

Claims (5)

  1. 슬래브(10) 상에 시공되는 방수판(20)과 몰탈층(30) 및 타일층(40)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10)를 관통하는 배관(50)으로 연결되는 건물 바닥용 배수구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측이 상기 배관(50)이 관통되는 상기 슬래브(10)의 상단에 밀착되는 플랜지(111)로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플랜지(11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관(50)이 관통되는 통체(112)로 형성되는 배관 연결구(110)와;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플랜지(111)의 위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20) 상측에 밀착하도록 적층되는 연결보조판(120)과;
    상기 연결보조판(120)의 안쪽 둘레에 덮어지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관통되는 타이볼트(B10)에 의해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플랜지(111)와 상기 연결보조판(120) 사이에 포개어지는 상기 방수판(20)을 상호 긴밀하게 밀착하기 위한 덮개누름판(130)과;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플랜지(111)와 상기 덮개누름판(130)이 타이볼트(B10)로 체결되는 공간(S) 사이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누수차단코킹(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구(110)의 통체(112)는 그 내벽의 상단과 하단에 경사면(112a)(112b)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관통하는 상기 배관(50)의 외벽이 상기 상단 경사면(112a)이 인접하는 사이 공간에 접착제(113)를 도포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조판(120)은 안쪽에 상기 배관(50)이 관통하는 개방홀(121)을 가지며, 안쪽 상단은 단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덮개누름판(130)이 덮어져 유동이 없도록 밀착시키는 단턱 둘레부(12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은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연결보조판(120)의 사이 공간(S)에 충전되어 누수를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방수판(20)의 좌우 유동을 잡아주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볼트(B10)는 상기 배관 연결구(110)와 덮개누름판(130) 및 상기 누수차단코킹(140)을 상호 관통하도록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KR1020120028157A 2012-03-20 2012-03-20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KR10129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57A KR101290816B1 (ko) 2012-03-20 2012-03-20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157A KR101290816B1 (ko) 2012-03-20 2012-03-20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816B1 true KR101290816B1 (ko) 2013-07-29

Family

ID=4899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157A KR101290816B1 (ko) 2012-03-20 2012-03-20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8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21B1 (ko) *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101959725B1 (ko) * 2018-06-11 2019-03-19 이호영 진공배관 지지장치
KR20210015070A (ko) 2019-07-31 2021-02-10 이현배쓰(주)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210030919A (ko) 2019-07-31 2021-03-18 이현배쓰(주)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CN113302366A (zh) * 2019-01-14 2021-08-24 许永皓 具有接合加强件的防漏排水阱及其施工方法
KR102592619B1 (ko) 2022-05-06 2023-10-23 (주)유스 이중 구조를 갖는 배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33A (ja) * 1985-06-29 1987-01-13 島 信義 深さ調整枠を備えた排水枡
KR970001769A (ko) * 1996-11-21 1997-01-24 오주훈 배수관 조립체
JPH09217402A (ja) * 1996-02-13 1997-08-19 Nippon Pitsuto:Kk 排水路装置
KR20110011043A (ko) * 2009-07-27 2011-02-08 (주)장유씨엠 배수 트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033A (ja) * 1985-06-29 1987-01-13 島 信義 深さ調整枠を備えた排水枡
JPH09217402A (ja) * 1996-02-13 1997-08-19 Nippon Pitsuto:Kk 排水路装置
KR970001769A (ko) * 1996-11-21 1997-01-24 오주훈 배수관 조립체
KR20110011043A (ko) * 2009-07-27 2011-02-08 (주)장유씨엠 배수 트랩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21B1 (ko) * 2016-01-19 2016-12-27 주식회사 메이크순 슬리브형 배관연결구
KR101959725B1 (ko) * 2018-06-11 2019-03-19 이호영 진공배관 지지장치
CN113302366A (zh) * 2019-01-14 2021-08-24 许永皓 具有接合加强件的防漏排水阱及其施工方法
KR20210015070A (ko) 2019-07-31 2021-02-10 이현배쓰(주)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210030919A (ko) 2019-07-31 2021-03-18 이현배쓰(주)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210107590A (ko) 2021-03-09 2021-09-01 이현배쓰(주)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KR102592619B1 (ko) 2022-05-06 2023-10-23 (주)유스 이중 구조를 갖는 배관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816B1 (ko)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CN203654328U (zh) 一种装配式止水结构
US20100154112A1 (en) Shower bas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HEW et al. Design for maintainability: Benchmarks for quality buildings
KR20140049220A (ko)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KR100592115B1 (ko)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CN208668952U (zh) 一种厨房排水立管穿楼板结构
CZ117096A3 (en) Discharge element for installation particularly in concrete floor
Kavitha et al. An overview of water proofing system in concrete structures
FI127869B (fi) Vesieristetyn tilan viemäröinnin uusimismenetelmä
CN205024824U (zh) 卫生间安装结构
CN211370011U (zh) 一种外门窗防漏结构
US6073418A (en) Weather resistant chimney cap system
CN208380086U (zh) 一种卫生间内排水立管穿楼板结构
CN207512792U (zh) 一种地下室底板的沉降缝导水机构
CN213332810U (zh) 一种管根处防水处理结构
CN212802003U (zh) 一种卫生间门槛下侧穿墙管的防水结构
CN205171652U (zh) 加装式沉池地漏
Panchal et al. Waterproofing challenges and suggested remedial measures for high rise buildings: A case study
CN215977778U (zh) 一种酒店厕浴间防渗漏结构
CN212866667U (zh) 一种侧入式预制雨水斗安装结构
CN217027529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柱脚防水构造
CN211523821U (zh) 一种用于钢柱出屋面防水节点
CN216865520U (zh) 一种地面挡水条防渗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