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919A -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0919A KR20210030919A KR1020210031052A KR20210031052A KR20210030919A KR 20210030919 A KR20210030919 A KR 20210030919A KR 1020210031052 A KR1020210031052 A KR 1020210031052A KR 20210031052 A KR20210031052 A KR 20210031052A KR 20210030919 A KR20210030919 A KR 20210030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yukga
- height
- drain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배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구는 상기 층하배관과 연결되며 내측에 통수로가 형성된 하부구조와 상기 하부구조 상부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통수로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배수 육가와 결합되는 육가 연결부속을 포함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의 위 및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육가 연결부속 측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가 상기 하부구조의 상기 통수로의 외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육가 연결부속이 상기 하부구조에 거치되고;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배수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배수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육가 연결부속 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하부 구조의 통수로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 육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상기 하부 배수관과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이 나사 결합하여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연결구를 제시한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금형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현장에서 임의로 높이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면 발생하던 부실공사나 하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금형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현장에서 임의로 높이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면 발생하던 부실공사나 하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원발명은 건물 바닥의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슬래브 아래에 설치된 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화장실, 욕실, 베란다 등의 바닥은 콘크리트 슬래브가 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방수 공사 및 몰탈층이 순차적으로 시공된 후, 최종적으로 타일을 깔아서 마무리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하측의 배수구의 배관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배관이 관통하는 바닥 배수구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관과 바닥 타일의 배수 구멍을 덮는 육가(그릴 커버)를 씌워 바닥 배수구가 마무리 시공되는데, 본원발명은 상기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배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한편, 몰탈층 내에서 배수 연결구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배관을 상기 배수 연결구에 연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배수 연결구를 적용하면 별도의 제작과 금형 비용이 발생하고, 자재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바, 선택적으로 유도배관을 배수 연결구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건물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 육가의 위치'와 '건물 바닥 슬래브를 관통하는 배수구'의 위치가 현장 여건에 따라 일부 불일치하는 경우, 또는 슬래브나 타일 층의 시공상 오차나 시공 편의상 발생하는 높이에 배수 육가의 높이를 맞추어야 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요구된다.
본원발명 관련 선행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86329호 (2008. 9. 25.)
상기 공보는 2007. 9. 10.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91473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보는 선행발명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10 방수판재
30A 상부몸체
30B 하부몸체
상기 선행발명은 방수판재에 의해 욕실 바닥층의 방수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특히 열가소성수지판으로 성형된 방수판재에 의한 방수구조는 욕실의 형상 및 규격에 대한 시공현장 적응성이 양호하면서 확실한 방수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방수판재에는 배수관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된 배관 연결관이 결합된다.
본원발명도 상기 선행발명과 같이 방수판재를 이용하여 방수구조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본원발명은 상기 선행발명의 구성에서 보다 진보된 구조를 제안한다.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290816호 (2013. 7. 23.)
상기 공보는 2012. 3. 20. 제출된 특허출원 제2012-0028157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보는 선행발명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를 개시한다.
10 슬래브
20 방수판
30 몰탈층
40 타일
100 배수구
110 배관 연결구
111 플랜지
112 통체
120 연결보조판
130 덮개 누름판
상기 선행발명은 본원발명과 같이 슬래브를 관통하는 배관에 관한 것이고, 그 상부에 그릴 커버(육가)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공통점이 있다. 상기 선행발명은 건물 바닥의 배수구가 오랜 기간 사용됨에 따라 바닥 타일과 방수판 및 배수관 사이에 틈이 생겨 건물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행발명은 상기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관 연결구, 연결보조판, 덮개누름판, 누수차단코킹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원발명은 나사 결합으로 방수판 누수를 간단하게 해결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슬래브 시공 시에 슬리브를 매립하여 원천적으로 아래층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원발명은 상기 선행발명 1에서 언급되지 않은 방수판 상부 부분을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행발명 1과 같이 방수판 상부 부분을 단순 배관 형태로 할 수도 있지만, 현장 여건에 따라 측면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유도배관용 배관연결구를 결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220호 (2014. 4. 25.)
상기 공보는 2012. 10. 17. 제출된 특허출원 제2012-0115166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보는 선행발명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을 개시한다.
상기 선행발명은 배수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라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공통점이 있다. 상기 선행발명은 방수판에 스며드는 침투수를 배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원발명도 상기 선행기술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선택적으로 유도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배수 연결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금형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종래에는 단순 배수 연결구와 몰탈층에서 유입되는 측면 유도 배관의 배수 연결구와 별개로 제작, 시공함으로써 개발 및 금형 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자재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단순 배수 연결구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모듈식으로 측면 유도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배수 연결구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시공의 오차나 현장 여건의 필요에 대응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종래 현장에서 임의로 높이를 변경하면서 발생하던 부실공사나 하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 단계별 조정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큰 폭의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공사비를 절감하며, 공사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의 높이뿐만 아니라 배수 육가의 평면의 위치도 조정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 또한 현장의 상황에 맞게 배수 육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배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구는 상기 층하배관과 연결되며 내측에 통수로가 형성된 하부구조와 상기 하부구조 상부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통수로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배수 육가와 결합되는 육가 연결부속을 포함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의 위 및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육가 연결부속 측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가 상기 하부구조의 상기 통수로의 외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육가 연결부속이 상기 하부구조에 거치되고;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배수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배수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육가 연결부속 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하부 구조의 통수로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 육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상기 하부 배수관과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이 나사 결합하여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연결구를 제시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 중 어느 하나는 긴 측벽(142b)을 형성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긴 측벽보다 짧은 측벽(142a)을 형성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거치 방향에 따라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상기 측벽의 차이만큼 배수 육가의 높이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측벽의 길이 차이는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51)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에 대응한 크기로 하여, 상기 긴 측벽 또는 상기 짧은 측벽의 방향으로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 차이가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 정도이어서, 상기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 정도와 상기 배수 육가 연결부속의 방향으로 정해지는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연속되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전술한 배수 연결구로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를 시공할 때 배수 하부구조인 성형 슬리브를 매립하는 단계, 상기 성형 슬리브와 배수 육가의 위치의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성형 슬리브와 배수 육가의 차이 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 육가의 설계 위치에 따라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 정도의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배수 연결구를 제시하고, 유도배관 연결부속을 모듈식으로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유도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배수 연결 구조를 제안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금형 비용을 절감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육가 연결부속의 긴 측벽, 짧은 측벽 등의 구성을 통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시공의 오차나 현장 여건의 필요에 대응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안정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종래 현장에서 임의로 높이를 변경하면서 발생하던 부실공사나 하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측벽의 구성뿐만 아니라 그 형태도 한정함으로써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 단계별 조정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큰 폭의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공사비를 절감하며, 공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은 육가 연결부속과 하부구조의 관계를 형태적으로 한정함으로써 배수 육가의 높이뿐만 아니라 배수 육가의 평면의 위치도 조정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현장의 상황에 맞게 배수 육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가 배수 육가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육가 연결부속만 설치된 상태이고, 도 2는 육가 연결부속뿐만 아니라 유도배관 연결부속까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육가 연결부속만 설치된 배수 연결구의 부품을 보이기 위한 분해 개념도이고, 도 5는 유도배관 연결부속까지 설치된 배수 연결구의 부품을 보이기 위한 분해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배수 연결구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상부 배수 육가가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를 구성하는 육가 연결부속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 부속의 긴 측벽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한 단계 높은 상태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서 배수 육가의 최저와 최고 높이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b, 도 10c, 도 10d는 배수 육가 높이 조정을 실물 예상도로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서 육가 연결구가 하부 구조의 도면의 오른쪽으로 치우친 것을, 도 12는 왼쪽으로 치우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부속이 하부 구조와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로 하부구조의 통수로를 덮은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육가 연결부속만 설치된 배수 연결구의 부품을 보이기 위한 분해 개념도이고, 도 5는 유도배관 연결부속까지 설치된 배수 연결구의 부품을 보이기 위한 분해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배수 연결구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상부 배수 육가가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를 구성하는 육가 연결부속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 부속의 긴 측벽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한 단계 높은 상태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서 배수 육가의 최저와 최고 높이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b, 도 10c, 도 10d는 배수 육가 높이 조정을 실물 예상도로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서 육가 연결구가 하부 구조의 도면의 오른쪽으로 치우친 것을, 도 12는 왼쪽으로 치우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부속이 하부 구조와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로 하부구조의 통수로를 덮은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가 배수 육가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육가 연결부속만 설치된 상태이고, 도 2는 육가 연결부속뿐만 아니라 유도배관 연결부속까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는 큰 틀에서 배수 성형 슬리브(110), 방수판 체결부속(120), 유도배관 연결부속(130), 육가 연결부속(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유도배관 연결부속(13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이와 같이 유도배관 연결부속을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도 3 내지 5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인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수 육가는 단면으로 표시하지 않았다. 도 4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육가 연결부속만 설치된 배수 연결구의 부품을 보이기 위한 분해 개념도이고, 도 5는 유도배관 연결부속까지 설치된 배수 연결구의 부품을 보이기 위한 분해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슬래브(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이 콘크리트 구조물인 바닥 슬래브 위에 바닥 방수판(20)이 시공된다. 상기 바닥 방수판 위에 몰탈층(30)이 형성되고, 상기 몰탈층 위에 바닥 마감재(40)를 시공하여 바닥 공사를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 바닥 마감재는 어떤 형태의 것이더라도 본원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바닥 마감재는 타일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배수를 위해서 상기 바닥 마감재에는 배수 육가(50)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 육가로 유입된 하수는 본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 상기 바닥 슬래브 아래에 있는 층하배관을 통하여 배수된다.
본 명세서에서 '배수 육가'라는 용어는 '육가', '유가' 또는 '그릴 커버' 등으로 불리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욕실 바닥 등에서 물을 배수하고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 등을 하는 것이다. 다만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런 용어나 악취 역류 방지 기능 등과는 무관하게 바닥면에서 노출되는 배수를 위한 구조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본 명세서의 '배수 육가'라는 용어는 어떤 형태이더라도 바닥면에서 노출되는 배수구의 기능을 하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는 기본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①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고 내측으로 통수로가 형성되되 상단 외주에 슬리브 플랜지(111)가 형성된 배수 성형 슬리브(110)
(배수 육가, 층하배관 및 배수 연결구는 그 내측으로 모두 물이 통하여 흐르는 길이 형성되며, 당연히 배수 연결구를 구성하는 배수 성형 슬리브, 방수판 체결 부속, 유도배관 연결부속, 육가 연결부속 또한 그 내측으로 모두 물이 통하여 흐르는 길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이를 통수로(通水路)로 지칭한다.)
② 상기 배수 성형 슬리브와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서 내측으로 통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플랜지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에 방수판 고정 플랜지(121)가 형성된 방수판 체결부속(120)
③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 상부에서 위치하며, 내측으로 통수로가 형성되며 위쪽에 위치한 상기 배수 육가와 결합되는 육가 연결부속(140)
④ 필요에 따라 상기 몰탈층 내에서 상기 배수 연결구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배관을 상기 배수 연결구의 측면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도배관 연결부속(130)
상기 유도배관 연결부속은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120)과 상기 육가 연결부속 사이(140)에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유도배관 연결부속은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에 적층되는 유도배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131)와 상기 거치 플랜지 위로 돌출되어 유도배관이 연결되는 유도배관 연결 측벽(132)과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120) 내측 통수로로 삽입되는 하부 삽입 측벽(133)으로 형성된다.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141)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의 위 또는/및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육가 연결부속 측벽(142)으로 형성되되, 상기 육가 연결부속이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120)의 상부에 놓일 때는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가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의 외곽에 의하여 지지되며 거치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120)의 통수로에 삽입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유도배관 연결부속(130)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141)가 상기 유도배관 연결부속의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유도배관 연결부속의 내측 통수로에 삽입된 것이다.
한편, 상기 바닥 슬래브에 매립된 배수 성형 슬리브, 상기 배수 성형 슬리브와 바닥 방수판을 누수가 되지 않도록 밀실하게 상기 바닥 방수판을 고정, 체결하는 방수판 체결부속 및 필요에 따라 위치시킬 수 있는 유도배관 연결부속 등 '하부구조'라 할 수 있다. 즉, 배수 육가, 층하배관과 연결되는 하부구조, 배수 육가와 하부구조를 연결하는 육가 연결부속으로 본원발명의 구성을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유도배관 연결부속이 없는 상태의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단면을 보인 것인데,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배수 성형 슬리브(110)의 슬리브 플랜지(111)와 방수판 체결부속(120)의 방수판 고정 플랜지(121)에 의하여 바닥 방수판(20)을 고정하는데, 이 결합 구조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바, 고무 패킹 등 밀실 부재(121a)와 상기 배수 성형 슬리브(110)와 상기 방수판 체결부속(120)을 나사 결합할 때 큰 압력을 균일하게 상기 밀실 부재(121a)에 가하기 위한 와셔(121b)를 개재하였다.
도 3 등의 슬리브 플랜지 내에 그려진 화살표는 슬래브 아래의 층하배관(미도시)으로 배수 육가를 통하여 유입된 하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보인 것이다.
바닥 슬래브의 높이나 몰탈층의 두께 등의 오차나 현장 여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배수관(51)과 상기 육가 연결부속(140)이 나사결합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142)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에 이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육가 연결부속과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배수 연결구에 따른 일 실시 예로서 상부 배수 육가가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개념도이다.
즉, 본원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수 육가(5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배수관(51)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배수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육가 연결부속 측벽(142)에도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 육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상기 하부 배수관과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이 나사 결합하여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나사 결합으로 대응 가능한 높이 차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원발명은 배수 육가의 높이 조정 정도를 대폭 확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141)의 위아래로 형성되는 육가 연결부속 측벽(14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것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 도 8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를 구성하는 육가 연결부속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육가 연결부속이 상기 하부구조의 위에서 위 방향이나 아래 방향 중 어느 방향을 향하더라도 거치될 수 있는 길이이어야 한다. 하부구조와 간섭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 부속의 긴 측벽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한 단계 높은 상태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의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의 위아래로 2개 형성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 중 어느 하나는 다른 것보다 길게 형성되어 긴 측벽(142b)을 형성하되, 상기 긴 측벽은 상기 육가 연결부속이 상기 하부구조의 위에서 위 방향을 향하거나 아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거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다른 하나라고 표현한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짧은 측벽(142a)이라 칭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거치 방향에 따라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측벽의 차이만큼 배수 육가의 높이가 달라진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측벽의 길이 차이는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51)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에 대응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 측벽 또는 상기 짧은 측벽의 방향으로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 배수 육가의 높이 차이가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 정도 이어야, 상기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 정도와 상기 배수 육가 연결부속의 방향으로 정해지는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연속되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나오지 않는 구간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긴 측벽의 길이를 본 실시 예보다 더 길게 하는 경우 배수 육가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겠지만, 짧은 측벽과 긴 측벽 어느 것으로도 형성할 수 없는 배수 육가 높이 구간이 생겨서 바람직하기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써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으로 조정할 수 있는 높이의 약 2배 정도까지의 구간에서 어느 높이이더라도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0a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서 배수 육가의 최저와 최고 높이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가 연결부속의 짧은 측벽을 상부로 하고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을 최대로 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가장 낮은 상태로 조정한 경우와, 육가 연결부속의 긴 측벽을 상부로 하고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을 최소로 하여 배수 육가의 높이를 가장 낮은 상태로 조정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10b, 도 10c, 도 10d는 배수 육가 높이 조정을 실물 예상도로 보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 이외에 배수 육가의 평면상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기도 하다. 이는 바닥 슬래브 공사 후 바닥 마감재를 공사하는 과정에서 오차나 현장 사정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하고, 벽체와 간섭되거나 예를 들면 변기나 세면기와 같은 기구 등과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미 바닥 슬래브에 매립되어 있는 슬리브의 위치를 변동할 수 없는바, 현재는 현장에서 인위적으로 연결구 등을 변형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공사 후 하자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는 상기 육가 연결부속에 형성된 육가 연결부속 측벽(142)은 상기 하부 구조의 통수로에 넣어지되,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141)가 상기 하부구조의 외곽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의 외경은 상기 하부 구조 통수로의 내경보다 작은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의 외경과 상기 하부 구조 통수로의 내경의 차이보다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의 폭이 더 커,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이 상기 하부 구조 통수로에 넣어진 상태에서 평면상 자유롭게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 위치 변동에 따른 편심으로 발생하는 하부 구조 통수로 부분은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로 덮어지게 된다.
도 1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로서 육가 연결구가 하부 구조의 도면의 오른쪽으로 치우친 것을, 도 12는 왼쪽으로 치우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부속이 하부 구조와 어긋나게 위치하더라도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로 하부구조의 통수로를 덮은 것인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배수 연결구로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시공을 하면 3차원으로, 즉 높이와 평면상 위치를 조정하며 배수 육가를 설치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 시공방법은 바닥 슬래브를 시공할 때 배수 하부구조인 성형 슬리브를 매립하는 단계, 상기 성형 슬리브와 배수 육가의 위치의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슬리브와 배수 육가의 차이 정도에 따라 전술한 배수 연결구의 육가 연결부속의 평면상의 위치를 조정하고, 배수 육가의 설계 위치에 따라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 정도의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바닥 슬래브
20 바닥 방수판
30 몰탈층
40 바닥 마감재
50 배수 육가
51 하부 배수관
110 배수 성형 슬리브
111 슬리브 플랜지
120 방수판 체결부속
121 방수판 고정 플랜지
121a 밀실 부재
121b 와셔
130 유도배관 연결부속
131 유도배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
132 유도배관 연결 측벽
133 하부 삽입 측벽
140 육가 연결부속
141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
142 육가 연결부속 측벽
142a 짧은 측벽
142b 긴 측벽
20 바닥 방수판
30 몰탈층
40 바닥 마감재
50 배수 육가
51 하부 배수관
110 배수 성형 슬리브
111 슬리브 플랜지
120 방수판 체결부속
121 방수판 고정 플랜지
121a 밀실 부재
121b 와셔
130 유도배관 연결부속
131 유도배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
132 유도배관 연결 측벽
133 하부 삽입 측벽
140 육가 연결부속
141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
142 육가 연결부속 측벽
142a 짧은 측벽
142b 긴 측벽
Claims (4)
-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배수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구는 상기 층하배관과 연결되며 내측에 통수로가 형성된 하부구조와 상기 하부구조 상부에 위치하며, 내측으로 통수로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배수 육가와 결합되는 육가 연결부속을 포함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의 위 및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육가 연결부속 측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육가 연결부속 거치 플랜지가 상기 하부구조의 상기 통수로의 외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육가 연결부속이 상기 하부구조에 거치되고;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배수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배수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육가 연결부속 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은 상기 하부 구조의 통수로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 육가와 상기 육가 연결부속은, 상기 하부 배수관과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이 나사 결합하여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연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 중 어느 하나는 긴 측벽(142b)을 형성하고, 상기 육가 연결부속 측벽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긴 측벽보다 짧은 측벽(142a)을 형성하여,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거치 방향에 따라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상기 측벽의 차이만큼 배수 육가의 높이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연결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측벽과 짧은 측벽의 길이 차이는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51)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에 대응한 크기로 하여,
상기 긴 측벽 또는 상기 짧은 측벽의 방향으로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를 조정함에 있어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 차이가 상기 배수 육가의 하부 배수관에 형성된 나사산의 높이 정도이어서,
상기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 정도와 상기 배수 육가 연결부속의 방향으로 정해지는 상기 배수 육가의 높이가 연속되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연결구.
- 제3 항에 의한 배수 연결구로 배수 육가와 층하배관을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닥 슬래브를 시공할 때 배수 하부구조인 성형 슬리브를 매립하는 단계,
상기 성형 슬리브와 배수 육가의 위치의 차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성형 슬리브와 배수 육가의 차이 정도에 따라 상기 배수 육가의 설계 위치에 따라 상기 육가 연결부속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배수 육가의 나사 결합 정도의 높이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052A KR102296730B1 (ko) | 2019-07-31 | 2021-03-09 |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KR1020210112650A KR102376499B1 (ko) | 2021-03-09 | 2021-08-25 |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3353A KR102263174B1 (ko) | 2019-07-31 | 2019-07-31 |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KR1020210031052A KR102296730B1 (ko) | 2019-07-31 | 2021-03-09 |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3353A Division KR102263174B1 (ko) | 2019-07-31 | 2019-07-31 |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2650A Division KR102376499B1 (ko) | 2021-03-09 | 2021-08-25 |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919A true KR20210030919A (ko) | 2021-03-18 |
KR102296730B1 KR102296730B1 (ko) | 2021-09-02 |
Family
ID=752323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052A KR102296730B1 (ko) | 2019-07-31 | 2021-03-09 |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KR1020210112650A KR102376499B1 (ko) | 2021-03-09 | 2021-08-25 |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2650A KR102376499B1 (ko) | 2021-03-09 | 2021-08-25 |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9673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6329A (ko) | 2007-03-21 | 2008-09-25 | 이존경 |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
KR101290816B1 (ko) | 2012-03-20 | 2013-07-29 | 이현배쓰(주) |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
KR20130106730A (ko) * | 2012-03-20 | 2013-09-30 | 유영수 | 욕실용 배수트랩 |
KR20140049220A (ko) | 2012-10-17 | 2014-04-25 | 이현배쓰(주) |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
-
2021
- 2021-03-09 KR KR1020210031052A patent/KR102296730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8-25 KR KR1020210112650A patent/KR1023764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6329A (ko) | 2007-03-21 | 2008-09-25 | 이존경 |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
KR101290816B1 (ko) | 2012-03-20 | 2013-07-29 | 이현배쓰(주) | 건물 바닥 배수구 방수구조 |
KR20130106730A (ko) * | 2012-03-20 | 2013-09-30 | 유영수 | 욕실용 배수트랩 |
KR20140049220A (ko) | 2012-10-17 | 2014-04-25 | 이현배쓰(주) | 조립식 욕실의 층하배관 방수용 배수소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7590A (ko) | 2021-09-01 |
KR102296730B1 (ko) | 2021-09-02 |
KR102376499B1 (ko) | 2022-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5483B1 (ko) |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시공방법 | |
US8474068B2 (en) | Trench shower drain | |
KR20100025172A (ko) |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 |
CN108301466B (zh) | 整体预制卫生间沉箱和卫生间沉箱构造及其施工方法 | |
DK177078B1 (da) | Gulvelement samt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gulvelement | |
KR20160018122A (ko) | 조립식 욕실 바닥판 | |
KR102263174B1 (ko) |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
KR20100070745A (ko) |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 |
KR100592115B1 (ko) |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 |
KR20210030919A (ko) |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 |
KR100906762B1 (ko) |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 |
KR102422253B1 (ko) | 건물의 위생 배관 시공방법 | |
CN205024824U (zh) | 卫生间安装结构 | |
CN211665866U (zh) | 一种沉箱式卫生间二次排水管道 | |
KR20220131059A (ko) | 이중 배수시스템 | |
KR20110101529A (ko) | 조립식 세면욕실의 방수판용 층상배수관 장치 | |
KR100742403B1 (ko) |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 |
KR101907404B1 (ko) | 욕실 슬라브 배수장치 | |
FI127869B (fi) | Vesieristetyn tilan viemäröinnin uusimismenetelmä | |
KR100680871B1 (ko) |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 |
KR200415413Y1 (ko) | 세면대의 벽면 매설용 배수배관 | |
KR101089087B1 (ko) | 층상 배관용 방수판 | |
KR950018994A (ko)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시공방법 및 그 장치 | |
KR200338297Y1 (ko) |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 |
CN201487397U (zh) | 预埋承插式防水套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