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730A - 욕실용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욕실용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730A
KR20130106730A KR1020120028496A KR20120028496A KR20130106730A KR 20130106730 A KR20130106730 A KR 20130106730A KR 1020120028496 A KR1020120028496 A KR 1020120028496A KR 20120028496 A KR20120028496 A KR 20120028496A KR 20130106730 A KR20130106730 A KR 2013010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uide
trap
bathroom
collec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836B1 (ko
Inventor
유영수
김창연
Original Assignee
유영수
김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수, 김창연 filed Critical 유영수
Priority to KR102012002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5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orizontal position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인한 하수관의 막힘을 방지하는 욕실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함으로 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개선되도록 한 욕실용 배수트랩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슬라브에 매립 고정되는 확장트랩(2)의 상측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조절구(4)가 결합된 확장트랩(2)을 결합하고, 제1조절구(4)의 나사공(4a)에 승강 가능하게 상부의 집수패널(5)과 결합된 나사관(6a)을 조립하고, 나사관(6a) 내측의 배수구멍(6b)에 걸름망통(7)을 결합하며, 집수패널(5)의 상측을 마감덮개(8)로 덮어서 구성하는 욕실용 배수트랩(1)에 있어서; 상기 집수패널(5)에는 장타원 형상의 유도공(5a)을 형성하고, 집수패널(5)의 하측에는 나사관(6a)이 형성된 제2조절구(6)를 결합하되; 상기 집수패널(5)과 제2조절구(6)의 조립은 집수패널(5)의 하측으로 상단이 집수패널(5)에 끼워지는 가이드패널(9)을 설치하고, 가이드패널(9)의 좌우측에는 집수패널(5)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10)이 형성되도록 안내레일(9a)을 형성하며, 제2조절구(6)에는 상기 안내레일(9a)을 감싼 상태로 내입공간(10)에 내입되어 안내레일(9a)의 상면에 걸림되는 턱(6c)이 형성된 텐션안내구(6d)를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2조절구(6)가 가이드패널(9)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실용 배수트랩{Waste trap for bathroom}
본 발명은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로 인한 하수관의 막힘을 방지하는 욕실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라브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함으로 해서 현장에서의 타일 시공성이 개선되도록 한 욕실용 배수트랩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인한 하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욕실용 배수트랩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수트랩의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Y1) 20-0102066호(1996.06.28.)의 배수트랩이 있으며, 이는 하부몸체에 회동하는 플레이트를 덮고, 플레이트에 편심되도록 나사공을 형성하고, 나사공에 상판의 아래쪽에 결합된 중간체를 결합되도록 구성으로, 상판을 상하 및 좌우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판을 좌우로 위치 조절하는 경우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한 것으로 미세한 조절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코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Y1) 20-0123415호(1996.10.24.)의 배수전이 있으며, 이는 하부몸체의 상부를 고정링으로 덮고 고정링에는 요홈을 형성하고, 이에 나사공이 형성된 슬라이드판을 결합하고, 나사공에는 상부몸체의 아래쪽에 형성된 나사관을 조립되도록 한 구성한 것으로, 상부몸체의 위치를 모다 정밀하게 이동할 수 있는 등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전자는 플레이트의 편심량, 후자는 슬라이드판의 이동범위에서 이루어지며, 방향성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현장여건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근자에는 타일의 대형화로 상기한 구성의 제품들을 사용할 경우 타일 시공에 부합하도록 상판(상부몸체)을 평면상에서 볼 때 전후 또는 좌우로 동시에 이동이 불가능하여 시공성이 저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타일의 한쪽 모서리에 ㄱ형상으로 절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절단과정에서 타일의 파손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102066 Y1 1996.06.28. KR 200123415 Y1 1996.10.24.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슬라브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배수관 중심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함으로 해서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개선되도록 한 욕실용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슬라브에 매설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확장트랩에 슬라이드 이동하며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1조절구를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한 덮개를 결합하며, 상기 제1조절구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에는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30cm 타일의 폭에 부합하는 길이를 가지며 함몰 형성된 집수유도공간이 형성되도록 단조 성형되며 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장타원 형상의 유도공을 형성한 집수패널의 아래쪽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조립된 제2조절구의 하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나사관을 조립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제2조절구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걸름망통을 내입시킨 상태에서 마감덮개로 집수패널의 상측을 밀폐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집수유도공간에 내입되는 마감덮개는 배수공이 다수개 타공된
Figure pat00001
형의 금속판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집수유도공간에 내입되는 마감덮개는 마감덮개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측벽을 형성하여 타일조각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측벽과 본체의 전후측에 각각 스페이스돌기를 형성하여 집수유도공간과 사이에 배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마감덮개본체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돌기는 마감덮개본체에 끼워지는 타일의 양단이 걸림되도록 마감덮개본체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형성하여 타일조각을 고정하는 스토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욕실용 배수트랩을 사용할 경우 30cm 규격으로 제공되는 타일의 크기에 부합하는 크기로 집수패널이 형성되고, 제1조절구와 제2조절구를 이용하여 타일의 한 변과 일치하도록 집수패널을 이동할 수 있으므로 타일 시공시 타일을 집수패널의 폭에 부합하도록 절단하기만 하면 되므로 타일 시공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마감덮개를 마감덮개본체에 타일조각이 조립되도록 구성할 경우 시공 과정에서 절단된 타일조각을 마감덮개본체에 조립하여 배수트랩의 노출을 감출 수 있는 바, 욕실 바닥의 미관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욕실용 배수트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마감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6이 적용된 상태의 조립된 상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욕실바닥에 적용한 상태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욕실용 배수트랩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욕실용 배수트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도 3은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 도 5는 본 발명이 조립된 상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욕실용 배수트랩(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트랩(2)과, 상부에 제1조절구(4)가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어 확장트랩(2)을 밀폐하는 덮개(3)와, 단조 성형되며 장타원 형상의 유도공(5a)을 형성한 집수패널(5) 및 집수패널(5)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조립되며 제1조절구(4)의 나사공(4a)에 조립되는 나사관(6a)이 형성된 제2조절구(6)와, 제2조절구(6)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멍(6b)으로 내입되는 걸름망통(7)과, 집수패널(5)의 상측에 덮이는 마감덮개(8)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트랩(2)은 슬라브에 매설상태로 고정되는 부재로서 중앙 하측으로 배수관이 결합되고 상부에 넓게 확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집수조(2a)가 확장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확장트랩(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되거나, 사각형상(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덮개(3)는 확장트랩(2)의 집수조(2a)를 밀폐하는 부재로서, 몸체(3a)의 상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3b)을 따라서 이동하는 제1조절구(4)가 결합되며, 몸체(3a)의 양측 가이드홈(3b) 사이에는 장타원 형상의 가이드홀(3c)을 형성하고, 가이드홀(3c)에는 제1조절구(4)의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중앙에 나사공(4a)이 형성된 가이드관(4b)을 조립한다.
이러한 제1조절구(4)의 조립 구성은 가이드홀(3c) 내에서 가이드관(4b)이 이동하는 거리만큼 제1조절구(4)가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조절구(4)의 나사공(4a)에는 제2조절구(6)의 하측으로 형성된 나사관(6a)이 조립된다. 제1조절구(4)와 제2조절구(6)의 나사결합은 제2조절구(6)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조절구(6)의 상측으로는 집수패널(5)이 조립되며, 상기 집수패널(5)은 단조 성형되며 장타원 형상의 유도공(5a)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쪽에서 유도공(5a)쪽으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배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집수패널(5)과 제2조절구(6)의 조립은 집수패널(5)의 하측으로 상단이 집수패널(5)에 끼워지는 가이드패널(9)을 설치하고, 가이드패널(9)의 좌우측에는 집수패널(5)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10)이 형성되도록 안내레일(9a)을 형성하고, 제2조절구(6)에는 상기 안내레일(9a)을 감싼 상태로 내입공간(10)에 내입되어 안내레일(9a)의 상면에 걸림되는 턱(6c)이 형성된 텐션안내구(6d)를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2조절구(6)가 가이드패널(9)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제1,2조절구(4)(6) 구성은 최상단 집수패널(5)을 평면에서 볼 때 X축 및 Y축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있다.
상기 제2조절구(6)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멍(6b)에 내입 설치되는 걸름망통(7)은 받침통(7a)에 유입통(7b)을 나사 결합하되, 받침통(7a)과 유입통(7b) 사이에 유로(7c)를 형성하여 유입통(7b)으로 유입되는 오폐수가 유로(7c)를 통해 받침통(7a) 상부로 오버플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다.
상기 제2조절구(6)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장자리쪽에서 중앙의 배수구멍(6b)쪽으로 하향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가이드패널(9)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2조절구(6)와 가이드패널(9) 사이의 틈새로 오폐수가 넘치는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집수패널(5)의 상측을 밀폐하는 마감덮개(8)는 배수공(8a)이 다수개 타공된 금속판의 양단을 하향 절곡하여
Figure pat00002
형이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마감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도 8은 도 6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공될 수 있는 마감덮개(8)를 배수트랩 설치시 절단되어 버려지는 타일조각(11a)을 재활용하여 바닥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마감덮개(8)는 집수패널(5)의 상측을 밀폐하는 부재로서 유도공(5a)간에 내입되는 덮개본체(8b)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상단에 걸림턱(8c)이 형성되는 측벽(8d)을 형성하여 타일조각(11a)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측벽(8d)과 덮개본체(8b)의 전후측에 각각 스페이스돌기(8e)를 형성하여 유도공(5a)간과 사이에 배수공간(12)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덮개본체(8b)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돌기(8e)는 덮개본체(8b)에 끼워지는 타일조각(11a)의 양단이 걸림되도록 덮개본체(8b)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형성하여 타일조각(11a)을 고정하는 스토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돌기(8e)는 덮개본체(8b)의 아래쪽으로 조금 돌출되게 구성하여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욕실용 배수트랩(1)은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설치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건물의 슬라브에는 실내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배출하는 하수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하수관의 입구 쪽에 위치하도록 슬라브에 1차 확장트랩(2)을 매립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확장트랩(2)이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배수트랩(1)을 설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트랩(2)의 상측으로 먼저 제1조절구(4)가 결합되어 있는 덮개(3)를 결합하고, 제1조절구(4)의 나사공(4a)에 집수패널(5)에 결합되어 있는 제2조절구(6)의 나사관(6a)을 조립한다. 이때 나사공(4a)에 결합되는 나사관(6a)의 체결 정도에 따라 집수패널(5)의 상단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조절구(4)와 제2조절구(6)를 설치한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1)을 결합하면 되는데, 본 발명은 제1, 제2조절구(6)가 각각 덮개(3)와 집수패널(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므로 평면에서 볼 때 최상부에 위치하는 집수패널(5)을 X축 및 Y축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타일(11) 설치에 있어서도 집수패널(5)의 길이방향 변이 타일(11)의 한쪽변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집수패널(5)을 고정시키고, 집수패널(5)의 폭만큼 타일(11)을 절단하면 되므로 타일(11)을 절단하는 과정 등에서 타일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도 6 내지 도 8의 경우 마감덮개(8)에 타일조각(11a)을 결합할 경우 배수트랩(1)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배수트랩(1)으로 인한 타일(11) 바닥의 미관성 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욕실용) 배수트랩 2:확장트랩
2a:집수조 3:덮개
3a:몸체 3b:가이드홈
3c:가이드홀 4:제1조절구
4a:나사공 4b:가이드관
5:집수패널 5a:유도공
6:제2조절구 6a:나사관
6b:배수구멍 6c:턱
6d:텐션안내구 7:걸름망통
7a:받침통 7b:유입통
7c:유로 8:마감덮개
8a:배수공 8b:덮개본체
8c:걸림턱 8d:측벽
8e:스페이스돌기 9:가이드패널
9a:안내레일 10:내입공간
11:타일 11a:타일조각
12:배수공간

Claims (3)

  1. 슬라브에 매립 고정되는 확장트랩(2)의 상측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조절구(4)가 결합된 확장트랩(2)을 결합하고, 제1조절구(4)의 나사공(4a)에 승강 가능하게 상부의 집수패널(5)과 결합된 나사관(6a)을 조립하고, 나사관(6a) 내측의 배수구멍(6b)에 걸름망통(7)을 결합하며, 집수패널(5)의 상측을 마감덮개(8)로 덮어서 구성하는 욕실용 배수트랩(1)에 있어서,
    상기 집수패널(5)에는 장타원 형상의 유도공(5a)을 형성하고, 집수패널(5)의 하측에는 나사관(6a)이 형성된 제2조절구(6)를 결합하되,
    상기 집수패널(5)과 제2조절구(6)의 조립은 집수패널(5)의 하측으로 상단이 집수패널(5)에 끼워지는 가이드패널(9)을 설치하고, 가이드패널(9)의 좌우측에는 집수패널(5)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내입공간(10)이 형성되도록 안내레일(9a)을 형성하며, 제2조절구(6)에는 상기 안내레일(9a)을 감싼 상태로 내입공간(10)에 내입되어 안내레일(9a)의 상면에 걸림되는 턱(6c)이 형성된 텐션안내구(6d)를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제2조절구(6)가 가이드패널(9)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8)는 집수패널(5)에 함몰되게 형성된 유도공(5a)간에 내입되는 덮개본체(8b)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상단에 걸림턱(8c)이 형성되는 측벽(8d)을 형성하여 타일조각(11a)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측벽(8d)과 덮개본체(8b)의 전후측에 각각 스페이스돌기(8e)를 형성하여 유도공(5a)간과 사이에 배수공간(12)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트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8b)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스페이스돌기(8e)는 덮개본체(8b)에 끼워지는 타일조각(11a)의 양단이 걸림되도록 덮개본체(8b)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형성하여 타일조각(11a)을 고정하는 스토퍼기능을 수행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배수트랩.
KR1020120028496A 2012-03-20 2012-03-20 욕실용 배수트랩 KR10131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496A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2-03-20 욕실용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496A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2-03-20 욕실용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730A true KR20130106730A (ko) 2013-09-30
KR101319836B1 KR101319836B1 (ko) 2013-10-17

Family

ID=4945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496A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2-03-20 욕실용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770A (zh) * 2017-12-28 2018-04-20 庄庆国 一种下沉式卫生间同层排水器
KR20180003654U (ko) * 2018-12-14 2018-12-27 고태희 배수 트랩
KR101987145B1 (ko) * 2018-10-16 2019-09-30 주식회사 건하인스텍 배수용 집수조
CN111910733A (zh) * 2020-07-01 2020-11-10 浙江军天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排水管道铺设结构及其铺设方法
KR20210030919A (ko) * 2019-07-31 2021-03-18 이현배쓰(주)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69B1 (ko) * 2017-02-20 2018-12-2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바닥 배수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30Y1 (ko) 2000-02-09 2000-07-15 최준식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196773Y1 (ko) 2000-04-10 2000-09-15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배수 트랩
KR100566098B1 (ko) 2003-07-16 2006-03-31 장명수 배수트랩
KR200444354Y1 (ko) 2008-01-16 2009-05-07 김하용 욕실 바닥용 배수트랩의 걸름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770A (zh) * 2017-12-28 2018-04-20 庄庆国 一种下沉式卫生间同层排水器
CN107938770B (zh) * 2017-12-28 2024-01-09 庄庆国 一种下沉式卫生间同层排水器
KR101987145B1 (ko) * 2018-10-16 2019-09-30 주식회사 건하인스텍 배수용 집수조
KR20180003654U (ko) * 2018-12-14 2018-12-27 고태희 배수 트랩
KR20210030919A (ko) * 2019-07-31 2021-03-18 이현배쓰(주)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CN111910733A (zh) * 2020-07-01 2020-11-10 浙江军天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排水管道铺设结构及其铺设方法
KR20210107590A (ko) * 2021-03-09 2021-09-01 이현배쓰(주) 육가 연결부속을 이용한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836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36B1 (ko) 욕실용 배수트랩
US20150122337A1 (en) Space saving water draining system developed for use in sanitary installation products and comprising hidden overflow system
US20100180374A1 (en) Low-profile basin installed with a built-in drain
JP2006125185A (ja) 側溝を備えた舗装路の構造及び側溝ブロック
KR101215995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JP2006328772A (ja) 浴室ユニット
KR20160023084A (ko) 격자형 그레이팅의 덮개편 구조
ITVR20030050U1 (it) Canalina componibile provvista di mezzi che consentono l'aggancio e lo sgancio rapido di ulteriori componenti che la completano
KR101599329B1 (ko) 덮개 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배수 트렌치
JP5460470B2 (ja) グレーチング付き側溝の排水構造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CN105401637B (zh) 带有嵌件的排水装置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KR102052909B1 (ko)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KR20110044001A (ko) 배수구 덮개
KR101156980B1 (ko)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71047B1 (ko) 선박용 배수로 덮개
KR20040815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KR10141531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JP4996368B2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を連ねて構築される排水路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20230153159A (ko) 누수 방지형 배수트렌치
KR100852086B1 (ko) 그레이팅 어셈블리
JP5302135B2 (ja) 玄関ポーチの側溝構造
JP2017110389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