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771U - 배수구 - Google Patents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771U
KR20090003771U KR2020070016881U KR20070016881U KR20090003771U KR 20090003771 U KR20090003771 U KR 20090003771U KR 2020070016881 U KR2020070016881 U KR 2020070016881U KR 20070016881 U KR20070016881 U KR 20070016881U KR 20090003771 U KR20090003771 U KR 200900037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drain
side wall
socket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환
Original Assignee
윤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환 filed Critical 윤영환
Priority to KR2020070016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771U/ko
Publication of KR20090003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구를, 수지로써 사출 성형한 여러 개의 부품을 조립 고정함에 의해 배수구본체를 제작하여 대량생산 및 제품의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 배수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상기 배수구본체는, "U"형상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바닥판과 양측벽판이 일체로 형성된 제1,제2몸체; 상기 제1,제2몸체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서로 대면하는 어느 일단에는 소켓단부를, 다른 일단에는 소켓단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부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게 한 연결용 소켓부; 상기 연결용 소켓부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는 제1,제2몸체의 양단부를 막을 수 있게 설치됨과 아울러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벽판; 및 상기 좌우측벽판과 몸체들이 상호 대면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요입홈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에 패킹부재를 삽입하여 서로 끼움 고정함과 아울러 그 둘레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함에 의해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누수방지부로 이루어진다.
배수구, 배수로, 욕실, 목욕탕, 누수방지

Description

배수구{a drainage}
본 고안은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양단부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연결관을 형성함에 의해 2개 이상의 배수구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구본체를 여러 개의 부품을 수지로써 사출 성형하여 조립 고정함에 의해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욕실이나 공중목욕탕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배수구를 살펴보면, 배수되는 물이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 배수구의 상부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덮개가 덮혀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수구의 덮개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유입되어 집수정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배수구는, 통상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절곡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하였음으로써, 제품의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금속판재를 일일이 절곡하는 것에 의해 배수구를 형성함에 의해 작업공정이 어렵고, 또 원자재(금속판재)가 고가임으로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지로써 사출 성형한 여러 개의 부품을 조립 고정함에 의해 배수구본체를 제작하여 대량생산 및 제품의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 배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되는 장방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락되는 연결관이 형성된 배수구본체; 상기 배수구본체의 개구를 덮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로에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유입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들이 형성된 배수구덮개; 상기 배수구덮개의 유입공들을 통해 상기 배수로에 유입된 물이 상기 함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관만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연결관을 폐쇄할 수 있게 패킹을 개재하여 설치한 마개; 및 상기 마개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연결관에 인접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게 한 미세공들이 형성된 걸름판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본체는 "U"형상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바닥판과 양측벽판이 일체로 형성된 제1,제2몸체; 상기 제1,제2몸체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상기 제 1,제2몸체의 서로 대면하는 어느 일단에는 소켓단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소켓단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소켓단부와 삽입단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한 연결용 소켓부; 상기 연결용 소켓부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1,제2몸체의 양단부를 막을 수 있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벽판; 및 상기 좌우측벽판과 몸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 및 상기 소켓단부와 삽입단부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요입홈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에 패킹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를 요입홈에 끼움 결합함과 아울러 그 둘레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함에 의해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누수방지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구본체를 적어도 1개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상기 함체의 양단부로 각각 형성되는 연결관의 직경을 서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내경과 외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내경과 외경의 사이에 패킹을 개재하여 인접한 1개 이상의 배수구본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는, 목욕탕이나 샤워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양단부를 서로 끼움 고정하여 2개 이상의 배수구를 서로 연결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구본체를 수지로써 사출 성형함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는 배수구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수구본체(100)는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되는 장방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함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락되게 형성되어 건물에 설치되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연결관(102a,102b)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구본체(100)는 규격화된 제품을 대량생산 할 수 있게 수지로써 사출 성형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 ~도 11을 참조하여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는 배수구덮개(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수구덮개(200)는 상기 배수구본체(100)의 개구를 덮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배수로에 물이 유입될 수 있게 유입공(202)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202)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용 돌기(204)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구덮개(200)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유입공(202)들은 금속판재를 타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미끄럼방지용 돌기(204)들은 금속판재의 상부로 돌출되는 엠보싱 가공함에 의해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배수구덮개(200)를 상기 배수구본체(100)의 상부에 덮도록 설치하 기 위해, 상기 배수구본체(100)에는 안착턱(100a)이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안착턱(100a)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마감부재(101)를 더 설치함이 좋은데, 이는 수지로써 사출 성형되는 상기 배수구본체(100)와 금속판재로써 제작되는 배수구덮개(200)의 재질 차이에 의한 상기 배수구본체(100)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마감부재(101)에 의해 배수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는 마개(300a,300b)를 구비하고 있다. 이 마개(300a,300b)는 상기 배수구덮개(200)의 유입공(202)들을 통해 상기 배수로에 유입된 물이 상기 함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관(102a,102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관(102a 혹은 102b)만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연결관(102b 혹은 102a)을 폐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개(300a,300b)를 이용하여 상기 배수구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관(102a,102b)을 막는 상태를 도 6a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에 구비되는 연결관에 마개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마개(300a,300b)를 설치할 경우 연결관(102a,102b)의 내측 혹은 외측으로 상기 마개(300a,300b)를 끼워 삽입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02a)의 외주면에 패킹홈을 형성하여 그 패킹홈에 패킹(108a)을 끼운 후 상기 마개(300a)를 연결관(102a)의 외주면으로 삽입하여 연결관(102a)을 막을 수 있게 하거나, 혹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개(300b)의 외주면에 패킹홈을 형성하여 그 패킹홈에 패킹(108b)을 끼운 후 상기 연결관(102b)의 내주면으로 마개(300b)를 삽입하여 연결관(102b)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개(300a,300b)는 필요에 따라 연결관(102a,102b)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으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개(300a,300b)를 설치시 패킹(108a,108b)을 끼우는 것에 의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은 일정간격을 이루게 다수개를 형성함이 좋은데, 도면에서는 3개의 패킹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는 걸름판(4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름판(400)은 상기 마개(300a,300b)에 의해 폐쇄되지 않은 연결관(102a 혹은 102b)에 인접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102a 혹은 102b)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섞여있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게 한 미세공(40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름판(400)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의 내부에 걸름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걸름판(4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름판(400)을 배수구본체(100)의 내부에 슬라이딩시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본체(100)를 이루는 함체의 내측벽면에 안내레일(106a)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레일(106a)에 걸름판(400)을 슬라이딩 시키는 것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106a)은 배수구본체(100)의 연결관(102a,102b)의 인접하도록 양단부에 각각 형성하여 필요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연결관(102a)을 이용하여 물을 배수시킬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102a) 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안내레일(106a)을 이용하여 걸름판(400)을 설치하고, 도 반대측 연결관(102b)을 이용하여 물을 배수시킬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102b)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안내레일(106b)에 걸름판을 설치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에 구비되는 배수구본체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배수구본체를 구성하는 2개의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소켓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연결용 소켓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배수구본체(100)는 제1,제2몸체(110a,110b)와 좌우측벽판(130a,130b)을 수지로써 사출 성형하여, 이들을 연결 고정하여 제작한다. 즉, 상기 배수구본체(100)는 상호 대면부위에 연결용 소켓부(120)를 갖는 제1,제2몸체(110a,110b)와 상기 제1,제2몸체(110a,110b)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좌우측벽판(130a,130b) 및 상기 좌우측벽판(130a,130b)과 연결용 소켓부(120)의 각 연결부위에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1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구본체(100)를 여러개의 사출물로서 제작하게 되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크기가 큰 제품을 사출 성형할 경우 상대적으로 금형이 커져야 됨으로 비용이 상승되게 되는데, 본 고안과 같이 작은 크기로서 여러 개를 사출 성형하여 조립 형태로 고정 제작하게 되면 비교적 크기가 작은 금형으로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금형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배수구본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제2몸 체(110a,110b)는 "U"형상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바닥판(112)과 양측벽판(114a,114b)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제2몸체(110a,110b)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몸체(110a,110b)의 서로 대면하는 부위에는 연결용 소켓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용 소켓부(120)는 상호 대면하는 제1,제2몸체(110a,110b)의 어느 일단에는 소켓단부(122)를 형성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소켓단부(122)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부(124)를 형성하여 상기 소켓단부(122)와 삽입단부(124)를 상호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결용 소켓부(120)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1,제2몸체(110a,110b)의 양단부를 막을 수 있게 설치되는 좌우측벽판(130a,130b)에는 상기 배수로와 연락되는 연결관(102a,102b)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좌우측벽판(130a,130b)과 제1,제2몸체(110a,110b)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연결용 소켓부(120)에 의해 제1,제2몸체(110a,110b)가 연결되는 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그 연결부위에 누수방지부(140)가 설치된다.
이러한 누수방지부(140)는 패킹부재(142)와 접착제(144)로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좌우측벽판(130a,130b)과 제1,제2몸체(110a,110b)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 및 상기 제1,제2몸체(110a,110b)의 소켓단부(122)와 삽입단부(124)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요입홈(126)과 돌출부(128)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126)에 패킹부재(142)를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128)를 요입홈(126)에 끼움 결합함과 아울러 그 둘레를 따라 접착제(144)를 도포하게 되면,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 에서의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를 2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에 따른 배수구의 연결부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는 적어도 1개 이상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배수구본체(100)의 양단부로 각각 형성되는 연결관(102a,102b)의 직경을 서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내경과 외경으로 형성하게 되면, 1개 이상의 배수구본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102a,102b)의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경과 외경이 끼워지는 사이에 패킹(108c)을 개재하는 것에 의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패킹(108c)의 설치는 이미 앞에서 설명한 마개(300a,300b)를 설치할 때와 동일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에 구비되는 연결관에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의 내부에 걸름망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에 구비되는 배수구본체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배수구본체를 구성하는 2개의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소켓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연결용 소켓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를 2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에 따른 배수구의 연결부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수구본체 200 - 배수구덮개
300a,300b - 마개 400 - 걸름판

Claims (2)

  1. 상하 및 양단이 개구된 배수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로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게 막을 수 있게 한 배수구본체;
    상기 배수로와 연락되게 결합되며, 상기 배수로에 유입된 물을 원하는 쪽으로만 배수될 수 있게 선택하여 막을 수 있는 마개를 구비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인접되게 하여 상기 배수구본체의 내부에 착탈되게 설치된 미세공을 갖는 걸름판을 포함하는 배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본체는 "U"형상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게 바닥판과 양측벽판이 일체로 형성된 제1,제2몸체;
    상기 제1,제2몸체를 연속하여 연결할 수 있게 상기 제1,제2몸체의 서로 대면하는 어느 일단에는 소켓단부를 형성하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소켓단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소켓단부와 삽입단부를 상호 결합할 수 있게 한 연결용 소켓부;
    상기 연결용 소켓부에 의해 연속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1,제2몸체의 양단부를 막을 수 있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벽판; 및
    상기 좌우측벽판과 몸체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 및 상기 소켓단부와 삽입단부의 상호 대면하는 부위에 서로 끼움될 수 있는 요입홈과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에 패킹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를 요입홈에 끼움 결합함과 아울러 그 둘레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함에 의해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연결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누수방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KR2020070016881U 2007-10-18 2007-10-18 배수구 KR200900037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81U KR20090003771U (ko) 2007-10-18 2007-10-18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81U KR20090003771U (ko) 2007-10-18 2007-10-18 배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71U true KR20090003771U (ko) 2009-04-22

Family

ID=4128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81U KR20090003771U (ko) 2007-10-18 2007-10-18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77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6B1 (ko) * 2012-06-22 2013-08-29 (주)에스앤케이산업 배수트렌치
KR200476193Y1 (ko) * 2014-02-17 2015-02-12 김문화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KR20200079410A (ko) * 2018-12-25 2020-07-03 김상남 세척수 분사장치가 설치된 배수트렌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6B1 (ko) * 2012-06-22 2013-08-29 (주)에스앤케이산업 배수트렌치
KR200476193Y1 (ko) * 2014-02-17 2015-02-12 김문화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KR20200079410A (ko) * 2018-12-25 2020-07-03 김상남 세척수 분사장치가 설치된 배수트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6789B (zh) 用于阀体的检修阀和阀组件
US9157220B2 (en) Drain assembly for a bathtub and the like
EP3088614B1 (en) Flush-mounted pre-embedded assembly
US7316423B2 (en) Fitting and pipe section for jetted bath heaters
US10273665B2 (en) Cabinet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a cabinet
KR20090003771U (ko) 배수구
CN103307330B (zh) 用于卫生设备配件的配件基体
JP6019282B2 (ja) 排水装置の取り付け構造
CN203546865U (zh) 用于坐浴器的回流截止器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JP5308697B2 (ja) 管体のキャップ体
KR100786538B1 (ko) 정수기의 필터 하우징용 캡
CN212248626U (zh) 一种拼接地漏
KR200413501Y1 (ko) 디자인된 배수구멍을 갖춘 세면기
JP4055900B2 (ja) 排水ヘッダー
KR20190105865A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50075193A (ko) 배수용 집수구
KR101263603B1 (ko) 사출 배수 트랜치의 하수관 연결장치
JP2522025Y2 (ja) トラップ付き排水桝
KR101792133B1 (ko) 일체형 봉수트랩 제조방법 및 장치
CN216341568U (zh) 一种门转动连接机构和淋浴房
CN217030062U (zh) 一种双把手水龙头
KR200241077Y1 (ko) 건널목용 수로관
KR100804297B1 (ko)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플로우 키트
KR20080003228U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의 연질관 시공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