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48Y1 - 배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48Y1
KR200330948Y1 KR20-2003-0023011U KR20030023011U KR200330948Y1 KR 200330948 Y1 KR200330948 Y1 KR 200330948Y1 KR 20030023011 U KR20030023011 U KR 20030023011U KR 200330948 Y1 KR200330948 Y1 KR 200330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connecting sleeve
cover
dis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3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21Snap-f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의 위치에 따라 연결구의 위치를 적절하게 가변시켜 배수관과 하수관의 연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d1의 직경을 갖는 원통부(11)와, 이 원통부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확개되는, 하단직경이 d1이고 상단직경이 d2(d2 > d1)인 깔대기부(12)와, 이 깔대기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연장되어 외측 직경이 d3(d3 > d2)인 원반부(13)와, 그리고 이 원반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하게 높이 h1으로 연장된 입벽부(14)로 이루어진 연결슬리브(10)와; d2보다 적은 직경 d4를 갖는 원통부(22)와, 이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이 원통면에 대하여 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d3보다는 작고 d2보다는 큰 직경 d5(d2 < d5 < d3)를 가지는 원반부(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가동원통체(20)와; 그리고, 상기 d2의 내경과 d3의 외경을 가지는 원반부(31)와, 이 원반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입벽(3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중공원반형 덮개(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원통체는 그 원반부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의 원반부와 상기 연결슬리부의 원반부 사이의 수평틈새(G)에 놓여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구{CONNECT TOOL OF DRAINING DEVICE}
본 고안은 양변기 또는 세면대 등이나 싱크대 등의 배수를 위해 하수관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구의 설치범위가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 또는 세면대 등의 배수관을 하수관에 연결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관과 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하수관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대개의 경우, 상기 하수관의 상단부에 상기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배수관을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배수트랩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러나, 상기 하수관이 주로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층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관을 하수관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을 매설된 하수관에 근접하여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공간 활용 측면에서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
즉,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설치는 건축물의 바닥슬라이브를 시공할 때 매설되는 하수관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하수관의 매설된위치가 세면대나 양변기 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와 적절한 위치에 매설되어 있지 않을 경우, 시공단계에서 적절한 곳으로 상기 세면대나 양변기 또는 싱크대 등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설치하기가 어렵고,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1993-4977호인 양변기의 배수용 편심관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랜지를 가진 입구와 출구가 편심된 제1편심관체와 상기 출구가 내삽되는 입구와 통상의 배수관의 입구에 내삽되는 출구가 편심된 제2편심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건물을 신축하는 과정에서 욕실내의 하수관의 설치위치가 잘못되어 있거나 욕실의 다른 위생설비의 배치가 변경되어 양변기의 설치위치를 바꾸고자 할 경우, 제1편심관체와 제2편심관체에 의해 융통성 있게 양변기의 설치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편심관체와 제2편심관체로 이루어진 종래 배수용 편심관은, 욕실내의 바닥슬라이브에 매설된 하수관에 연결된 제2편심관체와 이 제2편심관체의 상단에 하단측이 끼워진 제1편심관체에 의해 그 설치높이가 적절하지 못함에 따라 양변기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몸체가 제1편심관체와 제2편심관체가 서로 하단측과 상단측이 본드 등과 같은 별도의 접합수단 없이(설치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서로의 관체들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 끼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각각의 관체들이 서로 분리될 경우, 배출되는 양변기의 오물이 그대로 욕실내로 흘러나오는 결과를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을 타로 역류하는 악취나 하수가 그대로 제1편심관체와 제2편심관체를 타고 욕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청결하고 깨끗한 욕실문화를 가꿈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배수관을 하수관에 연결함에 있어서 제반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의 위치와 하수관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더라도 편심되게 이동되는 가동원통체에 의해 배수관을 하수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구성요부인 가동원통체가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구성요부인 가동원통체가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슬리브 11 : 원통부
12 : 깔대기부 13, 21, 31 : 원반부
14 : 입벽부 15 : 체결돌기
16 : 수나사부 20 : 가동원통체
22 : 원통부 30 : 중공원반형 덮개
32 : 입벽 33 : 체결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는,
d1의 직경을 갖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확개되는, 하단직경이 d1이고 상단직경이 d2(d2 > d1)인 깔대기부와, 이 깔대기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연장되어 외측 직경이 d3(d3 > d2)인 원반부와, 그리고 이 원반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하게 높이 h1으로 연장된 입벽부로 이루어진 연결슬리브와;
d2보다 적은 직경 d4를 갖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이 원통면에 대하여 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d3보다는 작고 d2보다는 큰 직경 d5(d2 < d5 < d3)를 가지는 원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가동원통체와; 그리고,
실질적으로 d2의 내경과 d3의 외경을 가지는 원반부와, 이 원반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입벽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중공원반형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원통체는 그 원반부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의 원반부와 상기 연결슬리부의 원반부 사이의 수평틈새에 놓여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와 연결슬리브를 상호 결합하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와 연결슬리브의 상호 결합수단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의 입벽 내측에 호형상의 체결홈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슬리브의 입벽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도록 이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연장형성된 체결돌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와 연결슬리브의 상호 결합수단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의 입벽 내주연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슬리브의 입벽부 외주연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슬리브의 원반부 내측에는 패킹결합홈이 더 형성되고, 이 패킹결합홈에 끼워지는 패킹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는, 연결슬리브의 상단측 원반부에 안착된 가동원통체가 임의적으로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하수관과 배수관의 연결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킹이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하수관측으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등이 연결구 밖으로 벗어나지 않고 실내로 오수나 또는 하수의 악취가 유입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100)는, 하수관(미도시)에 연결되는 연결슬리브(10)와, 이 연결슬리브(10)의 상단에 안착되는 가동원통체(20)와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상단에 체결되는 덮개(3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슬리브(10)는, 직경 d1을 갖는 원통부(11)와, 이 원통부의 상단측으로부터 경사지게 확개되어 연장되고 상단직경 d2를 갖는 깔대기부(12)와, 상기 깔대기부(12)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연장되고 외측 직경 d3를 갖는 원반부(13)와, 이 원반부(13)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입설되며 높이 h1을 갖는 입벽부(14)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원통체(20)는, 상기 연결슬리브(10)의 깔대기부(12)의 상단직경 d2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원통부(22)와, 이 원통부(22)의 원통면에 대해 외측으로 직각되게 상기 원통부(22)의 하단측에 연장되고,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 외측직경 d3보다는 작고 상기 깔대기부(12)의 상단직경 d2보다는 큰 직경 d5를 갖는 원반부(2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상기 깔대기부(12)의 상단직경 d2와 동일한 내경과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 직경 d3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원반부(31)와,이 원반부(31)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되게 하향 연장된 높이 h1의 입벽(32)을 갖는 중공원반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입벽부(14) 외주연과,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30)의 입벽(32) 외주연에는 각각 체결돌기(15)와 체결홈(33)이 더 연장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서로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동원통체(20)는, 그 원반부(21)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30)의 원반부(31)와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 사이에 형성된 수평틈새(G)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원통체(20)를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에 안착시킨 후,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30)의 입벽(32) 외주연에 형성된 체결홈(33)의 일측을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입벽부(14)의 외주연에 연장된 체결돌기(15)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30)를 일측방향으로 돌려 체결홈(33)에 체결돌기(15)를 끼워 체결하여, 연결슬리브(10)와 가동원통체(20) 및 중공원반형 덮개(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100)를,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통부(11)를 매설된 하수관에 내삽시킨 후, 상기 가동원통체(20)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양변기나 세면대 또는 싱크대 등의 배수관과 연결함으로써, 배수관과 하수관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동원통체(20)는,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와, 중공원반형 덮개(30)의 원반부(31) 간에 형성된 수평틈새(G)내에서 사방측으로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하수관과 양변기의 배수구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설치하고자 하는 배수관과 하수관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놓여지지 않더라고 위치가 가변되는 가동원통체(20)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배수관에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수관과 하수관의 연결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원통체(20)가 수평틈새(G)내에서 이동됨에 따라, 가동원통체(20)의 원통부(22)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라도,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하수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됨이 가능한 바, 이는, 상기 원통부(22)의 이동반경이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통부(11) 상단에 확개연장된 깔대기부(12)의 직경 d2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슬리브(10)와 중공원반형 덮개(30)와의 결합수단을 달리하여 구성한 것으로,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결합이 아닌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슬리브(10)와 덮개(3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입벽구(14)의 외주연에 수나사부(16)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16)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 암나사부(34)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30)의 입벽(32) 내주연에 형성됨으로써, 수나사부(16)와 암나사부(34)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연결슬리브(10)와 중공원반형 덮개(3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상기 연결슬리브(10)와 이 연결슬리브(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중공원반형 덮개(30)와의 결합수단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에 패킹결합홈(17)이 더 형성되고, 이 패킹결합홈(17)에 끼워지는 패킹(40)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원반부(13)와 가동원통체(20)의 원반부(21)와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패킹(40)에 의해 연결슬리브(10)의 원통부(11)가 내삽된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거나 또는 역류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며,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오수가 연결구(10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현상도 방지된다.
상기 패킹(40)은 도시한 바에 의하면 원형상으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는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배수관 연결구에 의하면, 배수를 위해 베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배수관과 하수관의 설치위치가 차이가 나더라도 쉽게 배수관과 하수관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별도로 구성된 패킹에 의해 하수관을 타고 악취나 오수가 역류됨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d1의 직경을 갖는 원통부(11)와, 이 원통부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확개되는, 하단직경이 d1이고 상단직경이 d2(d2 > d1)인 깔대기부(12)와, 이 깔대기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연장되어 외측 직경이 d3(d3 > d2)인 원반부(13)와, 그리고 이 원반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하게 높이 h1으로 연장된 입벽부(14)로 이루어진 연결슬리브(10)와;
    d2보다 적은 직경 d4를 갖는 원통부(22)와, 이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이 원통면에 대하여 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d3보다는 작고 d2보다는 큰 직경 d5(d2 < d5 < d3)를 가지는 원반부(2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가동원통체(20)와; 그리고,
    상기 d2의 내경과 d3의 외경을 가지는 원반부(31)와, 이 원반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입벽(3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중공원반형 덮개(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원통체는 그 원반부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의 원반부와 상기 연결슬리부의 원반부 사이의 수평틈새(G)에 놓여지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20)와 연결슬리브(10)를 상호 결합하는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와 연결슬리브의 상호 결합수단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30)의 입벽(32) 내측에 호형상의 체결홈(3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결슬리브(10)의 입벽부(14) 외측으로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도록 이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연장형성된 체결돌기(15)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와 연결슬리브의 상호 결합수단은, 상기 중공원반형 덮개의 입벽 내주연에 암나사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슬리브의 입벽부 외주연에는 수나사부(16)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슬리브의 원반부 내측에는 패킹결합홈(17)이 더 형성되고, 이 패킹결합홈에 끼워지는 패킹(40)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구.
KR20-2003-0023011U 2003-07-16 2003-07-16 배수관 연결구 KR200330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11U KR200330948Y1 (ko) 2003-07-16 2003-07-16 배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11U KR200330948Y1 (ko) 2003-07-16 2003-07-16 배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48Y1 true KR200330948Y1 (ko) 2003-10-22

Family

ID=4933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11U KR200330948Y1 (ko) 2003-07-16 2003-07-16 배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813B1 (ko) * 2009-07-27 2012-08-20 (주)이씨엘플라자 배수 트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813B1 (ko) * 2009-07-27 2012-08-20 (주)이씨엘플라자 배수 트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871B1 (ko) 당해층 벽체 배수 시스템
WO2008108692A1 (en) Closed floor outlet and water seal for floor outlet
GB2475413A (en) Clogging resistant drain
KR200372522Y1 (ko)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US20090013461A1 (en) Siphon system attainable directly during the forming of sanitary ware
KR200330948Y1 (ko) 배수관 연결구
JP2761282B2 (ja) 排水桝
KR101229689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050778B1 (ko) 유선형 트랩의 방취용 오수받이
CZ214596A3 (cs) Zdvojený systém pro vodovodní odpad v budovách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342860B1 (ko)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KR200181575Y1 (ko) 베란다용 배수구조
JP7138319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
RU2810505C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сифон с гидрозатвором
JP3542010B2 (ja) 便器の排水システム
JPH10331221A (ja) 住宅用排水配管装置
JP4795786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CN202248232U (zh) 浴室排水汇流装置结构
KR200216067Y1 (ko) 트렌치 배수관 및 결합장치
KR100671173B1 (ko) 소형 맨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