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37Y1 -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37Y1
KR200197237Y1 KR2020000006041U KR20000006041U KR200197237Y1 KR 200197237 Y1 KR200197237 Y1 KR 200197237Y1 KR 2020000006041 U KR2020000006041 U KR 2020000006041U KR 20000006041 U KR20000006041 U KR 20000006041U KR 200197237 Y1 KR200197237 Y1 KR 200197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necting sleeve
formwork
disc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철수
Original Assignee
하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철수 filed Critical 하철수
Priority to KR2020000006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내,외부에 모든 파이프를 최상층인 옥상으로 부터 최하층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관통하거나 연결하기 위해서 건축공사시 아파트나 일반건물에 설치되는 홈통연결용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건축공사시 건물 내,외부에 모든 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기 위한 홈통연결용슬리브를 설치하되, 내부에 다수의 못삽입공이 형성된 돌기가 형성된 슬리브삽입부를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원판을 구성하고, 이를 먼저 철근이 설치된 거푸집(판넬)의 상면에 못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한후에 상기 거푸집(판넬)에 고정설치한 원판의 슬리브삽입부에 홈통연결용슬리브의 하측내부를 결합하여서 홈통연결용슬리브를 고정토록 하는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을 떼어낼시 원판이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거푸집내에서 떼어 지도록 하여 일회용 소모제품이 아니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원판에 형성된 슬리브삽입부의 못삽입공에 박혀 있는 못이 거푸집에 박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못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못의 끝단을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절단작업이 전혀 필요없도록 하며 또한, 홈통연결용슬리브의 하단을 원판에 의해 밀폐하여 거푸집상면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시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에도 홈통연결용슬리브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못하고 변형이 없는등 홈통연결용슬리브의 고정설치를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모든 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 또한 동시에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a pipe connection slive institution structrure}
본 고안은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일반건물등의 각종 건축물 내,외부에 최상층인 옥상으로 부터 최하층의 사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관통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기 위해서 건축공사시 건축물의 내,외부에 설치되는 홈통연결용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등의 건축공사시에는 미리 홈통연결용슬리브를 고정설치하고 공사가 끝나면 상층에 각각 고정설치된 홈통연결용슬리브에 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설치하게 되는바, 종래의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를 살펴볼것 같으면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못삽입공(20a)이 형성된 원형링판(20)을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하측외주면에 삽입한 상태에서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하단을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된 거푸집(판넬)(400)의 상면에 올려놓은 다음 원형링판(20)에 형성된 못삽입공(20a)을 통해 못(30)을 때려박아서 거푸집(판넬)(400)에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고정설치한다.
그런다음, 상기 거푸집(400)의 상면에 시멘트를 붓고 양생하여 완성된 후에 거푸집(400)을 떼어내면 홈통연결용슬리브(10)가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는 거푸집(400)을 떼어낸 후에도 원형링판(20)을 떼어 내는 것이 아니므로 일회용 소모제품이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하였음은 물론 원형링판(20)의 못삽입공(20a)에 박혀 있는 못(30)의 날까로운 끝단이 뾰족하게 돌출되는 관계로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었다.
따라서 못(30)의 하단을 반듯시 절단하여야 하였는 바 이의 절단작업 또한 번거로웠음은 물론 절단후에도 벽면보다는 약간 더 길게 못(30)이 절단되는 것이어서 좋지 못하여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는 못하였다.
또한, 홈통연결용슬리브의 하단이 막혀 있지 않은 관계로 거푸집(400)상면으로 콘크리트(300)를 부어 넣을시 콘크리트(300)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이 강하여 상기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하단이 거푸집(400)의 상면으로 부터 벌어지면서 홈통연결용슬리브(10)하단으로부터 내부로 콘크리트(300)가 들어가서 굳으면서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막아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를 깨어내야만 하는등 매우 불필요하고 번거로운 후속작업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건축공사시 아파트내,외부에 모든 파이프(홈통)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기 위한 홈통연결용슬리브를 설치하되, 내부에 다수의 못삽입공이 형성된 돌기가 형성된 슬리브삽입부를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원판을 구성하고, 이를 먼저 철근이 설치된 거푸집(판넬)의 상면에 못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한후에 상기 거푸집(판넬)에 고정설치한 원판의 슬리브삽입부에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상,하측내부를 결합하여서 홈통연결용슬리브를 고정토록 하는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을 떼어낼시 원판이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떼어 지도록 하여 일회용 소모제품이 아니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원판에 형성된 슬리브삽입부의 못삽입공에 박혀 있는 못이 거푸집에 박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못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못의 끝단을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절단작업이 전혀 필요없도록 하며 또한,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상,하단을 원판에 의해 밀폐하여 거푸집상면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시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에도 홈통연결용슬리브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못하고 변형이 없는등 홈통연결용슬리브의 고정설치를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결과적으로 모든 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 또한 동시에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홈통연결용슬리브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홈통연결용슬리브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슬리브 20:원형링판
20a:못삽입공 100:원판
110:슬리브삽입부 111:돌기
111a:못삽입공 112:보강테
400:거푸집(판넬) 300:콘크리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축공사시 아파트내,외부에 모든 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기 위하여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설치함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못삽입공(111a)이 형성된 돌기(111)와 변형방지용 보강테(112)를 형성된 슬리브삽입부(110)를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원판(100)을 구성하고, 이를 먼저 철근이 설치된 거푸집(판넬)(400)의 상면에 올려놓은 다음 원판(100)의 슬리브삽입부(110)에 형성된 못삽입공(111a)을 통해 못(30)을 때려박아서 거푸집(판넬)(400)에 원판(100)을 고정설치한후에 상기 거푸집(판넬)(400)에 고정설치한 원판(100)의 슬리브삽입부(110)에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상,하측내부를 결합하여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고정토록 하는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설치구조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등의 공사시 모든 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거푸집(판넬)(400)의 상면에 원판(100)의 저면을 올려 놓는다.
그런다음, 원판(100)의 상면에 형성한 슬리브삽입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111)에 천공된 다수의 못삽입공(111a)을 통해 못(30)을 때려박아서 거푸집(판넬)(400)에 원판(100)을 고정설치한후에 상기 거푸집(판넬)(400)에 고정설치한 원판(100)의 슬리브삽입부(110)에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상,하측내부를 결합하여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홈통연결용슬리브(10)에 결합되어 있는 원형링판(20)의 못삽입공(20a)에 철사를 넣어 철근에 엮어서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설치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거푸집(400)상면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양생시킨다.
이때, 콘크리트(300)를 부어 넣을시 콘크리트(300)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에도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내부로 콘크리트(300)가 들어가지 못하고 변형이 없음은 물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굳은상태에서 거푸집(400)을 떼어낼시 원판(100)이 거푸집(400)에 못(30)으로 고정된 상태로 일체로 떼어 진다.
따라서,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고정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모든 파이프(홈통)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작업 또한 손쉽게 끝마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때 사용되는 원판(100)은 거푸집(400)에서 떼어내어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아파트 내,외부에 모든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기 위한 홈통연결용슬리브를 설치하되, 내부에 다수의 못삽입공이 형성된 돌기가 형성된 슬리브삽입부를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원판을 구성하고, 이를 먼저 철근이 설치된 거푸집(판넬)의 상면에 못과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한후에 상기 거푸집(판넬)에 고정설치한 원판의 슬리브삽입부에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상,하측내부를 결합하여서 홈통연결용슬리브를 고정토록 하는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을 떼어낼시 원판이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로 떼어지도록 하여 일회용 소모제품이 아니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원판에 형성된 슬리브삽입부의 못삽입공에 박혀 있는 못이 거푸집에 박혀 돌출될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못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못의 끝단을 절단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절단작업 또한 전혀 필요없다.
그리고 홈통연결용슬리브의 하단이 원판에 의해 견고히 밀폐되기 때문에 거푸집상면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시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에도 홈통연결용슬리브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들어가지 못하고 변형이 없는등 홈통연결용슬리브의 고정설치가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모든파이프를 관통하거나 연결설치 또한 동시에 매우 용이한 획기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건축공사시 아파트 내,외부에 모든 파이프를 수직, 수평으로 관통하거나 연결설치하기 위하여 홈통연결용슬리브(10)를 설치함에 있어서,
    못삽입공(111a)이 구비된 돌기(111)와 변형방지용 보강테(112)를 내측으로 형성한 슬리브삽입부(110)를 상면에 일체로 형성한 원판(100)을 구성하여, 이를 먼저 철근이 설치된 거푸집(판넬)(400)의 상면에 올려놓은 다음 원판(100)의 슬리브삽입부(110)에 형성된 못삽입공(111a)을 통해 못(30)을 때려박아서 거푸집(판넬)(400)에 원판(100)을 고정설치한후 상기 거푸집(판넬)(400)에 고정설치한 원판(100)의 슬리브삽입부(110)에 홈통연결용슬리브(10)의 상,하측내부를 결합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KR2020000006041U 2000-03-04 2000-03-04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KR200197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041U KR200197237Y1 (ko) 2000-03-04 2000-03-04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041U KR200197237Y1 (ko) 2000-03-04 2000-03-04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237Y1 true KR200197237Y1 (ko) 2000-09-15

Family

ID=1964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041U KR200197237Y1 (ko) 2000-03-04 2000-03-04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77B1 (ko)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2681735A (zh) * 2020-12-17 2021-04-20 北京城建北方设备安装有限责任公司 一种穿梁套管的模板固定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77B1 (ko)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2681735A (zh) * 2020-12-17 2021-04-20 北京城建北方设备安装有限责任公司 一种穿梁套管的模板固定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781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1564442B1 (ko)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KR101893218B1 (ko)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KR200197237Y1 (ko) 홈통연결용슬리브의 설치구조
KR20180004047A (ko)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1020641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거푸집공사에서 합판거푸집에 고정되어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는 전기박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0750343B1 (ko) 판상 단열재 고정구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180075447A (ko) 건물의 외벽체 또는 바닥면 보수방법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JP4489644B2 (ja) 側溝蓋用埋設型枠、及び側溝の蓋体の形成方法
KR10095303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유닛
KR200432330Y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
KR200402508Y1 (ko) 콘크리트 균열 방지구
JP2821106B2 (ja) スリット施工部材とその施工方法
KR200268242Y1 (ko) 거푸집 시스템
WO1994029538A1 (en) Improvements in concrete floor construction
KR20028140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KR200340017Y1 (ko) 건축물용 지지대 고정을 위한 브라켓
KR200241832Y1 (ko) 구조물 공사용 거푸집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