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294B1 - 건물 벽체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건물 벽체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294B1
KR101399294B1 KR1020120093539A KR20120093539A KR101399294B1 KR 101399294 B1 KR101399294 B1 KR 101399294B1 KR 1020120093539 A KR1020120093539 A KR 1020120093539A KR 20120093539 A KR20120093539 A KR 20120093539A KR 101399294 B1 KR101399294 B1 KR 10139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trol
body clearance
slee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577A (ko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산업
Publication of KR2013006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체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중공되는 몸통관 양측에 조절관을 구비하는 건물 벽체용 슬리브에서 몸통관 외면의 상하에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홈을, 원주방향으로는 다단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의 가이드홈에는 걸림홈의 방향을 상하 다르게 하여 구비하고 상호 조립하여 제조를 간편히 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몸통관 외면 상하에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홈을, 원주방향으로는 다단 걸림홈을 구비하고, 조절관의 내벽 일지점에는 돌출핀을 형성하며, 상기 상하에 구비한 가이드홈에 구비하는 걸림홈의 방향은 상하 다르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몸통관 상하에 구비한 조절관을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는 신장을 조절하고 좌우 회전방향으로는 조립 고정되도록 하므로 제조와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 벽체용 슬리브{The sleeve for a building dry-wall}
본 발명은 건물 벽체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난방관, 급수관, 하수관, 통신, 전기 등 통로를 벽체에 구비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아파트, 단독주택, 상가 건물 등을 신축할 때 시공되는 벽체에는 냉·난방관, 급수관, 하수관, 통신, 전기 등 각종의 관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벽체의 거푸집에는 슬리브를 설치하거나 또는 시공된 벽체를 뚫어서 슬리브를 구비하고 몰탈로 마감하여 관로를 확보하여 각종의 관체 또는 선로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에 관련하는 선행수단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5-16517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8-81290호, 국내 실용신안등록제187832호, 국내 특허등록제383223호, 국내 특허등록제516787호 등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의 슬리브는 벽체를 타공하고 중공된 몸통관을 설치하여 몰탈로 고정시켜서 구성하거나 또는 벽체를 시공하는 거푸집내에 중공된 몸통관을 고정시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규격의 슬리브를 구비하거나 또는 슬리브의 신장을 조절하여서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에서 몸통관의 양측에 조절관을 구비하여서 신장을 조절하는 수단은 암수의 나선으로 체결하여 조절하게 되므로 신속한 조절이 어렵고 또 제조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5-165177호(공개일자 : 1980. 11.2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8-81290호(공개일자 : 1983. 05. 16.) ·국내 실용신안등록제187832호(공고일자 : 2000. 07. 15.) ·국내 특허등록제383223호(공고일자 : 2003. 05. 12.) ·국내 특허등록제516787호(공고일자 : 2005. 09. 26.) ·국내 특허등록제662699호(공고일자 : 2006. 12. 28.) ·국내 특허등록제662707호(공고일자 : 2006. 12. 28.) ·국내 특허등록제1041925호(공고일자 : 2011. 06. 15.)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의 종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중공되는 몸통관의 양측에 조절관을 구비하여 벽체의 두께에 따라 신장을 신속하게 조절하고, 몸통관 외면의 가이드홈에 걸림홈을 구비하여서 제조와 사용을 편리하게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 및 도7과 같이 중공되는 몸통관(1) 상하에 조절관(2)(3)을 끼워서 건물 벽체용 슬리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1 및 도3과 같이 몸통관(1) 외면 중앙에는 돌출테(10)를, 상하에는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홈(11)을, 원주 방향으로는 다단으로 걸림홈(12)을, 상기 걸림홈(12)의 방향은 가이드홈(11)에서 상부측과 하부측의 방향을 다르게 하고, 상기 가이드홈(11) 하방에는 걸림턱(13)과 유도홈(14)을 구비하고, 상기 몸통관(1)과 결합 되는 상하의 조절관(2)(3)에는 도1, 도2, 도4와 같이 상하 변부에 조립공(21)이 구비되는 돌편(20)과 선단 내측으로는 배관 지지턱(23)을 형성하고, 내벽 선단의 일지점에는 상기 몸통관(1)의 가이드홈(11) 및 걸림홈(12)에 끼워지는 돌출핀(22)을 형성하여서 구비하고, 상기 몸통관(1)의 유도홈(14)으로 조절관(2)(3)의 돌출핀(22)을 위치시켜서 걸림턱(13)을 거쳐 가이드홈(11)으로 강제 진입시켜서 조립하고, 상기 몸통관(1)에서 조절관(2)(3)을 신장시키고, 몸통관(1)은 잡고 조절관(2)(3)을 돌려서 몸통관(1)의 걸림홈(12)에 조절관(2)(3)의 돌출핀(22)이 끼워져 길이가 설정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몸통관(1)은 제조 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조절관(2)(3)은 제조 금형에서 인출한 고온상태에서 조립하게 되면 조절관(2)(3)에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몸통관(1)과 조립관(2)(3)의 조립이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 수단으로는 도7 및 도8과 같이 조절관(2)(3)의 외경보다 몸통관(1)의 내경을 크게 하고, 조절관(2)(3) 외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홈(11)을, 원주방향으로는 다단의 걸림홈(12)을 형성하고, 몸통관(1) 상하의 내벽 선단 일지점에는 상기 조절관(2)(3)의 가이드홈(11)과 걸림홈(12)에 끼워지는 돌출핀(22)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관(2)(3) 외면의 가이드홈(11)과 걸림홈(12)에 몸통관(1) 내벽의 돌출핀(22)을 끼워서 결합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몸통관(1) 또는 조절관(2)(3)에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가이드홈(11)과 원주방향으로 다단 구비하는 걸림홈(12)은 몸통관(1) 및 조절관(2)(3)의 지름이 작으면 단수로 하고, 지름이 크면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몸통관(1)과 조절관(2)(3) 사이에 도10 및 도11과 같이 2차 조절관(2a)(3a)을 더 추가하게 되면 슬리브의 길이를 늘일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50은 거푸집 판재, 51은 콘크리트, 52는 결속 못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몸통관의 양측에 조절관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벽체용 슬리브는 몸통관과 조절관을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고 상호 조립하여 완성하므로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고 시공하는 벽체 두께에 따라서 관통 슬리브의 신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상부 조절관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몸통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서 하부 조절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을 거푸집에 설치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을 벽체에 설치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변형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의 단면도이며
(가), (나)는 조절관
(다)는 몸통관
도9는 도7을 벽체에 설치한 단면도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에서 2차 조절관을 더 구비한 상태의 실시 종단면도
본 발명은 도1 및 도7과 같이 중공되는 몸통관(1) 상하에 조절관(2)(3)을 끼워서 건물 벽체용 슬리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몸통관(1) 외면 중앙에는 도1, 도3, 같이 돌출테(10)를,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홈(11)을, 상기 가이드홈(11)에서 원주방향으로는 다단으로 걸림홈(12)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홈(11) 하방에는 걸림턱(13)과 유도홈(14)을 구비하고, 상기 몸통관(1)과 결합 되는 상하의 조절관(2)(3)에는 도1, 도2, 도4와 같이 일방 변부에는 조립공(21)이 구비되는 돌편(20)을, 내벽 선단의 일지점에는 상기 몸통관(1)의 가이드홈(11)에 끼워져 가이드되고, 걸림홈(12)에 걸림되는 돌출핀(22)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서 구비된다.
상기 몸통관(1)과 한 쌍의 조절관(2)(3)은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고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게 되면 양산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몸통관(1)의 상하에는 조절관(2)(3)을 위치시키고, 상기 조절관(2)(3)의 내벽 일지점에 구비한 돌출핀(22)을 몸통관(1) 외면의 유도홈(14)에 위치시켜 강제 압입으로 걸림턱(13)을 거쳐서 가이드홈(11)으로 진입시키면 상하 신장 조절이 가능하고 설정지점에 이르면 상기 몸통관(1)은 잡고 조절관(2)(3)을 돌려서 조절관(2)(3)의 돌출핀(22)이 몸통관(1)의 걸림홈(12)에 끼워지면 걸림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몸통관(1)에 조절관(2)(3)을 조립하게 되면 조절관(2)(3)의 돌출핀(22)은 몸통관(1)의 가이드홈(11) 하방과 유도홈(14) 사이의 걸림턱(13)에서 걸림되어 몸통관(1)에서 조절관(2)(3)은 상하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되고, 몸통관(1) 중앙의 돌출테(10)에서 조절관(2)(3)의 상하 선단을 위치시키고 조절관(2)(3)의 돌출핀(22)을 돌출테(10)에 근접되는 지점의 걸림홈(12)에 끼우면 몸통관(1)과 조절관(2)(3)은 신축 상태로 결합되므로 부피가 작아서 포장 박스에 포장과, 운송과, 보관과, 사용이 모두 간편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몸통관(1) 외면 상하의 가이드홈(11)에서 조절관(2)(3)의 돌출핀(22)이 가이드홈(11)을 타고 상하 승강으로 신장이 조절되고, 설정지점에 이르게 되면 몸통관(1)을 잡고 조절관(2)(3)은 상호 다른 방향 즉 걸림홈(12)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조절관(2)(3) 내벽의 돌출핀(22)은 설정지점에 위치한 걸림홈(12)에 각각 끼워져 고정이 되고, 또 상기 조절관(2)(3)을 역방향으로 돌리면 걸림홈(12)에 끼워진 돌출핀(22)은 가이드홈(11)으로 이동되어 신축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몸통관(1)에 끼워진 조절관(2)(3)을 잡고 좌우로 돌려서 돌출핀(22)이 가이드홈(11)에 위치시켜서 신장될 수 있도록 하고, 몸통관(1)을 잡고 조절관을 원주면으로 돌리면 조절관의 돌출핀(22)은 몸통관(1)의 걸림홈(12)에 끼워져 결합 고정된다.
또 도7 및 도8과 같이 조절관(2)(3)의 외경보다 몸통관(1)의 내경을 크게 하고, 조절관(2)(3)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는 가이드홈(11)을, 원주방향으로는 다단의 걸림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몸통관(1) 상하 내벽의 선단 일지점에는 조절관(2)(3)의 가이드홈(11)에서 가이드 되고, 걸림홈(12)에서 걸림 되는 돌출핀(22)을 형성하고, 상기 몸통관(1)과 조절관(2)(3)의 소재는 합성수지재로 하고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게 되면 양산 제조된다.
또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몸통관(1) 상하의 중공부 내벽에 구비된 돌출핀(22)에 조절관(2)(3) 외면의 유도홈(14)에 위치시켜서 강제 압입시켜 걸림턱(13)을 거쳐 가이드홈(11)내에 진입시켜서 조립하면 길이방향으로는 신장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원주방향으로는 걸림홈(12)에 걸림 되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몸통관(1) 또는 조절관(2)(3)에 구비하는 가이드홈(11)과 걸림홈(12)의 수와 크기는 관통 슬리브의 지름에 따라 조절하게 되는데 지름이 200mm이하의 경우에는 가이드홈(11)과 걸림홈(12)을 2열로 하고, 지름이 200mm이상이면 3열이상을 구비하게 되면 견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신장을 조절하여 고정한 슬리브를 도5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거푸집 판재(50) 벽면에 위치시켜서 조절관(2)(3)의 변부에 구비한 돌편(20)의 조립공(21)에 결속 못(52)을 이용하여 거푸집 판재(50)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몰탈)를 타설한 다음 거푸집 판재(50)를 분리시키면 도6 및 도9과 같이 콘크리트(51) 벽체에는 슬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에서 조절관(2)(3) 선단 내측의 배관 지지턱(23)과 몸통관(1)의 내경은 일치되므로 슬리브 내부에 설치되는 관체는 유격이 없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도10 및 도11과 같이 몸통관(1)과 조절관(2)(3) 사이에 2차 조절관(2a)(3a)을 더 구비하게 되면 슬리브의 신장을 2차 조절관(2a)(3a)의 길이만큼 더 신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벽체의 두께가 큰 건물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은 건축물 층간 바닥에서 하수관로의 슬리브 또는 건물벽체의 관통 슬리브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 : 몸통관 2, 3 : 조절관
2a, 3a : 2차 조절관 10 : 돌출테
11 : 가이드홈 12 : 걸림홈
20 : 돌편 21 : 조립공
22 : 돌출핀 23 : 배관 지지턱

Claims (5)

  1. 중공 되는 몸통관(1) 외면 상하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을, 원주 방향으로는 다단으로 걸림홈(12)을, 상기 가이드홈(11) 하방에는 걸림턱(13)과 유도홈(14)을 구비하고, 상기 몸통관(1)과 결합 되는 조절관(2)(3)의 일방 변부에는 조립공(21)이 구비되는 돌편(20)을, 내벽 선단에는 돌출핀(22)을 형성하여서 구비하며, 상기 몸통관(1)의 가이드홈(11)에 조절관(2)(3)의 돌출핀(22)이 끼워져 구성되는 건물 벽체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몸통관(1)의 외면 중앙에는 돌출테(10)를 구비하여서 양 방향에 조절관(2)(3)을 끼워서 신장을 조절하고, 상기 돌출테(10)의 상하 가이드홈(11)에 구비하는 걸림홈(12)의 방향은 상부와 하부가 다르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건물 벽체용 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몸통관(1)과 조절관(2)(3) 사이에 2차 조절관(2a)(3a)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1020120093539A 2011-12-09 2012-08-27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101399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1440 2011-12-09
KR1020110131440 2011-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77A KR20130065577A (ko) 2013-06-19
KR101399294B1 true KR101399294B1 (ko) 2014-05-27

Family

ID=4886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539A KR101399294B1 (ko) 2011-12-09 2012-08-27 건물 벽체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48Y1 (ko) * 2021-03-29 2023-04-14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35B1 (ko) * 2014-01-03 2015-07-16 황혜자 이중관 구조의 방음공기층과 슬라이딩 지수결합부를 갖는 배관파이프와 배관결합부속과 부분오픈형 배관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배관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0497312Y1 (ko) * 2021-10-12 2023-10-10 한국철도공사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699B1 (ko) * 2005-11-14 2006-12-28 김하용 건축용 슬리브
KR20080092161A (ko) * 2007-04-11 2008-10-15 박점순 배수관용 슬리브
KR20090005264U (ko) * 2007-11-28 2009-06-02 이용운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KR20090102446A (ko) * 2008-03-26 2009-09-30 주식회사 용전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699B1 (ko) * 2005-11-14 2006-12-28 김하용 건축용 슬리브
KR20080092161A (ko) * 2007-04-11 2008-10-15 박점순 배수관용 슬리브
KR20090005264U (ko) * 2007-11-28 2009-06-02 이용운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KR20090102446A (ko) * 2008-03-26 2009-09-30 주식회사 용전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748Y1 (ko) * 2021-03-29 2023-04-14 (주)경동하이테크판매 내화충전재가 구비된 관통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577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752B1 (ko) 파이프 고정구
KR101399294B1 (ko) 건물 벽체용 슬리브
KR200473891Y1 (ko) 배관 고정구
WO2018160143A3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heavy duty retaining wall
KR101726291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101717859B1 (ko)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KR20140000615U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1709634B1 (ko)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20190015838A (ko) 설치성이 개선된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816114B1 (ko)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GB2568614B (en) A pipe retention device for a liquid based heating or cooling assembly
KR101630765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철근고정구
KR102141439B1 (ko)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KR10131166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80093620A (ko)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판
KR101413039B1 (ko) 중공재 부력 방지 장치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30045727A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0288395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1750424B1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140028471A (ko) 건축용 배관 슬리브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CN202836605U (zh) 探测器的安装架
KR20040014609A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