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129Y1 - 배수전 - Google Patents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129Y1
KR200250129Y1 KR2020010016957U KR20010016957U KR200250129Y1 KR 200250129 Y1 KR200250129 Y1 KR 200250129Y1 KR 2020010016957 U KR2020010016957 U KR 2020010016957U KR 20010016957 U KR20010016957 U KR 20010016957U KR 200250129 Y1 KR200250129 Y1 KR 200250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guide
main body
sewage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순 filed Critical 박점순
Priority to KR2020010016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129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실이나 주방 또는 배란다등의 바닥에 매립설치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전의 시공시 배수가이드의 높이 및 좌우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타일을 조각으로 형성시키지 않게됨으로 외형적인 바닥타일의 미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며 오수가 유입되는 소정길이의 그릴(21)이 안착되어지는 배수가이드(20)를 구비한 배수전에 있어서: 상기 배수가이드(20)는 회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10)를 매개로 하여 본체(1)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더(10)는 본체(1)의 내경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고정링(11) 및 상기 고정링(11)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판(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가이드(20)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통체(13)가 일체로 구비되어짐으로서 슬라이드판(12) 내경부와의 치합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전{A DRAIN ASSEMBLY}
본 고안은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바닥 마감재인 타일의 시공 높이나 배치형태에 따라 배수가이드의 위치를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시의 작업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배수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전은 화장실이나 주방 또는 배란다등의 바닥에 매립설치되어지는 구조체로서, 오수가 이 배수전을 통해 하수도로 빠져나가도록 하는데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특히, 화장실에 설치되어지는 배수전 본체의 경우는 각각의 유입구를 통해 세면대, 욕조, 및 욕실바닥으로 부터 유입되어지는 오수가 모여지게 되는데, 그 상부에는 상기 욕실바닥으로 부터 오수가 신속히 유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길이의 배수가이드가 결합 설치되어지게 된다.
한편 욕실의 시공시 상기 배수가이드는 바닥 마감재인 타일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배수가이드는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타일의 시공시 불가피하게 타일이 배수가이드보다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는 상호간에 단턱이 생겨 시공후 타일의 파손이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배수가이드의 주변에 타일을 배치하는 경우 간격차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배수가이드 근접부에는 간격에 맞도록 깨어진 타일조각을 사용하여 마무리해야 함으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키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배수전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배수가이드의 높낮이 및 좌우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매립설치시의 작업성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위치하며 오수가 유입되는 소정길이의 바닥 배수가이드를 구비한 배수전에 있어서: 상기 배수가이드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부와 슬라이드판으로 구성되어져 있는 슬라이더를 매개로 하여 본체에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가이드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통체가 일체로 구비되어짐으로서 슬라이드판 내경부와의 치합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전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배수전 구조체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상기 배수전 구조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전 구조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슬라이더
20 : 배수가이드 21 : 그릴
22 : 거름망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전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된 단면도, 도 3은 슬라이드 동작시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전의 구조를 살펴보면 바닥에 매설되어지는 본체(1)와, 좌우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10),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0)에 의해 본체(1)의 상부에 결합되어지는 소정길이의 배수가이드(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유입관을 통해 세면대 및 욕조로 부터 오수가 유입되어지는 복수의 유입구(2,3)가 측벽에 형성되었으며, 저면에는 배수관(미도시)이 연결되어지는 유출구(4)가 형성되었다.
상기 슬라이더(10)는, 본체(1)의 내경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링(11)과, 상기 고정링(11)에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그 내경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수가이드(20)에 나사산 치합되어지게 되는 슬라이드판(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가이드(20)는, 욕실 바닥을 통해 오수가 유입되어지는 그릴(21)이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내부에 삽입되어지는 배수트랩(23)의 유입구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망(22)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판(12)이 나사산 치합되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통체(13)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수가이드(20)의 상하 높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배수트랩(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상기 실시예의 배수전은 시공시 본체(1)가 낮게 매설되거나, 타일바닥이 높게 시공되더라도 상황에 따라 배수가이드(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 후 배수가이드(20)와 타일바닥의 경계에 단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배수전 본체(1)를 매설한 상태에서도 상기 슬라이더(10) 구조에 의해 배수가이드(20)의 좌우 위치이동이 가능함으로,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높이조절과 함께 타일바닥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절한 위치로 배수가이드(20)를 수평이동시킴으로서 별도로 타일을 조각내지 않고 배치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2중 슬라이더 구조가 적용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전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배수가이드(20')의 상부에 별도의 그릴지지체(25)를 좌우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였으며, 이때 그릴지지체(25)의 하부에는 소정구간을 따라 배면돌출부(26)를 형성시킴으로서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운데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역할을 수행토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7은 오수안내용 통공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전은, 배수전 시공시 슬라이더(10)의 작용에 의해 배수가이드(20')의 일정간격 좌우이동이 이루어졌을때 그 슬라이딩 이동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그릴지지체(25)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서 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그릴지지체(25)의 이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오수안내용 통공(27)이 중단에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부에 안착되어지는 그릴()을 통해 욕실바닥으로 부터 유입되어지는 오수를 하부의 배수전 본체(1)로 안내하는데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배수전 결합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적용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기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배수전의 시공시 배수가이드의 높이 및 좌우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타일을 조각으로 형성시키지 않게됨으로 외형적인 바닥타일의 미감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2)

  1.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며 오수가 유입되는 소정길이의 그릴(21)이 안착되어지는 배수가이드(20)를 구비한 배수전에 있어서:
    상기 배수가이드(20)는 회전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10)를 매개로 하여 본체(1)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더(10)는 본체(1)의 내경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고정링(11) 및 상기 고정링(11)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판(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수가이드(20)의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진 통체(13)가 일체로 구비되어짐으로서 슬라이드판(12) 내경부와의 치합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21)은 별도의 그릴지지체(25)에 안착되어지되, 상기 그릴지지체(25)는 배수가이드(20)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그릴지지체(25)에는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기 위한 배면 돌출부(26)와, 오수가 통과되어지는 오수안내용 통공(27)이 각각 중단의 소정구간에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KR2020010016957U 2001-06-07 2001-06-07 배수전 KR200250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57U KR200250129Y1 (ko) 2001-06-07 2001-06-07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57U KR200250129Y1 (ko) 2001-06-07 2001-06-07 배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129Y1 true KR200250129Y1 (ko) 2001-11-16

Family

ID=7310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957U KR200250129Y1 (ko) 2001-06-07 2001-06-07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1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666B2 (en) Linear drain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EP3044383B1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CA2995031C (en) Floor sink strainer and assembly
CN102031824A (zh) 特别用于平地式淋浴的排水装置
KR200189530Y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250129Y1 (ko) 배수전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JP2006328772A (ja) 浴室ユニット
KR101405465B1 (ko) 세탁실용 배수 트랩
KR20060014017A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200196773Y1 (ko) 배수 트랩
KR0123415Y1 (ko) 배수전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148237B1 (ko) 욕실용 배수장치
KR200330948Y1 (ko) 배수관 연결구
KR100356546B1 (ko) 배수관 연결장치
KR200182301Y1 (ko) 배수관 장치의 상부 기틀 및 상부기틀판
KR20210012249A (ko) 발코니 배수구
KR100356537B1 (ko) 배수관 조립체
KR20130070050A (ko) 층간 소음 저감 배수 배관 조립체
KR101383124B1 (ko) 다기능 물받이
KR101073851B1 (ko) 층상 배수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