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15Y1 -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15Y1
KR200480115Y1 KR2020150006899U KR20150006899U KR200480115Y1 KR 200480115 Y1 KR200480115 Y1 KR 200480115Y1 KR 2020150006899 U KR2020150006899 U KR 2020150006899U KR 20150006899 U KR20150006899 U KR 20150006899U KR 200480115 Y1 KR200480115 Y1 KR 200480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rain pipe
toilet
annular groo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884U (ko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Publication of KR20160000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를 기초슬래브 위의 욕실마감바닥 내에 층상 배관하는 것에 특히 적합한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상측에 양변기(2)가 수밀하게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양변기(2)의 배수로(2a)의 둘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래로 열린 환상홈(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변기(2)를 욕실마감바닥(3)에 고정하는 플랜지(10); 상기 플랜지(10)의 상기 환상홈(11a) 속에 수밀하게 삽입되는 환상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종방향의 플랜지연결부(21), 및 상기 플랜지연결부(21)로부터 횡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관연결부(22), 상기 배수관연결부(22)의 상면(22a)에 내부공간(20a)으로의 접근 가능하게 형성된 점검구(23), 및 상기 점검구(23)를 개폐 가능하게 밀폐하는 뚜껑(24)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2a)로부터 흘러내린 오수를 횡방향으로 유도하는 연결소켓(20); 상기 연결소켓(20)의 상기 배수관연결부(22)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소켓(20)으로부터의 오수를 인접 배관된 집수관(4)으로 배수하는 배수관(30); 및 상기 환상홈(11a)에 삽입되어 상기 환상홈(11a)과 상기 환상돌기(21a) 사이에 매개되는 실링재(4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Assembly of Flange, Socket and Drainpipe for Piping Above Slab of Toilet Bow}
본 고안은 양변기를 기초슬래브 위의 욕실마감바닥 내에 '층상배관' 하는 것에 특히 적합한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욕실에는 양변기(좌변기), 세면대, 욕조, 바닥배수 등의 각종 위생기구 및 이들 위생기구들에 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들과, 위생기구들에서 발생한 오수를 PD(파이프덕트)에 배관된 집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들이 설치되고, 이때 위생기구들의 배수관들은 그 구조와 작용의 특성상,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주로 욕실바닥에 수평으로 배관한다.
아파트와 같은 주거 건축물에 있어서, 바닥의 기초 콘크리트 슬래브(이하, '기초슬래브'라 함) 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욕실마감바닥을 시공할 때에는, 물의 흘러넘침의 방지나 사용상의 편이의 이유로, 욕실마감바닥의 높이를 인접한 방이나 거실 등의 마룻바닥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기초슬래브 위에 타설할 수 있는 욕실마감바닥의 높이는 일정 높이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욕실 위생기구들의 배수관들을 배관함에 있어서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을 설치하여야 하고, 가능하다면 오수의 원활한 흘러 내려감을 위한 최소한의 구배도 필요하며, 다른 배수관에 비해 양변기의 배수관은 예를 들어 직경 100mm 정도의 상대적으로 큰 관을 사용하는 등의 불가피함이 있기 때문에, 기초슬래브 위에 타설되는 욕실마감바닥의 모르타르 내에 이들 배수관들을 배관하는 것(이를 '층상배관'이라고 함)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기초슬래브를 관통하여 기초슬래브의 저면 아래를 따라 배수관을 배관하는 소위 '층하배관'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욕실 배관의 층하배관은, 단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아파트와 연립 등과 같은 다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배수관이 기초슬래브를 관통하여 하층의 천장 속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상층에서 발생하는 배수의 소음이 그대로 하층에 전달되어 소음공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상층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가 하층에서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욕실 배수관에 의한 소음 등의 문제는 상하층 거주자들 간의 분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층하배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0981324호의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및 대한민국 특허 제10-1313848호의 '평슬라브 층상 배관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좌변기 슬리브' 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본 종래 기술들은 욕실 전체의 기초슬래브를 다른 곳 보다 낮게 형성하거나 적어도 양변기의 배수관이 배관되는 부분의 기초슬래브를 다른 곳보다 낮게 형성하여, 그 위에 타설되는 욕실마감바닥을 더 높게 타설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층상배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층상배관을 위해서 욕실의 기초슬래브를 다른 곳의 기초슬래브와는 다른 높이로 설계를 변경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번잡함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91882호의 '평슬라브 층상배관용 좌변기'는 기초슬래브의 설계 변경 없이 좌변기의 층상배관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나, 설치틀에 설치되는 좌변기의 높이가 통상적인 표준높이보다 높아져서 양변기의 사용상에 불편이 있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관련 기관에서는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의 지표인 충격음 크기에 대해 등급제를 마련하는 등 여러 가지 강화된 표준과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
층간 충격음에 대한 높은 등급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표준바닥구조를 보면,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기초슬래브의 두께(높이)를 150mm, 180mm 및 210mm 이상으로 하고, 기초슬래브 위에 시공되는 마룻바닥의 높이는, 예를 들어 완충재(단열재) 20mm 이상, 경량기포콘크리트 40mm 이상, 및 모르타르 40mm 이상을 적용하고 그 위에 바닥마감재를 시공할 것을 표준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써 기초슬래브 위에 시공되는 마룻바닥의 높이는 종래보다도 높은 120mm 이상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욕실에 시공되는 욕실마감바닥의 높이도 마룻바닥의 높이의 증가만큼 더 높게 시공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고, 이로써 기초슬래브의 설계 변경 없이 욕실마감바닥에 욕실 배수관을 층하배관이 아닌 층상배관 할 수 있는 여지가 있게 되었다.
양변기를 욕실바닥에 설치하는 기술은 매우 다양하며, 대표적인 기술의 하나는, 플랜지와 연결소켓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플랜지를 이용하여 양변기의 배수로를 상기 연결소켓을 통해 배수관을 연결하고 양변기를 욕실바닥에 고정하는 기술이나, 종래의 양변기 설치 구조들은, 기본적으로 양변기의 배수관을 층상배관 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없는 구조들로서, 층간소음문제의 해결에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
양변기 설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841718호의 '좌변기의 배수관과 하수관의 이음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9601호의 '양변기용 플랜지', 대한민국 특허 제10-1002632호의 '밀폐형 양변기용 플랜지 및 이를 이용한 밀폐형 양변기의설치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10-0903358호의 '시공이 용이한 양변기', 대한민국 특허 제10-1278985호의 '양변기용 배수관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1202071호의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7206호의 '좌변기 배수관 연결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9218호의 '양변기 연결용 플랜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6767호의 '양변기 배수관 연결용 플랜지의 체결구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8701호의 '양변기 배수관 체결용 플랜지'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양변기 설치 구조들은, 기본적으로 양변기의 배수관을 층상배관 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없는 구조들로서, 층간소음문제의 해결에 미흡한 측면이 있다.
한편, 양변기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의 하나는, 양변기에의 이물 투입으로 인한 배수 막힘이다. 양변기의 배수 막힘을 해결하는 가장 일반화된 방법의 하나는 속칭 "뚫어뻥"이라고 불리는 "압축기"를 사용하는 것이나, 물에 잘 풀리지 않는 큰 이물로 양변기가 막히게 되면, "뚫어뻥"으로도 해결이 쉽지 않고, 유연성 강선으로 된 "관통기"와 같은 전문기구를 사용하여도 막힌 것을 뚫기 어려울 정도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양변기의 배수 막힘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021호(2010. 11. 23. 공고)의 "막힘 제거 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5399호(2008. 04. 29. 공고)의 "막힘 제거를 위한 펌프가 내장된 변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1727호(2010. 02. 12. 공고)의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253호(2011.05.26. 공개)의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등 다수가 있으나, 이들 종래의 기술은 주로 양변기 자체에서 배수 막힘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들로서, 양변기와 배수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의 차원에서 배수 막힘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은 제안된 바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양변기 고정용 플랜지와 연결소켓을 누수 없이 수밀하게 연결할 수 있는, 양변기의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초슬래브 위에 타설되는 욕실마감바닥의 제한된 높이 내에 양변기의 배수관을 배관할 수 있음으로써 층하배관이 아닌 층상배관을 적용할 수 있는, 양변기의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욕실마감바닥에 층상 배관하는 것에 적합하면서도, 이물의 걸림으로 인한 배수 막힘을 보수하기 편리한 양변기의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조립체는,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상측에 양변기가 수밀하게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양변기의 배수로의 둘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래로 열린 환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변기를 욕실마감바닥에 고정한다.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플랜지의 상기 환상홈 속에 수밀하게 삽입되는 환상돌기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종방향의 플랜지연결부, 및 상기 플랜지연결부로부터 횡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로부터 흘러내린 오수를 횡방향으로 유도한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연결소켓의 상기 배수관연결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소켓으로부터의 오수를 인접 배관된 집수관으로 배수한다.
상기 환상홈과 상기 환상돌기 사이에 매개되도록 실링재를 상기 환상홈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의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상면에는 내부공간으로의 접근이 가능한 점검구를 형성하고, 상기 점검구는 개폐 가능한 뚜껑에 의해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점검구와 상기 뚜껑은 횡단면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환상홈에 인접하여 추가의 환상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소켓의 상기 플랜지연결부에는 상기 환상돌기에 인접하여 상기 추가의 환상돌기가 수밀하게 삽입되는 추가의 환상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연결부와 상기 배수관은, 그 종단면에서의 세로의 길이 보다 가로의 길이가 긴 저고광폭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의 주요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소켓이 바람직하게 상기 실링재를 매개하여 상기 환상홈(들)과 환상돌기(들)의 끼워맞춤 조립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양변기의 하중에 의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소켓이 수밀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수 없이 수밀하게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소켓을 조립할 수 있다.
둘째, 양변기를 배수관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소켓의 결합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수밀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소켓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기초슬래브 위에 타설되는 욕실마감바닥의 제한된 높이 내에 양변기의 배수관을 층상배관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상기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점검구를 통해 상기 연결소켓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심각한 배수 막힘이 발생하여도, 욕실로부터 양변기를 분리하는 등의 번잡한 보수공사를 하지 않고, 상기 뚜껑의 상부에 있는 1장의 타일만을 제거하거나 또는 타일의 제거 없이, 상기 뚜껑을 개방한 후에 상기 점검구를 통해 상기 연결소켓과 상기 배수관의 내부공간에서의 배수 막힘을 보수할 수 있으므로, 이물에 의한 양변기 막힘을 보다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연결소켓의 상기 배수관연결부와 여기에 삽입되는 상기 배수관이 그 종단면이 세로의 길이 보다 가로의 길이가 더 긴 저고광폭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의 높이를 낮춤에 따라, 동일한 배수용량을 가진 종래의 원형 연결소켓과 배수관을 적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제한된 높이의 욕실마감바닥 내에 양변기의 배수관을 층상배관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정면도들,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조립체의 시공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의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1)는,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 연결소켓(20) 및 배수관(30)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0)는, 양변기(2)를 욕실마감바닥(3)에 고정함과 아울러, 양변기(2)의 배수로(2a)를 통해 흘러내려오는 오수(용변수)를 연결소켓(20)으로 수밀하게 유도하는 부재이다.
본 고안의 조립체(1)에 적용되는 플랜지(10)의 상측에는, 일반적인 양변기용 플랜지와 마찬가지로 양변기(2)가 수밀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랜지(10)의 상측에 대한 양변기(2)의 결합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이나 실리콘과 같은 각종 실링재(S)를 매개하여 플랜지(10)의 상측으로부터 양변기(2)의 배수로(2a)가 수밀하게 삽입되게 하고, 플랜지(10)와 양변기(2) 사이에 예를 들어 볼트를 체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양변기(2)의 배수로(2a)와 플랜지(10)가 상호 연통하는 상태로 수밀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0)의 하측에는 양변기(2)의 배수로(2a)의 둘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래로 개방된 환상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홈(11a)은, 도1과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환상의 외벽(11b)을 아래로 돌출 형성하고, 외벽(11b) 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환상의 내벽(11c)을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외벽(11b)과 내벽(11c) 사이에 충분한 깊이를 가진 환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20)은, 종단면 형상이 니은자(L자) 형상으로 형성된 소위 '엘보'라고 불리는 관이음 부재로서, 플랜지(10)와 배수관(30)을 수밀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양변기(2)의 배수로(2a)로부터 플랜지(10)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려온 오수를 횡방향의 배수관(30)으로 방향 전환하는 부재이다.
연결소켓(20)은, 플랜지(10)가 연결되는 플랜지연결부(21)와 배수관(30)이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22)를 포함한다.
플랜지연결부(21)에는, 도1과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환상돌기(21a)는 플랜지(10)의 환상홈(11a) 속에 삽입하여 끼워맞춤 조립된다.
플랜지(10)의 환상홈(11a)과 플랜지연결부(21)의 환상돌기(21a)의 끼워맞춤 조립에는 실링재(40)를 매개할 수 있다. 실링재(40)로는 플랜지(10)와 플랜지연결부(21)가 수밀하게 조립되는 것에 도움이 되는 널리 알려진 실링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실링재(40)로서는 예를 들어 환상홈(11a)의 사이즈에 맞게 제작되어 환상홈(11a)에 삽입되는 패킹, 환상홈(11a) 속에 투입하여 경화되는 실리콘 실런트, 및 밀봉력이 있는 접착제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도1과 도4의 구체예는 실링재(40)로서 패킹을 적용한 예이다.
플랜지(10)의 환상홈(11a)과 플랜지연결부(21)의 환상돌기(21a) 사이의 실링재(40)를 매개한 끼워맞춤 구조에 따라, 양변기(2)에 플랜지(10)를 조립한 다음에, 상기 실링재(40)를 환상홈(11a) 및/또는 환상돌기(21a)에 적용한 후에, 플랜지(10)의 환상홈(11a)에 연결소켓(20)의 환상돌기(21a)가 삽입되게 플랜지(10)를 플랜지연결부(21)에 위로부터 조립하면, 플랜지(10)가 플랜지연결부(21)를 가압하게 되고, 결국 환상홈(11a)과 환상돌기(21a) 사이에 매개된 실링재(40)가 환상홈(11a)이 제공하는 내부의 3개의 벽과 환상돌기(21a)의 선단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서 환상돌기(21a)에 의해 가압 및 변형되어 주변의 틈새를 완전하게 밀폐시킴으로써, 연결소켓(20)의 플랜지연결부(21)와 플랜지(10)는 완전한 수밀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플랜지(10)에 가해진 양변기(2)의 하중으로 인하여, 환상돌기(21a)가 패킹과 같은 실링재(40)를 과도하게 가압할 경우에 실링재(40)의 변성이 촉진될 수도 있을 것인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환상돌기(21a)가 환상홈(11a)에 삽입되는 깊이의 최대한을 제한하는 제한부(21c)를 예를 들어 환상돌기(21a)의 하측 둘레에 형성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구체예는 제한부(21c)로서의 제한턱을 환상돌기(21a)의 하측 둘레에 환상으로 형성한 예이다.
이와 같이 제한부(21c)를 형성함에 따라, 제한부(21c)가 환상홈(11a)의 외벽(11b)이 하강하는 위치를 일정 위치에서 차단하여, 환상홈(11a)에 대한 환상돌기(21a)의 삽입 깊이를 적절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환상홈(11a)이 제공하는 내부의 3개의 벽과 환상돌기(21a)의 선단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실링재(40: 예, 패킹)가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으면서 실링 작용을 할 수 있는 적당한 정도가 된다.
플랜지연결부(21)와 플랜지(10)의 수밀한 조립은, 전술한 환상홈(11a)과 환상돌기(21a)의 끼워맞춤 조립에 의해 달성될 수 있지만, 그 결합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연결부(21)와 플랜지(10)에는 환상홈과 환상돌기의 끼워맞춤 조립을 이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에서는 환상홈(11a)을 형성하는 외벽(11b)이 추가의 환상돌기(11b)로 작용하도록 하고, 연결소켓(20)의 플랜지연결부(21)에는 환상돌기(21a)에 인접하여 상기 추가의 환상돌기(11b)가 수밀하게 삽입되는 추가의 환상홈(21b)을 형성함으로써, 추가의 환상돌기(11b)와 추가의 환상홈(21b)도 서로 끼워맞춤 조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플랜지연결부(21)와 플랜지(10)의 조립은, 환상홈(11a)과 환상돌기(21a)의 끼워맞춤 조립에 추가의 환상돌기(11b)와 추가의 환상홈(21b)의 끼워맞춤 조립이 더해져 이중의 끼워맞춤조립이 실현되므로, 플랜지연결부(21)와 플랜지(10)를 보다 수밀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연결부(22)는, 연결소켓(20)에 배수관(30)을 삽입 및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종방향의 플랜지연결부(21)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로(2a)로부터 흘러내려 횡방향으로 방향 전환한 오수가 연이어 연결된 수평의 배수관(30)으로 흘러나가도록 유도한다.
상기 배수관(30)은, 연결소켓(20)의 배수관연결부(22)에 삽입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배수관(30)은 연결소켓(20)과 인접 배관된 집수관(4) 사이를 연결하되 바람직하게 집수관(4) 쪽이 약간 낮게 구배를 준 횡으로 배관된 관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관(4)은 건축물의 파이프덕트(PD: 8)를 따라 수직으로 배관되어 상하의 다수 세대의 오수가 집수되는 관이며, 일반적으로 배수관(30)은 집수관(4)에 설치된 섹스티아(6)에 연결된다. 섹스티아(6)는 배수관과 집수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배수지체와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배수관과 집수관의 연결에 널리 사용되는, 배수접속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1)는, 플랜지(10)와 연결소켓(20)의 환상홈(11a, 21b)과 환상돌기(21a, 11b)가 실링재(40)를 매개하여 짧은 길이에 걸친 끼워맞춤결합에 의해 수밀하게 조립되므로, 종래의 연결소켓에 대비하여, 연결소켓(20)이 점유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표준바닥구조의 환경에서, 예를 들어 120mm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는 마룻바닥보다 낮은 높이로 기초슬래브(5) 위에 욕실마감바닥(3)이 타설되는 환경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켓(20)과 배수관(30)을 층하배관이 아닌 층상배관으로 배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다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다.
양변기의 배관을 욕실마감바닥(3)에 층상배관 함에 있어서, 연결소켓(20)의 높이와 함께 또 하나의 걸림돌은 연결소켓(20)의 높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배수관(30)의 높이이다.
즉, 욕실에 위생기구들을 배관함에 있어서, 세면기, 욕실바닥 및 욕조의 배수에는 50mm의 배수관을 적용하여도 족하지만, 양변기에 50mm 배수관을 적용할 경우에는 용변수의 원활한 배수가 방해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양변기에는 불가피하게 100mm의 배수관을 적용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며, 따라서 욕실마감바닥(3)의 높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조립체(1)에서와 같이 연결소켓(20)의 높이만을 줄이는 것으로는 층상배관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고안의 조립체(1)는 배수관연결부(22)와 여기에 연결되는 배수관(30)의 형상을, 종래와 같이 종단면 원형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예를 들어 100mm 직경의 원형 배수관의 단면적에 상당하는 단면적을 가지면서도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는 변형된 관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조립체(1)에 적용되는 배수관연결부(22)와 여기에 삽입되는 배수관(30)은, 그 종단면이 세로(T)의 길이 보다 가로(W)의 길이가 더 긴 저고광폭(低高廣幅)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배수관연결부(22)와 배수관(30)에 적용되는 종단면 저고광폭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의 100mm 직경의 원형 양변기 배수관과 배수용량(단면적)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면서, 세로(T)의 길이보다 가로(W)의 길이가 길게 되는 형상이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1과 도3 등에 도시된 구체예와 같이, 그 종단면을 100mm 직경의 원형보다도 세로(T)의 높이는 낮추고 가로(W)의 폭은 넓힌 대략 '그릇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렇게 배수관연결부(22)와 배수관(30)에 종단면 그릇형의 형상을 적용하면, 세로(T)의 높이가 낮아진 만큼 가로(W)의 길이가 넓어져서 적어도 종래 100mm 직경의 원형 양변기 배수관에 상당하는 배수용량을 가지면서도, 양변기 배수관의 높이를 낮추게 되어 층상배관의 적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종단면 저고광폭의 형상의 예로서는, 도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릇형(A), 반달형(B), 북형(C), 장방형(D), 타원형(E) 및 사다리꼴형(F)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1)에서 배수관연결부(22)와 배수관(30)은, 원형 보다는 상대적으로 구조적인 강도가 취약한 종단면 저고광폭의 형상이므로, 성형 소재 등에 따라서는 강도를 보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배수관연결부(22)와 배수관(30)에는 각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27, 31)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강리브(27, 31)는 일종의 관부재인 배수관연결부(22)와 배수관(3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3 등에 도시된 구체예는 배수관연결부(22)와 배수관(30)의 외부 둘레에 환상의 보강리브(27, 31)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다수 형성한 예이다.
양변기(2)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 투입에 의한 배수 막힘을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1)에 적용되는 연결소켓(20)의 배수관연결부(22)에는, 점검구(23)와 뚜껑(2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23)는 배수관연결부(22)의 상면(22a)에 개방 형성된 구멍으로서. 점검구(23)를 통해 연결소켓(20)의 내부공간(20a)으로 접근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적용하는 배수관연결부(22)의 상면(22a)은 점검구(23)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양변기 설치에 사용된 전통적인 연결소켓은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수관연결부의 길이가 길지 아니한 것이 일반적이므로, 배수관연결부에 점검구(23)를 형성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구체예의 조립체(1)에서는, 연결소켓(20)의 배수관연결부(22)에 점검구(23)를 형성하고 점검구(23)를 통해 배수 막힘을 정비하는 작업을 할 때 양변기(2)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수관연결부(22)의 길이를 예를 들어 양변기(2)에서 벗어나는 위치까지 길게 신장할 수 있다.
상기 뚜껑(24)은 점검구(23)를 개폐 가능하게 밀폐한다. 뚜껑(24)을 회전하면서 점검구(2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점검구(23)와 뚜껑(24)은 횡단면 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각형 등 다른 형상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뚜껑(24)의 상측에는 예를 들어 열십자형의 손잡이(24a)를 형성하여 개폐할 때 손이나 도구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점검구(23)에의 뚜껑(24)의 밀폐 구조는, 점검구(23)와 뚜껑(24)의 끼워맞춤 결합이나 상호 나사결합 등과 같이, 뚜껑(24)으로 점검구(23)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고, 필요시 뚜껑(24)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6에 예시된 구체예에서와 같이, 점검구(23)와 뚜껑(24)의 상호 접하는 테두리에, 상호 끼워맞춤 조립되는 요철(23b, 24b)을 형성함으로써, 뚜껑(24)을 점검구(23)의 제위치에 올리고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면, 대응하는 요철(23b, 24b)이 서로 끼워맞춤 됨으로써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점검구(23)와 뚜껑(24)의 상호 접하는 테두리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홈(25)을 형성하여 뚜껑(24)을 밀폐할 때 패킹(26)을 매개하여 밀폐하도록 함으로써, 뚜껑(24)에 의한 점검구(23)의 밀폐가 보다 양호하도록 할 수 있다.
점검구(23)의 목(23a)의 높이(도7 참조)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욕실마감바닥(3)의 높이와 같은 욕실시공환경이나, 연결소켓(20) 등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구체예는, 점검구(23)의 목을 짧게 하여 뚜껑(24)의 높이가 상면(22a)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뚜껑(24) 위에 타일(7)이 시공되게 예이고, 도7의 구체예는 점검구(23)의 목(23a)을 높게 하고 뚜껑(24) 위에 타일(7)이 시공되게 한 예이며, 도8의 구체예는 목(23a)을 높게 하고 뚜껑(24)의 높이가 주변의 타일(7)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게 한 예이다.
점검구(23)의 크기는 배수관연결부(22)의 상면(22a)에 수용되는 크기이되, 그 위에 타일(7)이 시공 될 때 1장의 타일(7)의 크기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할 수 있으며, 점검구(23)를 이와 같은 크기로 할 경우, 뚜껑(24)이 타일(7) 아래에 위치하는 도6 등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점검구(23)를 통해 배수 막힘을 보수하고자 할 때, 1장의 타일(7)만을 제거하고 작업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뚜껑(24)이 외부로 노출된 도8의 구체예에 있어서는, 타일(7)의 줄맞춤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 본 고안의 조립체 2: 양변기
2a: 양변기의 배수로 3: 욕실마감바닥
4: 집수관 5: 기초슬래브
6: 섹스티아 7: 타일
10: 플랜지 11a: 환상홈
11b: 외벽(추가의 환상돌기) 11c: 내벽
20: 연결소켓 20a: 내부공간
21: 플랜지연결부 21a: 환상돌기
21b: 추가의 환상홈 21c: 제한부
22: 배수관연결부 22a: 상면
23: 점검구 23a: 점검구의 목
23b, 24b: 요철 24: 뚜껑
24a: 손잡이 25: 패킹홈
26: 패킹 27, 31: 보강리브
30: 배수관 40: 실링재

Claims (2)

  1. 상측에 양변기(2)가 수밀하게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양변기(2)의 배수로(2a)의 둘레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래로 열린 환상홈(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변기(2)를 욕실마감바닥(3)에 고정하는 플랜지(10);
    상기 플랜지(10)의 상기 환상홈(11a) 속에 수밀하게 삽입되는 환상돌기(21a)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종방향의 플랜지연결부(21), 및 상기 플랜지연결부(21)로부터 횡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관연결부(22), 상기 배수관연결부(22)의 상면(22a)에 내부공간(20a)으로의 접근 가능하게 형성된 점검구(23), 및 상기 점검구(23)를 개폐 가능하게 밀폐하는 뚜껑(24)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로(2a)로부터 흘러내린 오수를 횡방향으로 유도하는 연결소켓(20);
    상기 연결소켓(20)의 상기 배수관연결부(22)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소켓(20)으로부터의 오수를 인접 배관된 집수관(4)으로 배수하는 배수관(30); 및
    상기 환상홈(11a)에 삽입되어 상기 환상홈(11a)과 상기 환상돌기(21a) 사이에 매개되는 실링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에는 상기 환상홈(11a)에 인접하여 추가의 환상돌기(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소켓(20)의 상기 플랜지연결부(21)에는 상기 환상돌기(21a)에 인접하여 상기 추가의 환상돌기(11b)가 수밀하게 삽입되는 추가의 환상홈(2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20150006899U 2014-09-04 2015-10-23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04801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37 2014-09-04
KR20140117737 2014-09-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645 Division 2014-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84U KR20160000884U (ko) 2016-03-14
KR200480115Y1 true KR200480115Y1 (ko) 2016-04-15

Family

ID=5553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99U KR200480115Y1 (ko) 2014-09-04 2015-10-23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473B1 (ko) * 2018-10-28 2019-03-26 김상수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136A (ja) 1999-02-09 2001-07-17 Toto Ltd 衛生設備の施工構造
JP2003119857A (ja) 2001-10-16 2003-04-23 Kubota Corp 排水集合管及び排水管システム
JP2004211318A (ja) 2002-12-27 2004-07-29 Takiron Co Ltd 排水ヘッダー
KR101174732B1 (ko) 2012-04-20 2012-08-17 신진정공 주식회사 다용도 점검구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136A (ja) 1999-02-09 2001-07-17 Toto Ltd 衛生設備の施工構造
JP2003119857A (ja) 2001-10-16 2003-04-23 Kubota Corp 排水集合管及び排水管システム
JP2004211318A (ja) 2002-12-27 2004-07-29 Takiron Co Ltd 排水ヘッダー
KR101174732B1 (ko) 2012-04-20 2012-08-17 신진정공 주식회사 다용도 점검구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84U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1229689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JP4863899B2 (ja) 建物の排水システムおよび建物の排水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1393529B1 (ko) 층상 배관용 배관 안치대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KR101173406B1 (ko) 배관용 슬리브
KR20110108200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918851B1 (ko)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101058940B1 (ko)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CN104727529A (zh) 一种给排水集成模块、给排水系统和卫浴室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102569017B1 (ko) 씽크 이중배관을 이용한 주방 및 세탁실 통합 배수 시스템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