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465B1 - 세탁실용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세탁실용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465B1
KR101405465B1 KR1020120075648A KR20120075648A KR101405465B1 KR 101405465 B1 KR101405465 B1 KR 101405465B1 KR 1020120075648 A KR1020120075648 A KR 1020120075648A KR 20120075648 A KR20120075648 A KR 20120075648A KR 101405465 B1 KR101405465 B1 KR 10140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drain
pipe
sew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192A (ko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기업
Priority to KR102012007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4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4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adapted for attachment of washing machines or heating or cool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배수관의 선회 가이드 부를 통해서 오수(汚水)를 선회(旋回)시키면서 배출함으로써 오수를 좀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배출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물질이 아우터 트랩나 집수관의 바닥에 침전되지 않고 모두 오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의 배수호스(H)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집수(集水)할 수 있도록 세탁실 바닥 하부에 매립되며 일측에 오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는 집수관(110), 상기 집수관(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 캡(120), 상기 방수 캡(120)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집수관(110) 안으로 배치되고 양측 벽면에 오수 배출 홀(131)이 형성되는 아우터 트랩(130), 상기 방수 캡(120)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아우터 트랩(130) 안으로 배치되며 상 하부가 개구(開口)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아우터 트랩 바닥(S)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인너 트랩(140), 세탁기 배수호스(H)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조인트(어댑터)(150), 그리고 상기 호스 조인트(150)와 결합하여 상기 인너 트랩(140) 안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오수를 선회시키면서 배수하기 위한 선회 가이드 부(161)가 형성되는 오수 배수관(16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실용 배수 트랩{DRAIN TRAP FOR LAUNDRY ROOM}
본 발명은 세탁실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오수 배수관의 하부에 형성된 선회 가이드 부를 통해서 오수(汚水)를 선회(旋回)시키면서 배출함으로써 오수를 좀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오수 배출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물질이 아우터 트랩이나 집수관의 바닥에 침전되지 않고 모두 오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화장실, 베란다, 또는 세탁기가 설치되는 세탁실에는 바닥의 중앙이나 바닥의 구석진 부분에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되고, 이 배수구에는 여과 망에 의하여 배수구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봉수(封水)에 의하여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랩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세탁실용 배수 트랩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세탁실용 배수 트랩(10)은 세탁기의 배수호스(H)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를 집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오수 유입구(11a)가 형성되는 집수관(11); 상기 집수관(11)의 상부에 체결되어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 캡(12); 상기 방수 캡(12)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집수관(11) 안으로 배치되고, 양측 벽면에 오수 배출 홀(13a)이 형성되는 아우터 트랩(13); 상기 방수 캡(12)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아우터 트랩(13) 안으로 배치되며, 상 하부가 개구(開口)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아우터 트랩 바닥면(S)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인너 트랩(14); 세탁기 배수호스(H)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조인트(어댑터)(15); 상기 호스 조인트(15)와 결합하여 인너 트랩(14) 안으로 배치되는 오수 배수관(16);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스 조인트(15)와 상기 오수 배수관(16)의 연결부위에는 이들을 지지하며, 세탁실 바닥(플로워)에 흐르는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 홀(17a)이 다수 형성된 배수관 지지판(17)이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세탁실용 배수 트랩(10)에서는, 세탁기 배수호스(H)와 호스 조인트(어댑터)(15)를 연결하고, 세탁기의 배수 모드로 전환하여 오수를 배출하면, 세탁기의 오수가 세탁기 배수호스(H), 오수 배수관(16)을 거쳐 인너 트랩(14) 안으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세탁실 바닥(floor)에 흐르는 오수(汚水)는 배수관 지지판(17)의 배수 홀(17a)을 통해서 인너 트랩(14) 안으로 유입된다.
상기 인너 트랩(14) 안으로 유입된 오수는 일정 이격 거리로 인해 생긴 틈새를 통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여 아우터 트랩(13)의 오수 배출 홀(13a)을 통해서 집수관(11)으로 집수 된 후, 오수 유입구(11a)를 통해서 다른 배수관(미도시)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세탁실용 배수 트랩에서는, 오수가 아우터 트랩이나 집수관 내 벽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게 되어 오수 배출시 심한 배출소음을 발생함은 물론 이물질이 아우터 트랩 바닥면이나 집수관의 바닥면에 침전된 후 배출되지 못하여, 배수 속도가 느려지고, 배수에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탁실용 배수 트랩은 오수 배수관의 하부에 형성된 선회 가이드 부를 통해서 오수를 선회(旋回)시키면서 배출함으로써, 오수를 좀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배출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물질이 아우터 트랩이나 집수관의 바닥에 침전되지 않고 모두 오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탁실용 배수 트랩은 세탁기의 배수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를 집수(集水)할 수 있도록 세탁실 바닥 하부에 매립되며, 일측에 오수 유입구가 형성되는 집수관; 상기 집수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 캡; 상기 방수 캡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집수관 안으로 배치되고, 양측 벽면에 오수 배출 홀이 형성되는 아우터 트랩; 상기 방수 캡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아우터 트랩 안으로 배치되며, 상 하부가 개구(開口)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아우터 트랩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인너 트랩; 세탁기 배수호스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조인트(어댑터); 상기 호스 조인트와 결합하여 상기 인너 트랩 안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오수를 선회시키면서 배수하기 위한 선회 가이드 부가 형성되는 오수 배수관;을 구비한다.
상기 선회 가이드 부는 상기 오수 배수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도 각도로 3개의 터널이 선회방향을 따라 밴딩되는 구조이다.
상기 터널의 개구(開口)는 상기 오수 배수관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구조이다.
상기 오수 배수관 외벽 면과 상기 인너 트랩 내벽 면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오수 배수관이 상기 인너 트랩 정 중앙에 놓이게 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정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 배수관의 하부에 형성된 선회 가이드 부를 통해서 오수를 선회(旋回)시키면서 배출함으로써, 오수를 좀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를 선회(旋回)시켜서 오수가 아우터 트랩 및 집수관의 내 벽면에 부딪히지 않고 선회방향을 따라 배수함으로써, 배출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은 물론, 이물질이나 부유물이 아우터 트랩 바닥이나 집수관의 바닥에 가라앉지 않고 모두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실용 배수 트랩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의 호스 조인트와 세탁기의 배수호스의 연결을 보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세탁실용 배수 트랩을 보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수 배수관과 호스 조인트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I-I선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의 호스 조인트와 세탁기의 배수호스의 연결을 보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세탁실용 배수 트랩을 보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관과 호스 조인트를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100)은 세탁기(1)의 배수호스(H)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를 집수(集水)할 수 있도록 세탁실 바닥 하부에 매립되며, 일측에 오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는 집수관(110)을 구비한다.
상기 집수관(110)의 상부에는 방수 캡(120)이 체결되어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관(110)과 방수 캡(120) 사이에는 고무 패킹(P)이 개재된다.
상기 방수 캡(120)의 단턱(121)에는 아우터 트랩(130)의 상단이 지지되는 데, 아우터 트랩(130)은 상기 집수관(110) 안으로 배치되고, 양측 벽면에 오수 배출 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트랩(130)은 상부가 개구(開口)되고 하부가 폐쇄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방수 캡(120)에는 인너 트랩(140)의 상단이 지지되는 데, 인너 트랩(140)은 상기 아우터 트랩(130) 안으로 배치되며, 상 하부가 개구(開口)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아우터 트랩 바닥(S)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호스 조인트(어댑터)(150) 일측에는 세탁기 배수호스(H)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호스 조인트(어댑터)(150) 타측에는 상기 인너 트랩(140) 안으로 배치되는 배수관(160)이 체결된다.
상기 호스 조인트(150)와 상기 오수 배수관(160)의 연결부위에는 이들을 지지하며, 세탁실 바닥(Floor)에 흐르는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 홀(171)이 다수 형성된 배수관 지지판(170)이 체결된다.
상기 오수 배수관(160)의 하부에는 오수를 선회(旋回)시키면서 배수하기 위한 선회 가이드 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선회 가이드 부(161)는 상기 오수 배수관(16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120도 각도로 3개의 터널(161a)이 선회방향을 따라 밴딩되는 구조로서, 상기 터널(161a)의 개구(開口)는 상기 오수 배수관(160)의 중심(C)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오수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3a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오수 배수관(160) 외벽 면에 상기 오수 배수관(160)이 상기 인너 트랩(140) 정 중앙에 놓이게 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정 돌기(A)가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b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인너 트랩(140) 내벽 면에 상기 오수 배수관(160)이 상기 인너 트랩(140) 정 중앙에 놓이게 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정 돌기(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 돌기(A)는 오수 배수관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120도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180도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탁기 배수호스(H)와 호스 조인트(어댑터)(15)를 연결하고, 세탁기(1)의 배수 모드(Mode)로 전환하여 오수(汚水)를 배출하면, 세탁기(1)의 오수가 세탁기 배수호스(H), 오수 배수관(160)을 거쳐 인너 트랩(140) 안으로 유입된다.
이때, 오수 배수관(160)의 하부에 형성된 선회 가이드 부(161)를 통해서 오수가 가이드 되고 배출되어 아우터 트랩(130) 내벽 면에 부딪히지 않고 아우터 트랩(130) 내벽 면을 따라 선회(旋回)하며, 오수 배출 홀(131)을 통해서 배출된 후 집수관(110)으로 집수(集水) 된다.
이와 동시에 세탁실 바닥(플로워)에 흐르는 오수는 배수관 지지판(170)의 배수 홀(171)을 통해서 인너 트랩(140) 안으로 유입된 후 터널(161a)과 터널(161a) 사이의 영역(B: 도 5 참조)으로 유입되고, 선회 가이드 부(161)를 통해서 배수된 오수와 함께 선회하여 오수 배출 홀(131)을 통해서 배출되어 집수관(110)으로 집수된다. 집수관(110)으로 모인 오수는 오수 유입구(111)를 통해서 외부로 배수되거나 다른 배수관(미도시)으로 배출된다.
오수를 배수한 이후에는 아우터 트랩(130) 안에 오수가 일부 남아서 오수 배출 홀(131)을 차단함으로써, 악취가 역류하여 세탁실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세탁실용 배수 트랩(100)에 있어서는, 오수를 배출함에 있어서 오수 배수관(160)의 하부에 형성된 선회 가이드 부(161)를 통해서 오수를 선회(旋回)시키면서 배출함으로써, 오수를 좀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오수가 아우터 트랩(130) 내벽 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배출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이물질이 아우터 트랩(130)이나 집수관(110)의 바닥에 침전하지 않고 모두 오수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 이물질이 오수 유입구를 막아 발생하는 오수 배출 장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00: 세탁실용 배수 트랩
110: 집수관
111: 오수 유입구
120: 방수 캡
130: 아우터 트랩
131: 오수 배출 홀
140: 인너 트랩
150: 호스 조인트(어댑터)
160: 오수 배수관
161: 선회 가이드 부
161a: 터널
170: 배수관 지지판
171: 배수 홀
A: 위치조정 돌기
L: 오수 배수관의 중심축

Claims (4)

  1. 세탁기(1)의 배수호스(H)로부터 배출되는 오수(汚水)를 집수(集水)할 수 있도록 세탁실 바닥 하부에 매립되며, 일측에 오수 유입구(111)가 형성되는 집수관(110); 상기 집수관(110)의 상부에 체결되어 오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수 캡(120); 상기 방수 캡(120)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집수관(110) 안으로 배치되고, 양측 벽면에 오수 배출 홀(131)이 형성되는 아우터 트랩(130); 상기 방수 캡(120)에 상단이 지지되어 상기 아우터 트랩(130) 안으로 배치되며, 상 하부가 개구(開口)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아우터 트랩 바닥(S)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는 인너 트랩(140); 세탁기 배수호스(H)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조인트(어댑터)(150); 상기 호스 조인트(150)와 결합하여 상기 인너 트랩(140) 안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오수를 선회시키면서 배수하기 위한 선회 가이드 부(161)가 형성되는 오수 배수관(160)을 포함하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에 있어서,
    상기 선회 가이드 부(161)는 상기 오수 배수관(16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120도 각도로 3개의 터널(161a)이 선회방향을 따라 밴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161a)의 개구(開口)는 상기 오수 배수관(16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배수관(160) 외벽 면과 상기 인너 트랩(140) 내벽 면 중 어느 한 곳에 상기 오수 배수관(160)이 상기 인너 트랩(140) 정 중앙에 놓이게 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정 돌기(A)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실용 배수 트랩.
KR1020120075648A 2012-07-11 2012-07-11 세탁실용 배수 트랩 KR10140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48A KR101405465B1 (ko) 2012-07-11 2012-07-11 세탁실용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648A KR101405465B1 (ko) 2012-07-11 2012-07-11 세탁실용 배수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192A KR20140008192A (ko) 2014-01-21
KR101405465B1 true KR101405465B1 (ko) 2014-06-11

Family

ID=5014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648A KR101405465B1 (ko) 2012-07-11 2012-07-11 세탁실용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7574B2 (ja) * 2014-04-03 2018-09-12 株式会社テクノテック 床排水トラップ
CN103898951A (zh) * 2014-04-24 2014-07-02 周桂宽 地漏吸头
SE543342C2 (sv) * 2019-12-11 2020-12-08 Isac Gustafsson Utloppsanordning med elektrisk krets kopplad till vattentillförs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08A (ja) 2004-09-30 2006-04-13 Techno Tec:Kk 洗濯機用排水トラップ
JP2008215009A (ja) 2007-03-06 2008-09-18 Maruichi Kk 排水器
JP2009256974A (ja) 2008-04-17 2009-11-05 Techno Tec:Kk 排水トラ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08A (ja) 2004-09-30 2006-04-13 Techno Tec:Kk 洗濯機用排水トラップ
KR20060052724A (ko) * 2004-09-30 2006-05-19 테크노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세탁기용 배수 트랩
JP2008215009A (ja) 2007-03-06 2008-09-18 Maruichi Kk 排水器
JP2009256974A (ja) 2008-04-17 2009-11-05 Techno Tec:Kk 排水トラ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192A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405465B1 (ko) 세탁실용 배수 트랩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JP5245364B2 (ja) 浴室排水装置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JP2012172422A (ja) 排水トラップ
KR101193342B1 (ko) 도로 우수받이의 악취 및 역류방지설비
KR101562940B1 (ko) 유속을 빠르게 하는 유선형 트랩을 갖는 오수받이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0942607B1 (ko) 악취차단장치가 구비된 맨홀덮개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194420B1 (ko) 공동주택의 배수구 악취 제한용 하수관 구조물
JP522477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への排水方法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JP5532607B2 (ja) 浴室排水装置
JP2010001676A (ja) 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CN210636561U (zh) 预制导流结构和排水底座
CN105421538B (zh) 整体卫浴防臭的集成排水系统
CN218091185U (zh) 洁净室用地漏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