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87Y1 -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 Google Patents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87Y1
KR200206787Y1 KR2020000017983U KR20000017983U KR200206787Y1 KR 200206787 Y1 KR200206787 Y1 KR 200206787Y1 KR 2020000017983 U KR2020000017983 U KR 2020000017983U KR 20000017983 U KR20000017983 U KR 20000017983U KR 200206787 Y1 KR200206787 Y1 KR 200206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fixing frame
drain
tile
tr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filed Critical 오세영
Priority to KR2020000017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전에 관한 것이며, 바닥의 배수관(DP) 위에 올려지고 모르타르(M)에 의해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틀(10), 배수용 개구부(21)의 둘레에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거름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틀(10)의 안으로 탈착식으로 삽입되는 오물거름부재(20), 상기 오물거름턱(22)에 위에 올려져 상기 고정틀(10)과의 사이에 배수로(31)가 형성되게 상기 오물거름부재(20)의 개구부(21)를 덮는 덮개판(30), 및 상기 배수로(31)를 덮는 배수그릴(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1)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Drain Trap Having Attachable Member For Straining Dirt}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배수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이 시공되는 욕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전으로서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을 확실하게 걸러낼 뿐만 아니라 내부의 오물청소가 용이하고 시공시에 타일 줄맞춤이 편리한 탈착식 오물거름부재를 구비한 배수전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욕실, 화장실, 베란다와 같은 장소의 바닥은 위생, 청소 및 장식적인 측면에서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는 타일로 마감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런 욕실 등의 바닥에는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전이 설치된다.
욕실 바닥에 배수전과 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바닥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수전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배수관을 매설하고 이때 배수전을 설치하기 위한 슬리브도 배수관의 상단에 연결하여 함께 매설하며, 바닥 마무리 공사할 때 상기 슬리브에 배수전을 조립하고 모르타르와 같은 골재로 바닥을 고른 후에 타일을 부착하여 최종 마무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배수전과 타일마감이 동시에 적용되는 욕실 등의 바닥을 시공을 함에 있어서는, 배수전의 수평위치가 타일의 줄맞춤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수전이 바닥의 타일과 조화를 잘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욕실 등에 타일을 시공할 때에는 먼저 벽면에 타일을 부착한 다음 벽면 타일의 줄에 맞추어 바닥의 벽쪽에서부터 안쪽으로 타일을 부착하게 되는 바, 바닥에 타일을 부착하다보면 배수전의 위치가 타일의 배열과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200MM×200MM 크기의 타일인 경우 배수전이 한 장의 바닥 타일에 대응하는 크기와 위치로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타일을 시공하다 보면 배수전이 2장 또는 4장의 타일에 걸쳐 위치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결국 배수전이 걸치게 되는 타일들을 해당 크기에 맞게 잘라서 조각을 맞추는 방식으로 밖에 시공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작업량 증가에 따른 비용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욕실 등의 바닥 외관을 좋지 않게 하는 요인이 되어 왔다.
한편, 지금까지 타일시공 바닥에 시공된 배수전은 다른 일반 바닥에 사용되던 배수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배수전을 타일에 줄맞춤을 하였더라도 배수전 자체가 타일의 외관과 전혀 달라 타일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미관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자는 2000년 2월 28일자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81388호로 등록된 배수전을 개발한 바 있으며, 본 배수전은 바닥에 시공되는 타일과 동일한 타일이 장착된 상부덮개판을 바닥의 배수관 상단에 시공되는 하부트랩동체 상에 끼워 설치하는 배수전이다.
상기 제181388호의 고안으로 타일바닥에 시공되는 배수전이 바닥 타일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되었으나, 본 배수전은 하부트랩동체의 사각 받침부와 상부덮개판의 격자돌기 사이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을 완전히 걸러내기 어렵고, 하부트랩동체의 잔류부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축적된 오물 및 비누땟물 청소가 힘들며, 배수관에 설치된 트랩을 분리 청소하고 배수관의 확실한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하부트랩동체에 형성한 사각 관통부분의 제한된 범위 내에 트랩이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런 제한된 약간의 범위 내에서만 하부트랩동체를 수평이동하면서 타일 줄맞춤을 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타일이 시공되는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전이 가지는 사용시의 오물거름과 오물청소, 및 시공시의 타일 줄맞춤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전의 분해 시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배수전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배수전이 시공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4는 도2의 배수전이 시공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배수전
10: 고정틀
20: 오물거름부재
30: 덮개판
40: 배수그릴
50: 타일
60: 위치조절판
본 고안에 따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에 대해 탈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는 오물거름부재, 덮개판, 및 배수그릴을 포함하는 배수전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틀은 욕실 등의 바닥에 매설된 배수관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모르타르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본 고안의 배수전이 시공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고정틀은 그 저부 전체가 완전히 개구되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그 저부에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트랩이 조립되는 트랩장착구를 형성하고 트랩장착구 이외의 부분은 밀폐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오물거름부재는 상기 고정틀 안으로 분리 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삽입되는 부재로서, 중앙부에는 배수를 위한 관통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둘레에는 배수로부터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을 걸러내는 오물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물거름부재는 상측으로 외벽과 내벽을 신장되게 형성함으로써 배수가 일시적으로 잔류하는 요부를 형성하여 배수전을 통해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은 상기 오물거름부재 위에 분리 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올려져서 상기 오물거름부재로 유입된 배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흐르는 것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틀과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상태로 상기 개구부를 덮는 판상의 부재이다. 상기 덮개판은 본 고안의 배수전이 바닥에 시공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바, 주변의 타일과 어울리는 색상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 그 상면에는 타일장착부를 형성하여 표면을 타일로 마감함으로써 고안의 배수전이 주변의 타일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물거름부재에 요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덮개판의 아래쪽 외주 둘레에는 상기 요부의 상측을 분할하여 작은 규모의 트랩을 형성하는 블레이드(날개)를 형성한다.
상기 배수그릴은 상기 고정틀의 내주와 상기 덮개판의 외주 사이의 상기 배수로 위에 분리 가능하게 올려져서 상기 배수로에 유입되는 배수로부터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부재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전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전의 분해 시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배수전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배수전이 시공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4는 도2의 배수전이 시공된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전(1)은, 고정틀(10), 오물거름부재(20), 덮개판(30), 및 배수그릴(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정틀(10)은, 본 고안의 배수전(1)을 타일(BT)이 부착되는 욕실 등의 바닥에 시공할 때, 바닥의 콘크리트(C)에 미리 매설된 배수관(DP)의 상측, 즉 슬리브(S)의 상측에 위치되어 모르타르(M)에 의해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부재이다. 고정틀(10)의 외주 둘레에 돌기(11)를 형성하여 이 돌기(11)가 모르타르(M) 속에 묻히도록 함으로써 고정틀(10)이 바닥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틀(10)은 상기 오물거름부재(20)가 자유로이 끼워지고 빠질 수 있도록 소정 높이(예, 25MM)의 수직부(12)에 의해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오물거름부재(20)가 삽입되는 상면은 완전히 개구되어 있다.
고정틀(10)의 저부(13)의 구성은 본 고안의 배수전(1)이 시공되는 방식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다.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도1의 고정틀(10A)은 그 저부(13) 전체가 완전히 개구된 것이고, 도2의 고정틀(10B)은 통상의 트랩(TR)이 장착되는 트랩장착구(14)를 형성하는 한편 이 트랩장착구(1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상태가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틀(10)에는 오물거름부재(20)가 분리 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위로부터 삽입된다. 오물거름부재(20)는 본 고안의 배수전(1)으로 유입된 배수로부터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을 걸러내고, 추가적으로 배수가 일시적으로 머물게 하여 공기의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배수전 내의 악취를 차단하는 부재이다.
도1에 도시된 오물거름부재(20A)는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만을 걸러내도록 형성된 예이고, 도2에 도시된 오물거름부재(20B)는 배수가 잠시 머물게 되는 요부(25)를 추가로 형성하여 냄새를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오물거름부재(20)의 중앙에는 배수관(DP)과 연통되는 개구부(21)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1)의 둘레에는 오물거름턱(2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물거름턱(22)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덮개판(30)의 저부에 접하여 배수가 지나가는 통로에 일정 간격의 장애물을 형성함으로써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을 걸러내는 작용을 한다.
도2의 요부(25)는 오물거름부재(20B)의 외벽(23)과 내벽(24)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한 구획으로서 여기에는 약간의 배수가 고이게 되어 작은 규모의 트랩과 같은 기능을 하므로, 배수전에서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요부(25)의 냄새 차단 기능은 이후 덮개판(30)을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요부(25)는 흙이나 모래 같은 작은 오물이 걸려 침전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오물거름부재(20B)를 고정틀(10)로부터 분리하여 걸린 오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면부호 26은 보강리브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27은 그 위에 장착되는 덮개판(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한턱을 타나낸다.
오물거름부재(20) 위에는 덮개판(30)이 분리 가능하게 탈착식으로 올려진다. 덮개판(30)은 상기 그 저부가 상기 오물거름턱(22)의 상단에 올려지며, 오물거름부재(20)로 유입된 배수가 오물거름턱들(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개구부(21)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틀(10)과의 사이에 배수로(31)를 형성하는 상태로 상기 개구부(21)를 덮는 판상의 부재이다.
덮개판(30)의 사이즈는 고정틀(10)과의 사이에 배수로(31)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배수전(1)을 200MM×200MM 타일이 시공되는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정사각형 고정틀(10)의 일변의 길이를 190MM로 할 수 있고, 이때 정사각형 덮개판(30)의 일변의 길이를 160MM 정도로 함으로써 덮개판(30)의 전체 둘레에 고정틀(10)과의 사이에 15MM 정도의 배수로(3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덮개판(30)은 본 고안의 배수전(1)이 바닥에 시공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미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덮개판(30)은 주변의 바닥타일(BT)과 어울리는 색상의 표면을 가지도록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 덮개판(30)의 상면에 타일(50)을 끼워 장착할 수 있는 오목한 타일장착부(33)를 형성하고 여기에 본 고안 배수전(1)이 시공되는 주변 바닥타일(BT)과 동일한 디자인과 크기를 가지는 타일(50)을 고정시키는 것이, 배수전이 주변바닥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타일(50)은 타일장착부(33)에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으로 견고하게 접착할 수도 있다. 도1에는 타일(50)이 장착되지 않는 덮개판(30A)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타일(50)을 장착하는 덮개판(30B)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서 도면부호 32는 배수그릴(40)이 걸쳐지는 턱이다.
요부(25)가 형성된 오물거름부재(20B)에는, 상기 요부(25)의 상측을 분할하여 작은 규모의 트랩을 형성하는 블레이드(blade: 34)가 아래쪽 외주 둘레에 형성된 덮개판(30B)을 사용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30B)의 아래쪽 외주 둘레에는 덮개판(30B)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된 블레이드(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블레이드(34)의 하단은 상기 요부(25)에 잔류하는 배수에 잠겨 요부(25)를 대략 이분하되 요부(25)의 바닥면에 닿지 않고 틈이 있도록 하여 그 틈을 통해 배수가 개구부(21)로 흐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요부(25)와 블레이드(34)에 의해 이루어지는 배수로는 하나의 작은 규모의 트랩을 형성하게 되므로 배수는 흘러 내려갈 수 있지만 냄새가 역류하는 것은 차단하게 된다.
고정틀(10)의 내주와 덮개판(30)의 외주 사이에 형성된 상기 배수로(31)에는 배수그릴(40)이 분리 가능하게 덮여진다. 배수그릴(40)은 욕실 바닥을 흐른 배수가 최초로 본 고안의 배수전(1)으로 유입되는 통로로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작용을 하며, 여기에는 다양한 형상의 배수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전(1)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저부(13) 전체가 개구된 고정틀(10A)과 요부(2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오물거름부재(20A)와 타일(50)이 장착되지 않은 덮개판(30A)을 포함하는 도1에 예시된 본 고안의 배수전(1)을 위치조절판(60)을 매개하여 배수관(DP) 상에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60의 위치조절판은 본 고안 배수전(1) 보다 충분히 큰 바닥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의 판상부재로서, 그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바람직하게 대각선상의 위치)에 통상의 트랩(TR)이 장착되는 트랩삽입구(61)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조절판(60)은 트랩(TR)이 슬리브(S) 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그 방향을 돌려서 주변 바닥타일(BT)의 배치에 맞게 위치시키고 그 위에 본 고안의 배수전(1A)을 적절히 위치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배수전(1A)을 바닥타일(BT)과 줄맞춤 하기 용이하게 한다. 본 위치조절판(6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본 고안자에 의해 2000년 5월 22일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1082호의 부재명 '받침판'의 구성과 작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의 배수전(1A)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바닥의 타일(BT)을 본 고안의 배수전(1A) 설치 위치 가까이 까지 부착한 후에, 통상의 트랩(TR)이 조립된 상태의 위치조절판(60)을 바닥타일(BT)과의 줄맞춤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향으로 돌려 위치 결정하는 한편 트랩(TR)이 바닥의 콘크리트(C)에 매설된 슬리브(S) 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틀(10A)을 위치조절판(60) 위에 올려놓되 통상의 트랩(TR)이 고정틀(10A)의 개구된 저부(13) 내에 위치되게 함과 아울러 바닥타일(BT)과의 줄맞춤에 정확히 일치되는 위치에 올려놓고, 본 고안의 배수전(1A)까지 나머지 바닥타일(BT)을 부착한다. 이때 모르타르(M)를 고정틀(10A)이 위치된 부분을 제외한 위치조절판(60)과 고정틀(10A)의 돌기(11) 위에까지 깔며, 본 고안 배수전(1A)에 인접한 4장의 바닥타일(BT)은 고정틀(10A)의 둘레와의 사이에 타일과 타일 사이에 깔리는 모르타르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만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오물거름부재(20A)를 고정틀(10A)의 내부에 끼워 넣고, 그 위에 덮개판(30A)을 올린 후에 상기 배수로(31)에 배수그릴(40)을 덮음으로써 본 고안의 배수전(1)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4는 저부(13)에 통상의 트랩(TR)이 조립되는 트랩장착구(14)가 형성된 고정틀(10B)과 요부(25)가 형성된 오물거름부재(20B)와 타일(50)이 장착되고 블레이드(34)가 형성된 덮개판(30B)을 포함하는 도2에 예시된 본 고안의 배수전(1B)을 배수관(DP) 위에 바로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구체예의 배수전(1B)은 고정틀(10B) 자체의 트랩장착구(14)에 통상의 트랩(TR)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위치조절판(60)을 매개하지 않고 고정틀(10B)에 조립된 트랩(TR)이 바로 슬리브(S) 안으로 들어가도록 고정틀(10B)을 위치시킨 후에,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트랩(TR)을 중심으로 고정틀(10B)을 적절히 돌려서 타일 줄맞춤에 맞는 방향으로 그 위치를 결정한다. 이런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구체예의 배수전(1B)의 경우도 도1의 구체예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공한다.
본 고안의 배수전은 정사각형 타일이 시공되는 바닥에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고정틀(10), 오물거름부재(20), 덮개판(30), 배수그릴(40)과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타일(50) 및 위치조절판(60)을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닥에 시공되는 타일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형상이거나 원형인 것도 배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의 배수전(1)은 고정틀(10)과 오물거름부재(20)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탈착식으로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욕실 등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틀(10)에 대하여 배수그릴(40), 덮개판(30)과 타일(40) 및 오물거름부재(20)를 순차로 분리할 수 있음으로, 오물거름부재(20)에 걸리거나 요부(25)에 침전되어 있는 비누땟물과 같은 오물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오물거름부재(20)의 오물거름턱(22)과 요부(25)가 배수그릴(40)을 그대로 통과한 머리카락이나 흙과 같은 오물을 다시 걸러줌으로 오물에 의해 배수전과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오물거름부재(20)가 고정틀(10)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전술한 실용신안등록 제181388호)에는, 사용시의 오물청소를 위해 트랩(TR)을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시공시에 오물거름부재(20)의 개구부(21) 내에 트랩(TR)이 위치하는 범위에서만 배수전(1)을 설치할 수밖에 없으나, 본 고안의 배수전(1)은 오물거름부재(20)가 고정틀(10)로부터 탈착식으로 분리되는 것이어서 사용시 오물거름부재(20)를 고정틀(10)로부터 분리하고 트랩(TR)을 꺼내어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트랩(TR)이 오물거름부재(20)의 개구부(21)로부터 벗어나 오물거름부재(20)의 밑에 걸쳐 있어도 관계가 없으므로, 그만큼 배수전의 수평위치조절을 폭넓게 할 수 있어 타일 줄맞춤이 용이하다.
즉, 타일 줄맞춤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배수전(1)을 설치한 결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TR)이 오물거름부재(20) 밑에 위치할 수밖에 없게 된 경우라도 오물거름부재(20)를 고정틀(10)로부터 분리하고 트랩(TR)을 꺼내어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오물거름부재(20)가 차지하는 면적만큼 배수전(1)의 수평위치조절을 폭넓게 할 수 있어 타일 줄맞춤이 용이하다.

Claims (5)

  1. 바닥의 배수관(DP) 위에 올려지고 모르타르(M)에 의해 상기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틀(10), 배수용 개구부(21)의 둘레에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거름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틀(10)의 안으로 탈착식으로 삽입되는 오물거름부재(20), 상기 오물거름턱(22)에 위에 올려져 상기 고정틀(10)과의 사이에 배수로(31)가 형성되게 상기 오물거름부재(20)의 개구부(21)를 덮는 덮개판(30), 및 상기 배수로(31)를 덮는 배수그릴(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은 그 저부(13) 전체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고정틀(10)은 상기 고정틀(10) 보다 큰 바닥면적을 가지며 그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통상의 트랩(TR)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바닥의 배수관(DP) 위에 올려지는 위치조절판(6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은 그 저부(13)에 통상의 트랩(TR)이 조립되는 트랩장착구(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거름부재(20)에는 외벽(23)과 내벽(24)에 의해 구획되어 배수가 잔류하는 요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30)에는 그 아래쪽 전체 외주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상기 요부(25)의 바닥면에 닿지 않은 상태로 상기 요부(25)에 잔류된 배수에 잠기는 블레이드(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의 상면에는 타일(50)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타일장착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전.
KR2020000017983U 2000-06-23 2000-06-23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Expired - Fee Related KR200206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83U KR200206787Y1 (ko) 2000-06-23 2000-06-23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983U KR200206787Y1 (ko) 2000-06-23 2000-06-23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87Y1 true KR200206787Y1 (ko) 2000-12-15

Family

ID=7305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6787Y1 (ko) 2000-06-23 2000-06-23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8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1616A3 (en) * 2010-08-10 2012-06-14 Cook Joseph R Kits from which may be manufactured drainable structures with concealed drains
WO2012021601A3 (en) * 2010-08-10 2012-06-14 Cook Joseph R Cover for concealed drain
US8789217B2 (en) 2007-03-17 2014-07-29 Joseph R. Cook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and associated shower benches
US9049969B2 (en) 2007-03-17 2015-06-09 Tile Redi, Llc Shower enclosure design and assembly methods using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US9167940B2 (en) 2007-03-17 2015-10-27 Joseph R. Cook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 and associated shower bench
KR20200127622A (ko) * 2019-05-03 2020-11-11 박선은 배수구 유가트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9217B2 (en) 2007-03-17 2014-07-29 Joseph R. Cook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and associated shower benches
US9049969B2 (en) 2007-03-17 2015-06-09 Tile Redi, Llc Shower enclosure design and assembly methods using prefabricated shower benches
US9167940B2 (en) 2007-03-17 2015-10-27 Joseph R. Cook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shower bench and associated shower bench
WO2012021616A3 (en) * 2010-08-10 2012-06-14 Cook Joseph R Kits from which may be manufactured drainable structures with concealed drains
WO2012021601A3 (en) * 2010-08-10 2012-06-14 Cook Joseph R Cover for concealed drain
KR20200127622A (ko) * 2019-05-03 2020-11-11 박선은 배수구 유가트랩
KR102217606B1 (ko) * 2019-05-03 2021-02-18 박선은 배수구 유가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452B1 (en) Drainage channel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KR100361326B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0880459B1 (ko)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EP1243709A2 (en) Former
JPH08128091A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部構造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KR200220668Y1 (ko) 배수트랩 슬리브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0457B1 (ko) 배수 트랩
KR20110011043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352198Y1 (ko) 트랜치형 배수구조
KR20020078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81388Y1 (ko) 배수트랩
KR102663627B1 (ko) 타일용 샤워실 트렌치
KR200311398Y1 (ko) 일체형 배수트랩
JPH0220299Y2 (ko)
KR200262382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JPH09228441A (ja) 排水トラップ装置
CN211774419U (zh) 一种卫生间隐藏式排水结构
AU2007203019B2 (en) Floor Waste Assembly
KR200305382Y1 (ko) 조립식 욕실용 배수장치의 호스연결구조
KR200327221Y1 (ko) 바닥 배수장치
JPH0716781Y2 (ja) 浴室用排水器
KR101896456B1 (ko) 리모델링용 배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