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859B1 -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859B1
KR101717859B1 KR1020150171473A KR20150171473A KR101717859B1 KR 101717859 B1 KR101717859 B1 KR 101717859B1 KR 1020150171473 A KR1020150171473 A KR 1020150171473A KR 20150171473 A KR20150171473 A KR 20150171473A KR 101717859 B1 KR101717859 B1 KR 101717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astening
screw
bolt
slab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진
Original Assignee
송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진 filed Critical 송병진
Priority to KR102015017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매설되는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클램프와의 체결 방식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체결 방식이 아닌 나사못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관통슬리브 및 상기 관통슬리브의 설치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Installation method of the sleeve}
본 발명은 관통슬리브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슬래브층을 관통하는 슬리브(sleeve) 및 상기 관통슬리브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슬래브(콘크리트)층에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매설되는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슬리브의 내부 통공을 통과한 배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슬리브와 체결되는 클램프를 사용하는데, 관통슬리브와 클램프 사이의 결합이 종래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였으며, 관통슬리브에는 상기 볼트가 체결되도록 내부에 상기 볼트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홈(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볼트홈(또는 볼트홀)이 필요없는 관통슬리브에 관한 기술이다.
도 1은 종래 전형적인 관통슬리브(10)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에는 슬래브(거푸집)층에 에어컨,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통신케이블 등의 배관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지점 또는 벽체의 거푸집에 슬리브(sleeve)를 설치하게 된다. 특히, 공공주택 등의 세면 욕조실 바닥에 배수관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층에 미리 매설되는 관통슬리브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몸체와, 상기 슬리부몸체 하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 거푸집 체결수단용 날개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관통슬리브는 세면 욕조실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타설 전에 설치되는 거푸집 상면에 설계된 위치에 따라 나사와 같은 거푸집 체결수단을 상기 관통슬리브의 날개부(11)에 삽입하여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러한 종래 관통슬리브의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273809호는 도 2와 같은 관통슬리브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는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 건물의 층간 또는 슬래브에 매설되고, 관통슬리브(10)의 상단부 외주연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일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중공된 체결홀(12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12a)을 관통한 볼트의 일단부가 보이도록 일측이 개구된 하부에는 소정공간의 너트수용부(12b)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의 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하여 너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가이드편(12c)이 형성된 체결부재(12)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에 관한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관통슬리브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관통슬리브가 슬래브층과 평면을 이루도록 맞추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웠으며, 슬래브층 위로 허용 기준 이상으로 관통슬리브가 높게 형성되는 경우,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와 관통슬리브의 체결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관통슬리브 몸체 내에는 통상 금속제의 암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홈(또는 볼트홀)이 있어, 슬래브층 위로 과도하게 노출된 관통슬리브 몸체를 절단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단하여 슬래브층과 높이를 맞추더라도 볼트홈(또는 볼트홀)이 절단되어 버리거나 뭉개져버리므로 볼트와의 결합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되는 관통슬리브 몸체에 이러한 금속제의 볼트홈(또는 볼트홀)을 추가하는 공정이 복잡해지며, 제품 생산시 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등록 제10-1273809호 특허등록 제10-11781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클램프의 체결이 아닌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서 나사못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체결이 가능한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 또는 절삭에 의해 높이를 낮추더라도 나사못을 통해 클램프와 체결이 여전히 가능한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래브층의 타설 높이와는 상관없이, 슬래브층에 맞게 관통슬리브의 수직 길이 조절을 통해 관통슬리브의 높이를 슬래브층의 표면에 맞춘 후 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는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건물 건축시 콘크리트 타설 전 배관의 통로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슬래브층에 관통 설치되는 슬리브몸체 및 상기 슬리브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배관의 설치 시에 타격에 의해 분리되어 제거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소재의 관통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는: 원통형의 하우징; 및 하우징의 상측에서 이격하여 다수 개 설치되는 체결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기둥은 나사못의 직경 및 길이에 비해 더 두꺼운 직경 및 더 긴 수직길이를 갖는 나사못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슬리브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체결기둥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어지되, 상기 나사못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나사못체결부의 상면에는 나사못의 결합 위치를 알려주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우징의 하단원주부에 다수 개 형성되며, 거푸집과의 연결시 못, 나사 또는 볼트가 결합되도록 거푸집체결홀을 갖는 날개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관통슬리브의 설치 방법으로서, 거푸집에 관통슬리브 고정 단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슬래브층 형성 단계; 상기 슬래브층보다 돌출된 관통슬리브 부분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관통슬리브에 배관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관에 클램프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슬리브의 하우징 상부에 다수 개 설치되어 있는 체결기둥에 나사못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기둥에 나사홈을 내면서 클램프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체결기둥은 나사못의 직경 및 길이에 비해 더 두꺼운 직경 및 더 긴 수직길이를 갖는 나사못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나사못체결부의 상면에는 나사못의 결합 위치를 알려주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는 종래의 관통슬리브와는 달리 클램프와 체결하기 위한 볼트홈(또는 볼트홀)을 슬리브몸체에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슬래브층 위로 관통슬리브가 돌출되게 슬래브층이 타설되더라도, 관통슬리브의 돌출 부위를 절단 제거하여 슬래브층과 관통슬리브의 높이를 맞춘 후, 나사못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슬래브층 타설 높이로 인한 관통슬리브의 설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통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관통슬리브로서, 특허등록 제10-1273809호의 발췌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A-A' 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와 클래프를 나사못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슬래브층과 높이가 일치하지 않는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를 절단하여 나사못을 이용하여 클램프와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는 종래의 관통슬리브와 마찬가지로 슬리브몸체(100) 및 덮개(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브몸체(100)와 덮개(200)는 종래의 관통슬리브와 마찬가지로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후술하는 나사못의 회전 직진 운동에 대해 나사홈이 만들어져야 한다.
덮개(200)는 배관의 설치 시 제거되어야 하므로, 슬리브몸체(100)와는 가벼운 타격에 의해 제거되도록 슬리브몸체(10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의 가접착부(210)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프라모델의 런너 상태의 부품과 같이 슬리브몸체(100)에 덮개(200)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덮개(200)가 아닌 슬리브몸체(100)에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슬리브몸체(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슬리브몸체(100)는 원통형의 하우징(140) 및 체결기둥(110)을 포함하되, 하부 외주연(1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거푸집과의 체결을 위한 날개부(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40)은 상부는 전술한 덮개(200)에 의해 덮여 있으며,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원통형을 이룬다. 덮개의 하부 외주연에는 일정한 간격, 예를 들어, 90°마다 돌출된 길이가 짭은 사각형 바 형상의 날개부(120)를 더 가지며, 상기 날개부(120)에는 거푸집과의 체결을 위한 거푸집체결홀(12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4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 도 3의 경우 90°마다 4개의 체결기둥(110)을 갖는다. 체결기둥(110)은 180°의 간격으로 2개만 가질 수도 있으며, 4개 이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하는 클램프와의 체결을 위해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기둥(110)이 구비되며, 2, 4와 같이 짝수 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체결기둥(110)은 외부에서 보기에 하우징(140)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하우징(14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이어진 형태의 원형 바 또는 원형 관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하우징(14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이어질 필요가 없다. 또한, 도 3과는 달리 체결기둥(110)이 하우징(14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측에서는 체결기둥(110)이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내측와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체결기둥(1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기둥(110)은 원형 관 형상이 아닌 사각형 관 형상일 수도 있으나, 사출로 제조되는 특성상 원형 관 형상이 바람직할 것이다.
체결기둥(110)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볼트가 체결되기 위하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홈(또는 볼트홀)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체결기둥(110)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볼트홈이 필요없이, 후술하는 나사못이 전진하면서 나사홈을 내면서 체결된다. 따라서 체결기둥(110)은 후술하는 안내홈(112, 도 2 참조) 이외에는 중공부가 아닌 모두 슬리브몸체(100)와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체결기둥(110)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체결기둥(110)은 그 수직 길이 전체(L1 + L2)가 반드시 같은 두께일 필요는 없으며, 상측의 일정 길이(L1)만큼은 최소한 클램프와의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나사못보다 단면적과 수직 길이가 더 커서 나사못이 나사홈을 만들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 부분을 특히, 나사못체결부(111)라고 칭하기로 한다. 나사못체결부(111)의 상부는 나사못의 체결 위치를 알려주는 안내홈(112)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홈(112) 자체는 나사못의 위치만 알려주면 되기 때문에 안내홈(112)은 그 깊이가 수 mm 정도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가 슬래브층(700)에 설치된 후에 배관(600)을 설치하기 위하여 클램프(400)와 관통슬리브(300)가 나사못(500)에 의해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종래 관련 기술에서는 관통슬리브의 덮개를 제거하고, 내부 중간에 배관(600)이 설치된 상태에서, 클램프(400)를 배관(600)에 체결한 후, 볼트와 너트로 클램프와 관통슬리브를 체결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볼트와 너트를 통한 결합 방식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600)의 설치 전에 덮개(200)는 가벼운 타격에 의해 슬리브몸체(100)로부터 분리제거한 후, 클램프(400)의 나사못체결홀(410)을 슬리브몸체(100)의 안내홈(112)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나사못(500)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못체결홀(410) 상부로부터 안내홈(112)을 지나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나사못체결부(111)에 나사홈을 형성하면서 진행, 즉, 굴진(掘進)하면서 클램프(400)와 슬리브몸체(100)를 체결한다.
즉, 종래에는 슬리브몸체(100)에 볼트홈이 이미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볼트홈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클램프(400)와 슬리브몸체(100)를 체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볼트가 아닌 나사못(500)을 이용하여 슬리브몸체(100)에 체결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시 슬리브몸체(100)와 슬래브층(700)이 수평을 이루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못하여, 슬리브가 슬래브층(700) 위로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00)와의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슬리브몸체(100)의 내에는 통상 금속제의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슬래브층 위로 과도하게 노출된 슬리브몸체(100)를 절단하여 슬래브층(700)과 높이를 맞출 수도 없었다. 이렇게 절단하는 경우 암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홀이 망가져버려 볼트로 체결하기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거푸집(도면 미도시)의 상면에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의 날개부(120)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한다. 이 과정은 종래의 통상적인 과정이므로 도 6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콘크리트 타설 후에 완성되는 슬래브층(700)과 관통슬리브(300)의 상부가 같은 평면 또는 거의 같은 평면 높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많은 경우에 슬래브층(700) 위로 관통슬리브(300)가 허용 기준 이상으로 높게 돌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에서는 그라인더 등의 통상적인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슬래브층(700)의 표면과 같도록 관통슬리브(300)의 상부를 절단한다.
종래 관통슬리브에서는 금속제의 볼트홈을 갖고 때문에 이러한 절단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볼트홈이 없으며, 나사못(500)의 회전에 의해 나사홈이 파여지는 재질의 플라스틱 소재의 체결기둥(110)으로 제조되므로 그라인더 등의 절삭공구로 쉽게 절단이 가능하며, 절단 후에도 여전히 충분한 길이의 체결기둥(110), 특히, 나사못체결부(111)가 남아 있으므로 나사못체결부(111)에 나사못(500)을 굴진하면서 하부로 체결함으로써 클램프(400)와의 체결을 완성한다.
즉,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300)에서는 나사못(500)에 의해 클램프(400)와 체결될 수 있으므로, 관통슬리브(300)의 상부를 절단하여 슬래브층(700)과의 높이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종래 관련 기술,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등록 특허등록 제10-1273809호에서는 상부를 절단하는 경우 클램프와의 볼트를 통한 체결이 불가능하였다.
100 : 슬리브몸체 110 : 체결기둥
111 : 나사못체결부 112 : 안내홈
120 : 날개부 121 : 거푸집체결홀
130 : 하부 외주연 140 : 하우징
200 : 덮개 210 : 가접합부
300 :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 400 : 클램프
410 : 나사못체결홀 500 : 나사못
600 : 배관 700 : 슬래브층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거푸집에 관통슬리브 고정 단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슬래브층 형성 단계;
    상기 슬래브층보다 돌출된 관통슬리브 부분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
    상기 관통슬리브에 배관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배관에 클램프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관통슬리브의 하우징 상부에 다수 개 설치되어 있는 체결기둥에 나사못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기둥에 나사홈을 내면서 클램프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기둥은 나사못의 직경 및 길이에 비해 더 두꺼운 직경 및 더 긴 수직길이를 갖는 나사못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나사못체결부의 상면에는 나사못의 결합 위치를 알려주는 소정 깊이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KR1020150171473A 2015-12-03 2015-12-03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KR101717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73A KR101717859B1 (ko) 2015-12-03 2015-12-03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73A KR101717859B1 (ko) 2015-12-03 2015-12-03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859B1 true KR101717859B1 (ko) 2017-03-17

Family

ID=5850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73A KR101717859B1 (ko) 2015-12-03 2015-12-03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8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13B1 (ko) 2017-06-09 2018-06-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1412B1 (ko) 2018-04-13 2018-07-2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66905B1 (ko) * 2019-09-03 2020-10-1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220062927A (ko) 2020-11-09 2022-05-17 서성현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KR20230026058A (ko) 2021-08-17 2023-02-2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42Y1 (ko) * 2006-01-12 2006-05-04 박희진 입상관 고정지지장치
KR200451427Y1 (ko) *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057761B1 (ko) * 2011-06-23 2011-08-19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유입방지커버가 결합 된 콘크리트 매입형 금속 단자박스
KR101157482B1 (ko) * 2011-11-16 2012-06-2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KR101178115B1 (ko) 2011-08-29 2012-08-3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KR101273809B1 (ko) 2011-11-02 2013-06-11 장동식 관통슬리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642Y1 (ko) * 2006-01-12 2006-05-04 박희진 입상관 고정지지장치
KR200451427Y1 (ko) * 2010-04-22 2010-12-14 (주)유넷트코리아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1057761B1 (ko) * 2011-06-23 2011-08-19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유입방지커버가 결합 된 콘크리트 매입형 금속 단자박스
KR101178115B1 (ko) 2011-08-29 2012-08-3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KR101273809B1 (ko) 2011-11-02 2013-06-11 장동식 관통슬리브
KR101157482B1 (ko) * 2011-11-16 2012-06-20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슬리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13B1 (ko) 2017-06-09 2018-06-11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배관용 관통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1412B1 (ko) 2018-04-13 2018-07-2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66905B1 (ko) * 2019-09-03 2020-10-1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220062927A (ko) 2020-11-09 2022-05-17 서성현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KR20230026058A (ko) 2021-08-17 2023-02-24 (주)영진에스피산업 관통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859B1 (ko) 관통슬리브 설치 방법
KR20210009227A (ko) 매입형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618096B (zh) 复合管道生产模具
KR200462907Y1 (ko)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1493249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140000051U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1426500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CN114215200A (zh) 一种保温钉以及施工方法
KR20220006941A (ko) 관통슬라브 시공용 클램프구조체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101692204B1 (ko)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JP5485339B2 (ja) ハンドホールのケーブル支持管接続工法及びケーブル支持管接続構造
KR20090050873A (ko) 전주 연장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 연장 방법
KR200272780Y1 (ko) 거푸집 시스템
JP6824587B2 (ja) 支柱
KR20170065264A (ko)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관통슬리브
CN211775201U (zh) 一种内嵌式管道支架
JP5274199B2 (ja) 長さ調整用連結管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2014010788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하우스 구축용 거푸집과 바닥콘크리트의 결합구조
CN219671835U (zh) 用于空心砌块墙体线盒安装的外侧可调节紧固装置
AU2016102421A4 (en) Sprinkler outlet formwork for concrete encasement applications and prefabricated assemblie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incorporating the same
KR200453202Y1 (ko) 관통슬리브 고정구
KR200387721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