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473B1 -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473B1
KR101962473B1 KR1020180129430A KR20180129430A KR101962473B1 KR 101962473 B1 KR101962473 B1 KR 101962473B1 KR 1020180129430 A KR1020180129430 A KR 1020180129430A KR 20180129430 A KR20180129430 A KR 20180129430A KR 101962473 B1 KR101962473 B1 KR 10196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ain pipe
bracket
pip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민
Original Assignee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8012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수관을 구성하는 주배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을 주배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분기관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으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브라켓을 결합하는 체결과정이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주배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연결브라켓 없이 직접 분기관을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설치환경과 작업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연결소켓의 설치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기존 설치된 하수관의 부분수리 및 보수, 부분교체 등의 작업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신속하고 견고하게 연결소켓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 및 밀폐력 향상과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Branch connection socket}
본 발명은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수관을 구성하는 주배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을 주배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분기관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으로 분리구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브라켓을 결합하는 체결과정이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주배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연결브라켓 없이 직접 분기관을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설치환경과 작업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연결소켓의 설치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기존 설치된 하수관의 부분수리 및 보수, 부분교체 등의 작업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신속하고 견고하게 연결소켓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 및 밀폐력 향상과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 공급을 위한 상수도용 및 오수 처리용 상ㅇ하수도관은 지중매설(地中埋設:땅속에 파묻음)하는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를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내용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로 상하수도용 관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안으로 정해진 규격의 관을 한 라인 또는 여러 라인을 배치시켜 놓고 인력에 의한 파이프이음작업을 실시후,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움 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배관공사는 도로상을 통과하는 중차량의 진동이나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부등침하에 따른 하수관의 파손이 발생되기 쉽고, 홍수시에는 하수관 이음부 되메움재의 세굴현상으로 인하여 공동부가 점차 확대되며, 상기 이음부의 세굴 공동부를 대상으로 보수를 포함한 유지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이음부 및 하수관의 종방향 균열이 발생하여 하수관은 점차 파손되어 결과적으로는 하수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하수관이 파손되는 경우 하수관의 파손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연결구를 이용하여 절단된 하수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부 주변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되메움하여 이루어지는 보수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기존 설치된 하수관인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이 부분적으로 손상되는 경우 주배관의 보수방법과 같이 분기관의 보수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시 연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분기관의 보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배관과 분기관의 연결을 위하여 설치되는 소켓의 이음부분에서 누수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양생된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하고 설치된 연결소켓을 제거한 상태에서 새로운 연결소켓을 주배관에 설치한 후 분기관을 연결하여 과정으로 보수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주배관에 설치된 연결소켓을 제거하고 새로운 연결소켓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배관에 형성된 연결공이 손상되어 확장천공하고 새로운 연결소켓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확장천공에 의하여 기존 사용된 연결소켓과 동일한 크기의 연결소켓을 설치하는 경우 주배관에 형성된 연결공의 지름이 확장되어 연결소켓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누수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연결소켓의 일실시예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0562호(공개일: 2017년 02월 13일)원터치식 잠금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3방향의 분기관 연결구는,
수평으로 중공의 통수 파이프(50)가 출입할 수 있게끔 좌우 양쪽에 입구(11)와 출구(12)가 구비되어 내부 공간으로 파이프를 덮고 감싸서 밀착 지지하는 파이프형 몸체(10) 상부 중간 교차 부위에 분기관이 수직 방향으로 접속 체결될 수 있게끔 체결 나사부(41)가 내측으로 형성된 분기구(13)를 구비하는 분기관 접속부(40)가 각각 구비되어 메인 배관으로 유체 분배용 분기관을 연결하여 유체를 분배하는 3방향의 분기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몸체(10)는 메인 배관과 분기관이 서로 직각 방향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분기관 접속부(41)가 구비되고 좌우 양단에 양쪽 대칭으로 브라켓 기능의 날개 형태 상부 체결편(21)이 각각 형성된 곡선상 상부 반원체결 밴드(20),
상기 상부 반원 체결 밴드(20)와 좌우 양단에 양쪽 대칭으로 날개 형태 상부 하부 체결편(31)이 각각 형성된 하부 반원 체결 밴드(30)가 통수 파이프의 조작이 편리하게끔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응 결합하여 입구(11)와 출구(12) 및 분기구(13)를 각각 3방향으로 구비하는 파이프형 몸체(10)를 형성하되,
상기 상부 반원 체결 밴드(20) 상부 체결편(21) 하부로는 다수개의 수직 톱니가 등 간격으로 돌출된 톱니부(수)(23)를 구비하는 일정 폭과 길이의 길다란 막대형 톱니 고정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
상기 상부 체결편(21)과 대응 결합하는 하부 반원 체결 밴드(30)의 하부 체결편(31)에는 상기 막대형 톱니 고정부(22)를 수용하되 상기 막대형 톱니 고정부의 톱니부(23)와 대응 결합하는 톱니부(암)(33)가 구비되는 일정폭과 길이로 상하 관통되는 삽입홈(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아 상하로 대응 결합되는 상기 상부 체결편의 막대형 톱니 고정부(22)에 구비된 톱니부(수)(23)와 하부 체결편 삽입홈(32)에 구비된 톱니부(암)(33)가 상호 톱니 물림형의 이탈 방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약간의 가압력에 의하여 서로 벌어짐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하 유동 방지 원터치식 잠금 수단을 형성, 틈새가 없이 견고하고 긴밀하게 맞물려져 밀착될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되고 외관이 단순화되면서도 견고한 기능 통합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250호(공개일: 2016년 03월 15일) 분기관 연결부재는,
분기공이 형성된 본관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관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단부가 상기 본관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부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본관 내주면 일측에 밀착되는 지지날개부를 포함하는 지지관 결합체와;
상기 본관과 상기 지지관결합체 간에 개재되어 상기 본관과 상기 지지관결합체 간을 밀폐하는 실링부재와;
일측에 상기 지지관과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관에 삽입되며, 저면이 상기 본관의 외주면 일측에 지지되는 커버부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관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날개부가 상기 실링부재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분기관 연결부재 역시 본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부분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주배관의 분기관 연결부분을 확장하는 경우 연결부재를 설치시 사이공간으로 누수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계속하여 발생하였다.
또한, 연결부재의 구성이 복잡하여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주배관에 분기관을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작업시간이 지연됨에 따라서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주배관에 연결되는 부재와 분기관에 연결되는 부재가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부재의 다양한 설치환경(예로 주배관에만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분기관을 바로 연결하는 경우)등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일부러 분기관을 절단하고 연결부재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분기관 연결장치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위한 보수작업인 경우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연결장치 교체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88168호(등록일: 2018년 08월 07일) "분기관 연결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772118호(등록일: 2007년 10월 25일) "분기관 연결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562호(공개일: 2017년 02월 13일) "원터치식 잠금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3방향의 분기관 연결구"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5181호(공개일: 2016년 06월 29일) "강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9250호(공개일: 2016년 03월 15일) "분기관 연결부재" 등록특허공보 제10-1056811호(등록일: 2011년 08월 08일) "분기관 연결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179435호(등록일: 2012년 08월 29일) "분기관 접속 연결구" 등록특허공보 제10-0935874호(등록일: 2009년 12월 30일) "하수도 분기관 연결소켓"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관에 분기관을 새로이 연결하거나 또는 기존 설치된 분기관의 손상에 의하여 기 설치된 분기관 및 주배관에 설치된 연결소켓을 제거하고 새로운 연결소켓을 주배관에 설치함에 있어서 연결소켓을 주배관에 설치하는 과정이 주배관에 형성된 연결공이 확장된다 하더라도 밀착력의 저하없이 견고하게 연결소켓을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소켓의 체결과정이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 수작업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연결소켓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감과 작업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연결소켓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연결형태를 변형할 수 있어 연결소켓의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연결형태를 제공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수밀유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로 상하수가 유동되는 주배관(1)과, 상기 주배관(1)과 각 가정을 연결하는 분기관(2)의 연결을 위하여 주배관(1)에 형성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1)에 연결되며 내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내측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된 관통공(12)과 외측 중앙부분에 환형턱(13)에 의하여 일측에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끼움되는 삽입부(14)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10);과,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태에서 단부에 핸들(22)이 형성되고, 외부면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10)의 관통공(12)에 나사체결되는 경사숫나사부(23)와 분기관(2)의 단부가 연결되는 밀착면(24)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브라켓(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로 상하수가 유동되는 주배관(1)과, 상기 주배관(1)과 각 가정을 연결하는 분기관(2)의 연결을 위하여 주배관(1)에 형성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1)에 연결되며 일측에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끼움되어 내면에 밀착되는 환형턱(58)과 타측의 내측으로 분기관(2) 또는 연결브라켓(20)이 삽입되며 내측에 암나사공(51)과 외측에 쇄기부(52)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53)와, 상기 몸체(53)의 외주면에 끼움되며 내측에 쇄기부(54)가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면(55)과 타측에 손잡이(56)가 일체로 형성된 밀착부(57)로 구성된 고정브라켓(50);과,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태에서 단부에 핸들(22)이 형성되고, 외부면 일측에 상기 몸체(53)의 암나사공(51)에 나사체결되는 경사숫나사부(23)와 분기관(2)의 단부가 연결되는 밀착면(24)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브라켓(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22)은 일자 또는 십자 형태를 갖으며 관통공(21)과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브라켓(20)의 정역회전방향으로는 핸들(22)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외 방향의 두께는 핸들(22)의 1/2 두께를 갖는 파단부(221)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단부(221)에 의하여 연결브라켓(20)의 회전시 부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고정브라켓(10)과의 안정적인 나사결합을 보장하고 결합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가 핸들(22)을 연결브라켓(20)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림하여 파단부(221)가 뒤틀리며 부러지는 형태로 연결브라켓(20)으로부터 제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의 밀착면(24) 외측에 좌우 이동가능한 형태로 끼움되어 밀착면(24)의 일부와 근접하는 분기관(2)의 단부 일부에 끼움된 상태에서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면(24)과 분기관(2)을 연결하는 이음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은 주배관에 분기관을 새로이 연결하거나 또는 기존 설치된 분기관의 손상에 의하여 기 설치된 분기관 및 주배관에 설치된 연결소켓을 제거하고 새로운 연결소켓을 주배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연결소켓의 설치를 위하여 주배관에 형성된 연결공의 지름이 규격치수 이상으로 확장된 경우에도 고정브라켓이 외측으로 확장되며 연결공의 내면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연결부분의 견고한 수밀유지를 보장하는 효과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에 연결브라켓을 나사체결식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브라켓에 형성된 핸들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공구가 불필요하여 체결작업이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행됨으로써 연결소켓의 설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분기관의 연결형태를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브라켓에 연결하거나 또는 고정브라켓에 직접 분기관의 단부를 끼움하여 연결하는 등 작업환경에 맞는 다양한 연결형태를 제공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과 수밀유지를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배관 및 분기관의 이동이 불가능한 하수관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연결소켓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신속한 고정브라켓의 체결,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고정브라켓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연결브라켓의 구성을 통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연결소켓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 및 이에 따른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핸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이 주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이 주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과 제 1실시예의 연결브라켓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과 분기관의 다른 실시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과 분기관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핸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이 주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이 주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100)은 크게 하수관과 같은 주배관(1)에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0)과, 일측이 고정브라켓(10)에 나사체결식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분기관(2)이 끼움되는 연결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내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내측에 2mm ~ 6mm 범위의 나사높이를 갖는 암나사부(11)가 형성된 관통공(12)과 외측 중앙부분에 환형턱(13)에 의하여 일측에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끼움되는 삽입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일측 단부와 환형턱(13)은 고정브라켓(10)이 결합되는 주배관(1)의 외면에 전체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호 형태를 갖으며, 삽입부(14)의 일측 단부 역시 호 형태로 형성하여 주배관(1)의 내부로 돌출됨을 방지함으로써 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한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은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태에서 단부에 핸들(22)이 형성되며, 외부면 일측으로 2mm ~ 6mm 범위의 나사높이를 갖는 경사숫나사부(23)와 분기관(2)이 끼움되어 밀착되는 밀착면(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면(24)의 단부에는 삽입되는 분기관(2)의 선단부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핸들(22)은 각형이나 원형의 봉 형태로 형성되며 관통공(21)과 연결되는 부분을 좁게 형성한 파단부(221)를 형성하여 부러지는 방식으로 연결브라켓(20)에서 제거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핸들(22)은 고정브라켓(10)의 암나사부(11)에 연결브라켓(20)의 경사숫나사부(23)를 나사체결함에 있어서, 주배관(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의 암나사부(11)에 연결브라켓(20)의 경사숫나사부(23)를 회전시켜 나사체결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체결공구가 구비된 경우에는 연결브라켓(20)의 밀착면(24)에 체결공구를 연결하여 체결하며 체결공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핸들(22)을 이용하여 연결브라켓(20)을 회전시킴으로써 쉽고 견고하게 고정브라켓(10)에 연결브라켓(20)을 나사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22)은 연결브라켓(20)의 단부에 형성된 파단부(221)는 연결브라켓(20)의 정역회전방향(상부와 하부)으로는 핸들(22)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외 방향(전방부와 후방부)을 핸들(22)의 1/2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브라켓(20)의 회전시 부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결합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가 핸들(22)을 연결브라켓(20)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림하여 파단부(221)가 뒤틀리며 부러지는 형태로 연결브라켓(20)으로부터 깨끗하게 제거됨으로서 관통공(21)의 내부를 흐르는 상하수의 안정적인 흐름을 보장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으며, 연결브라켓(20)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0)이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삽입부(14)가 끼움되고 환형턱(13)의 일면이 주배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연결공(1a)을 밀폐하는 형태를 갖는다.
특히,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10)이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끼움된 상태에서 연결브라켓(10)의 경사숫나사부(23)를 고정브라켓(10)의 암나사부(11)에 나사체결하는 과정에서 처음 나사체결시에는 암나사부(11)의 지름보다 경사숫나사부(23) 단부의 지름이 작아서 쉽게 삽입이 이루어지고, 이후 경사숫나사부(23)가 핸들(2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며 암나사부(11)와 나사체결되며 결합되는데, 이때, 경사숫나사부(23)의 지름이 점차 넓어짐으로서 암나사부(11)에 억지끼움식으로 나사체결되고 동시에 신축성을 갖는 고정브라켓(10)이 신장되며 주배관(1)의 연결공(1a) 내면을 밀착 가압함으로서 고정브라켓(10)과 연결브라켓(20)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연결공(1a)에 끼움된 고정브라켓(10)의 수밀유지가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이 주배관에 설치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설치공간이 좁거나 연결브라켓의 설치가 불가능함과 같이 설치환경이 열악한 경우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고정브라켓(10)을 연결하고 관통공(12)에 외면에 잡착제가 도포된 분기관(2)을 삽입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연결소켓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2mm ~ 6mm 범위의 나사높이를 갖는 고정브라켓(10)의 암나사부(11)의 구성에 의하여 가능하며 접착제를 분기관(2)의 삽입부분에 도포한 상태에서 관통공(12)에 삽입하면 암나사부(11)의 나사산 사이공간으로 접착제가 채움되며 경화되어 고정브라켓(10)과 분기관(2)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고정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과 제 1실시예의 연결브라켓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과 분기관의 다른 실시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50)은 일측이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끼움되고 타측의 내측으로 분기관(2) 또는 연결브라켓(20)이 삽입되며 내측에 암나사공(51)과 외측에 쇄기부(52)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53)와, 상기 몸체(53)의 외주면에 끼움되며 내측에 쇄기부(54)가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면(55)과 타측에 손잡이(56)가 일체로 형성된 밀착부(5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53)의 주배관(1)에 끼움되는 단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환형턱(58)을 형성하여 주배관(1)의 내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에의 고정브라켓(50)은 고무재질의 신축가능한 형태를 갖음으로써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쉽게 끼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로 삽입되는 분기관(2) 또는 연결브라켓(20)을 견고하게 조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몸체(53)의 일측을 변형시켜 끼움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당김하여 환형턱(58)의 내면이 주배관(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53)를 주배관(1)에 연결한 상태에서 몸체(53)의 외주면에 형성된 밀착부(57)의 손잡이(56)를 누름하여 밀착부(57)의 쇄기부(54)가 몸체(53)의 쇄기부(52)를 억지로 넘어 손잡이측 단부가 주배관(1)의 연결공(1a)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주배관(1)에 몸체(53)를 연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주배관(1)에 몸체(53)를 연결한 상태에서 암나사공(51)으로 연결브라켓(20)을 나사체결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0)의 경사숫나사부(23)를 몸체(53)의 암나사부(51)에 나사체결하는 과정에서 처음 나사체결시에는 암나사부(51)의 지름보다 경사숫나사부(23) 단부의 지름이 작아서 쉽게 삽입이 이루어지고, 이후 경사숫나사부(23)가 핸들(2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며 암나사부(51)와 나사체결되며 결합되는데, 이때, 경사숫나사부(23)의 지름이 점차 넓어짐으로서 암나사부(51)에 억지끼움식으로 나사체결되고 동시에 신축성을 갖는 몸체(53)이 신장되며 주배관(1)의 연결공(1a) 내면을 밀착 가압함으로서 몸체(53)와 연결브라켓(20)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연결공(1a)에 끼움된 몸체(53)의 수밀유지가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53)의 암나사공(51)에 연결브라켓(20)이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몸체(53)의 일측과 밀착부(57)의 고정면(55)에 복수 개의 클램프(60)를 위치시키고 조임한다.
한편,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고정브라켓(50)의 암나사공(51)에 분기관(2)을 직접 체결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설치공간이 좁거나 연결브라켓의 설치가 불가능함과 같이 설치환경이 열악한 경우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제 2실시예의 고정브라켓(50)의 몸체(53)를 연결하고 암나사공(51)에 외면에 잡착제가 도포된 분기관(2)을 삽입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연결소켓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2mm ~ 6mm 범위의 나사높이를 갖는 몸체(53)의 암나사부(51)의 구성에 의하여 가능하며 접착제를 분기관(2)의 삽입부분에 도포한 상태에서 암나사공(51)에 삽입하면 암나사부(51)의 나사산 사이공간으로 접착제가 채움되며 경화되어 몸체(53)과 분기관(2)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중 연결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40)은 일측에 분기관과의 연결을 위한 이음수단을 별도로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의 중 제 2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과 분기관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분기관 연결소켓(100)의 특징은 연결브라켓(40)의 밀착면(24)의 외주면에 전후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이음수단(30)을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먼저, 상기 밀착면(24)은 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241)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 이음수단(30)을 억지끼움하여 연결브라켓(20)과 이음수단(30)을 연결한다.
상기 이음수단(30)은 일측 내부에 연결브라켓(20)의 경사면(241)과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31)와 타측 단부에 리브(32)와 외측에 복수 개의 걸림돌기(3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연결브라켓(40)과 이음수단(30)의 구성을 통하여 기존 설치된 연결소켓을 제거하고 새로운 연결소켓(10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앞의 과정을 통하여 고정브라켓(10)을 주배관(1)에 연결한 상태에서 이음수단(30)을 이용하여 연결브라켓(40)과 분기관(2)의 연결범위를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연결소켓의 보수 작업시에도 넓은 밀폐범위에 의하여 누수를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고정브라켓(10)에 연결브라켓(40)을 설치시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음수단(30)을 밀착면(24)의 외측으로 위치시켜 연결브라켓(40)의 내부에 형성된 핸들(22)을 잡고 회전시켜 고정브라켓(10)에 연결브라켓(40)을 체결한 상태에서 핸들(22)을 연결브라켓(40)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림하여 파단부(221)가 뒤틀리며 부러지는 형태로 연결브라켓(40)으로부터 핸들(22)을 제거하고, 밀착면(24)의 단부를 기 설치된 분기관(2)의 단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분기관(2)의 단부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음수단(30)을 분기관(2)측으로 이동시켜 밀착면(24)의 일부분과 분기관(2)의 일부분을 연결한 상태에서 접착됨으로써 연결브라켓(40)과 분기관(2)의 연결부분을 넓은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밀폐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음수단(30)이 설치되는 내부에는 튜브형태의 패킹(미도시)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적인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은 주배관(1)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10, 50)과 분기관(2)과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0, 40)을 체결과정에서 연결브라켓(20, 40)의 내부에 형성된 핸들(22)의 구성을 통하여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한 후에는 연결브라켓(20, 40)으로부터 핸들(22)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상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이 설치되는 설치환경에서 공간의 제약이나 설치각도 등의 문제가 발생시 고정브라켓에 분기관을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형태를 쉽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설치환경과 작업환경에 신속한 대응을 통한 작업성 향상 및 공사기간 단축을 통한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기존 설치된 하수관로의 연결소켓을 교체하는 경우 이음수단을 이용하여 분기관과 연결브라켓의 연결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이음된 길이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함과 더불어 유지보수작업의 신뢰성 향상 및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 : 고정브라켓 11 : 암나사부
12 : 관통공 13 : 환형턱
14 : 삽입부 20 : 연결브라켓
21 : 관통공 22 : 핸들
23 : 경사숫나사부 24 : 밀착면
25 : 경사면 30 : 이음수단
31 : 경사부 32 : 리브
33 : 걸림돌기 40 : 제 2실시예 연결브라켓
50 : 제 2실시예 고정브라켓
51 : 암나사공 52 : 쇄기부
53 : 몸체 54 : 쇄기부
55 : 고정면 56 : 손잡이
57 : 밀착부 58 : 환형턱
60 : 클램프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로 상하수가 유동되는 주배관(1)과, 상기 주배관(1)과 각 가정을 연결하는 분기관(2)의 연결을 위하여 주배관(1)에 형성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1)에 연결되며 내부가 관통된 상태에서 내측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된 관통공(12)과 외측에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삽입되는 삽입부(14) 및 주배관(1)의 외면에 밀착되는 환형턱(13)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브라켓(10);과,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태에서 단부에 핸들(22)이 형성되고, 외부면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10)의 관통공(12)에 나사체결되는 경사숫나사부(23)와 분기관(2)의 단부가 연결되는 밀착면(24)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브라켓(20);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22)은 일자 또는 십자 형태를 갖으며 관통공(21)과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브라켓(20)의 정역회전방향으로는 핸들(22)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외 방향의 두께는 핸들(22)의 1/2 두께를 갖는 파단부(221)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단부(221)에 의하여 연결브라켓(20)의 회전시 부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고정브라켓(10)과의 안정적인 나사결합을 보장하고 결합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가 핸들(22)을 연결브라켓(20)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림하여 파단부(221)가 뒤틀리며 부러지는 형태로 연결브라켓(20)으로부터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2.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로 상하수가 유동되는 주배관(1)과, 상기 주배관(1)과 각 가정을 연결하는 분기관(2)의 연결을 위하여 주배관(1)에 형성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1)에 연결되며 일측에 주배관(1)의 연결공(1a)에 끼움되어 내면에 밀착되는 환형턱(58)과 타측의 내측으로 분기관(2) 또는 연결브라켓(20)이 삽입되며 내측에 암나사공(51)과 외측에 쇄기부(52)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53)와, 상기 몸체(53)의 외주면에 끼움되며 내측에 쇄기부(54)가 형성되며 일측에 고정면(55)과 타측에 손잡이(56)가 일체로 형성된 밀착부(57)로 구성된 고정브라켓(50);과,
    내부가 관통되어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태에서 단부에 핸들(22)이 형성되고, 외부면 일측에 상기 몸체(53)의 암나사공(51)에 나사체결되는 경사숫나사부(23)와 분기관(2)의 단부가 연결되는 밀착면(24)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브라켓(20);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22)은 일자 또는 십자 형태를 갖으며 관통공(21)과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브라켓(20)의 정역회전방향으로는 핸들(22)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외 방향의 두께는 핸들(22)의 1/2 두께를 갖는 파단부(221)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단부(221)에 의하여 연결브라켓(20)의 회전시 부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고정브라켓(10)과의 안정적인 나사결합을 보장하고 결합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가 핸들(22)을 연결브라켓(20)의 회전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림하여 파단부(221)가 뒤틀리며 부러지는 형태로 연결브라켓(20)으로부터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의 밀착면(24) 외측에 좌우 이동가능한 형태로 끼움되어 밀착면(24)의 일부와 근접하는 분기관(2)의 단부 일부에 끼움된 상태에서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밀착면(24)과 분기관(2)을 연결하는 이음수단(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KR1020180129430A 2018-10-28 2018-10-28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KR10196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430A KR101962473B1 (ko) 2018-10-28 2018-10-28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430A KR101962473B1 (ko) 2018-10-28 2018-10-28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473B1 true KR101962473B1 (ko) 2019-03-26

Family

ID=65949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430A KR101962473B1 (ko) 2018-10-28 2018-10-28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176B1 (ko) 2019-11-04 2020-05-26 호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밀성이 향상된 분기관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관 결속방법
KR102227527B1 (ko) 2020-07-15 2021-03-12 호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 배관과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분기관 결속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397Y1 (ko) * 2005-03-03 2005-06-13 성기필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100772118B1 (ko) 2007-03-02 2007-11-01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KR100935874B1 (ko) 2009-04-03 2010-01-07 주식회사 대영통신 하수도 분기관 연결소켓
KR101056811B1 (ko) 2011-04-29 2011-08-22 신우산업주식회사 분기관 연결장치
KR101179435B1 (ko) 2010-07-09 2012-09-04 이종태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20160000884U (ko) * 2014-09-04 2016-03-14 양동훈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160029250A (ko) 2014-09-05 2016-03-15 (주)아이오산업 분기관 연결부재
KR20160075181A (ko) 2014-12-19 2016-06-29 박영은 강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KR20170000562U (ko) 2015-08-03 2017-02-13 김미선 원터치식 잠금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3방향의 분기관 연결구
KR101888168B1 (ko) 2018-04-19 2018-08-13 주식회사 코엔 분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397Y1 (ko) * 2005-03-03 2005-06-13 성기필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100772118B1 (ko) 2007-03-02 2007-11-01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분기관 연결구
KR100935874B1 (ko) 2009-04-03 2010-01-07 주식회사 대영통신 하수도 분기관 연결소켓
KR101179435B1 (ko) 2010-07-09 2012-09-04 이종태 분기관 접속 연결구
KR101056811B1 (ko) 2011-04-29 2011-08-22 신우산업주식회사 분기관 연결장치
KR20160000884U (ko) * 2014-09-04 2016-03-14 양동훈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160029250A (ko) 2014-09-05 2016-03-15 (주)아이오산업 분기관 연결부재
KR20160075181A (ko) 2014-12-19 2016-06-29 박영은 강관의 분기관 연결장치
KR20170000562U (ko) 2015-08-03 2017-02-13 김미선 원터치식 잠금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3방향의 분기관 연결구
KR101888168B1 (ko) 2018-04-19 2018-08-13 주식회사 코엔 분기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176B1 (ko) 2019-11-04 2020-05-26 호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밀성이 향상된 분기관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관 결속방법
KR102227527B1 (ko) 2020-07-15 2021-03-12 호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 배관과의 견고한 결속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분기관 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JP5026154B2 (ja) グラウトホールの水密試験構造、および水密試験方法
KR102115176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분기관 결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관 결속방법
KR200487587Y1 (ko)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JP3682031B2 (ja) 配管分岐弁装置及びその分岐方法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102300286B1 (ko) 주관 밀폐력이 향상된 분기관 연결장치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KR100917951B1 (ko) 맨홀용 관 연결구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US20030052459A1 (en) Pipe seal assembly and method
JPH0239105Y2 (ko)
KR20150123555A (ko) 배수관 유지보수용 점검구
JP4398811B2 (ja) 道路用消雪の配管構造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268456Y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CN211449972U (zh) 一种波纹管快速连接卡箍
JP2003274545A (ja) ケーブル用導管の防水装置とその装置を使用した防水施工方法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74385Y1 (ko)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