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93Y1 -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93Y1
KR200476193Y1 KR2020140001167U KR20140001167U KR200476193Y1 KR 200476193 Y1 KR200476193 Y1 KR 200476193Y1 KR 2020140001167 U KR2020140001167 U KR 2020140001167U KR 20140001167 U KR20140001167 U KR 20140001167U KR 200476193 Y1 KR200476193 Y1 KR 200476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trench
finishing
drainage trench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화
Original Assignee
김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화 filed Critical 김문화
Priority to KR2020140001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트랜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지 연결장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커버가 안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치, 상기 배수트랜치의 일측 종단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마감부, 상기 마감부에 결합되며, 물을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배수트랜지를 구성하고 있는 토출부를 결합하며, 상기 토출부의 외측 직경과 동일한 내측 직경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에 따르면, 배수트랜치의 측면에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마감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배수 통로를 따라 여러 개의 배수트랜치들을 연결시킬 때 커버가 안착되는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drain trench}
본 고안은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통로를 따라 여러 개의 배수트랜치들을 연결시킬 때 커버가 안착되는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는 배수트랜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식당이나 급식소 등의 주방이나 가정의 욕실, 대중목욕탕 등에는 통상적으로 오물, 오수를 하수관로로 배출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여러 줄의 배수트랜치 유닛이 매설된다. 배수 트랜치로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도랑을 직접 타설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고, 근래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배수 트랜치를 매설하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치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종래의 트랜치형 배수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트랜치형 배수구는 하부에 긴 길이의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부에 사각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배수트랜치(10)와, 배수트랜치(10)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커버(15)로 구성된다.
배수트랜치(10)는 바닥면 및 측면을 이루는 하부몸체와 커버(15)가 안착되는 상부몸체로 구성된 수조부(11), 전면을 이루게 되는 배수부(12), 배수관연결부(13) 등의 부속품들이 각각 성형되게 한 후, 배수부(12)는 수조부(11)의 전면에 용접작업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배수관연결부(13)는 배수부(12)의 구멍(12a)과 동일 중심이 되게 용접작업으로 고정시킨다. 배수트랜치(10)의 타측에는 배수부(12) 및 배수관연결부(13)가 형성될 수도 있고 막힌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4는 종래의 배수트랜치의 연결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랜치는 미리 구축된 콘크리트 배수 통로에 연결해서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면에 커버(15)를 덮어서 사용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종래의 배수트랜치는 시공 현장에서 각각의 배수트랜치(10)들을 연결파이프(14)로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커버(15)가 안착되는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연결파이프(14)로 연결시키는 작업 외에 타일 등으로 마감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수 통로를 따라 여러 개의 배수트랜치들을 연결시킬 때 커버(15)가 안착되는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는 배수트랜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수트랜치의 측면에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마감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배수 통로를 따라 여러 개의 배수트랜치들을 연결시킬 때 커버가 안착되는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는 배수트랜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지 연결장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커버가 안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치, 상기 배수트랜치의 일측 종단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마감부, 상기 마감부에 결합되며, 물을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배수트랜지를 구성하고 있는 토출부를 결합하며, 상기 토출부의 외측 직경과 동일한 내측 직경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감부는 상기 배수트랜치의 상기 상부몸체의 측면을 덮는 제1마감면과, 상기 제1마감면에서 상기 배수트랜치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2마감면, 및 상기 제2마감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배수트랜치의 상기 하부몸체의 측면을 덮는 제3마감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마감면의 길이는, 상기 토출부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타측의 상기 토출부와 결합될 때 상기 제1마감면이 타측의 상기 제1마감면과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에 따르면, 배수트랜치의 측면에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마감부를 결합시킴으로써, 배수 통로를 따라 여러 개의 배수트랜치들을 연결시킬 때 커버가 안착되는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아 마무리가 깨끗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에 따르면, 커버가 안착되는 배수트랜치의 부분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한 후 시멘트로 상부를 마감하면, 타일 등으로 마감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해지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의 연결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수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배수트랜치의 연결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배수트랜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의 연결방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는 배수트랜치(100), 커버(130), 마감부(200), 토출부(300), 연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수트랜치(100)는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2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몸체(110)는 바닥면(111)과 이 바닥면(111)의 양 종단에서 상향으로 절곡된 측면(112)으로 이루어져서 상부가 개방된 'ㄷ'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부분이다. 상부몸체(120)는 하부몸체(110)의 종단(112) 양측 상단부에서 커버(130)가 안착되도록 형성된 안착턱(121), 안착턱(121)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고 다시 외측으로 수평절곡되어 선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된 상단절곡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는 하부몸체(110)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트랜치(100)와 커버(130)는 부식에 강한 내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마감부(200)는 배수트랜치(100)의 일측 종단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마감부(200)는 배수트랜치(100)의 상부몸체(120)의 일측 종단면을 덮는 제1마감면(210), 제1마감면(210)에서 배수트랜치(100)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2마감면(220), 제2마감면(220)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배수트랜치(100)의 하부몸체(110)의 일측 종단면을 덮는 제3마감면(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수트랜치(100)의 타측면에는 마감부(200)가 형성될 수도 있고, 마감부(200)가 없이 막힌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토출부(300)는 마감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부(300)는 배수트랜치(100)의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토출부(300)는 마감부(200)에 형성된 구멍에 용접작업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마감부(2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0)는 토출부(300)들의 사이에서 결합되며, 각각의 토출부(300)들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400)는 배수트랜치(100)의 토출부(300)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400)의 내경은 토출부(300)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연결부(400)의 내경이 토출부(300)의 외경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부(400)와 토출부(300)의 결합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랜치(1)의 연결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랜치(100)는 배수 통로에 길게 수평 구조로 연결시켜 조립한다. 이 경우, 배수 통로의 길이에 따라 배수트랜치(100)를 여러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300)와 타측의 토출부(300’)는 연결부(400)를 끼워서 결합시킨다. 연결부(400)는 토출부(300) 및 타측의 토출부(300’)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400)의 내측 직경은 토출부(300)의 외측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트랜치(100)의 일측면에 결합시킨 마감부(200)의 제2마감면(220)의 길이는, 토출부(300)가 연결부(400)를 사이에 두고 타측의 토출부(300’)와 결합될 때 제1마감면(210)이 타측의 제1마감면(210’)과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각의 배수트랜치(100)들을 접근시켜 연결할 때 제1마감면(210,210’)끼리 서로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연결부(400)에 의해 결합된 토출부(300)들의 상부가 제2마감면(220)에 의해 막힘으로써, 커버(130)가 안착되는 상부몸체(120)들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통로를 따라 여러 개의 배수트랜치들을 연결시킬 때 배수트랜치(100)의 상부몸체(12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므로 마무리가 깨끗해진다. 이로 인해 타일 등으로 마감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해지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배수트랜지(100)와 마감부(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수트랜지(100)와 결합되는 마감부(200)의 해당 부위에 홈부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수트랜지는 마감부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트랜치 110: 하부몸체
111: 바닥면 112: 측면
120: 상부몸체 121: 안착턱
122: 상단절곡부 130: 커버
200: 마감부 210: 제1마감면
220: 제2마감면 230: 제3마감면
300: 토출부 400: 연결부

Claims (3)

  1.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커버가 안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치;
    상기 배수트랜치의 일측 종단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마감부;
    상기 마감부에 결합되며, 물을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와 인접한 배수트랜치를 구성하고 있는 토출부를 결합하며, 상기 토출부의 외측 직경과 동일한 내측 직경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배수트랜치의 상기 상부몸체의 종단을 덮는 제1마감면;
    상기 제1마감면에서 상기 배수트랜치의 내측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2마감면; 및
    상기 제2마감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배수트랜치의 상기 하부몸체의 측면을 덮는 제3마감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치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면의 길이는, 상기 토출부가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타측의 상기 토출부와 결합될 때 상기 제1마감면이 타측의 상기 제1마감면과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배수트랜치 연결장치.
KR2020140001167U 2014-02-17 2014-02-17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KR200476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167U KR200476193Y1 (ko) 2014-02-17 2014-02-17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167U KR200476193Y1 (ko) 2014-02-17 2014-02-17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93Y1 true KR200476193Y1 (ko) 2015-02-12

Family

ID=5259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167U KR200476193Y1 (ko) 2014-02-17 2014-02-17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9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51Y1 (ko) 2005-11-22 2006-02-07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KR100882439B1 (ko) 2007-11-19 2009-02-06 이우진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KR20090003771U (ko) * 2007-10-18 2009-04-22 윤영환 배수구
KR20100007181U (ko) * 2009-01-05 2010-07-14 오상기 조립사용되는 건축설비의 배수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151Y1 (ko) 2005-11-22 2006-02-07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KR20090003771U (ko) * 2007-10-18 2009-04-22 윤영환 배수구
KR100882439B1 (ko) 2007-11-19 2009-02-06 이우진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KR20100007181U (ko) * 2009-01-05 2010-07-14 오상기 조립사용되는 건축설비의 배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5851A (zh) 檐槽组件
CN109162338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CN107587584A (zh) 排水管防渗漏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200476193Y1 (ko)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EP3059352B1 (en) Combination of a shower drain and a device for capturing dirt
AU2015281789B2 (en) A debris trap
CN109235609A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JP2008002258A (ja) 排水システム
JP5940951B2 (ja) 仮設トイレの排水システム
JP2006214225A (ja) 圃場用簡易水門
JP6587313B2 (ja) 緩勾配排水システム
KR20120126257A (ko) 하수관 연결구
CN209308138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20120050831A (ko) 배수트렌치 구조
CN104047355A (zh) 建筑排水立管台口
KR101897126B1 (ko) 외측면 연장부가 형성된 배수트랜치
KR20100088179A (ko) 물탱크 제작용 판넬과 이를 채용한 물탱크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1261760B1 (ko) 스테인레스 배수 트랜치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1371151B1 (ko) 밸브실
US20220333366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oor drains
KR101967854B1 (ko) 배수트렌치 구조
KR200405377Y1 (ko)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