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773Y1 -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773Y1
KR200196773Y1 KR2020000010119U KR20000010119U KR200196773Y1 KR 200196773 Y1 KR200196773 Y1 KR 200196773Y1 KR 2020000010119 U KR2020000010119 U KR 2020000010119U KR 20000010119 U KR20000010119 U KR 20000010119U KR 200196773 Y1 KR200196773 Y1 KR 200196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ase
sleeve
drain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00010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7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베란다의 슬래브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에 타일 부착시 배수 트랩의 구조적 간섭으로 인해 타일이 절단되어 설치되야 하는 것을 제거하고, 그로 인해 타일의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물 베란다의 슬래브에 드레인파이프가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외주가 나사부로 형성되고, 상단의 외주에는 칼라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층에 위치한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과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단에는 플렌지를 가지며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과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절슬리브와;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장슬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케이스홈이 형성되어 조절슬리브의 플렌지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와; 상부에는 인렛홀과 양측에 상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패널이 형성되며, 바닥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아웃렛홀이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케이스홈에 삽입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플레이트의 연결슬리브의 내부에 드레인파이프의 높낮이 변동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게 나사식으로 결합된 가변슬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 트랩{DRANING TRAP}
본 고안은 주택의 베란다 슬래브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레인파이프에 오수관을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타일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란다용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는 베란다에 설치된 세탁기나 청소하면서 발생하는 오수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파이프들이 각 층의 슬래브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파이프가 설치되는 베란다의 슬래브 바닥면에는, 외관상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을 지닌 타일이 설치된다. 이러한 타일은 대부분 도기 종류여서 연성이 없으므로 원하는 형태로 절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을 분리하는 슬래브(202)가 구성되고, 이 슬래브(202)에는 오수가 정화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드레인파이프(204)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 드레인파이프(204)의 상부 일측에는 오수의 유입을 안내하고, 트랩파이프 연결시 구조적 강화를 위해서 보스(20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스(206)에는 오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동시에 드레인파이프(202)내의 가스와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굴곡형의 트랩파이프(208)의 후단부가 결합되고, 트랩파이프(208)의 선단에는 슬래브(202)에 관통되어 설치된 가이드파이프 (210)의 하단부가 결합된다.
가이드파이프(210) 상단부에는 오수의 찌꺼기를 걸르는 그리드(112)가 설치된다.
상기한 드레인파이프(204)와 트랩파이프(208), 가이드파이프(210) 등은 건물의 각층을 구성하는 슬래브(202)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슬래브(202)의 바닥에는 사각형 타일(214)이 설치되는데, 이 타일(214)은 드레인파이프(204)와 가이드파이프(210)가 설치된 지점에서는 간섭되는 부분을 절단하여 본래의 모양과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부착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의 작용은 사용자가 베란다에서 세탁기를 사용하거나 청소를 하게 되면 오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오수는 내포하고 있는 찌꺼기가 그리드(212)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며 가이드파이프(210)를 따라 트랩파이프(208)로 낙하하게 된다.
오수는 트랩파이프(208)를 지나 드레인파이프(204)로 유입되면서 정화조로 이동하여 여과된 후 하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오수로 부터 발생한 각종 악취와 가스 등이 드레인파이프(204)를 통하여 상승하면서 트랩파이프(208)로 이동하여 오는데, 이와 같이 역류한 악취는 트랩파이프(208)의 굴곡진 부분에 모여진 오수에 의하여 더 이상의 역류가 차단된다.
따라서, 베란다 위는 항상 쾌적한 환경이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배수트랩은 드레인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가 슬래브상에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이고, 드레인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의 형태가 원형이어서, 슬래브 바닥면상에 설치되는 타일이 드레인파이프와 가이프파이프의 지점에서는 구조적, 형태적 간섭으로 타일이 본래의 모양과는 다르게 절단되어 설치되는데, 타일이 대부분 도기 종류로 제조되고, 이러한 타일은 연성이 없기 때문에 취약하여 간섭부분만 절단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절단시 원하지 않는 부분까지 깨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며, 결과적으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배수 트랩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슬라브층(308)을 구성할 때 함께 구성된 중심축(A)을 갖는 배수구(311)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의 배수트랩 본체(301)의 상축 내주면에 결합되는 원판형 타원 모양의 회전판(302)을 구성하였다.
이때, 회전판(302)은 장,단축을 갖는 타원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축 방향 양측 외주면에 걸림돌기(미도시)를 구성하여, 동일 장,단축 방향을 갖는 타원 원판형 이동판(303)의 외주면에 걸림돌기와 결합되어 장축방향으로 이동판(303)이 왕복동 운동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배수구(311)와 연통되는 배수구의 연장구가 회전판(302)의 일측에 구성되며, 이동판(303)의 중앙에 구성되도록 하여, 이동판(303)이 회전판(302)과 일치되는 위치에 있게되면 배수구(311)의 중심축(A)과 이동판(303) 중심축(B)과 서로 일치하게 되지만, 이동판(303)이 회전판(302)의 장축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면 배수구(311) 중심축(A)과 이동판(303) 중심축(B)과는 일정거리 a 만큼의 거리가 생기게 되며, 이때, 배수트랩 본체(301)와 회전판(302)이 회전가능하므로, 회전판(302)이 본체(301)로 부터 360°회전할 수 있게되어, 결국 이동판(303) 중심축(B)이 고정 가능위치는 본체(301) 중심축, 즉 배수구(311)의 중심축(A)으로부터 일정거리 a 만큼의 반경내의 어디든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판(303)과 결합되는 사각판형의 높낮이조절판(305)은 이동판(303) 구멍 내주면의 암나사부(303a)와 결합되는 높낮이조절판(305)이 수나사부(305a)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어, 시공되는 타일의 높이에 알맞게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참조번호 304는 집수구, 306은 커버, 307은 오물걸름망이다.
상기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수트랩은 타일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배수구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배수트랩은 배수구의 최선단에 설치할때 적용되는 구조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각층마다 배수구를 설치해야 할때에는 연속되는 배수파이프의 일측과 배수구를 연결하는 별도의 파이프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배수구와 배수트랩을 각각 구비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드레인파이프에 오수의 관로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배수트랩의 구조 및 타일의 형태와 동화되는 배수트랩의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타일이 원형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작업성 향상과 함께 미려함을 해치지 않고 타일설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a은 종래의 배수트랩이 베란다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다른 배수트랩이 베란다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이 베란다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일부 구성 요소인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콘크리트 106: 드레인 파이프 108: 하우징
110: 나사부 112: 칼라 114: 보스
116: 조절슬리브 118: 플렌지 120: 플레이트
122: 연결슬리브 124: 가이드 126: 걸림턱
127: 가변슬리브 128: 걸림턱 129: 케이스홈
130: 가드 132: 케이스 134: 인렛홀
135: 가이드 플렌지 136: 가이드패널 138: 아웃렛홀
140: 그리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배수 트랩은 건물 베란다의 슬래브에 드레인파이프가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슬래브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외주가 나사부로 형성되고, 그 상단의 외주에는 칼라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층에 위치한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과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된 하우징(108)과; 상단에는 플렌지를 가지며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과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절슬리브(116)와;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장슬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케이스홈이 형성되어 조절슬리브의 플렌지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120)와; 상부에는 인렛홀을 가지며 상부 양측에 상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패널이 형성되고, 바닥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아웃렛홀이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케이스홈에 삽입설치되는 케이스(132); 및 상기 플레이트의 연결슬리브의 내부에 드레인파이프의 높낮이 변동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게 나사식으로 결합된 가변슬리브(1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32)의 가이드패널은 오수의 가스와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게 케이스(132)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스(132)의 상단에는 오염된 물에 내포된 찌꺼기를 걸려주는 그리드(140)가 가이드패널(136)의 후단부상에 안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변슬리브(127)의 상부에는 드레인파이프(106)의 하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가드(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은 드레인파이프로 유입되는 오수의 관로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부분은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타일의 형상과 동일한 사각의 플레이이트로 형성하므로서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타일의 구조적, 형태적 간섭을 제거하므로서 타일이 본래의 모양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는 구조적 간섭 부분을 절단하여 타일을 설치하였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해서 타일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상기한 바와 같이 타일의 본래 형상을 유지하여 설치하므로 타일 외관의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이 베란다의 슬래브에 매립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일부 구성 요소인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또는 다세대 주택 등의 건축 구조물에는 각 층을 분리하는 슬래브(102)가 구성되는데, 이 슬래브(102)에는 오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하우징(108)이 드레인파이프(106)와 결합되어 매설된다.
상기한 하우징(108)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8)의 하부 외주면에는 슬래브(10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11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슬래브(102)에 매설될 때 슬래브 바닥에 걸리도록 칼라(112)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아랫층에 위치한 드레인파이프(106)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보스(11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8)의 상부 내부에는 슬래브(102)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절슬리브(116)가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그 상단 외주에는 플렌지(118)가 형성된다.
플렌지(118)의 상부에는 사각형의 플레이트(120)가 안착되고, 이 플레이트(120)에는 원통형의 연결슬리브(122)가 하방을 향하여 일체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연결슬리브(122)가 형성되고 남은 여분의 플레이트(120)면에는 케이스홈(129)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홈(129)는 여분의 플레이트(120) 공간을 적절히 사용하고, 오수가 흘러 들어올때 와류를 방지하여 오수의 유입을 신속히 유도하기 위하여 곡면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케이스홈(129)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124)가 형성되며, 가이드(124)의 상단부에는 가이드(124)의 내부로 안착되는 케이스의 걸림역할을 하는 케이스걸림턱(126)이 가이드(124)의 상부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와 함께 연결슬리브(122) 내부에 설치되는 드레인파이프(106)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슬리브(127)가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가변슬리브(127)의 상부 내주에는 드레인파이프(106)의 하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된 걸림턱(128)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가변슬리브(127)의 상부에는 타일(142)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여 오는 물체의 충격으로 부터 드레인파이프(106)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가드(130)가 설치된다.
상기한 가이드(124)에는 드레인파이프(106)로 부터 역류하여 오는 가스와 오수의 악취 등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스(132)가 결합되는데, 케이스(132)의 상부에는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인렛홀(134)이 형성되고, 케이스(132)의 상단 외주에는 케이스걸림턱(126)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플렌지(135)가 형성된다.
상기한 케이스(132)의 상부 양측에는 오염된 오수가 가운데로 모아질 수 있도록 가이드패널(136)이 형성되는데, 상기한 가이드패널(136)은 케이스(132)의 상단부로 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오수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하여 오수의 흐름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가이드패널(136)의 선단부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악취가 역류되지 못하도록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절곡되면서 형성된다.
상기한 케이스(132)의 일측에는 케이스(132)에 일정량 이상의 오수가 유입된 후에 배출될 수 있도록 아웃렛홀(138)이 형성된다. 즉 아웃렛홀(138)은 케이스(132)의 바닥면에서 상당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므로서 케이스(132)내에는 항상 일정량의 오수가 충진되어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케이스(132)의 상단부에는 오염된 물에 내포된 찌꺼기를 걸러주는 그리드(140)가 가이드패널(136)의 후단부상에 안착되면서 결합된다.
그리드(140)에는 다수의 슬릿홀(141)이 형성되어 오수가 흘러들어갈때 슬릿홀(141)에서 1차적으로 부피가 큰 찌꺼기가 걸러지고, 또한 그리드(140)의 슬릿홀(141)에는 세탁기에 설치된 호스가 직접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호스구멍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한 슬래브(102)의 바닥면에는 외관상 미려함을 창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타일(142)이 시멘트로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타일(142)은 슬래브(102)의 바닥면 상부로 노출된 플레이트(120)가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즉 플레이트의 형상과 플레이트와 접하여 설치되는 타일의 형태가 동일하여 타일 설치시 구조적, 형태적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타일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여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44는 호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 5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란다에 설치된 세탁기가 가동되거나 물청소에 의하여 오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오수는 그리드(14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오수에 내포된 찌꺼기는 그리드(140)에 의해 걸러지면서 케이스(132)의 인렛홀(134)로 유입되고, 계속하여 상기 오수는 경사지게 설치된 가이드패널 (136)을 따라 흐르면서 케이스(132)의 중앙부 바닥으로 유입된다.
게이스(132)의 바닥으로 유입된 오수는 케이스(132)의 내부에서 일정량 이상 충만될 때 까지 일시적으로 머물러 있다가 아웃렛홀(138)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오수에 내포된 찌꺼기는 케이스(132) 바닥으로 가라앉으면서 쌓이게 된다.
외부로 유출된 오수는 하우징(108)의 바닥으로 낙하하면서 일측방향으로 흘러 드레인파이프(106)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오수는 드레인파이프(106)를 따라 하방으로 낙하한 후 정화조로 이동하여 여과되고, 최종적으로는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오수가 드레인파이프(106)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스와 특유의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가스와 악취는 드레인파이프(106)를 따라 상승하여 하우징(108)으로 유입되면서 케이스(132)의 아웃렛홀(138)로 들어가게 된다.
케이스(132)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와 악취는 오수의 수면 아래로 위치하고 있는 가이드패널(136)에 의하여 더 이상의 진행은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란다에서 작업하기에는 쾌적한 환경이 항상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드레인파이프로 유입되는 오수의 관로를 드레인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고,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오수의 관로 부분은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타일의 형상과 동일한 사각의 플레이이트로 형성하므로서 슬래브상에 설치되는 타일의 구조적, 형태적 간섭을 제거하므로서 타일이 본래의 모양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존에는 구조적 간섭 부분을 절단하여 타일을 설치하였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타일의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타일의 본래 형상을 유지하여 설치하므로 타일 외관의 미려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건물 베란다의 슬래브에 드레인파이프가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슬래브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외주가 나사부로 형성되고, 그 상단의 외주에는 칼라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층에 위치한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과 결합되는 보스가 형성된 하우징(108)과; 상단에는 플렌지를 가지며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과 나사식으로 결합된 조절슬리브(116)와;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연장슬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케이스홈이 형성되어 조절슬리브의 플렌지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레이트(120)와; 상부에는 인렛홀을 가지며 상부 양측에 상단부로 부터 일정거리 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패널이 형성되고, 바닥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아웃렛홀이 형성되어 플레이트의 케이스홈에 삽입설치되는 케이스(132); 및 상기 플레이트의 연결슬리브의 내부에 드레인파이프의 높낮이 변동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게 나사식으로 결합된 가변슬리브(1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32)의 가이드패널은 오수의 가스와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게 케이스(132)의 바닥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3. 상기 케이스(132)의 상단에는 오염된 물에 내포된 찌꺼기를 걸려주는 그리드(140)가 가이드패널(136)의 후단부상에 안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슬리브(127)의 상부에 드레인파이프(106)의 하단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가드(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KR2020000010119U 2000-04-10 2000-04-10 배수 트랩 KR200196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119U KR200196773Y1 (ko) 2000-04-10 2000-04-10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119U KR200196773Y1 (ko) 2000-04-10 2000-04-10 배수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773Y1 true KR200196773Y1 (ko) 2000-09-15

Family

ID=1965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119U KR200196773Y1 (ko) 2000-04-10 2000-04-10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7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55B1 (ko) * 2002-02-21 2004-07-21 김하용 배수트랩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3-10-17 김창연 욕실용 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55B1 (ko) * 2002-02-21 2004-07-21 김하용 배수트랩
KR101319836B1 (ko) 2012-03-20 2013-10-17 김창연 욕실용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530Y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KR200196773Y1 (ko) 배수 트랩
EP3158144B1 (en) A debris trap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CN201089959Y (zh) 浴室排水汇流装置
TWI525238B (zh) Drainage assembly
CA2433969A1 (en) Two-way trap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200317103Y1 (ko) 하수구 냄새 차단장치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200282577Y1 (ko) 착탈식 걸름망 구조를 갖는 건축용 수직배수관 이음기구
KR0123415Y1 (ko) 배수전
KR20160057135A (ko) 배수트랩용 이물질 걸름부재
KR100451895B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KR200270114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0139488Y1 (ko) 하수구 악취방출 차단용 트랩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KR200250129Y1 (ko) 배수전
JP6233749B2 (ja) ドレン
CN2723536Y (zh) 浴室排水汇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