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202Y1 - 관통슬리브 고정구 - Google Patents

관통슬리브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202Y1
KR200453202Y1 KR2020080014677U KR20080014677U KR200453202Y1 KR 200453202 Y1 KR200453202 Y1 KR 200453202Y1 KR 2020080014677 U KR2020080014677 U KR 2020080014677U KR 20080014677 U KR20080014677 U KR 20080014677U KR 200453202 Y1 KR200453202 Y1 KR 200453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ormwork
present
fixtur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893U (ko
Inventor
장명수
Original Assignee
장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수 filed Critical 장명수
Priority to KR2020080014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20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7Plugs to close openings in forms'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통슬리브(Sleeve)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관통슬리브를 슬래브(Slab) 타설 전에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관통슬리브 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에 고정되는 원형의 고정면 외주연을 따라 일부가 개방된 환턱을 일측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환턱 내측 방향 고정면과의 경계 부분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장공을 연속시켜 절취선을 형성하고, 상기 환턱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장공의 길이를 여타 장공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환턱 단부 방향의 장공 일측 단을 개방시켜 절결선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거푸집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 설치가 용이하고, 관통슬리브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관통슬리브 고정구{Fixing equipment for pipe type sleeve}
본 고안은 관통슬리브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의 옹벽 제방의 배수관로 매립이나, 고층아파트, 빌딩 등 콘크리트로 건축물을 신축할 때, 추후 벽체를 관통하는 배관작업을 원활하게 하기위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벽체거푸집 내의 일정한 위치에 관통슬리브를 매설하는데, 종래에는 PVC 관을 잘라서 양쪽 관말에 각 각 3-4 개의 못 구멍을 드릴로 뚫어 거푸집에 고정 하거나, 철근이나 편철 등을 적당하게 하여 테이프나 결속선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와 결합한 후 시공하였다. 또한, 양쪽 관말은 테이프 등으로 밀봉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첨부 도면(사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슬리브 양단에 고정구(플랜지)를 끼우고 상기 고정구의 상단부분에 "ㄱ"형상의 고정편을 끼워 고정시킨 후, 클램프의 절곡된 단부를 거푸집 상방에 고정시키고, 고정구를 역시 거푸집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관통슬리브 고정구의 경우, 고정편이 고정되는 양측 거푸집의 높이가 상이하면, 결과적으로 어느 한 쪽으로 배관이 기울어지게 되는 등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고정구 상방에 고정편을 고정 시킨 후, 상기 고정구 2개를 대칭으로 마주하게 위치시키고, 관통 슬리브 양단을 상기 고정구에 각각 끼워서 조립한 다음 거푸집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번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관통슬리브를 슬래브(Slab) 타설 전에 거푸집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에 고정되는 원형의 고정면 외주연을 따라 일부가 개방된 환턱을 일측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환턱 내측 방향 고정면과의 경계 부분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장공을 연속시켜 절취선을 형성하고, 상기 환턱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장공의 길이를 여타 장공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환턱 단부 방향의 장공 일측 단을 개방시켜 절결선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거푸집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 설치가 용이하고, 관통슬리브의 고 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술의 이해를 돕도록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타측 방향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12는 본 고안에 관통슬리브가 설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슬리브(1)를 슬래브(3) 타설 전에 거푸집(2)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0)에 있어서, 거푸집(2)에 고정되는 고정면(11) 외주연을 따라 일부가 개방된 환턱(12)을 일측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환턱(12) 내측 방향 고정면(11)과의 경계 부분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장공을 연속시켜 절취선(13)을 형성하고, 상기 환턱(12)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장공의 길이를 여타 장공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환턱(12) 단부 방향의 장공 일측 단을 개방시켜 절결선(14)을 형성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인 관통슬리브 고정구(10 ; 이하 고정구(10))는 재질이 경질이면서도 탄발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으며, 그 외 탄성을 갖는 재질이면 모 두 만족한다.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고정면(11)은 못 구멍(1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못 구멍(11a)은 고정면(11) 중앙을 중심으로 4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거푸집(2)에 고정 시 수평과 수직을 맞추기 용이하며,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슬래브 양생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밀려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환턱(12)은 양단이 상기 고정면(11)의 중앙의 일직선인 A선(중앙선)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환턱(12) 양단의 간격이 상기 고정면(11)의 지름 보다 좁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하여야만, 환턱(12) 양단 사이로 끼워져 환턱(12) 내주면에 안착되는 관통슬리브(1)가 외압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절취선(13)은 장공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면(11)의 1/2면에만 형성 즉, 중앙선인 A선상의 일측 편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 중 상기 절결선(14)은 상기 절취선(13)이 형성되는 선상에서 환턱(12)의 양단 부분을 따라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면(11)으로부터 환턱(12)을 절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환턱(12) 양단을 밀게 되는 관통슬리브(1)의 외주면을 따라 환턱(12)이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거푸집(2) 양 측면에 환턱(12)이 마주하도록 고정구(10)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은 고정면(11)의 못 구멍(11a)에 못을 박아서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4방향에 천공된 못 구멍(11a)이 수평과 수직을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기준선을 제공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고정구(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인 고정구(10)가 거푸집(2) 양 측면에 대칭으로 고정되면 철근(4)을 배치하고, 관통슬리브(1)를 첨부 도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0)의 상기 환턱(12) 양단에 위치시켜 밀게 되면, 관통슬리브(1)의 외주면을 따라 환턱(12)이 벌어지게 되어 관통슬리브(1)가 환턱(12) 내측에 인입 안착되어 고정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벌어진 환턱(12)의 양단은 탄력적으로 원상회복되면서 관통슬리브(1)를 감싸게 된다.
그리되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슬리브(1)를 밀어 올려 고정구(10)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관통슬리브(1)가 고정구(10)에 고정되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그 다음으로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을 철거하게 되는데, 측면 거푸집을 철거하면 측면 거푸집에 고정된 고정구(10)의 고정면(11)까지 자연적으로 철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환턱(12) 부분은 관통슬리브(1)와 함께 슬래브(3)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절취선(13)을 따라 고정면(11)만이 환턱(12)으로부터 탈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2)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구(10)의 고정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고정구(10)에 대한 관통슬리브(1)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대용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적 구성 중 원적외선마사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타측 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 내지 12는 본 고안에 관통슬리브가 설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통슬리브 고정구 11 : 고정면
12 : 환턱 13 : 절취선
14 : 절결선 1 : 관통슬리브
2 : 거푸집 3 : 슬래브

Claims (1)

  1. 관통슬리브(1)를 슬래브(3) 타설 전에 거푸집(2)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0)에 있어서, 거푸집(2)에 고정되는 고정면(11) 외주연을 따라 일부가 개방된 환턱(12)을 일측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환턱(12) 내측 방향 고정면(11)과의 경계 부분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장공을 연속시켜 절취선(13)을 형성하고, 상기 환턱(12) 양단 부분에 형성되는 장공의 길이를 여타 장공보다 길게 형성하되, 상기 환턱(12) 단부 방향의 장공 일측 단을 개방시켜 절결선(1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슬리브 고정구.
KR2020080014677U 2008-11-03 2008-11-03 관통슬리브 고정구 KR200453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677U KR200453202Y1 (ko) 2008-11-03 2008-11-03 관통슬리브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677U KR200453202Y1 (ko) 2008-11-03 2008-11-03 관통슬리브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93U KR20100004893U (ko) 2010-05-12
KR200453202Y1 true KR200453202Y1 (ko) 2011-04-12

Family

ID=4424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677U KR200453202Y1 (ko) 2008-11-03 2008-11-03 관통슬리브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98B1 (ko) 2016-01-19 2016-08-10 고의환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636A (ja) * 1996-02-23 1997-09-02 Tobishima Corp 貫通スリーブ
JP2000296515A (ja) 1999-04-14 2000-10-24 Ando Corp 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用スリーブ固定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636A (ja) * 1996-02-23 1997-09-02 Tobishima Corp 貫通スリーブ
JP2000296515A (ja) 1999-04-14 2000-10-24 Ando Corp コンクリートプレキャスト用スリーブ固定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398B1 (ko) 2016-01-19 2016-08-10 고의환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93U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1000820B1 (ko) 지수판 및 상기 지수판을 이용한 시공방법
CA2977565C (en) Concrete form system
KR200453202Y1 (ko) 관통슬리브 고정구
KR200451396Y1 (ko) 복합형 슬리브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200455455Y1 (ko) 지수판
KR20210001050U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20090117440A (ko)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JP2019100092A (ja) 床スラブの開口部形成・補強装置
JP2022052282A (ja) 基礎貫通スリーブ
KR101119059B1 (ko) 지수판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100785258B1 (ko) 네일 장착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네일 삽입 지반보강공법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1508315B1 (ko)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KR102217031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KR20150004474U (ko)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0283423Y1 (ko) 앵커공법용 인장재 해체장치
KR200197237Y1 (ko)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KR20042274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200494219Y1 (ko) 매립관용 지수판
KR100946388B1 (ko) 배관용 슬리브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