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626B1 - 배수트렌치 - Google Patents

배수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626B1
KR101301626B1 KR1020120067653A KR20120067653A KR101301626B1 KR 101301626 B1 KR101301626 B1 KR 101301626B1 KR 1020120067653 A KR1020120067653 A KR 1020120067653A KR 20120067653 A KR20120067653 A KR 20120067653A KR 101301626 B1 KR101301626 B1 KR 10130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drainage
pedestal
drain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국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케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케이산업 filed Critical (주)에스앤케이산업
Priority to KR102012006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가 발생하는 바닥에 구축되어 바닥의 물을 하수로 배수하는 배수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1)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본체(10)와 받침대(20)를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본체(10)는, 단면 타원형의 상측에 오픈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이 배수로(D)를 형성하는 배수부(11), 및 상기 개방부(12)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 신장된 덮개지지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배수부(11)의 하측 외주부(15)를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꼭 맞게 탄성적으로 감싸서 구속하는 단면 반타원형의 파지부(21), 및 상기 파지부(21)의 외부 저면으로부터 횡으로 신장된 고정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본체(10)를 고정시키고 인접한 다른 상기 트렌치본체(10)들을 상호 연결한다.

Description

배수트렌치{Drainage Trench}
본 발명은 배수트렌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가 발생하는 바닥에 구축되어 바닥의 물을 하수로 배수하는 배수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 바닥과 같이 그 사용에 있어서 오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는 각종 바닥에는 통상적으로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트렌치가 구축된다.
전통적으로 배수트렌치는,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직접 벽돌 등을 쌓아 현장에서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장 구축방식의 배수트렌치는, 구배에 맞게 벽돌 하나하나를 모르타르로 직접 쌓는 과정임으로, 많은 인력을 요하면서도 작업 속도가 느려 작업 생산성이 매우 낮았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한 구배를 맞추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장 구축방식의 배수트렌치가 가지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공사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미리 규격화된 배수트렌치(유닛)를 기성품으로 제작하여, 공사현장에서는 이를 조립하는 것으로 배수트렌치를 구축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배수트렌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2909호(2007. 06. 21. 등록)의 '배수트렌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5578호(2008. 03. 14. 등록)의 '배수트렌치 유닛',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9375호(2008. 03. 28. 등록)의 '배수트렌치 유닛'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트렌치들에서는, 일부 사항은 부분적으로 만족스럽더라도, 제조용이성, 시공성, 배수성, 시공후 사용까지의 관리 등 제반 사항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배수성이 양호한 배수트렌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 후 사용하기 전까지 각종 이물이 배수로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배수트렌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배수트렌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본체와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본체는, 단면 타원형의 상측에 오픈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이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부, 및 상기 개방부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 신장된 덮개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배수부의 하측 외주부를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꼭 맞게 탄성적으로 감싸서 구속하는 단면 반타원형의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외부 저면으로부터 횡으로 신장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트렌치본체를 고정시키고 인접한 다른 상기 트렌치본체들을 상호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는, 상기 트렌치본체의 상기 덮개지지부의 하측인 상기 개방부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덮개받침돌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는, 상기 파지부의 양측 상단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배수부의 외측에 서로 끼워맞춤 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기 파지부에 상기 트렌치본체의 배수부가 탄성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트렌치본체가 상기 받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트렌치본체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요철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는, 마주보는 상기 덮개지지부의 상단에 절취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지지부의 상단 입구를 폐쇄하고 있되, 용이하게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이물차단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는, 상기 파지부의 저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배수부의 저면 외측에 서로 끼워맞춤 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기 파지부에 상기 트렌치본체의 상기 배수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에 대한 상기 트렌치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요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이 아닌 압출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는,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구배에 맞게 바닥에 고정한 상기 받침대 위에 상기 트렌치본체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추고, 상기 덮개지지부의 상단 높이까지 바닥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바닥에 배수 트렌치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시공 인력과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는, 상기 덮개지지부에 적절한 힘으로 절취 가능한 상기 이물차단판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시공 후 사용 전까지 상기 이물차단판을 제거하지 않고 유지함으로써, 시공 후 사용을 개시하기 이전에 각종 오물이 배수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는, 상기 트렌치본체의 배수부에 의해 형성되는 배수로가 부드러운 곡선의 타원형임으로, 유입된 오수가 최소의 저항으로 원활하게 배수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렌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렌치의 트렌치본체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렌치의 이물차단판을 제거한 상태의 트렌치본체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렌치의 받침대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렌치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렌치의 시공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1)는, 크게 트렌치본체(10)와 받침대(20)의 독립된 2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트렌치본체(10)와 받침대(2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이 아닌 압출성형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상기 트렌치본체(10)는 그 내부공간이 배수로(D)가 되는 부재로서, 그 종방향 단면이 대략 '목이 있는 항아리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트렌치본체(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단일의 부재이지만, 기능적으로 크게 배수부(11)와 덮개지지부(13)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덮개받침돌기(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11)는 단면 타원형 형상이며, 그 상측에는 오픈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부(11)의 내부공간은 바닥의 오수를 하수도로 유도하는 배수로(D)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수부(11)의 형상이 타원형이라고 하는 것은, 원형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수학적인 엄격한 타원형뿐만 아니라 그 전체적인 윤곽이 각이 있는 사각형 등이 아닌 유연한 곡선의 둥근 단면 형상인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배수부(11)의 단면 형상은 높이는 줄이면서도 배수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옆으로 신장된 타원형이다.
상기 덮개지지부(13)는 배수부(11)의 개방부(12)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까지 수직으로 신장된 부분으로서, 양측의 덮개지지부(13)에 의해 형성된 단면 직사각형의 내부공간은 흔히 배수트렌치들에 사용되는 글레이팅(grating)과 같은 덮개(3)를 적용할 때, 덮개(3)가 삽입 및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도6 참조).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상기 덮개받침돌기(14)는 덮개지지부(13)의 하측인 개방부(12)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부분으로서, 덮개지지부(13)에 삽입된 덮개(3)의 저면을 받쳐줌으로써 덮개(3)의 낙하를 방지하는 부분이다.
배수트렌치가 덮개가 없는 개방형일 경우 덮개받침돌기(14)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나, 덮개받침돌기(14)를 형성하면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1)를 덮개가 없는 개방형뿐만 아니라 덮개를 덮는 폐쇄형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덮개지지부(12)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배수부(11)의 내부공간(즉, 배수로)이 시야에 덜 노출되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상기 받침대(20)는, 트렌치본체(10)를 아래로부터 지지하여, 트렌치본체(10)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트렌치본체(10)의 연결부분을 아래로부터 받쳐줌으로써 트렌치본체(10)의 연결소켓의 작용을 한다.
받침대(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단일의 부재이지만, 기능적으로 크게 파지부(21)와 고정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21)는 트렌치본체(10)를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받침대(20)에 구속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배수부(11)의 하측을 이루는 단면 반타원 형상의 하측 외주부(15)에 대응하는 단면 반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트렌치본체(10)를 위로부터 아래로 가압하여 하측 외주부(15)를 파지부(21)에 강제 삽입하면, 하측 외주부(15)가 파지부(21)에 꼭 맞게 탄성적으로 끼워지고, 파지부(21)는 하측 외주부(15)를 탄성적으로 감쌈으로서, 받침대(20)는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강제로 외력을 가하면 분리 할 수 있는 상태로 트렌치본체(10)를 구속한다.
트렌치본체(10)의 하측 외주부(15)가 파지부(21)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트렌치본체(10)가 의도하지 않게 받침대(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파지부(21)는 배수부(11)를 하측으로부터 대략 절반 정도 감쌀 정도의 반타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반타원'이란 타원의 정확한 절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절반을 약간 넘거나 약간 부족한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본체(10)는, 그 단면이 목이 있는 항아리 형상이고, 파지부(21)는 이에 대응하는 단면 반타원 형상이면서, 그 소재인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합성수지는 자체에 탄성을 지니고 있음으로, 외력을 가하여 트렌치본체(10)를 받침대(20)의 위로부터 삽입할 경우에 배수부(11)는 탄성적으로 안으로 약간 오므라지고 파지부(21)는 탄성적으로 밖으로 약간 벌여지면서 트렌치본체(10)가 받침대(20)에 분리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구속되고, 이런 상태에서 트렌치본체(10)는 받침대(20)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부(22)는 파지부(21)의 외부 저면으로부터 횡으로 일정거리 신장된 판상의 부분으로서, 받침대(20)를 그 아래의 바닥에 고정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1)를 바닥에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렌치본체(10)는 받침대(20)에 그 구조와 소재의 특성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구속되지만, 받침대(20)가 트렌치본체(10)를 좌우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속하는 작용을 보강하기 위해, 파지부(21)와 배수부(11)에는 결속요철(23, 1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21)의 양측 상단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배수부(11)의 외측에 서로 끼워맞춤 되는 결속요철(23, 16)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받침대(20)의 파지부(21)에 트렌치본체(10)의 배수부(11)를 결합하면, 트렌치본체(10)가 받침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받침대(20)로부터 트렌치본체(10)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한 구체예에는 파지부(21)의 양측 내측에 결속요철(23: 철부)을 각각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배수부(11)의 외측에 결속요철(16: 요부)을 각각 형성한 것이며, 조립상태에서의 결속요철(23, 16)의 탄성적 결합에 의해, 인위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받침대(20)로부터 트렌치본체(1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물론 요부와 철부는 서로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하여, 파지부(21)의 저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배수부(11)의 저면 외측에 서로 끼워맞춤 되게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요철(24, 17)을 형성할 수 있는 바, 가이드요철(24, 17)은 받침대(20)의 파지부(21)에 트렌치본체(10)의 배수부(11)를 결합한 상태에서 받침대(20)에 대한 트렌치본체(10)의 길이방향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1)는, 예를 들어 건물 내의 실내 주차장 바닥 등에 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1)의 시공을 완성한 후에 주민이 입주하여 사용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때 덮개지지부(13)의 상단 입구(18)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록 덮개(3)를 덮어 놓는다 하더라도, 배수로(D) 속으로 각종 오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배수로(D)로의 오물 유입은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청소를 필요로 하고, 하수 막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1)는, 시공 후 사용하기 전까지 각종 이물이 배수로(D)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차단판(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차단판(30)은, 구조적으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트렌치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2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덮개지지부(13)의 상단에 절취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덮개지지부(13)의 상단 입구(18)를 폐쇄한다.
이물차단판(30)과 덮개지지부(13)의 상단의 연결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그 두께를 얇게 한 절취선(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물차단판(30)을 예를 들어 공구로 잡고 당기면 트렌치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사용 중에는 이물차단판(30)을 제거하고, 필요시 덮개(3)를 덮게 된다.
이하,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1)를 바닥에 시공하는 예시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바닥 콘크리트(C)를 타설할 때 미리 형성한 트렌치설치구에, 일정한 간격으로 강재로 된 고정바(4)를 앵커볼트(5) 등으로 바닥 콘크리트(C)에 구배를 맞추어 고정한 상태에서, 그 위에 구배를 맞춰서 받침대(20)를 정치하고, 고정부(22)에 피스(6)를 박아 받침대(20)를 고정바(4)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받침대(20)에 트렌치본체(10)를 위로부터 삽입 장착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1) 주변의 빈틈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M)를 타설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를 바닥에 구축한다. 이때 모르타르(M)는 덮개지지부(13)의 상단, 즉 시공 장소의 바닥 높이에 맞춘다.
받침대(20)는 트렌치본체(10)의 전체 길이 모두에 걸쳐 설치할 수도 있고, 인접한 2개의 트렌치본체(10)의 연결부위를 포함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인접한 2개의 트렌치본체(10)의 연결부위에 받침대(20)를 적용할 경우에 받침대(20)는 트렌치본체(10)의 연결소켓의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는 압출 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으로, 그 길이는 예를 들어 2-3미터의 단위 길이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운반(운송)과 보관이 허락한다면 그 보다 더 긴 단위로 제작하고, 시공되는 바닥의 특성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단위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트렌치본체(10)와 받침대(20)를 연설할 때에는, 트렌치본체(10)와 받침대(20)의 연결부분에는 적당한 실링재를 적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2에서 덮개지지부(13)의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부분은 시공 완료된 상태에서 바닥의 표면에 노출되는 마감편(13a)이고, 덮개지지부(13)의 중단에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도2의 돌기(13b)와 고정부(22)의 양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도4의 절곡부(22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렌치(1)의 모르타르(M)에서의 결속력을 높이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이다.
1: 본 발명의 배수트렌치
2: 바닥
3: 덮개
4: 고정바
5: 앵커볼트
6: 피스
10: 트렌치본체
11: 배수부
12: 개방부
13: 덮개지지부
14: 덮개받침돌기
15: 하측 외주부
16, 23: 결속요철
17: 24: 가이드요철
18: 입구
20: 받침대
21: 파지부
22: 고정부
30: 이물차단판
31: 절취선

Claims (4)

  1. 단면 타원형의 상측에 오픈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이 배수로(D)를 형성하는 배수부(11), 및 상기 개방부(12)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높이 신장된 덮개지지부(13)를 포함하고,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본체(10); 및
    상기 배수부(11)의 하측 외주부(15)를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및 분리 가능하게 꼭 맞게 탄성적으로 감싸서 구속하는 단면 반타원형의 파지부(21), 및 상기 파지부(21)의 외부 저면으로부터 횡으로 신장된 고정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본체(10)를 고정시키고 인접한 다른 상기 트렌치본체(10)들을 상호 연결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받침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지지부(13)의 하측인 상기 개방부(12)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덮개받침돌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21)의 양측 상단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배수부(11)의 외측에 서로 끼워맞춤 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0)의 상기 파지부(21)에 상기 트렌치본체(10)의 배수부(11)가 탄성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트렌치본체(10)가 상기 받침대(20)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상기 받침대(20)로부터 상기 트렌치본체(10)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요철(23, 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렌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덮개지지부(13)의 상단에 절취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지지부(13)의 상단 입구(18)를 폐쇄하고 있되, 용이하게 절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이물차단판(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렌치.
KR1020120067653A 2012-06-22 2012-06-22 배수트렌치 KR10130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53A KR101301626B1 (ko) 2012-06-22 2012-06-22 배수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53A KR101301626B1 (ko) 2012-06-22 2012-06-22 배수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626B1 true KR101301626B1 (ko) 2013-08-29

Family

ID=4922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653A KR101301626B1 (ko) 2012-06-22 2012-06-22 배수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799B1 (ko) * 2014-06-19 2018-04-0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
CN110847327A (zh) * 2019-11-15 2020-02-28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面积地下室顶板的防排水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75B1 (ko) 2007-01-12 2008-04-07 전병구 배수 트렌치 유닛
KR20090003771U (ko) * 2007-10-18 2009-04-22 윤영환 배수구
KR20090006487U (ko) * 2007-12-26 2009-07-01 김태환 트랜치형 배수구
KR20100038949A (ko) *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75B1 (ko) 2007-01-12 2008-04-07 전병구 배수 트렌치 유닛
KR20090003771U (ko) * 2007-10-18 2009-04-22 윤영환 배수구
KR20090006487U (ko) * 2007-12-26 2009-07-01 김태환 트랜치형 배수구
KR20100038949A (ko) *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3799B1 (ko) * 2014-06-19 2018-04-0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
CN110847327A (zh) * 2019-11-15 2020-02-28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面积地下室顶板的防排水施工方法
CN110847327B (zh) * 2019-11-15 2023-06-23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面积地下室顶板的防排水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6698C2 (ru) Элемент, имеющий форму половины ракушки и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ого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KR101301626B1 (ko) 배수트렌치
US20110036966A1 (en) Stay-in-Place Concrete Footing Forms
KR101031038B1 (ko) 슬리브
KR20100038949A (ko)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20070122190A (ko) 배수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51396Y1 (ko) 복합형 슬리브
RU2376427C2 (ru) Система подключения оболочки к выходу плиты
KR20080092161A (ko) 배수관용 슬리브
KR20090006127U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KR102022544B1 (ko) 맨홀 인버트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인버트 시공방법
KR100662707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210001050U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KR20100006090U (ko)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JP2017166204A (ja) 路上排水溝装置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200424769Y1 (ko) 배수 트렌치
KR100953989B1 (ko) 슬래브의 개구부용 거푸집
KR200417634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1665475B1 (ko) 무개형 수로관 제조장치 및 이 제조장치를 이용한 무개형 수로관 제조방법
KR200372042Y1 (ko) 배수트렌치 구조
KR200266009Y1 (ko) 배수관 임시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