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87Y1 -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87Y1
KR200487587Y1 KR2020180002195U KR20180002195U KR200487587Y1 KR 200487587 Y1 KR200487587 Y1 KR 200487587Y1 KR 2020180002195 U KR2020180002195 U KR 2020180002195U KR 20180002195 U KR20180002195 U KR 20180002195U KR 200487587 Y1 KR200487587 Y1 KR 200487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wer
tube
sewer pipe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민
Original Assignee
최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민 filed Critical 최지민
Priority to KR2020180002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replacement of the damaged part of the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로 유지보수구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보수된 하수관을 이음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이 불가능한 기존 하수관의 보수를 위하여 절단한 부분에 쉽게 끼움할 수 있고 양측의 밀폐부를 통하여 기존 하수관과의 이음부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밀폐력 향상 및 누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Sewer pipe for sewer pipe maintenance}
본 고안은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로 유지보수구간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보수된 하수관을 이음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이 불가능한 기존 하수관의 보수를 위하여 절단한 부분에 쉽게 끼움할 수 있고 양측의 밀폐관을 통하여 기존 하수관과의 이음부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밀폐력 향상 및 누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 공급을 위한 상수도용 및 오수 처리용 상ㅇ하수도관은 지중매설(地中埋設:땅속에 파묻음)하는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를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내용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로 상하수도용 관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안으로 정해진 규격의 관을 한 라인 또는 여러 라인을 배치시켜 놓고 인력에 의한 파이프이음작업을 실시후,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움 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배관공사는 도로상을 통과하는 중차량의 진동이나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부등침하에 따른 하수관의 파손이 발생되기 쉽고, 홍수시에는 하수관 이음부 되메움재의 세굴현상으로 인하여 공동부가 점차 확대되며, 상기 이음부의 세굴 공동부를 대상으로 보수를 포함한 유지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지연시킴으로써 이음부 및 하수관의 종방향 균열이 발생하여 하수관은 점차 파손되어 결과적으로는 하수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하수관이 파손되는 경우 하수관의 파손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연결구를 이용하여 절단된 하수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부 주변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되메움하여 이루어지는 보수작업이 수행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연결구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이유는 보수되는 하수관 절단부분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과정에서 보수되는 하수관의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연결구를 이용하여 하수관을 연결하더라도 연결구와 하수관의 이음부분이 좁아 연결부분이 견고하지 못하여 이음부분에서 쉽게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구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음부분을 견고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연결구를 설치한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까지 보수작업이 지연됨에 따라서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의 주변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밀실한 상태로 채우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설령 밀실한 상태로 잘 채워진다 하더라도 보강재가 없는 몰탈 자체만으로 구성됨으로써 보강효과가 감소되어 추가적으로 강도 보강이 필요한 실정이며 중차량의 진동이나 충격하중에 쉽게 크랙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크랙부분을 통하여 누수가 계속 발생되는 문제점이 계속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로 특허등록 제10-1188822호(등록일: 2012년 09월 28일)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과 그 연결방법은 ,
내경의 중앙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구획하며 융착부(21, 21a)에 열선(23, 24)을 각각 설치하여 전원 연결잭(26, 26a)에 연결하고, 상기 융착부(21, 21a)의 양단 내경에 경사 안내면(25)을 형성한 연결구(20)의 양쪽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삽입하여 열선(23, 24)을 발열시켜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양쪽에서 경사 안내면(25)의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 결합홈(27)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결합홈(27)과 결합하며 외측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자동 정렬시켜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30)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 정렬대(30)는 정렬 결합홈(27)에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고, 내경에 정렬 돌출부(33)를 형성하여 외측에서 경사 안내면(25)과 접촉하며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정렬하는 경사 지지면(3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의 일측에 요철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기융착을 이용하여 상하수도 관을 연결하는 구성 또한 앞서 설명한 문제점과 같이 기존관과의 연결부분이 좁게 형성되어 연결부분의 수밀유지가 어려워 연결부분에 쉽게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게속하여 발생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7324호(등록일: 2017년 10월 11일) "분기관 연결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798219호(등록일: 2008년 01월 18일)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5280호(공개일: 2008년 11월 12일) "하수관 이음구"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1996-0006392호(등록일: 1996년 07월 24일) "하수도관 연결구" 등록특허공보 제10-0633283호(등록일: 2006년 10월 02일) "하수도관 연결구" 등록특허공보 제10-1188822호(등록일: 2012년 09월 28일)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과 그 연결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282호(공개일: 2011년 02월 08일) "배관의 투명 이음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수관의 누수 및 부분적인 손상에 의한 보수작업시 신속하게 누수 및 손상부분을 제거하고 이음관을 이용하여 제거된 부분을 연결함에 있어서 기존 하수관의 이동이 불가능한 작업환경에서도 이음관과의 연결부분을 넓게 형성하여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한 하수관에 이음관을 연결함에 있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이음관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 및 이에 따른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기존 하수관의 누수발생부분 및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이음관을 설치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별도의 작업없이 하수관의 기존 기울어짐 정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후에도 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중매설되어 고정된 하수관의 부분적인 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있어서,
양측 내부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에 의하여 본체관(10)의 양측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으며, 양측 외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2)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관(10);
상기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내측에 경사부(21)가 경사면(12)과 밀착되어 빠짐이 방지되는 밀폐관(20);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수관의 절단부분에 본체관(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20)을 하수관(20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관(10)과 하수관(200)의 연결부분을 덮어 이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고안의 다 른실시예로,
지중매설되어 고정된 하수관의 부분적인 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있어서,
양측 내부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에 의하여 본체관(10)의 양측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으며, 양측 외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2)과 중앙부분에 고무관(13)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관(10);
상기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내측에 경사부(21)가 경사면(12)과 밀착되어 빠짐이 방지되는 밀폐관(20);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수관의 절단부분에 본체관(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20)을 하수관(20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관(10)과 하수관(200)의 연결부분을 덮어 이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지중매설되어 고정된 하수관의 부분적인 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 끝부분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나사부(312)가 형성된 단지부(31)와 타측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가 일체로 형성된 제1본체관(10);
일측에 상기 단지부(31)의 내부로 끼움되는 회동부(32)가 형성되며 타측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가 일체로 형성된 제2본체관(10');
내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암나사부(331)와 고무패킹(332)가 형성된 링 형태의 압착체결부(33);에 의하여 단지부(31)의 내부에 끼움된 회동부(32)가 단지부(31)의 나사부(312)에 나사체결되어 조입되는 암착체결부(33)에 의하여 자연회전 및 수밀 유지되고,
상기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내측에 경사부(21)가 경사면(12)과 밀착되어 빠짐이 방지되는 밀폐관(20);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수관의 절단부분에 본체관(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20)을 하수관(20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관(10)과 하수관(200)의 연결부분을 덮어 이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관(20)의 외부에 걸림돌기(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관(20)의 내부에 튜브형태의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은 하수관의 누수 및 부분적인 손상에 의한 보수작업시 신속하게 누수 및 손상부분을 제거하고 이음관을 이용하여 제거된 부분을 연결함에 있어서 기존 하수관의 이동이 불가능한 작업환경에서도 본체관 양측의 밀폐관을 연장하여 기존 하수관과 연결부분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육안으로 연결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어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함과 더불어 유지보수작업의 신뢰성 향상 및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이 불가능한 하수관에 이음관을 연결함에 있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이음관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 및 이에 따른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하수관의 누수발생부분 및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이음관을 설치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더라도 별도의 작업없이 하수관의 기존 기울어짐 정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 후에도 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하수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하수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이하, '이음관'이라함)(100)은 양측 단부에 하수관(200)의 단부에 밀착되는 본체관(10)과, 상기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좌우 이동하는 한 쌍의 밀폐관(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관(10)은 양측 내부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에 의하여 본체관(10)의 양측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으며, 양측 외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관(20)은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내측에 경사부(21)와 외측에 걸림돌기(22)와 리브(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음관(100)은 하수관(200)의 누수 및 부분적인 손상에 의한 보수작업시 누수 및 손상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절단된 부분에 한 쌍의 밀폐관(20)을 밀착시켜 본체관(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짧게 형성하여 본체관(10)의 양측 단부를 노출시키고, 노출된 본체관(10)을 하수관(200)의 절단된 부분에 끼움한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20)을 걸림돌기(22)를 이용하여 하수관(20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관(10)과 하수관(200)의 연결부분을 덮어 설치한다.
이때, 본체관(10)은 하수관(200)의 두께보다 1.5배 두껍게 형성한 상태에서 양측의 확장부(11)가 외측으로 경사지며 연결되는 하수관(200)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서 본체관(10)이 하수관(200)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돌출됨이 없도록 하여 하수관(200)을 이동하는 하수의 이물질이 본체관(10)의 연결부분에 끼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관(20)은 내부의 경사부(21)가 본체관(10)의 경사면(12)과 면접촉되어 본체관(10)으로부터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본체관(10)의 외주면과 하수관(200)의 외주면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한 상태에서 밀폐관(10)을 이동시켜 접착제에 의하여 이음관(100)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밀폐관(10)의 걸림링(22) 양측으로 밴드(미도시)등을 위치시키고 하수관(200)과 연결한 상태에서 보조적으로 조임하여 밀폐관(20)이 하수관(200)과 본체관(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더욱 견고한 연결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관(20)의 내부에 튜브형태의 패킹(미도시)를 형성하여 더욱 안정적인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이음관(100)의 설치위치가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일측으로 미세하게 휘어지거나 틀어짐이 발생한 경우 본체관(10)의 중앙부분에 변형되는 고무관(13)을 일체로 형성하여 무리한 설치에 따른 이음관(100)의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이음관(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수관(200)의 연결상태가 급격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 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변형된 실시예로써, 본체관(10)의 중앙부분에 구 형태의 회전수단(30)을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회전수단(30)은 제1본체관(10)의 일측에 형성된 단지부(31)와, 제2본체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단지부(31)의 내부로 일부분이 회전가능하게 끼움되는 회동부(32) 및 상기 단지부(31)의 단부에 나사체결되어 회동부(32)의 끼움된 상태를 유지하는 압착체결부(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지부(31)의 외측에는 보강리브(311)를 형성하여 단지부(31)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지부(31)의 단부에는 끝부분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나사부(312)가 형성되며, 압착체결부(33)의 내면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암나사부(331)가 나사체결에 의하여 끼움된 회동부(32)의 표면을 조임하여 자연회전을 방지함과 더불어 수밀유지 및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착체결부(33)의 내부에는 고무패킹(332)을 삽입하여 연결부분을 수밀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하수관로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이음관은 기존 지중에 매설되어 이동(움직임)이 불가능한 하수관의 손상된 부분을 절단제거하고 절단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을 확장시켜 하수관과 이음함으로써 이음된 길이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어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함과 더불어 유지보수작업의 신뢰성 향상 및 작업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유지보수가 필요한 하수관의 보수부분이 경사진 형태를 갖더라도 각도를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음관의 형태에 의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하수관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한 하수관의 수밀유지는 물론,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본체관 11 : 확장부
12 : 경사면 13 : 고무관
20 : 밀폐관 21 : 경사부
22 : 걸림돌기 23 : 리브
30 : 회전수단 31 : 단지부
311 : 보강리브 312 : 나사부
32 : 회동부 33 : 암착체결부
331 : 암나사부 332 : 고무패킹

Claims (5)

  1. 지중매설되어 고정된 하수관의 부분적인 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있어서,
    양측 내부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에 의하여 본체관(10)의 양측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으며, 양측 외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2)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관(10);
    상기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내측에 경사부(21)가 경사면(12)과 밀착되어 빠짐이 방지되는 밀폐관(20);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수관의 절단부분에 본체관(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20)을 하수관(20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관(10)과 하수관(200)의 연결부분을 덮어 이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2. 지중매설되어 고정된 하수관의 부분적인 보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에 있어서,
    양측 내부에 외측으로 경사진 확장부(11)에 의하여 본체관(10)의 양측이 확장되는 형태를 갖으며, 양측 외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2)과 중앙부분에 고무관(13)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관(10);
    상기 본체관(10)의 외측에 끼움되어 연결되며 내측에 경사부(21)가 경사면(12)과 밀착되어 빠짐이 방지되는 밀폐관(20);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수관의 절단부분에 본체관(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양측의 밀폐관(20)을 하수관(200)측으로 이동시켜 본체관(10)과 하수관(200)의 연결부분을 덮어 이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3. 삭제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관(20)의 외부에 걸림돌기(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관(20)의 내부에 튜브형태의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KR2020180002195U 2018-05-21 2018-05-21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KR200487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95U KR200487587Y1 (ko) 2018-05-21 2018-05-21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95U KR200487587Y1 (ko) 2018-05-21 2018-05-21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87Y1 true KR200487587Y1 (ko) 2018-10-08

Family

ID=6386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195U KR200487587Y1 (ko) 2018-05-21 2018-05-21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71Y1 (ko) 2019-02-09 2019-06-21 김상수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KR102203393B1 (ko) 2019-09-25 2021-01-14 정규호 파이프 연결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92Y1 (ko) 1993-10-26 1996-07-24 변무원 하수도관 연결구
JP2004156752A (ja) * 2002-11-08 2004-06-03 Chinko Ri 配管の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継手管
KR200409598Y1 (ko) * 2005-09-05 2006-02-24 백완기 체결조임형 가변각도 이음관
KR100633283B1 (ko) 2005-04-06 2006-10-12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도관 연결구
KR20080005280A (ko) 2005-06-07 2008-01-10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발광소자 실장용 법랑 기판, 발광소자 모듈, 조명 장치,표시 장치 및 교통 신호기
KR100798219B1 (ko) 2004-08-31 2008-01-24 유정식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KR20110011282A (ko) 2009-07-28 2011-02-08 지윤범 배관의 투명 이음장치
KR101188822B1 (ko) 2012-06-12 2012-10-09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과 그 연결방법
KR101787324B1 (ko) 2017-05-24 2017-10-18 김상수 분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92Y1 (ko) 1993-10-26 1996-07-24 변무원 하수도관 연결구
JP2004156752A (ja) * 2002-11-08 2004-06-03 Chinko Ri 配管の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継手管
KR100798219B1 (ko) 2004-08-31 2008-01-24 유정식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KR100633283B1 (ko) 2005-04-06 2006-10-12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도관 연결구
KR20080005280A (ko) 2005-06-07 2008-01-10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발광소자 실장용 법랑 기판, 발광소자 모듈, 조명 장치,표시 장치 및 교통 신호기
KR200409598Y1 (ko) * 2005-09-05 2006-02-24 백완기 체결조임형 가변각도 이음관
KR20110011282A (ko) 2009-07-28 2011-02-08 지윤범 배관의 투명 이음장치
KR101188822B1 (ko) 2012-06-12 2012-10-09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과 그 연결방법
KR101787324B1 (ko) 2017-05-24 2017-10-18 김상수 분기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471Y1 (ko) 2019-02-09 2019-06-21 김상수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KR102203393B1 (ko) 2019-09-25 2021-01-14 정규호 파이프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18B1 (ko)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KR200487587Y1 (ko) 하수관로 유지보수용 이음관
US2917085A (en) Method of sealing leaks in sub-surface sewer pipe
KR101670907B1 (ko) 상하수관용 연결 구조체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JP3682031B2 (ja) 配管分岐弁装置及びその分岐方法
KR102083378B1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KR102038029B1 (ko) 배수관의 비굴착식 보수 방법
KR101208606B1 (ko) 관거의 맨홀 결합구조 및 이의 결합방법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JP4152259B2 (ja) 陶管の補修工法
KR101343522B1 (ko)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갖는 복합 배관 및 복합 배관의 조립방법
JP3667190B2 (ja) 管ライニング工法
KR100909111B1 (ko) 합성수지제 맨홀용 접속관 및 합성수지제 접속관을 일체로갖는 콘크리트 맨홀의 제작방법
JP6625101B2 (ja) 支管管端部の施工方法及び装置と、建物配管との接続方法及び装置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US20160178109A1 (en) In-situ installable replacement pipeline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KR101914957B1 (ko) 수중에서 가능한 맨홀 교체 시공방법
CN217603531U (zh) 一种管道墙体连接处防渗漏装置
KR100517223B1 (ko) 배관 플러깅용 소켓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분기장치
CN212773485U (zh) 一种剪力墙内直埋给水点预埋装置
KR20030060559A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900216B1 (ko) 관로 연결장치
CN207880233U (zh) 一种市政工程排水管连接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