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161A - 배수관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161A
KR20080092161A KR1020070035682A KR20070035682A KR20080092161A KR 20080092161 A KR20080092161 A KR 20080092161A KR 1020070035682 A KR1020070035682 A KR 1020070035682A KR 20070035682 A KR20070035682 A KR 20070035682A KR 20080092161 A KR20080092161 A KR 2008009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leeve body
inner diameter
drain pipe
diame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박점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점순 filed Critical 박점순
Priority to KR102007003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161A/ko
Publication of KR2008009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슬리브몸체가 동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단부 외경이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토록 상단부에 일정높이이의 요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몸의 저면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다단의 슬리브몸체를 적층연결하는 구성으로 슬라브나 벽체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시키도록 하고, 슬리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지지홈, 슬리브, 커버, 요부, 링

Description

배수관용 슬리브{a sleeve for drain pipe}
도1은 종래의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4 내지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슬리브 113...커버
130...요부 150...고정브라켓
155...보스 210...링
211...장홈
본 발명은 배수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슬리브몸체가 동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단부 외경이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토록 상단 부에 일정높이의 요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몸의 저면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슬리브몸체를 적층연결하는 구성으로 슬라브나 벽체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시키도록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브는, 건물의 벽체 및 옹벽 부분에서 각종 시설물의 배관홀을 미리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콘크리트의 타설시 고정핀이나 관통볼트등을 거푸집에 고정되어 위치결정될 때 슬리브의 양단에 삽입되는 커버를 통하여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슬리브를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 등에는 적용할 때 배수관들을 건축물의 시공시 각층별로 매설되는 고정슬리브에 의하여 고정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술관 관련된 슬리브의 구성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34694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슬리브(10)가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다수의 슬리브(20,22)로 분리 구성되되, 각각의 슬리브(20,22)에는 상호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돌기와 슬라이드홈으로 이루어진 착탈부재(25)가 대향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부에 뚜껑(36)을 갖는 커버(32)가 구비되며, 저면에 거푸집등에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8)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슬리브는, 어느 하나의 교체시에는 각 슬리브(20,22)를 상·하 엇갈리게 이동시켜 이탈되도록 한 후 준비된 다른 슬리브를 결합시켜 교체할 수 있어 상이한 직경을 갖는 배수관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리브는, 벽체나 슬라브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다른 규격의 슬리브를 준비하여야 하고, 거푸집의 철거시 고정구(38)에 삽입되는 못이 거푸집에 돌출토록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상부에 장착되는 뚜껑(36)이 쉽게 분리토록 되어 내측에 콘크리트의 유입 우려가 있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생산되는 하나의 슬리브를 통하여 슬라브나 벽체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시키도록 하고, 거푸집의 분리시에도 못등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슬라브나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슬리브의 정확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슬리브 내측에 콘크리트 유입을 방지하면서 커버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통되는 슬리브몸체가 동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단부 외경이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토록 상단부에 일정높이이의 요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몸의 저면에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부에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며, 고정브라켓에 못분리편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관용 슬리브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4 내지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슬리브(100)는, 관통되는 슬리브몸체(110)가 동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단부(H) 외경이 하단부(L) 내경측에 삽입토록 상단부 외경측에 일정높이의 요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저부 둘레에 복수의 고정브라켓(150)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상단부에는 분리형 커버(113)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113)는 둘레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1리브(115)를 통하여 상단부 내경측에 연결된다.
또한, 분리형 커버(113)는, 그 내경및 외경이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되거나 상단부 외경측에 삽입되는 캡으로 이루어 진다.
계속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50) 역시 내경측에 분리형 보스(155)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보스(155)는 다수의 제2리브(117)를 통하여 연결된다.
한편, 상기 요부(130)는, 위치결정수단(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요부에 장착토록 형성되면서 높이별로 구비되어 장착시 슬리브몸체의 외경과 동일 외경을 형성하는 링(210)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상기 요부(13O)에 구비되면서 수직방향의 장홈(211)과 상기 장홈과 연결되어 높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는 수평방향의 지지홈(213) 및 상기 장홈을 따라 되도록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215)로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그 내경 및 외경이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되거나 상단부 외경측에 삽입되는 캡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와 같이, 벽체의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층(300)의 형성시 먼저 그 양측에 복수의 벽체용 거푸집(미도시)를 설치하고, 슬라브의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층(300)의 형성시에는 저면에만 슬라브용 거부집(미도시)을 준비한 후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슬리브(100)는 하단부(L) 둘레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150)에 콘트리트용 못을 밖아 슬리브(100)를 거푸집등에 고정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형성함으로써 경화시 슬리브(100)가 일체로 장착되는 콘크리트층(30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0)는,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층(300)의 형성시 콘크리트층(300)의 두께에 대응토록 하나 이상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콘크리트층(300)의 두께에 상관없이 하나의 슬리브(100)를 다수개 연결하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슬리브(100)는 상부면 외경측에 형성되는 요부(130)가 하하단부의 내경측에 삽입토록 형성되어 복수의 슬리브(100)를 상호 적층시켜 결합하면 소정높이의 슬리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100)는 콘크리트층(300)의 형성시 상단은 외부에 노출토록 되어 콘크리트등이 유입될 수 있으나 본원발명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커버(113)에 의해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커버(113)는 다수의 제1리브(115)를 통하여 그 가장자리 일부만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내경측에 배관등의 삽입시 용이하게 분리시켜 장착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50) 역시 거푸집의 분리시 못이 고정되는 보스(155)가 제2리브(117)로서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쉽게 분리토록 되어 못을 감싸게 함으로써 못이 거푸집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요부(130)에 구비되는 소정높이의 링(210)으로 이루어진 위치결정수단(200)을 먼저 장착한 후 다른 슬리브(100)를 삽입함으로써 미세한 높이조절도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링(210)은, 슬리브몸체(110)의 상단부를 덮는 캡형상으로 형성된 후 그 상단에 커버(113)를 분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요부(13)에 구비되면서 수직방향의 장홈(211)과 상기 장홈과 연결되어 높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는 수평방향의 지지홈(213) 및 상기 장홈을 따라 되도록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215)로서 이루어 져 하나의 슬리브몸체(110)를 다른 슬리브몸체의 요부에 삽입한 후 일정위치 하강하고,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원하는 높이의 슬리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커버는 그 내경 및 외경이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되거나 상단부 외경측에 삽입되는 캡형상으로 이루어 져 슬리브몸체의 상단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생산되는 하나의 슬리브를 통하여 슬라브나 벽체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시키도록 하고, 거푸집의 분리시에도 못등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며, 슬라브나 벽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슬리브의 정확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슬리브 내측에 콘크리트 유입을 방지하면서 커버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본 발명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6)

  1. 관통되는 슬리브몸체가 동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단부 외경이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토록 상단부 외경측에 요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리브몸체의 저부 둘레에 거푸집 제거시 못이 자동분리토록 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슬리브몸체의 상단부에는 분리형 커버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배수관용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슬리브몸체의 상단부에 분리설치된 후 그 둘레에 연결되는 다수의 제1리브를 통하여 상단부 내경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내경 및 외경이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삽입되거나 상단부 외경측에 삽입되는 캡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내경측에 못이 고정되는 분리형 보스가 다수의 제2리브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요부에 장착토록 형성되면서 높이별로 구비되어 장착시 슬리브몸체의 외경과 동일 외경을 형성하는 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수직방향의 장홈과 상기 장홈과 연결되어 높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는 수평방향의 지지홈 및 상기 장홈을 따라 되도록 슬리브몸체의 하단부 내경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로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슬리브.
KR1020070035682A 2007-04-11 2007-04-11 배수관용 슬리브 KR20080092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682A KR20080092161A (ko) 2007-04-11 2007-04-11 배수관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682A KR20080092161A (ko) 2007-04-11 2007-04-11 배수관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61A true KR20080092161A (ko) 2008-10-15

Family

ID=4015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682A KR20080092161A (ko) 2007-04-11 2007-04-11 배수관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16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94B1 (ko) * 2011-12-09 2014-05-27 주식회사 미래산업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101852743B1 (ko) * 2018-01-09 2018-04-27 이수복 내화충전재가 내재되어 있는 2단 구조의 관통슬리브
KR200486756Y1 (ko) * 2017-11-29 2018-06-27 이호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KR101880049B1 (ko) * 2017-12-27 2018-07-20 이피아이주식회사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KR102367457B1 (ko) * 2021-07-12 2022-02-24 ㈜세이프코리아 시공성과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하고 냄새가 차단되는 하수, 오수관용 통합 슬리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294B1 (ko) * 2011-12-09 2014-05-27 주식회사 미래산업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200486756Y1 (ko) * 2017-11-29 2018-06-27 이호선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KR101880049B1 (ko) * 2017-12-27 2018-07-20 이피아이주식회사 충진재 일체형 종이슬리브
KR101852743B1 (ko) * 2018-01-09 2018-04-27 이수복 내화충전재가 내재되어 있는 2단 구조의 관통슬리브
KR102367457B1 (ko) * 2021-07-12 2022-02-24 ㈜세이프코리아 시공성과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하고 냄새가 차단되는 하수, 오수관용 통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2161A (ko) 배수관용 슬리브
CA2977565C (en) Concrete form system
KR200494198Y1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KR200451396Y1 (ko) 복합형 슬리브
KR100655132B1 (ko) 전기공사의 전기콘센트박스 매립 시공방법
WO2017164694A2 (ko) 배수 트랩
KR20120128455A (ko) 알루미늄폼용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200443574Y1 (ko) 길이 가변형 덕트 슬리이브
KR20100023228A (ko) 분리형 플렛타이
KR20090000525U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1301626B1 (ko) 배수트렌치
DE602005002957T2 (de) Duschwanne, Duschwannenbausatz und Duschwanneninstallationsverfahren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KR101178115B1 (ko) 관통 슬리브
JP418251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形成方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への配線用ボックスの固定方法、配線空間形成装置及びカバー部材
KR100765384B1 (ko) 거푸집 인서트 조립체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461980Y1 (ko) 관통 슬리브
US20180155914A1 (en) Pre-form for drain installation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KR101461142B1 (ko)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는 건물 벽체 형성용 갱폼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KR200209349Y1 (ko) 안전 정화조 맨홀
KR20170065264A (ko)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관통슬리브
KR101045355B1 (ko) 배관용 접속관 연결을 위한 관통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