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151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151Y1
KR200408151Y1 KR2020050032880U KR20050032880U KR200408151Y1 KR 200408151 Y1 KR200408151 Y1 KR 200408151Y1 KR 2020050032880 U KR2020050032880 U KR 2020050032880U KR 20050032880 U KR20050032880 U KR 20050032880U KR 200408151 Y1 KR200408151 Y1 KR 200408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drainage
drain
side plat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50032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1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 등의 바닥에 흐르는 오수를 배수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실내 욕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위쪽이 개방된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 시공시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배수 트렌치에 있어서, 측판부(11b)의 외면에는 절곡면(11b')이 형성되고, 이 배수 트렌치의 종방향의 단부에서 끼워맞춤 되고 상기 배수 트렌치의 종향향으로 왕복동 가능한 이동블록(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 트렌치의 시공과정이 신속하고 간편해지며, 욕실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시공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배수 트렌치(trench), 욕실 바닥, 배수, 배수시공, 길이조절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trench with sliding ending portion}
도 1은 종래의 배수 트렌치가 설치된 욕실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렌치의 체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렌치의 단부 절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블록의 작동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배수판넬 11a: 바닥판
11b: 측판부 11b': 절곡면
11b": 삽입홈 11d: 막음판
12: 측판 보호커버 13: 이동블록
13a: 걸림편
본 고안은 배수 트렌치(tren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바닥등에 배수 트렌치를 시공할 때 크기가 정해진 배수 트렌치와 실제 설치 공간과의 차이를 보상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배수 트렌치의 길이방향 단부에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가능한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렌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 또는 화장실 등에서 바닥에 고이는 오수를 바닥의 일측에 매설된 하수구로 유도하여 지하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어 수집하기 위한 배수홈통 등과 함께 바닥의 중앙이나 구석진 부분, 예를 들면 세면대나 욕조의 바닥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수트렌치(100)는 일반적으로 오수를 바닥에 매설된 하수관 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U'자형의 납작한 판넬형상의 몸체(16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위한 그리드 형 덮개판(120)을 가지며 배수로의 역할을 하는 배수 트렌치의 하부는 바닥 슬라브층에 매설된 하수관과 유체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양쪽 선단에는 배수로를 마감할 수 있는 마감판(110)이 별도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기도 하며, 바닥부에는 배수로내 오수를 집수하여 그 아래에 매설된 배수관으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장치가 일체 또는 별도로 설치되기도 한다.
한편, 배수 트렌치는 합성수지 소재로 소정의 단위 길이로 제작된 후 시공과정에서 설계조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마감 시공시 마감타일 등과 함께 욕실 등의 바닥에 매립되는데, 예를 들면 바닥 타일의 시공과 함께 최종적으로 배수 트렌치를 시공할 때에는 절단된 배수트렌치의 길이와 실제 욕조 바닥의 폭과의 길이가 맞지 않아 그 차이 공간을 다른 타설물로 채우거나 거칠게 조각낸 타일을 이용하여 덧붙이게 됨으로써 욕실의 미관을 해치고 작업도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점점 고급화되는 욕실의 환경에 맞게 시공을 마무리하려면 배수 트렌치와 욕실 벽과의 나머지 공간에 타일 등을 정확한 치수로 잘라붙이는 등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대규모 시공시에 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배수 트렌치에 있어서, 배수 트렌치의 종방향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기존의 배수 트렌치에도 장착할 수 있는 이동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판(11a)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 측판부(11b)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판넬(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배수 트렌치(trench)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11b)의 외면에는 절곡면(1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트렌치의 종방향의 단부에서 끼워맞춤 되고 상기 배수 트렌치의 종향향으로 왕복동 가능한 이동블록(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13)은 하부면이 개방되고 이동 방향 일면이 일부 개방된 중공인 직육면체 형태로서, 그 일측면(13d)은 상기 배수로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그 양측면(13b, 13b)의 하단부에는 내부로 절곡된 걸림편(13a,13a)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판넬(11)의 종방향 단부에는 판형상의 막음판(11d)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부(11b)의 상부를 둘러싸며 이 측판부와 밀착 결합되고, 상기 측판부의 내면에는 절곡면 및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일측단부가 이 삽입홈에 끼워맞춤되는 강성재질의 측판 보호커버(12)가 양 측판부(11b, 11b)에 각각 덧씌워져 있고, 상기 이동블록(13)은 상기 보호커버(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의 일실시예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렌치의 일실시예의 일측 단부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렌치의 일실시예의 종방향 이동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렌치는 도 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판부(11b)의 외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절곡면(11b')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 트렌치의 종방향의 단부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끼워지며 그 이후에는 배수판넬(11)의 종 방향으로 왕복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수 트렌치는 측벽이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될 수 있고, 종방향으로도 일단 또는 양단에 막음판이 형성될 수 있는데, 종방향에 막음판이 형성되는 경우 그 위에 본 고안에 의한 이동블록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록(13)의 하부면은 개방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이동블록(13)은 하부면이 개방되고 이동 방향 일면이 일부 개방된 중공인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이동블록(13)의 양측면(13b, 13b)의 하단부에는 내부로 절곡된 걸림편(13a,13a)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편 사이의 길이(L2)는 상기 배수판넬(11)의 측판부(11b, 11b)의 외측면 사이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되어 배수트렌치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의 위치에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워 맞춤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끼워 맞춰진 이동블록(13)은 배수판넬(11)의 종방향으로 왕복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배수로의 공간상에서 이동되는 일측면(13d)은 상기 배수로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 일측면(13d)과 이에 대향하는 타측면(13e)사이의 거리만큼 상기 이동블록(13)은 왕복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블록은 시공과정에서 배수트렌치의 종방향의 크기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끼워맞춤 되더라도 왕복동이 어느정도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 이동블록이 적절한 위치로 조정된 후 고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위와 같이 형성된 상기 이동블록(13)은 그 측면 하단부의 걸림편(13a, 13a)이 전술한 측판부(11b)의 외면에 형성되는 절곡면(11b')을 따라 배수판넬(11)의 종 방향으로 왕복동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 결과 시공시에 배수 트렌치의 길이와 시공되어야 할 공간사이에 오차가 있더라도 상기 이동블록(13)을 그 오차만큼 즉, 필요한 길이만큼 이동시켜 배수 트렌치와 벽간에 빈틈이 없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절곡된 걸림편(13a)을 포함하는 이동블록(13)은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등의 강성재질인 동시에 '
Figure 112005067015132-utm00001
' 모양이므로 이 이동블록(13)을 종방향으로 왕복동시켜 자리배치가 완료된 후에도 그 양 측판부(11b) 상의 절곡면(11b')은 탄성에 의해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욕실 바닥 등의 마무리 시공과 함께 바닥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부(11b)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측판부(11b)의 상부를 둘러싸며 이 측판부와 밀착 결합되어 포설되는 강성재질의 측판 보호커버(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측판부(11b)의 내면에는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 보호커버의 일측단부를 확실하게 끼워맞춤 고정하기 위한 삽입홈(11b")이 이 절곡면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보호커버의 재질은 금속재, 강화플라스틱 등의 강성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판넬(11)의 상단에 상단커버(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수 트렌치(trench)에 의하면 욕실 바닥 등에 배수 트렌치를 시공할 때 배수 트렌치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는 이동블록을 이용함으로써, 고정된 길이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배수 트렌치와 실제 설치 공간과의 차이를 보상하여 시공할 수 있고, 바닥 타일을 절단하여 남는 공간을 메우는 등의 공정이 생략되면서도 시공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닥판(11a)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 측판부(11b)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판넬(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배수 트렌치(trench)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11b)의 외면에는 절곡면(1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 트렌치의 종방향의 단부에서 끼워맞춤 되고 상기 배수 트렌치의 종향향으로 왕복동 가능한 이동블록(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13)은 하부면이 개방되고 이동 방향 일면이 일부 개방된 중공인 직육면체 형태로서, 그 일측면(13d)은 상기 배수로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그 양측면(13b, 13b)의 하단부에는 내부로 절곡된 걸림편(13a,1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넬(11)의 종방향 단부에는 판형상의 막음판(11d)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11b)의 상부를 둘러싸며 이 측판부와 밀착 결합되고, 상기 측판부의 내면에는 절곡면 및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일측단부가 이 삽입홈에 끼워맞춤되는 강성재질의 측판 보호커버(12)가 양 측판부(11b, 11b)에 각각 덧씌워져 있고, 상기 이동블록(13)은 상기 보호커버(1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KR2020050032880U 2005-11-22 2005-11-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KR200408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80U KR200408151Y1 (ko) 2005-11-22 2005-11-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880U KR200408151Y1 (ko) 2005-11-22 2005-11-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151Y1 true KR200408151Y1 (ko) 2006-02-07

Family

ID=4448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880U KR200408151Y1 (ko) 2005-11-22 2005-11-22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1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93Y1 (ko) 2014-02-17 2015-02-12 김문화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93Y1 (ko) 2014-02-17 2015-02-12 김문화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452B1 (en) Drainage channel
US6799606B1 (en) Drainage pipe covering kit for use during building or floor construction
RU2015153049A (ru) Донный сток
US20200284012A1 (en) Floor Drain for Draining Water From a Walk-In Floor Into a Sewage Pipe
US20100180374A1 (en) Low-profile basin installed with a built-in drain
EP2405062B1 (en) Showerdrain with insert
KR20130106730A (ko) 욕실용 배수트랩
RU2410501C1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0815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KR100681844B1 (ko) 도로의 가변에 설치되는 배수박스구조
EP2305904B1 (en) Drain, such as a shower drain, having variable dimensions
DE102012106924A1 (de) Ablaufanordnung
KR200206787Y1 (ko) 탈착식 오물거름부재가 구비된 배수전
EP3686363A1 (en) Lined drain
KR20010044805A (ko) 배수트렌치 시공방법
KR102052909B1 (ko)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DE202011004001U1 (de) Ablaufanordnung
US11773580B2 (en) Frame for a floor drain
EP3309309B1 (en) Drain comprising a tubular housing and a siphon
KR200394818Y1 (ko) 배수 트렌치
KR200408429Y1 (ko) 건축용 방수턱 거푸집
KR200233422Y1 (ko) 타일마감재
CN211142685U (zh) 一种方便排水的预装式水泥道路结构
KR200352198Y1 (ko) 트랜치형 배수구조
JP2011089348A (ja) L型側溝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